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응급실 소생실 이용환자의 특성과 응급간호 업무 수행 분석

        최민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응급실 내 소생실에서 수행되는 간호 업무를 확인하는 것으로 소생실 이용환자의 특성 및 소생실이라는 한정되고 특수한 공간에서 제공되는 응급 간호 업무를 확인하여 소생실 내 응급간호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환자 간호의 우선 순위 설정과 중증응급환자 간호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2016년 1월부터 12월까지 소생실에 입실한 환자 1327명 중 220명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소생실 이용환자의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간호 업무는 전체 빈도수 및 환자 1명당 시행된 빈도수를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소생실 이용환자는 남자(60.0%)가 많았으며 평균 이용 연령은 64.9±16.37세 이었다. 직접 내원 하는 비율과 구급차를 이용하여 응급실에 내원 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KTAS 중증도는 level 1 환자가 61.8% 로 중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73.2%의 환자가 병실과 중환자실로 입원하였다. 2) 소생실 입실 이유는 쇼크, 호흡곤란, 의식변화, 비외상성 출혈, 경련, 심정지, 외상, 기타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응급실에서 내원하여 10분이내 소생실을 이용한 비율은 55.9%이며, 평균 소요시간은 84.0분 이었다. 소생실에서 처치를 받는동안 체류한 시간은 평균 75.2분으로 나타났다. 3) 소생실에서 수행된 간호 업무의 총 빈도는 18.198건이었다. 간호 영역에서 측정 및 관찰(34.4%), 간호관리(31.5%), 호흡간호(19.1%), 투약(7.2%)의 순서로 간호 업무를 많이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세부항목으로 가장 많이 시행된 항목은 산소포화도 측정(2928 회)이었다. 그 다음으로는 맥박측정(2893 회), 간호관련 기록과 전산입력 조회 및 출력(2847 회), 혈압측정(1708 회), 각종모니터를 통한 관찰(1359 회) 순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소생실에는 중증도가 높은 환자가 입실하며 많은 간호 활동이 수행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즉각적인 처치가 필요한 중증도가 높은 환자에게 전문적인 처치 및 간호를 수행 할 수 있도록 소생실이라는 특수성에 맞는 전문 인력의 교육 및 적절한 배치 조정이 필요하며 소생실 다빈도 질환에 맞는 간호 업무의 프로토콜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소생실의 간호 업무를 확인할 수 있는 특성화된 측정 도구를 개발하여 반복 연구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육당 최남선의 서적 장정 연구

        최민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일제 식민통치시기인 1910~30년대 사학자이자 문인, 문화예술인이었던 육당 최남선의 사상과 그의 서적 장정 및 출판 활동에 관한 연구이다. 1890년 4월 서울에서 태어난 최남선은 한국 근대문학의 선구자 중 하나로 평가되고 있는 인물로, 서구 근대사조를 수용하고 일본의 앞선 출판인쇄술을 도입하여 한국의 출판 환경을 발전시키고자 노력하였으며 서적을 대중들에게 저렴하게 보급함으로써 식민지적 가치관에 정체되어 있던 청년을 개화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육당의 서적 장정에 관한 사상을 중심으로 연구하며, 그의 친일사상이나 가치관에 대해서는 철저히 논외하기로 한다. 1장에서는 일제 강점기의 한국 인쇄 출판 기술의 발전과정을 알아보고, 그와 함께 이루어진 신문화에 대한 적극적인 수용의 과정을 살펴본다. 또한 인쇄술의 발전과 한국 잡지사의 흐름, 당시 일본의 출판문화 등이 어떠한 사회 문화적 배경에서 발생하였는지 연구하였다. 이는 최남선의 서적 출판에 대한 사상과 가치관이 형성된 시대적 배경이 된다. 2장에서는 육당 최남선의 생애와 성장배경, 역사적으로 함께 한 주변인물에 대해 기술한다. 이를 바탕으로 출판활동에 대한 그의 사상과 예술적 기질 등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유추할 수 있다. 최남선이 주로 활동했던 신문관, 조선광문회 등의 활동을 되짚어 보면서 그러한 사상이 형성된 배경과 그로 인해 드러난 서적 장정에 대한 그의 가치관의 근간이 되는 요인을 연구한다. 3장에서는 최남선의 다섯 가지 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디자인을 분석한다. 그의 사회사상과 디자인관, 그리고 장정에 대한 주체적 사상이 어떻게 디자인에 투영되어 표현되었는지를 알아보고 그와 함께 발전한 시각문화에 대해 연구한다.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의 개념이 성립되지 않았던 당시 최남선이 서적 장정을 통해 나타내고자 했던 그의 사상과 디자인적 가치관을 밝힐 수 있으며 그 의의를 드러냄으로써 그가 단순히 서적을 꾸미는 장식적 의미에서 벗어나 근대의 북디자인을 실현하였음을 주장할 수 있다.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디자인 분야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특정 인물의 시대적?개인적 배경에 대해 연구하여 그의 사상과 가치관이 디자인에 반영되는 과정과 그 결과를 분석하고, 특수한 시대적 상황에 나타난 디자인 활동에 대해 기술함으로써 근대의 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고자 한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thoughts, book design and publication activities of YukDang Choi, NamSun who was a historian, man of letter, culture and art during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from 1910s to 1930s. Choi, Namsun born in Seoul in April 1890, is a person who is evaluated as one of the pioneers in Korea's modern literature, who accepted Western modern trends, introduced advanced Japanese publication technologies, made efforts to develop Korea's publishing culture, and distributed at affordable prices to enlighten the youth stagnant in colonial values. This thesis will mainly study YukDang's thoughts on book design, but exclude his pro-Jap thoughts or values thoroughly from discussion. Chapter 1 investigat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s publication technologies during Japanese occupation and the process of active acceptance of new culture. In addition, it studied the development of publication, the flow of Korean magazine history, and the socio-cultural backgrounds of Japanese publishing culture etc. This is the background of the times when Choi, NamSun's thoughts and values of book publication was formed. Chapter 2 describes YukDang Choi, NamSun's life and growth background and people around him in history. Based on this, we can infer how his thoughts of and artistic dispositions toward publication activities were formed. Looking back on the activities such as Shinmun-gwan and Joseon Gwangmun-hoe in which Choi, NamSun was mainly active, it studies the background in which those thoughts were formed and the factors of his values on book design revealed by that. Chapter 3 analyzes designs based on Choi, NamSun's five thoughts. It investigates his social thoughts and views on designs, how his subjective thoughts on design were reflected and expressed in his designs, and studies developed visual culture through them. Also, based on this, it can show his thoughts and values of designs Choi, NamSun tried to present through book design at the time when the concept of design had not been established, and by revealing their significance, it can address that he realized a modern book design apart from simply decorative meaning of it. Thus, this thesis will study the process of a particular person's thoughts and values being projected to designs, and analyzing design activities in specific situations of the times and the outcome, it tries to have a new perspective on modern designs.

      • 파킨슨병 환자를 위한 해외 무용프로그램 사례연구 : -미국, 영국, 캐나다를 중심으로-

        최민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령사회와 노인 인구의 증가로 노인성 질환의 유병률도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이다. 그중 파킨슨병은 치매, 뇌졸중과 같은 3대 퇴행성 뇌질환 중 하나이다. 병의 주요 증상은 행동이 느리거나 멍하고, 근육 경직 상태의 자세 불안정, 움직임 이외에도 우울증, 수면 문제, 말과 표정 변화의 증상이 나타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파킨슨병 무용 프로그램이 국내 전 지역 사회까지 활성화되어 많은 환자가 프로그램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해외 사례를 제시하고 비교 연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 고찰 및 사례 연구로써 국가별 의료 복지제도를 참고하였고, 파킨슨병 환자를 대상으로 만들어진 대표적인 무용프로그램인 미국의 Dance for PD®와, 그를 기반으로 도입된 국내 Dance for PD®의 현황, 영국의 Dance for Parkinson’s, 캐나다의 Dancing With Parkinson’s의 사례를 제시하고 비교하였다. 해외 사례와 국내 현황의 문헌 및 사례 연구를 종합해 보았을 때, 한국은 국가적 지원을 받기 위하여 파킨슨병과 파킨슨병 무용프로그램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과 인식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파킨슨병 무용 프로그램이 전국으로 꾸준히 이어 나갈 수 있도록 PD 강사들과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파킨슨병 관련 온라인 웹사이트는 지속적인 현황 관리와 더불어 다양한 수업 방안에 관한 연구와 정보가 필요하다. 거동이 어려운 환자를 위하여 Zoom을 포함한 한국만의 특색있는 온/오프라인 파킨슨병 무용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고, 온라인 사용법에 있어 더욱 쉬운 접근 방법이나 참여도를 높이려는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해외 사례 비교 후 국내 파킨슨병 무용프로그램을 활성화할 수 있는 사례의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Dance for PD®를 기반으로 국내 정서를 담은 한국만의 무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홈페이지를 개설하는 것이다. 둘째, 한국을 대표하는 국립무용단, 국립발레단, 국립 현대무용단 등의 사회무용프로그램 참여 및 홍보이다. 셋째, 대중의 파킨슨병과 파킨슨병 무용 프로그램의 인식 확대 방안을 위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다양한 매체를 적극 활용하여 홍보 활동을 강화하는 것이다. 넷째, 의료(보건)기관 병원이나 물리치료 및 재활 센터와 지역사회 노인 복지관 등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다섯째, 의료 전문가, 무용 강사, 환자, 가족, 간병인 등을 대상으로 파킨슨병에 관한 교육 및 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여섯째, 전문 무용 강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교육 및 훈련을 통해 구체적인 강사 양성 프로젝트를 개최하는 것이다. 일곱째, 파킨슨병 무용프로그램을 지속해서 운영하기 위하여 정부, 기업, 재단 등과의 협력을 통해 자금을 조성하고 지원 받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사례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국내 파킨슨병 무용을 활성화하고, 환자들에게 더 나은 삶의 질을 제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하는 바이다. 핵심어: 파킨슨병, 파킨슨병 무용프로그램, Dance for PD®

      • 주변에서 주변으로 : 구조적 폭력과 한국의 지방대 재학 중국인 유학생들의 생존전략

        최민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한국의 지방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학위를 위해 초국경적 이동을 하게 된 배경과, 실제 유학 생활에서 학생들이 경험하게 된 구조적 폭력의 상황, 나아가 구조적 폭력에 노출된 학생들이 취한 생존의 전략을 조명하였다. 재한 중국 학생들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은 중국 학생들을 구조의 제약 앞에 무기력한 피해자의 모습으로 묘사하거나 목표의 달성을 위해 끊임없이 전략을 구사하는 지치지 않는 “합리적” 행위자로 묘사하였다. 본 연구는 조사대상 중국인 유학생들을 구조적 폭력의 맥락에서 제한된 자원을 이용하여 목적을 달성하려 하는 조건적 합리적 행위자의 측면을 지녔다고 보았다. 특히 연구자는 구조적 폭력의 경험이 이들의 “합리적” 행위에 제한을 가하는 구체적인 경험적 맥락을 조명하고, 이 경험을 통해 이들이 구성하는 생존의 전략이 지닌 가능성과 한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중국 학생들이 한국으로의 초국경적 이동을 행하기 전, 중국의 고향에서 체화한 주변성에 주목하였다. 조사대상 중국 학생들은 발전이 정체된 중국의 소도시에서 성장하면서 고소득 화이트칼라 사무직 일자리를 통한 신분 상승이 어렵다는 것을 체감하였다. 중국의 입시제도에서 성공을 거두지 못한 중국 학생들은 한국 유학을 신분 상승을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선택하지만, 지방 소도시의 주변성에 의해 제한되고 상대적으로 사회 · 경제 · 문화적 자원이 부족한 중국 학생들은 성공적인 국제유학에 필요한 고급 정보들을 획득하지 못하면서 한국의 지방 소도시 소재의 대학으로 이동하게 된다. 연구자는 이러한 이동을 ‘주변에서 주변’으로의 수평적 이동으로 간주하고, 초국경적 이동이 주변으로부터의 탈출과 신분 상승을 가져오는 통로가 된다는 일반적 이해와 다르다고 주장하였다. 중국 학생들이 중국에서 “한류” 상품을 통해 유학 생활에 대한 환상을 극대화했던 것과 달리, 한국의 지방 소도시로의 이주는 학생들로 하여금 이들을 둘러싼 또 다른 주변성을 다시금 확인하게 하였다. 이들이 유학 생활을 하게 된 지방 소도시인 완산시(가명)는 산업이 침체된 농업도시라는 공간적 주변성을 지니고 있었고, 이러한 주변성은 이들이 유학 생활에서 생존하기 위해 실제로 필요한 정보를 얻는 것을 제한하였다. 또한 완산시의 공간적 주변성은 학생들이 생존을 위해 시급제 일자리를 구하는 것을 제한하였다. 완산시와 같은 경제적으로 침체된 지방 소도시에서는 언제나 일자리가 부족했고, 따라서 학생들은 법적 최저시급보다 낮은 시급을 수용해야만 했다. 이러한 구조적 폭력의 상황에서 학생들은 무기력한 희생자의 모습을 보여주기보다는 가용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생존을 위한 대응책을 마련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친구들끼리 모바일 기반 채팅방을 개설하여 유학 생활에 필요한 실용적인 정보와 시급제 일자리의 정보를 교환하는가 하면, 비공식적 모임을 통해 얻은 시급제 편의점 일자리와 위챗 대리구매를 통해 유학 생활의 외로움과 경제적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 중국인 유학생들은 저임금 임시직 노동과 외국인에 대한 차별이라는 구조적 폭력이 한국 사회의 불공평한 구조에서 비롯되었다고 간파하면서도, 이러한 구조를 바꿀 수 없는 상황에서 그 구조 안에서 긍정적 의미를 찾으려 하였다. 학생들은 저임금 시급제 외국인 노동자라는 상황을 비관하기보다는, 근무시간에 짧은 휴식의 틈을 발견하는 등 긍정적 요소를 추구하며 위안을 찾았다. 또한 학생들은 교육위계의 상위에 놓인 서울과 서울 소재의 대학들을 부정적으로, 완산시와 지방 소재 대학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여 위계적 가치를 전복하였으며, “중국인 유학생”에 대한 편견과 혐오를 표현하는 한국인의 도덕적 위선을 비난하기도 하였다. 끝으로, 조사대상 학생들이 해외여행에서 행하는 “탕진잼”은 구조적 폭력이 부여하는 일상화된 심리적 압박감을 해외여행이라는 비일상적 맥락을 통해 해소하는 자구적 시도였다. 하지만 구조적 폭력 하에 놓인 조사대상 유학생들의 자구적 노력은 오직 제한적 효과만을 가져올 뿐이었다. 저임금 임시직 노동의 틈새에서 찾는 안위나 해외여행을 통한 “탕진잼”의 추구는 일시적으로만 일상의 어려움을 잊게 하였을 뿐이었다. 조사대상 유학생들은 초국경적 이동을 통해 이중언어구사 능력과 한국 대학 졸업장을 획득하였다는 데 자부심을 느꼈고, 비록 한국에서 직장을 구할 수는 없었지만 귀국 후에는 노력에 따라 밝은 미래가 열릴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중국으로의 귀국이라는 초국경적 이동이 ‘하나의 주변’에서 ‘또 다른 주변’으로 이어질지를 단언할 수 없다. 하지만 이들의 현재가 지닌 불안정성과 미래에 대한 불안감은 일상을 통해 내재하게 된 주변성과 더불어 이들이 미래의 프리케리엇(precariat)이 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In this thesis, I analyzed transnational migration of a group of Chinese students who intended to get college diplomas in South Korea. Specifically, I examined the students’ sociocultural backgrounds in China that urged them to migrate and described various forms of structural violence embedded in their everyday living in Korea. I also illuminated their strategies to survive the structural violence and measured the possibilities and limits of the strategies. Most of all, this research investigated how the students internalized marginality embedded in their hometowns of China well before their decision to come to Korea for higher education. Chinese students of this study realized that, in China, it would be very difficult for them to go up the social ladder, as they lived in a relatively backward small-sized cities and did not get good scores in the nationwide qualification exam for college entrance. To escape the marginality of the backward small city and overcome their failure in the Chinese educational system, they chose overseas study in Korea. However, they ended up in a small college located in a provincial city of Korea, because they failed to get information necessary to get admissions from renowned universities, most located in Seoul. Their relative lack of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capital in China explains this failure. I argue that the Chinese students’ transnational migration actually pertains to a horizontal, not vertical, move, namely, a move ‘from margin to margin.’ It contradicts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transnational migration as a good way for the underprivileged to escape native marginality and go up the social ladder in foreign settings. In Wansan, a small provincial city of Korea where they attended college, the Chinese students unexpectedly encountered another marginality, which is different from what they had imagined as their overseas life in Korea. Back in China, the students imagined that their stay in Korea would instantly bring them the metropolitan life that they had become familiar with via the “Korean Wave,” Korean pop-culture items such as TV dramas, K-pops, and Korean cosmetics. Wansan city had spatial marginality as an underdeveloped farming region, just like their hometowns in China. This marginality made it difficult for the students to find information necessary to survive their overseas study, such as decent part-time jobs and high-quality classes. I showed how the students struggled to find strategies of survival under conditions of structural violence, while taking advantage of all resources available to them. Instead of remaining as powerless victims, for example, they established mobile chat rooms and shared information on successful overseas study and openings of part-time jobs. They also tried to find positive meanings in their precarious living under the structural violence, while criticizing the Korean sociocultural hierarchy that discriminates against foreign students from relatively underdeveloped countries, in this case, China. Their efforts and strategies of survival, however, only brought limited effects in lessening their sufferings caused by the structural violence. They felt pride in their achievements of bilingual competence in Korean and Chinese and college diplomas. They argued that, with the achievements and individual efforts, they would be able to find good jobs back to their home country, China. It is hard to say whether their return to China would eventually lead to another move ‘from margin to margin.’ The instability of their current living in Korea and their anxiety of unforeseeable future in China, however, seem to indicate the possibility of falling into the precariat. In this thesis, I analyzed transnational migration of a group of Chinese students who intended to get college diplomas in South Korea. Specifically, I examined the students’ sociocultural backgrounds in China that urged them to migrate and described various forms of structural violence embedded in their everyday living in Korea. I also illuminated their strategies to survive the structural violence and measured the possibilities and limits of the strategies. Most of all, this research investigated how the students internalized marginality embedded in their hometowns of China well before their decision to come to Korea for higher education. Chinese students of this study realized that, in China, it would be very difficult for them to go up the social ladder, as they lived in a relatively backward small-sized cities and did not get good scores in the nationwide qualification exam for college entrance. To escape the marginality of the backward small city and overcome their failure in the Chinese educational system, they chose overseas study in Korea. However, they ended up in a small college located in a provincial city of Korea, because they failed to get information necessary to get admissions from renowned universities, most located in Seoul. Their relative lack of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capital in China explains this failure. I argue that the Chinese students’ transnational migration actually pertains to a horizontal, not vertical, move, namely, a move ‘from margin to margin.’ It contradicts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transnational migration as a good way for the underprivileged to escape native marginality and go up the social ladder in foreign settings. In Wansan , a small provincial city of Korea where they attended college, the Chinese students unexpectedly encountered another marginality, which is different from what they had imagined as their overseas life in Korea. Back in China, the students imagined that their stay in Korea would instantly bring them the metropolitan life that they had become familiar with via the “Korean Wave,” Korean pop-culture items such as TV dramas, K-pops, and Korean cosmetics. Wansan city had spatial marginality as an underdeveloped farming region, just like their hometowns in China. This marginality made it difficult for the students to find information necessary to survive their overseas study, such as decent part-time jobs and high-quality classes. I showed how the students struggled to find strategies of survival under conditions of structural violence, while taking advantage of all resources available to them. Instead of remaining as powerless victims, for example, they established mobile chat rooms and shared information on successful overseas study and openings of part-time jobs. They also tried to find positive meanings in their precarious living under the structural violence, while criticizing the Korean sociocultural hierarchy that discriminates against foreign students from relatively underdeveloped countries, in this case, China. Their efforts and strategies of survival, however, only brought limited effects in lessening their sufferings caused by the structural violence. They felt pride in their achievements of bilingual competence in Korean and Chinese and college diplomas. They argued that, with the achievements and individual efforts, they would be able to find good jobs back to their home country, China. It is hard to say whether their return to China would eventually lead to another move ‘from margin to margin.’ The instability of their current living in Korea and their anxiety of unforeseeable future in China, however, seem to indicate the possibility of falling into the precariat.

      • 미국 하원 FTA 표결과 대통령 외교정책 : 미국-모로코, 미국-바레인, 미국-오만 FTA 사례를 중심으로

        최민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과 모로코, 바레인, 오만이 체결한 FTA 의회 비준 표결에서 민주당 의원들의 지지 차이(variation)가 컸던 이유가 무엇인지 분석하는 것이다. 민주당 하원 의원들은 108대(2003~04) 의회를 통과한 모로코 FTA와 109대(2005~06) 의회를 통과한 바레인 FTA에 대해서는 과반이 넘는 지지를 표출했으나 109대 의회의 오만 FTA 표결에서는 매우 낮은 찬성을 보였다. 이 세 FTA에 대한 민주당 의원들의 지지 차이는 지역구 변수, 이념성향 등을 강조한 의원들의 투표 요인에 대한 기존 선행연구를 통해서는 설명하기가 어렵다. 그런데 이 FTA들은 모두 대통령의 외교·안보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부시 대통령은 중동 국가들과의 교역 확대를 통해 지역 경제 수준을 향상시키고 민주주의를 확산시켜 미국에 대한 안보 위협을 줄이고자 했다. 이처럼 이 FTA들이 대통령의 외교정책으로 추진된 것이라면 의회에서의 FTA 지지 차이는 대통령 외교정책에 대한 대중과 의원들의 평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정을 바탕으로 모로코, 바레인, 오만 FTA의 의회 비준 표결이 진행되던 당시 부시 대통령의 외교정책에 대한 대중과 의원들의 평가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모로코, 바레인, 오만 FTA 의회 표결이 있을 당시 대통령과 그의 외교정책에 대한 여론은 갈수록 부정적으로 변했음을 확인했다. 이것은 의원들의 대통령 외교정책에 대한 입장 변화로도 이어졌다. 민주당 의원들은 모로코, 바레인 FTA 표결 당시보다 오만 FTA 표결 때 대통령에 대해 더 비판적이었다. 예를 들어 민주당의 전쟁 반대 표결은 2004년 이후 해가 갈수록 더 증가했다. 본회의에서 대통령과 외교정책에 대한 민주당 의원들의 비판 발언들도 모로코, 바레인 FTA 표결 당시보다 오만 FTA 표결 시기에 더 강하게 표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바레인, 오만 FTA에 대해서는 찬성했던 민주당 의원들이 반대한 의원들에 비해 통상 이외의 외교정책에 대해서도 대통령의 입장을 지지하는 경향을 보였음도 확인하였다. 결국 의원들은 모로코, 바레인, 오만 FTA 표결을 대통령 외교정책에 대한 비판의 도구로 삼았다. 통상정책인 FTA에 대한 표결이 외교안보 정책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받아 달라진 것이다.

      • Memory Network를 이용한 한국어 목적 대화 시스템 개발

        최민진 서강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챗봇(Chatbot)이란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사용자와 자연스러운 대화를 할 수 있는 대화형 시스템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메신저 상에서 동작하는 챗봇을 이용한 일정 등록을 위한 대화 시스템 개발에 대한 개발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계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일정 등록, 일정 수정 및 일정 삭제 등 다양한 목적에 따라 이에 맞는 API를 호출 하게 된다. DSCT6에서 제안 하였던 방법을 활용하여 호출되는 API의 종류에 따라 사람과 기계와의 대화를 task라 불리는 여러 종류의 소규모 목적 대화로 분류하였다. 또한 대화는 한국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 따라 띄어쓰기가 다르게 사용되고 있다. 사용자마다 다른 띄어쓰기 기준을 사용하였지만 기계는 이를 동일한 문장 및 의미로 파악 할 수 있도록 WPM(Word Piece Model) 또는 띄어쓰기를 활용하여 대화의 내용을 분석하고 한국어 기본 단위인 형태소로 나누었다. 생성된 형태소를 BOW (Bag-Of-Word)기법을 이용하여 벡터(Vector)의 형태로 변환하였다. 그 후 분류된 목적 task에서 적절한 API를 호출 할 수 있도록 동적 메모리 네트워크와 종단 메모리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첫 api를 호출하는 첫 번째 task에서의 정확도는 75%, 메모리에 있는 내용을 삭제하거나 수정하는 등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바꾸는 두 번째 task의 정확도는 88%,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조회하는 세 번째 task의 정확도 89%, 모든 task를 합쳤을 때 정확도는 90%의 성능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브람스의 <피아노 소곡 Op.119> 분석

        최민진 성신여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Certain pieces by Johannes Brahms (1833-1897), Klavier Stuck, Op. 119 are studied. The analysis of the works written in the late period of the composer will help to understand his Neo-Classicism combined with the musical idiom of Romanticism and form of Classicism. In particular, the character pieces written in the late period of Brahms manipulate concentrated compositional style in terms of miniature form. These works also are important repertoires to understand composer's idea of pianism. The works written between 1878 and 1893 comprise Brahms's late works, for example, Phantasien and Klavierst?cke. His character pieces differ from the character pieces written by other contemporary composers; Brahms never uses the titles for his character pieces and enjoys abstract expression, such as intermezzo or rhapsody. The late period is particularly significant for Brahms because his own unique and mature musical expression are presented through the general markings as shown in the character pieces. The pieces written in this period also present some problems for the pianist, or performer who seeks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usical world of composer; Brahms utilizes obscure rhythm and harmony, and melodies veiled in contrapuntal texture, and these elements found in his music provide difficulties for the performer in interpreting the meaning of conflicting expressive terms and symbols.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analyze the obscure harmonies and melodies in interpreting his music, and provides an useful guide to understand his musical idiom. In particular, it also suggests the idea to understand Brahms's unique music, combined with the abundant orchestral sound effect yet pianistic texture.

      • NEIS에서 디지털행·재정통합시스템으로 회계전환에 관한 연구

        최민진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는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사회 전분야가 이를 통해 생산성 향상과 효율개선을 꾀하고 있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분야에 있어서 컴퓨터와 인터넷을 빼놓고는 제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지 못할 만큼 정보화는 시대가 요구하는 대세가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의해 최근 추진된 디지털 행․재정통합시스템은 학교와 교육행정기관의 교육행정 업무를 인터넷으로 연결 처리하는 교직원의 업무를 경감시키고 행정의 질을 높이며 행정관련 민원업무를 온라인시스템으로써 전자정부 구현의 중점 과제이면서 정부주도교육정보화 사업의 중심 과제이다. 재무회계 집행에 대한 홍보와 그에 따른 교육 그리고 디지털 행․재정시스템의 실제 운영 방법에 대한 직․간접적인 교육으로 재무회계 집행의 수용도를 높여야 한다. 재무회계의 도입에 대한 집행과 추진에 앞서 정책목표를 명확하게 하고 사전에 새로운 시스템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정책집행자와 정책대상에게 제공해야 할 것이다. 디지털 행․재정통합시스템을 사용함에 있어 학교장(기관장)은 조직의 목표를 분명하게 하고 교직원들은 학교장과 협의를 통한 집행방안을 창출하여 서로간의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회계를 운용해야 한다. 디지털 행․재정통합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있어 일선 관료의 재량과 책무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일선 관료에게 있어 교육목표를 위한 사업의 재량은 중요하다. 이에 교육행정직 공무원뿐만 아니라 교사에게도 재무회계를 구현할 지방교육 디지털 행․재정통합시스템에 대한 재량과 책무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