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업의 시장성과 창출에 영향을 미치는 역량 요인에 관한 연구 : 신제품 성과의 매개효과 중심 수도권과 비수도권 관점으로

        최규선 대전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From a long time ago, a company's capability has been continuously research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s a company's competitiveness. However, due to the overall social and cultural changes triggered by technological changes, the capabilities required for companies in the times change constantly and flexibly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environment in which companies are located. In addition, the concentration of human resources and companies in the capital region causes more serious social and industrial problems, requiring companies located in non-capital areas to have more special capabilities in creating results. In the midst of this, it is difficult to find a study that attempts to identify the effect of differences in performance between companies in non-capital regions and those in capital region especially in Korea, where the polarization between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has deepened, by dualizing them, or the difference in capabilities required for performance creation. Therefore, this study distinguishes between corporate groups in the capital region and non-capital regions,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R&D competency, dynamic competency, network competency,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ompetency and corporate market performance, which have recently emerged as important corporate capabilities in creating corporate performance. I tried to prove it comprehensively and looked at whether differentiated development of competencies would be necessary for performance creation between the capital region and non-capital regions, which combination of competencies was the best for each group, and how to maximize the impact of competencies on performance creation. In particular, according to various preceding studies, new product performance helps to create financial market performance based on various core competencies of companies, so new product performance was inserted as a parameter, and new product performance was reflected in both capital and non-capital companies to examine in depth whether the capacity mediates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innovation capabilities and dependent variable, market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of new products as a parameter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reation of market performance by various competency factors of the company, regardless of whether it is a company in the capital region or a non-capital region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performance of new products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creation of market performance by companies in non-capital regions.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of companies in the capital region had a positive effect on market performance through the full mediation of new product performance, and the R&D capability and dynamic capability of non-capital area companies had a positive effect on market performance through the full mediation of new product performance. The above two pathway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nd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two groups had different combinations of capabilities. In other words, it is expected that the demonstration will help establish regional fostering strategies from the perspective of local companies, which have been lacking so far, and it is believed that differentiated policy measures for companies in non-capital regions can be sought and necessary policy considerations can be given. In particular, this study can be said to be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methodologies such as MGA(Multi Group Analysis), IPMA(Importance-Performance Map Analysis), fsQCA(fussy 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NCA(Necessary Condition Analysis), and prediction analysis were used to derive the results described above. From a broad perspective, it is expected that local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will help to improve the economic situation of stagnant regions, and that regions who know the region best will help establish regional innovation strategies that lead the region after following the lessons from the research.

      • 문화도시 행정협의체 협력 강화방안에 관한 실증연구 -강릉시를 중심으로-

        최규선 강릉원주대학교 경영정책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문화도시 사업은 지역의 문화적인 특성을 살리고 차별화된 도시브랜드 조성, 양질의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의 효과로 최근 주목받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법정문화도시를 지정하는 등 전국적으로 문화도시 사업 확산을 진행하고 있다. 문화도시 사업성과가 향상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문화도시 행정협의체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었다. 문화도시 행정협의체는 하나의 지방자치단체 내 여러 관련 부서들이 사무와 의사결정을 같이하는 협의기구로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문화도시 행정협의체의 협력이 강화되면 문화도시 사업성과도 향상될 것이라는 대전제를 설정하였다. 이에 문화도시 행정협의체 간 협력 이론을 고찰하고, 문화도시 행정협의체 협력의 바탕이 되는 이론으로 네트워크 이론, 거래비용 이론, 자원의존 이론을 살펴보았다. 네트워크 이론의 핵심 개념으로 연계성을 선정하였고, 거래비용 이론의 핵심 개념으로 절차적 합리성을, 자원의존 이론의 핵심 개념으로 자원의존성을 도출하였다. 문화도시 행정협의체의 결과물로서는 문화도시 행정협의체의 신뢰성과 문화도시 최종성과를 도출하였다. 이에 원인요인인 문화도시 행정협의체의 연계성, 절차적 합리성, 자원의존성이 결과요인인 문화도시 행정협의체의 신뢰성과 문화도시 최종성과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연구의 분석틀로 설정하였다. 우리나라 문화도시 사업의 여러 사례 중 최근 우수 사례로 꼽히는 강릉시 사례를 분석하였다. 강릉시 문화도시 사업의 성과와 강릉시 문화도시 행정협의체 운영 내용을 알아보았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강릉시 문화도시 행정협의체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분석을 위하여 일차적으로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원인요인과 결과요인의 탐색적 요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탐색적 요인의 독립요인으로 문화도시 행정협의체의 연계성, 절차적 합리성, 자원의존성을 도출하였다. 탐색적 요인의 결과요인으로 문화도시 행정협의체의 신뢰성, 문화도시 최종성과를 도출하였다. 탐색적 요인들 간 인과관계 분석을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와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1의 ‘문화도시 행정협의체의 연계성이 높을수록 문화도시 행정협의체의 신뢰성이 높아질 것이다’, 가설2의 ‘문화도시 행정협의체의 절차적 합리성이 높을수록 문화도시 행정협의체의 신뢰성이 높아질 것이다’, 가설3의 ‘문화도시 행정협의체의 자원의존성이 높을수록 문화도시 행정협의체의 신뢰성이 높아질 것이다’, 가설5의 ‘문화도시 행정협의체의 절차적 합리성이 높을수록 문화도시 최종성과는 향상될 것이다’, 가설6의 ‘문화도시 행정협의체의 자원의존성이 높을수록 문화도시 최종성과는 향상될 것이다’, 가설7의 ‘문화도시 행정협의체의 신뢰성이 높을수록 문화도시 최종성과는 향상될 것이다’의 6개 가설은 모두 채택되었다. 그러나, 가설4의 ‘문화도시 행정협의체의 연계성이 높을수록 문화도시 최종성과는 향상될 것이다’의 가설은 기각되었다. 이상의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도시 행정협의체 협력강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문화도시 행정협의체의 연계성 차원의 협력 강화방안으로 공무원 간 상향식 의사소통이 필요하다는 것과 사업부서 간 협조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절차적 합리성 차원에서의 협력 강화방안으로 지방자치단체장과 공무원 간 원활한 의사소통의 필요, 사업추진 과정에서 문제발생시 원만한 해결의 필요를 제안하였다. 셋째, 문화도시 행정협의체의 자원의존성 차원협력 강화방안으로 주민 역량의 충분한 발휘, 지방자치단체의 다양한 문화컨텐츠 활용, 부서 직원의 적정한 인원배치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기여하는 바는 강릉시 사례를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것을 바탕으로 정책적으로 문화도시 성과 향상을 위하여 문화도시 행정협의체를 강화시키는 방안을 제안하였다는 것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학문적으로 기여하는 바는 문화도시 행정협의체의 활성화를 위하여 협력 이론, 네트워크 이론, 거래비용 이론, 자원의존 이론을 고찰한 것이다. 본 연구는 여러 문화도시 사업 중 강릉시 하나만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는 한계를 지닌다. 후속 연구로는 본 연구의 결과가 일반화되기 위하여 전국 문화도시를 대상으로 조사를 하고, 주민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는 도심지 교육시설 리모델링 설계 제안 연구

        최규선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대한민국의 고령화의 진행 속도는 전 세계에서 손꼽힐 수준으로 매우 빠르다. 일찍이 농어촌 지역에서는 고령화에 따른 인구 감소로 지방소멸이 진행되고 있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고령화가 농어촌 지역을 넘어 대도시에서도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인구 감소도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대도시 내에서도 도심지의 경우 과거부터 지속된 주거 인구의 유출로 인해 고령화 문제가 타 도시 지역에 비해 명확히 들어나고 있다. 학생 감소에 따른 폐교의 발생과 더불어 증가하는 노인 인구 대비 관련 노인시설 또한 부족하다. 따라서 감소하는 학생 인구와 더불어 증가하는 고령 인구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고령화가 진행된 해외 선진국의 건축적 대응방안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고 이를 통한 건축적 대응방안을 도출해내고자 한다. 리모델링 사례를 중심으로 노인시설 계획 시 반영된 건축적 사항들과 더불어 커뮤니티 활성화, 지역과의 연계 방안에 대해 집중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단기능이 아닌 다기능화 한 계획을 지역 내 커뮤니티 공간이자 세대 간의 매개공간으로써 작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존 교육시설의 리모델링을 통한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 및 복합노인시설 계획으로 도심지 내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한 건축적 대응 방안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dict the future capacity of buildings in response to the aging population and low birthrate, and to develop effective remodeling plans for aging educational facilities located in the city center. Through an analysis of the current aging situation in Seoul, we found that some autonomous regions in Seoul have already entered the super-aging stage. At the same time, by understanding the current situation of elderly care facilities in each municipality, we planned a more effective selection of target site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ging rate and the current state of elderly care facilities. In the case of South Korea, it was confirmed that the main rooms were still renovated mainly in terms of equipment and floor plan. In this situation, it is judged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derivation of effective reform plans as the population ages. In addition, in planning for elderly facilities, the need for communication between generations will emerge through complex facilities targeting diverse age groups, rather than simply facilities for the elderly, so matters related to this will be reflected. There is a need. In addition to theoretical analysis, we were able to derive theoretical proposals that address social issues and effective architectural proposals that reflect these by analyzing previous research and remodeling cases overseas. Each factor derived from previous research analysis was broadly divided into accessibility, communication/openness, and independence. Accessibility factors were requested to be addressed through barrier-free design, fluid outdoor spaces, and a non-institutional character plan. In the case of communication/openness, space was compounded. In the case of the target area, we were able to grasp that in addition to the high aging rate, there was a lack of facilities for the elderly compared to other areas. In addition to the declining student population, it was determined that this would be an effective way to respond to the trend of an increasing elderly population. Architectural proposals that reflect this were derived through analysis of overseas remodeling cases. We divided the space into three broad categories: common space, personal space, and outdoor space, and derived horizontal and vertical response plans for each space. In the case of horizontal correspondence of common spaces, there are organic space plans using variable walls, overlapping copper line plans by expanding and integrating corridors, central placement of common spaces and community space composition, and vertical correspondence methods include Grounding and installation of elevators made the building non-obstructive, and the floor and ceiling heights were increased. Horizontal measures within the personal space included downsizing the personal space and arranging unevenly multiple shapes, and in the case of the community space, making some units a shared space and arranging corners. As for vertical support, we would like to secure ceiling height by reducing the width of the beams to accommodate future equipment expansion. In the case of outdoor spaces, there are doubts about approach flow lines, external recording plans, outside air contact space plans, and balconies created by extensions, and plans were made to make access easier by removing fences at the boundaries. In proceeding with planning for an elderly facility, it has been determined that a plan that takes into account measures to promote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 and the protection of users' privacy due to the complex, as well as the maintenance of community relationships with local residents, is necessary. It is hoped that this will allow for flexible responses to additional problems that may arise in the future by applying this system not only to the city center but also to other regions where the aging and student population is accelerating.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규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도시는 살아남기 위한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는가?’라는 의 문에서 시작하였다. ICT 발전은 미래도시 모델인 스마트시티의 발전을 추동 하였고, 기술 혁신으로 공간변화뿐 아니라 경제·사회변화가 도래하였다. 디 지털 기술 발전은 플랫폼 경제와 긱(Gig) 노동자를 출현시켰으며, 미래사회 에도 불확실성과 복잡성, 위험성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스마트시티는 ICT로 도시문제를 해결하여 시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겠다고 내세우지만 그 들이 해결하겠다는 도시문제는 교통·에너지·환경·방범 등 일부에 치우쳐 있다. 그러나 도시에서 시민들은 빈곤, 불평등, 차별, 양극화 등의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분열되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적 문제는 앞으로 더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술만으로 도시가 가진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며, 시민들이 연결되어 토론하고 연대하고 집단지성을 성장시켜 나가는 과정에 서 그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결국 도시가 가진 문제점은 사람이 해결할 수 있으며, 스마트시티 발전에서도 사람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유네스코는 1972년 포르 보고서에 68혁명 이후 시대상황을 반영하였고 학 교교육의 한계를 지적하며 ‘평생교육’과 ‘학습사회’를 제시하였다. 1996년 들로르 보고서는 세계화와 과학 발전이라는 시대변화 속에서 ‘교 육이 모든 사람에게 이용 가능한 공공재(a public good)’라고 규정하였고, ‘함께 살기 위한 학습(Learning to live together)’을 강조하였다. 2021년 유네스코의 세 번째 미래교육 보고서, “함께 그려보는 우리의 미래 (Reimagining our futures together: A new social contract for education)” 는 여전히 수많은 사람들이 양질의 학습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급속한 기 술 발전의 방향이 형평성과 포용, 민주적 참여로 향하지 못한다고 지적하였 다. 그리고 교육은 ‘공공재이자 공동재(a public and a common good)로서 모든 사람들이 평생 양질의 교육을 받을 권리를 보장하여야 한다’고 강조 하였다. 지난 50년간 유네스코 보고서는 시대변화를 맞이하여 교육이 나아 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유네스코의 지속가능성과 포용성, 형평성을 추구하는 학습도시 가 실현되는 사회를 이상적 학습도시 모델로 상정하였다. 그러한 도시에서 시민들이 소통하고 공동체를 형성하고 연대하며 도시의 유기적 발전을 깨닫 고 살아간다면 각종 개발로 가열된 격차를 줄이고 지속 가능한 도시를 만들 어 갈 수 있을 것이다. 미래도시를 성공적으로 조성하기 위해서 학습을 통 해 시민의 역량을 향상시키고 시민의 지역사회 활동 참여를 촉진한다면 포 용적이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학습도시 가 가진 DNA인 시민의 학습과 사회적 역할을 규명함으로써 스마트시티 담 론에서 결여된 부분인 도시의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방향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시라는 공간을 매개로 학습도시와 스마트시티가 지속가 능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 였다. 첫째, 스마트시티와 학습도시가 추구하는 지속가능성과 학습의 개념은 무엇인가? 둘째, 학습도시는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에 어떤 방향을 제시 해 주는가? 이 연구는 스마트시티와 학습도시의 연계를 시도하는 연구로서 이 두 분 야의 전문가 집단이 토의하는 과정에서 두 분야의 결합에 관한 유의미한 의 견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포커스 그룹 면담법(Focus Group Interview)을 활용하였다. FGI는 알려진 것이 없는 분야의 탐색적 연구에 유 용하며, 연구 참여자들이 서로 유사하다고 생각할 때 토의가 활발하게 이루 어져서 심층적 자료를 얻을 수 있다. 이 연구에서 FGI는 스마트시티 전문가 집단과 학습도시 전문가 집단 두 그룹으로 나누어서 진행하였다. 스마트시티 전문가 집단과 학습도시 전문가 집단의 포커스 그룹 면담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에서 ‘시민 학습의 중요성, 공공 공간의 필요성, 시민 참여 거버넌스 구축 필요성’이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특히 이 연구에 서 주목할 점은 스마트시티 전문가들과 학습도시 전문가들의 학습에 대한 견해 차이였다. 스마트시티 전문가들은 개인의 학습을 주로 언급하였고, 학 습을 수동적 과정으로 보고, 누군가의 가르침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학교교육 중심의 학습관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 학습도시 전문가들은 학습 자의 자율적 학습에 주목하였으며, 개인 학습자들이 학습을 통해 성장하고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연대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집단학습에 주목 하였다. 학습도시에서 시민들은 개인학습을 거쳐 공동체를 형성하고 공동의 지식을 축적해 나갔는데 이때 사람들이 만날 수 있는 공공 공간과 커뮤니티 의 활성화가 중요하였다. 또한 시민들은 자신과 관련된 지역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경험을 축적하고 이러한 경험은 다시 환류하여 새로운 학 습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거쳤다. 시민들이 학습을 통해 성장한 후 평생학습 도시 사업에서 자체적으로 중간조직을 형성하여 평생교육사와 파트너가 되 어 시민과 지자체 공무원들 사이에서 시민의 요구를 전달하는 중간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은 시민 거버넌스 구축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평생학 습도시 사업에서 자율적 학습자로서 시민들이 학습하고 지역공동체를 형성 하고 거버넌스에 참여하는 과정은 기술 중심에 치우쳐서 발전하고 있는 스 마트시티의 한계 극복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앞으로 학습도 시와 스마트시티 사업의 계획 단계에서 두 분야의 경계없이 시민의 전 생애 주기를 놓고 전 사회적으로 이루어지는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체계를 수립 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스마트시티에서도 시민과 학습의 중요성에 대 한 논의가 나오고 있으며, 시민의 학습역량이 도시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 으므로 스마트시티 계획 단계에서 학습도시와 연계하여 학습을 지원하는 체 계 수립이 요청된다. 둘째, 스마트시티 내에서 개인학습뿐 아니라 사회학습 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시민들의 만남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공공 공간 구축이 확대되어야 한다. 도시에서 사람 중심의 공공 공간을 배치함으로써 시민의 만남과 연대,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시민의 집단지성을 활성화하는 사회적 학습으로 이어져서 사회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셋째, 시 민, 정부, 기업이 협력적 거버넌스를 구축하여야 한다. 지금까지 스마트시티 에서 시민 참여 방식은 Bottom-Up 방식으로 기술을 제공하는 기업이 주체 가 되어 시민의 의견을 반영하였다. 그러나 시민이 동등한 파트너로 의견을 제공하는 협력적 거버넌스가 구축될 때 정부, 기업과 수평적으로 협업할 수 있게 된다. 넷째, 도시의 지속가능성에서 중요성이 간과되어왔던 사회적 지 속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사회적 지속가능성은 사회적 약자에게 공평한 기회와 결과를 제공하는 사회적 형평성(social equity)에 가치규범을 두고 있다. 사회 내 개인이 지속되려면 협력과 상호작용이 필요하므로 사회 적 약자에게 기본적 지원 외에 사회 활동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므로 이를 위한 논의가 확장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스마트시 티 담론에서 SDG11과 SDG4를 연계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교육 부문의 SDG4는 도시 부문의 SDG11과 중첩되는 부분을 가지며, 지속가능발전 교육 이 가진 내재적 가치는 시민을 변화시켜서 도시의 지속가능 발전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이 연구는 학습도시와 스마트시티의 접목을 위한 시도를 하였으며, 학습 도시가 가진 DNA로 ‘시민 학습의 자율성, 공동체성, 자체 결성한 중간조 직’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마를 갖는다. 학습도시를 진화하게 하는 DNA는 기술주의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는 스마트시티가 가진 사회적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다만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갖는다. 첫째, 스마트시티 전문가와 학습도시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지 못하였다. 둘째, 이 연구는 유네스코의 학습도시 개념을 지향하는 학습도시 전문가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지 못하였다. 셋째, 이 연구는 학습도시와 스마트시티 의 접목을 시도하는 초기 단계 연구로서 학습도시의 특장점이 스마트시티 디자인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밝혔으나 그 구체적 실천 방안과 장기적 영 향에 대한 후속 연구가 요청된다.

      • 인지경로에 따른 수학학습 과정 탐색 : 중학교 7-가 과정을 중심으로

        최규선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For the 21st century, computer and nan-machine will replace the mere memory and computations. Therefore, the affluent creativity are demanded to operate and improve these kinds of machines. Mathematics are one of the major contributions to fulfill these requirements in that mathematics plays a important role as the most powerful instrument to improve human beings' thinking faculty and creativity Especially, dur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dure, the constructivism learning and the activity which focuses on learners are emphasized. For the fulfillment of constructivism learning and the learners activity, we should take the students' previous experiences and intuitions seriously and it is desirable that the principals and concepts are deepened by understanding of specific things. For the efficiency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learning procedure should follow the standard pathway which is set by the learners' cognition ability. Since Mathematics is one of the most abstract and systematic subjects, once the learner lost his interest and got into a slump, he may not take an interest in Mathematics any more. Therefore, the effectiveness of timely teaching is indispensable. To enter the next phase, the preview is the most important and to make it well understood, the interest in mathematics and self-confidence are required. Moreover,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part of calculation of integer and expression and the part of calculation of letter and expression is not just for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but also for the high school's and dominate the entire procedure. With the start of 7th educational process, it is the major part of the linkage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In this dissertation, making a teaching model which is based on Piaget's schema, mental model theory and Bruner's acknowledgment process theory and is able to apply for the education process of middle-school mathmatics, and the observ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it and the change of student's interest in mathematics is the main purpose. The class for the freshman of middle school is proceeded through the Bruner's acknowledgment process theory such as Enactive representation, iconic representation, symbolic representation. The result of teaching the part of calculation of integer and expression which is taught firstly at middle school and the making expression of letter and the computation of the part of calculation of letter and expression shows that the effectiveness is comparatively more efficient for the students who do poorly at school than high achieving students. Also, the learning through the schema, mental model turned out more effective when the connected classes are progressed.

      • 요양병원의 시설 및 인력에 관한 평가기준 설정 연구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최규선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Population over 65 accounted for 10.3% of the whole population in Korea as of July of 2008(Statistics of the Aged, Statistics Korea), and Korea has already become an aging society(more than 7%) since 2010. It is expected that Korea will become an aged society(more than 14%) in ten years(2018) and an super-aged society(more than 20%) in 2026. Population over 65 in Gwangju, 112,550 persons, accounted for 7.8% of the whole population in the city(1,445,067 persons) as of December, 2008(Statistics of the Aged, Honam Regional Statistics Office), and thus Gwangju was found to be an aging society. The rate of the aged in Gwangju is lower than that of the whole country, 10.3%, yet relatively high compared to those of other cities. Gwangju is expected to become an aged society in 2021 with 14.4% of senior citizens, and an super-aged society in 2028 with 20.4% of senior citizens while Jeonnam is estimated to turn to an super-aged society in 2010 with 20.1% seniors. In the aging society, acute diseases and the morbid rate were reduced owing to the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life and medical technologies while the prevalence rate of chronic degenerative diseases among the elderly over 65 was found to be 86.7%, and senior citizens accounted for approximately 50.8% of the whole domiciliary welfare targets. This situation has been deemed as a problem in the aged health care field, and it is urgent to develop proper policies to deal with it. Along with increased geriatric welfare facilities, 'geriatric hospitals' made their first appearance in the early 90's to deal with the social needs. Medical facilities, which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ordinary general hospitals, for specially treating the elderly are needed. Geriatric hospitals and care hospitals aim at providing care and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those who cannot go home right after acute care or geriatric patients who are in need of long-term treatment, and thus they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ordinary general hospitals in terms of facilities. Particularly in terms of geriatric medical care, programs and facilities suitable for characteristics of seniors have not been properly developed even though the proportion of seniors among in-patients has constantly been grown bigger and the state of diseases among the elderly is unique and different. As for now, almost every single aged medical service is operated mainly by ordinary hospitals. Aged medical welfare facility systems which are commonly used for treating diseases of seniors are not divided into geriatric hospitals and care facilities, and are operated by ordinary hospitals in the same way where other patients are managed. Therefore, the characteristic of aged medical care, which means the prolonged morbidity among seniors compared to younger people suffering from the same disease, has not been considered, and thus seniors have paid high expenses and medical services have not been properly executed. On the ground, not only the effectiveness of aged disease care has been reduced, but also wrong spending of medical expenses has been caused. The present study needed to research and survey care hospitals including a local geriatric hospital in a systematic way as aged population would be more increased in the future and more local aged medical care welfare facilities were needed in Gwangju. On the ground, the research object of the present thesis was restricted to care hospitals which were currently operated in Gwangju to define assessment standards for reasonable facilities and personnel. The present thesis is meaningful in differentiating care hospitals and ordinary ones in terms of personnel and facility·equipment standard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 care hospital, and, by doing so, preparing plans to support the improvement of facilities and personnel of care hospitals. 우리나라의 총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2008년 7월 기준으로(고령자통계, 통계청) 10.3%에 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2000년에 이미 ‘고령화 사회(7%이상)’ 에 진입하였다. 향후 10년 후(2018)에는 ‘고령사회(14%이상)’에, 2026년에는 ‘초고령화사회(20%이상)’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광주광역시의 총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2008년 12월 기준으로(고령자 인구통계, 광주전남지방통계청) 11만 2550명으로 전체 광주광역시 인구(144만5067명)의 7.8%를 차지하여 이미 고령화 사회로 접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전체 고령자 비율 10.3%에는 아직 미치지 못하지만 도시기준으로는 높은 편이다. 그리고 광주광역시는 2021년에는 고령자가 14.4%로 고령사회에, 2028년에는 20.4%로 초고령사회에 도달하고, 참조로 전남은 2010년에 이미 고령자가 20.1%에 달하여 초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예측됐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 우리나라의 노인인구의 증가와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한 지역 노인의료복지시설의 확충 필요성에 따라 지역 노인전문병원을 포함한 요양병원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에서 현재 운영 중인 요양병원으로 한정하여 합리적인 시설 및 인력에 관한 평가기준 설정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요양병원 시설·설비 및 인력 평가기준 설정 요양병원의 시설 및 인력에 관한 평가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평가항목 개발에 사용한 기존 시설기준 및 연구 자료는 다음과 같다. ① 의료법 시행규칙에 따른 ‘요양병원 시설기준’ ② 의료법 시행규칙에 따른 ‘의료인 정원기준’ ③ 노인복지법 시행규칙에 따른 ‘노인전문병원의 시설기준 및 직원배치’ ④ 한국보건선업진흥원에서 발간한 ‘국내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소규모 노인의료복지시설 설치 및 운영활성화를 위한 시설설비·인력기준과 운영개선 방안’ 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발표한 ‘요양병원 입원급여 적정성평가’ ⑥ 국외 노인의료복지시설에 관한 각종 연구결과(3장 참조) 평가항목 개발을 마련하기 위하여 광주광역시 내에서 운영 중인 요양병원 및 노인전문병원을 대상으로 시설 및 인력 실태를 설문조사하였으며, 이와 병행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종적으로 응답한 12개소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2. 요양병원 시설·설비 및 인력 평가기준 도출 광주광역시 소재 노인전문병원(요양병원)을 대상으로 27개 평가항목에 이르는 시설 및 설비, 인력운영 실태를 설문조사 및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응답한 12개소의 요양병원 조사 결과 및 이를 종합하여 설정한 등급평가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조사 대상 요양병원 1등급 2개소, 2등급 6개소, 3등급 2개소, 4등급 2개소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설기준 및 선행 연구 및 논문, 국외시설기준, 설문조사 등을 통하여 비교분석에 따른 가장 적절한 기준 및 조건을 도출하였다. 결과적으로 요양병원의 지속적인 연구와 함께 국내외 노인병원 시설 및 인력에 관한 연구를 통해 향후 요양병원 및 노인전문병원의 건축계획 및 인력계획시 기본적으로 고려해야하는 사항 등을 제시하였다. 요양병원의 특성상 시설·설비 및 인력 기준이 일반병원과 차별성을 두고, 또한 나아가 요양병원의 시설 및 인력 개선에 도움을 주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에 그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