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경구피임제를 복용한 여성에서 임신중 발생한 간세포암

        박흠례(Heum Rea Park),최덕주(Duck Joo Choi),박현철(Hyun Chul Park),박종재(Jong Jae Park),이성광(Sung Kwang Lee),강동훈(Dong Hoon Kang),김주현(Ju Hyun Kim),김득조(Duk Jo Kim),오수용(Soo Yong Oh),강영숙(Young Sook Kang),이정남(Jong Nam 대한소화기학회 199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30 No.1

        Hepatocellular carcinoma in pregnancy is very rare. Because it is associated with high maternal and fetal rnortality, the risk group of developing hepatocellular carcinoma in pregnant women must be closely monitored. The risk group includes pregnant women who are HBsAg carriers with cirrhosis, long term users of oral contraceptives, and who have a history of multiparity. An elevated a fetoprotein(AFP) level is useful for the diagnosis. The risk group should be closely monitered with a careful physical examination and AFP measurement. Then hepatocellular carcinoma can be detected at an early stage.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hepatocellular carcinoma in a pregnant woman with an elevated AFP level who was an user of oral contraceptives and had a history of multiparity. It was confirmed by operation and histologic examination. (Korean J Gastroenterol 1997;30:126-130)

      • KCI등재

        숙성 온도에 따른 마늘의 이화학적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의 변화

        신정혜(Jung-Hye Shin),최덕주(Duck-Joo Choi),정미자(Mi-Ja Chung),강민정(Min-Jung Kang),성낙주(Nak-Ju S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9

        열처리 온도를 달리한 마늘의 이화학적 성분 및 항산화활성을 비교하고자 통마늘을 지퍼백에 400±20 g씩 넣어 60, 70, 80 및 90℃로 조절한 incubate에 숙성하면서 1, 3, 6일에 시료를 취하여 이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과 환원력을 통하여 항산화활성을 분석하였다. 열처리 온도를 달리하여 숙성한 마늘의 L, a 및 b값 모두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숙성기간이 경과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는데, 60℃에서 6일간 숙성한 시료의 b값은 22.16±0.76이었으나 90℃ 숙성 시료는 1.35±0.21로 급격히 낮아졌다. 전단가의 경우 숙성 초기에는 90℃ 숙성 시료가 85.70±1.44 ㎝/㎏²로 가장 낮았으나 숙성기간이 경과할수록 경도가 증가하여 숙성 6일에는 411.30±13.90 ㎝/㎏²으로 증가하였다. 마늘의 pH는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숙성 기간이 경과할수록 산성화되었는데 6일숙성 후 60℃와 90℃ 시료의 pH는 각각 6.12와 3.90으로 큰차이를 보였다. 총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숙성 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여 숙성 6일 시료의 경우 60℃ 숙성 시료에 비하여 90℃ 숙성 시료에서 총페놀은 약 3.5배, 플라보노이드는 약 9.1배 더 높은 함량이었다. Total pyruvate의 경우 숙성 온도에 따라 증감의 경향이 서로 상이하여 60℃와 70℃ 숙성 시료에서는 숙성기간 1일과 6일을 비교할 때 더 감소하였으나 80℃와 90℃ 숙성 시료의 경우 숙성 6일에 오히려 그 값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DPPH에 대한 항산화활성은 마늘의 숙성 온도가 높을수록, 숙성 기간이 경과할수록, 농도가 진할수록 증가하여 90℃, 6일 숙성 시료의 항산화활성은 87.48±0.20%로 타 시료의 43.61~55.76%보다 월등히 높았고 환원력도 이와 동일한 경향이었다. 이처럼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것은 마늘의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숙성 기간이 경과할수록 갈변화 물질의 생성이 많아지고, 이에 따라 총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볼 때 마늘 중의 항산화성 갈변 물질의 증가에 기인하는 결과로 판단된다. Garlics were aged at 60, 70, 80, and 90℃ for 1, 3 and 6 days. Samples were analyzed for physico-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such as DPPH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The Hunter L, a and b valu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ample aged at higher temperature and for longer time. In initiation of aging, the share force was the lowest in sample aged at 90℃ (85.70±1.44 ㎏/㎠) and it increased for 6 days to 411.30±13.90 ㎏/㎠ in aging. The pH of garlic was acidified at increasing aged temperature and periods. In sample aged for 6 days at 60℃ and 90℃, pH was 6.12 and 3.90, respectively. Contents of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s also increased in sample aged at higher temperature and for longer time. Their contents increased about 3.5 and 9.1 times higher in sample aged for 6 days at 90℃ than sample aged for 6 days at 60℃, respectively. Total pyruvate contents were fluctuated by aging temperature and periods. DPPH scavenging activity was increased in sample aged at higher temperature and longer time. The highest activity of DPPH scavenging showed 87.48±0.20% in sample aged for 6 days at 90℃. Similar results were observed in reducing power activity. It was estimated that such increases in anti-oxidant activities in aged garlics may come from actions of phenolics, flavonoids and browning compounds in them.

      • KCI등재
      • KCI등재

        흑마늘의 항산화 활성

        신정혜(Jung-Hye Shin),최덕주(Duck-Joo Choi),이수정(Soo-Jung Lee),차지영(Ji-Young Cha),성낙주(Nak-Ju S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8

        마늘의 매운 맛과 향을 감소시켜 섭취가 용이하도록 가열숙성하여 제조된 흑마늘의 항산화 활성을 생마늘 및 찐마늘과 비교 평가함으로써 마늘의 전처리 방법에 따른 항산화효능을 확인하고자 각각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생마늘, 찐마늘 및 흑마늘의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 총 페놀의 함량은 0.81~0.99 ㎎/100 g의 범위였으나 시료간 및 추출 용매간에 유의적인 함량 차이는 없었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0.96±0.05~1.06±0.09 ㎎/100 g으로 더 높게 정량되었다. 전자공여능은 생마늘과 찐마늘 추출물의 경우 열수 추출물에 비하여 에탄올 추출물에서 활성이 더 높았고, 활성이 가장 높았던 흑마늘의 경우 열수 추출물 10 ㎎/mL 농도에서 69.40±0.13%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에탄올 추출물은 15 ㎎/mL 농도에서도 50.55±1.40%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흑마늘 추출물에서만 유의적으로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고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흑마늘>생마늘>찐마늘 순으로 환원력이 높았다.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은 물추출물에 비하여 에탄올 추출물에서 월등히 높아 5 ㎎/mL 이상의 농도에서는 60%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Oil emulsion 상에서 TBA 생성량은 열수추출물의 경우 흑마늘 추출물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에탄올 추출물은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미미하였다. 찐마늘과 흑마늘 에탄올 추출물에서 TBA 생성량은 각각 1.49±0.08~2.11±0.16 MA ㎎/㎏과 1.33±0.18~1.62±0.19 MA ㎎/㎏으로 시료의 첨가농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능은 저장 1일의 72.71±2.17~88.74±3.70%에 비하여 저장 4일에는 86.67±3.76~92.50±0.87%로 항산화 활성이 오히려 더 증가하였다.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fresh, steamed and black garlic were compared. The levels of phenolic compounds of extracts from fresh, steamed and black garlic were 0.81~0.99 ㎎/100 g and their cont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contents of flavonoids in ethanol extracts, 0.96±0.05~1.06±0.09 ㎎/100 g, was higher than hot water extract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higher in ethanol extract. Although the highest level was 69.40±0.13% in concentration of 10 ㎎/mL from black garlic ethanol extract, ethanol extracts showed 50.55±1.40% in concentration of 15 ㎎/mL. Reducing pow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lack garlic extract and higher in the order of black garlic> fresh garlic>steamed garlic in ethanol extract.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higher in ethanol extract, showing over 60% in concentration of 5 ㎎/mL. In oil emulsion, TBA value was significantly lower in hot water extracts from black garlic, however ethanol extrac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BA value of ethanol extract were 1.49±0.08~2.11±0.16 MA ㎎/kg and 1.33±0.18~1.62±0.19 MA ㎎/kg from steamed and black garlic, respectively. Antioxidant activity to the linoleic acid was 72.71±2.17~88.74±3.70% in 1-day storage, but its level was increased at 4-day storage to 86.67±3.76~92.50±0.87%.

      • KCI등재

        흑마늘 가공 중 이화학적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의 변화

        신정혜(Jung-Hye Shin),최덕주(Duck-Joo Choi),이수정(Soo-Jung Lee),차지영(Ji-Young Cha),김정균(Jeong-Gyun Kim),성낙주(Nak-Ju Sung)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8

        최근 개발된 마늘 가공품의 일종인 흑마늘의 생리활성 규명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흑마늘의 제조공정을 4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마다 시료를 채취하여 이화학적 성분의 변화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흑마늘의 색은 제조공정을 거치면서 L, a 및 b값이 모두 감소하였는데 내부색의 경우 가공초기에 크게 감소하였다. 수분은 1단계에서 65.54±0.24 g/100 g였던 것이 4단계 시료에서는 58.48±0.41 g/100 g까지 감소하였고, pH도 점차 산성화되어 4단계 시료에서 4.22±0.02, 반면에 숙성이 진행될수록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총 페놀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는 1단계시료에 비해 최종 단계에서 각각 약 1.9배, 2.6배 증가하였다. Total pyruvate와 thiosulfinate도 비슷한 패턴으로 각각 약 1.6배, 5.8배 증가하였다. 유리당 중 가장 함량이 높은 fructose는 1단계에서는 1,403.03±6.24 ㎎/100 g였던 것이 4단계에서는 2,454.45±4.20 ㎎/100 g으로 증가하였으나, 반면에 이당류인 sucrose와 maltose는 흑마늘의 숙성과 더불어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이다. 흑마늘의 제조 단계별 무기물의 총량은 4단계시료에서 1,009.20±6.91 ㎎/100 g으로 가장 많았고, 흑마늘 중 무기물은 칼륨, 인, 마그네슘 및 칼슘의 순으로 높게 검출되었다. 흑마늘의 구성아미노산은 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proline과 aspartic acid였으며, 유리아미노산은 taurine, homocysteine 및 δ-hydroxylysine은 1단계 혹은 2단계 시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2단계 혹은 3단계 이후 시료에서 미량 검출되었다. 흑마늘 가공 중 물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은 숙성이 진행될수록, 추출물의 첨가 농도를 높일수록 점차 증가하여 4단계시료의 1,000 ㎍/ml 농도에서 에탄올 추출물은 45.63±0.43%, 물추출물은 67.40±0.21%로 시험된 시료 중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환원력은 100 및 500 ㎍/ml 농도에서 1, 2단계 시료를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물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 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nfirm of biological function of black garlic, it heated for 11 days at 40~90℃ (first step: heate for 2 days at 90℃, second step: heated for 4 days at 80℃, third step: heated for 4 days at 60℃ and fourth step: heated for 1 day at 40℃). Samples were analyze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Hunter L, a and b values were decreased during processing, and then inner part Hunter values were highly decreased at the second step. The moisture contents were decreased to 58.48±0.41 g/100 g at fourth step. pH was also acidified to pH 4.22±0.02, but O.D. value at 420 ㎚ was increased during processing of black garlic. At fourth step,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s contents were increased about 1.9 and 2.6 folds than first step sample. Also, total pyruvate and thiosulfinate contents were increased about 1.6 and 5.8 folds as change of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respectively. Fructose contents were the highest level among free sugars and its contents increased to 2,454.45±4.20 ㎎/100 g. Contents of sucrose and maltose were decreased during processing of black garlic. The contents of total minerals were the highest at fourth step (1,009.20±6.91 ㎎/100 g) during its processing. Contents of glutamic acid, proline and aspartic acid were detected higher than other composition amino acids. Taurine and ethanolamine were not detected in the first step sample, but they were detected 0.88±0.6 0~1.06±0.04 and 0.28±0.4~0.5±0.09 ㎎/100 g in next processing step, respectively.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black garlic was increased during its processing. Abilities of DPPH radical scavenging were the highest in fourth step sample, its abilities were 67.40±0.21% in 1,000 ㎍/ml of water extracts. Reducing power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water extract than ethanol extract on the whole.

      • KCI등재

        원발성 간 신경초종

        최윤이 ( Youn I Choi ),김윤섭 ( Yun Seob Kim ),김주현 ( Ju Hyun Kim ),이성희 ( Seong Hee Lee ),신승각 ( Seong Gak Shin ),김연수 ( Yun Soo Kim ),최덕주 ( Duck Joo Choi ),최승준 ( Seung Joon Choi ),정동해 ( Dong Hae Chung ),권오상 ( 대한소화기학회 2018 대한소화기학회지 Vol.72 No.3

        A primary benign schwannoma of the liver is extremely rare. Only 30 cases have been reported in the medical literature worldwide, and only one case has been reported in Korea previously. A 56-year-old man was admitted to Gil Medical Center with incidental findings of a hepatic mass by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The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e revealed a 3×2 cm-sized solid mass in the left lobe of the liver. Histological examination confirmed the diagnosis of a benign schwannoma, proven by positive immunoreaction with the neurogenic marker S-100 protein and a negative response to CD34, CD117, and smooth muscle actin. We report a primary benign schwannoma of the liver and review the literature. (Korean J Gastroenterol 2018;72:150-154)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