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로스팅 칡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최구희,김현정,박인재,김봉균,김회영,정재현,조주현,Choi, Goo-Hee,Kim, Hyun Jung,Park, In-Jae,Kim, Bong-Gyun,Kim, Hoi-Yeong,Jeong, Jae-Hyun,Cho, Ju-Hyun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17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이 증대된 칡 소재 개발을 위하여 로스팅 조건에 따른 칡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각 추출물에 대한 지표성분 함량 및 항상화 활성 등을 검토하였다. 칡의 지표성분이 puerarin 함량을 로스팅 조건에 따라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로스팅 온도와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puerarin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로스팅 조건에 따른 총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경우도 puerarin 함량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실시하였으며, 전체적으로 로스팅 온도와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활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여 로스팅 처리한 칡이 일반적인 칡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칡을 활용한 기능성 식품 및 다류 개발에 있어서, 로스팅 공정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We evaluated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of P. lobata root depending on roasting conditions. P. lobata roots were roasted at three different temperature at $150^{\circ}C$, $200^{\circ}C$, and $250^{\circ}C$ and three different time at 10 min, 20 min, and 30 min respectively. Roasted P. lobata root was extracted using water at $85^{\circ}C$ for 6 h and filtered using filter paper, followed by then evaporated ($12{\pm}0.3^{\circ}Brix$) and freeze-dried. The concentration of maker compound puerarin was determined using 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system. 2 phenolic compounds,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xtract powder were evaluated. Puerarin contents,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 contents of roasted P. lobata root were higher than those of unroasted P. lobata root. The results of DPPH and ABTS showed that roasted P. lobata root possess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unroasted P. lobata root. This study suggested that roasting process could be applied to P. lobata root in order to achieve its high quality and functionality.

      • SCOPUSKCI등재

        흰쥐에서 가시오가피 발효물의 단회 및 반복투여 독성평가

        조주현(Ju-Hyun Cho),박인재(In-Jae Park),백순옥(Soon-Ok Baik),최수영(Soo-Young Choi),최구희(Goo-Hee Choi) 한국식품과학회 2014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6 No.2

        본 연구에서는 사용된 가시오가피 영지버섯 발효물과 가시오가피 상황버섯 발효물에 대한 열수추출물을 최고 2 g/kg의 농도로 단회 투여한 SD-rats에 체중 변화, 임상증상 등에서 어떠한 독성도 관찰할 수 없었으며, 1 g/kg 이하의 농도로 4주간 반복 투여한 SD-rats에서도 체중변화, 임상증상, 장기 무게, 혈액학적 성상, 혈액생화학적 성상 등에서 어떠한 독성과 비정상적인 소견을 관찰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가시오가피 영지버섯 발효물 열수추출물(FM-5111)과 가시오가피 상황버섯 발효물 열수추출물(FM-5131)은 본 연구에서 사용한 농도 내에서의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황 함유 아미노산의 결핍은 여러 가지 간질환 등의 증상을 야기한다(27). 또한, Choi와 Ahn(28)은 오가피 부위별 50% (v/v) 메탄올 추출액의 전자공여능은 줄기 추출물에서 90.21%, 뿌리 추출물에서 85.71%로 높은 활성을 보고하여 오가피의 항산화능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 사용된 시료 또한 항산화능과 같은 기능성을 가질것으로 사료되며, 추가 연구로 아미노산 분석을 통해 황 함유 아미노산의 함량 변화를 분석하고 간 기능 개선 효능을 평가하여 안전성이 확보된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In this study, the produc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fermentation were derived from the mycelia of 2 mushrooms, Ganoderma lucidum and Phellinus linteus, to determine their safety in Sprague-Dawley rats. Rats were orally administered the water extracts of A. senticosus fermentation products with G. lucidum (FM-5111) or P. linteus (FM-5131) at dose levels of 0.5, 1.0, or 2.0 g/kg for the single-dose toxicity test and 0.25, 0.5, or 1.0 g/kg for the repeated-dose toxicity te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weight gain, feed intake, or water consumption between control and FM-5111- or FM-5131-treated rats. Hematological and blood biochemistry analysis revealed that none of the investigated parameters were affected by the A. senticosus fermentation products, and no remarkable lesions were observed upon histopathological analysis. We conclude that the A. senticosus fermentation products obtained from mushroom mycelia are safe for long-term administration and could be considered as multi-functional nutrients for the improvement of liver function and immunity.

      • KCI등재

        UV 조사한 신립초 및 케일 녹즙의 항산화 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의 변화

        최구희(Goo-Hee Choi),권상철(Sang-Chul Kwon),이경행(Kyung-Hae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8

        녹즙은 가열살균공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유통기한이 매우 짧아 비가열 살균기술 중의 하나인 UV 살균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신립초 및 케일 녹즙을 제조한 후 저장기간에 따른 항산화 활성의 변화 및 아질산염 소거능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저온살균방법 중 UV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신립초 및 케일 녹즙을 제조한 후 UV 처리에 따른 저장기간 내 항산화 활성의 변화 및 아질산염 소거능 변화를 측정하였다. 신립초 및 케일 녹즙의 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은 UV 처리에 의하여 다소 감소하였으며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대조군 및 UV 처리군 모두 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이 감소하였다. DPPH 전자공여능의 변화는 UV 처리 직후 대조군에 비하여 UV 처리군이 다소 높은 활성을 보였고 저장기간 내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UV 처리군 간에는 크게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BTS 활성을 보면 UV 처리 직후 녹즙의 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UV 처리군이 다소 낮게 나타났으며 케일의 경우 UV 처리군간에는 처리 유속이 느릴수록 낮게 나타났다. 금속이온 제거능에서는 신립초의 경우 UV 처리 직후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UV 처리군이 다소 낮은 활성을 보였으며 UV 처리 유속과는 크게 관계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케일의 경우, 대조군과 UV 처리군 모두 제조 직후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는 신립초와 마찬가지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지질과산화 억제능은 신립초와 케일 모두 blank에 비하여 낮은 O.D.값을 보여 지질과산화 억제능이 있었으며 대조군보다 UV 처리군이 다소 높은 O.D.값을 보여 UV 처리 시 지질과산화 억제능이 감소함을 나타냈다. 아질산염 소거능의 경우, 대조군과 UV 처리군 모두 큰 차이가 없었으며 pH 1.2에서 가장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To elongate the shelf-life of Angelica keiskei and Brassica loeracea var. acephala vegetable juices, UV irradiation was used and the changes of antioxidant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were investigated. The content of polyphenols of vegetable juices were slightly reduced by UV treatment and/or storage period. The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of the vegetable juices treated by UV wer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but were not changed during storage. However, ABTSㆍ? reducing activities of the vegetable juices were reduced by UV treatment. The ABTSㆍ? reducing activity of Brassica loeracea var. acephala juice was lower when the flow rate was slower. The ferrous ion chelating effects of Angelica keiskei vegetable juices were reduced by UV treatment. In contrast, the ferrous ion chelating effects of Brassica loeracea var. acephala vegetable juices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right after manufacturing. The ferrous ion chelating effects on both vegetable juices increased during storage periods. The inhibitory activity of lipid oxidation was decreased slightly by UV treatment on vegetable juices.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Angelica keiskei and Brassica loeracea var. acephala vegetable juices treated by UV irradiation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control. The nitrate scavenging abilities of vegetable juices in pH 1.2 were higher than those in pH 3.0 and 4.2.

      • KCI등재

        홍삼 추출물을 첨가한 연두부의 저장 중 품질 및 항산화 특성

        최구희(Goo-Hee Choi),김규천(Kyu-Chun Kim),이경행(Kyung-Hae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3

        저장성, 영양성 및 생리적 기능성을 가지는 두부를 제조하기 위하여 생리적 기능성이 널리 알려진 홍삼 추출물을 첨가하여 압착 성형 공정 없는 연두부의 형태로 제조하여 홍삼 추출물 첨가 연두부의 저장기간에 따른 저장성, 이화학적, 항산화 활성 변화 및 관능적 평가를 측정하였다. 홍삼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연두부 대조군의 pH 및 산도는 홍삼추출물 첨가 연두부와 큰 차이가 없었으며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도 거의 없었다. 또한 일반세균수의 변화에 있어서도 대조군은 저장 10일차부터 약간의 일반세균이 발견되었으나 홍삼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연두부는 대조군에 비하 여 낮은 균수 또는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홍삼추출물의 함량이 높을수록 항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두부의 색도는 명도 및 적색도는 홍삼 추출물 첨가에 따라 약간 감소하였고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연두부의 조직감은 홍삼 추출물 첨가 유무에 크게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두부의 지질과산화 억제능 및 DPPH radical 소거 능은 대조군보다 홍삼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하였을 때 억제능이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색에 대한 편견 때문에 0.20% 이상의 홍삼 추출물 첨가군에서는 다소 낮은 기호도를 보였으나 0.18% 첨가군까지는 대조군과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o develop tofu enhanced nutrition, storage stability and bioactivity, the soft tofu supplemented with red ginseng extract was prepared. Then, quality characteristics including storage stability,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y, antioxidative activity, and sensory evaluation were measured. The pH and acidity of control tofu without red ginseng extract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tofu supplemented with red ginseng extract during storage. The aerobic bacteria in the control tofu were detected from 10 days of storage whereas the number of total aerobic bacteria was reduced or not detected in the tofu added red ginseng extract during storage. The lightness and redness of the tofu supplemented with red ginseng extract were lower than those of control, but yellowness was higher. The addition of red ginseng extract did not also affect the texture of tofu, and increase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lthough the soft tofu manufactured with red ginseng extract showed a lower sensory preference in supplementation over 0.20% due to color,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found until 0.18% red ginseng extract addition.

      • KCI등재

        가시오가피 버섯균사체 발효물의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

        조주현(Ju-Hyun Cho),최구희(Goo-Hee Choi),박인재(In-Jae Park),백순옥(Soon-Ok Baik),김형하(Hyung-Ha Kim),김충식(Choong-Sik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3

        가시오가피(Acanthopanax senticosus)의 잎과 줄기를 천연물배지로 발효미생물인 영지버섯, 노루궁뎅이버섯 및 상황버섯균사체를 각각 최적조건으로 발효하여 3종의 가시오가피-버섯발효물인 가시오가피 영지버섯균사체 발효물, 가시오가피 노루궁뎅이버섯균사체 발효물, 가시오가피 상황버섯균사체 발효물을 얻었으며 이를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 이용하고자 하였다. 우선적으로 배양용 시험관과 실험실용 배양병을 사용하여 버섯균사체별 가시오가피의 천연배지로서 최적혼합비율을 검토한 결과 영지버섯균사체, 노루궁뎅이버섯균사체 및 상황버섯균사체의 가시오가피 줄기와 잎의 혼합비율을 각각 80:20, 50:50, 50:50으로 확립하였으며, 이 조건을 가지고 산업용 배양포트(2,000 mL)에서의 최적배양시간을 검토한 결과 영지버섯균사체 14일, 노루궁뎅이버섯균사체 40일, 상황버섯균사체 30일로 확립하였다. 상기와 같이 최적화된 조건으로 배양된 3종의 가시오가피버섯균사체 발효물들을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 여과, 농축,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가시오가피 버섯균사체 발효물 추출분말인 열수추출물(FM-5111, FM-5121, FM-5131)과 70% 에탄올추출물(FM-5112, FM-5122, FM-5132)을 얻었다. 이 가시오가피 버섯균사체 발효물 추출분말의 eleutheroside B와 eleutheroside E를 분석한 결과, eleutheroside B는 FM-5111 0.050±0.003 mg/g, FM-5121 0.067±0.001 mg/g, FM-5131 0.026±0.001 mg/g, FM-5112 0.038±0.002 mg/g, FM-5122 0.053±0.005 mg/g, FM-5132 0.025±0.001 mg/g의 함량을 나타내었고, eleutheroside E는 FM-5111 0.052±0.014 mg/g, FM-5121 0.047±0.003 mg/g, FM-5131 0.078±0.003 mg/g, FM-5112 0.045±0.002 mg/g, FM-5122 0.040±0.002 mg/g, FM-5132 0.080±0.011 mg/g의 함량을 보였으며, β-glucan의 경우 FM-5111 4.47±0.14%, FM-5121 3.41±0.15%, FM-5131 4.15±0.06%, FM-5112 5.18±0.36%, FM-5122 3.74±0.40%, FM-5132 4.37±0.32%의 함량이 측정되었다. Three mushroom mycelia, Ganoderma lucidum, Hericium erinaceum, and Phellinus linteus, were separately diluted with the natural culture media Acanthopanax senticosus. Solid-state fermentation was used to produce three different A. senticosus-fermented mushroom mycelium groups: G. lucidum mycelia, H. erinaceum mycelia, and P. linteus mycelia. The resulting mycelia were analyzed to assess their efficacies as health functional foods. Optimized fermentation conditions wer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density and growth speed of mycelia in each A. senticosus- fermented mushroom mycelium group. The cultured mushroom mycelia under the optimized conditions were extracted using water and 70% ethanol. Extraction was followed by filtration, concentration and freeze-drying to produce extract powder of A. senticosus-fermented mushroom mycelia: Water extracts (FM-5111, FM-5121, and FM-5131) and 70% ethanol extracts (FM-5112, FM-5122, and FM-5132). Analysis of extract powder of A. senticosus-fermented mushroom mycelia was performed using the maker compounds eleutheroside B and eleutheroside E. Analysis of β-glucan contents was performed by enzymatic procedures.

      • KCI등재

        황기 효소분해물 열수추출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권상철(Sang-Chul Kwon),최구희(Goo-Hee Choi),황종현(Jong-Hyun Hwang),이경행(Kyung-Hae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3

        황기 추출액의 수율 및 생리적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황기에 효소를 첨가하여 시간별로 가수분해 시킨 후 가열 처리하고 여과시킨 추출액에 대하여 이화학적, 항산화 활성 및 관능적 평가를 측정하였다. 효소처리 황기 추출액의 oBrix의 변화는 대조군보다 ClariSEB 및 Fungamyl 처리 시 증가하였으며 pH 및 산도는 효소처리에 의하여 약간 낮은 pH와 높은 산도를 보였다. 색상변화에서는 ClariSEB 및 Fungamyl 처리 시 lightness가 증가하였으며 redness와 yellowness는 감소하였다. 환원당, flavonoid 및 polyphenol 화합물 함량은 효소처리에 의하여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ascorbic acid는 대조군과 유사하였다. 황기 추출액의 지질과 산화 억제능은 효소처리 시 억제능이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DPPH 항산화 활성, ABTS 항산화 활성 및 금속이 온 제거능에서는 ClariSEB 및 Fungamyl 처리 시 증가하였으나 환원력은 대조군과 유사하였다. 또한 황기 추출액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전반적으로 효소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효소처리 시 기호도 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To enhance the yield and bioactivity of hot-water extract from herbal medicine, Astragalus membranaceus was hydrolyzed with carbohydrases, such as ClariSEB and Fungamyl. After hot-water extracts were prepared from each hydrolysate (HW-C/F), physicochemical property, antioxidant activity and sensory property were evaluated. The solid content (oBrix) of HW-C/F was higher than hot-water extract from A. membranaceus no treated enzyme (control). Although pH of HW-C/F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acidity was higher. Lightness of Hunter's color values was increased in HW-C/F whereas redness and yellowness were decreased. The contents of reducing sugar, flavonoid and polyphenol of HW-C/F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but the content of ascorbic acid was not different from control. The inhibitory activity of HW-C/F against lipid peroxidation was slightly higher than control, but DPPH radical scavenging, ABTS reducing, metal chelating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HW-C/F. The sensory evaluation also revealed that the sensory panelists preferred HW-C/F to that of control. Therefore, hydrolysis by carbohydrases for preparation of hot-water extract from A. membranaceus is one of the good methods to improve antioxidative activity and sensory property of hot-water extract.

      • KCI등재

        UV 조사 신립초 및 케일 녹즙의 저장기간에 따른 미생물 및 이화학적 변화

        권상철(Sang-Chul Kwon),최구희(Goo-Hee Choi),유광원(Kwang-Won Yu),이경행(Kyung-Hae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7

        녹즙은 가열살균공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유통기한이 매우 짧아 비가열 살균기술 중의 하나인 UV 살균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신립초 및 케일 녹즙을 제조한 후 저장기간에 따른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변화를 측정하였다. 신립초 및 케일의 착즙 직후 총 균수는 각각 3.2×105 CFU/㎖ 및 7.0×104 CFU/㎖의 균수를 보였으나 UV 처리를 한 경우에는 처리직후 각각 3.6×103~9.7×103 CFU/㎖ 및 3.7×103~2.7×104 CFU/㎖로 대조군에 비하여 약 1~2 log cycle의 미생물 감소를 보였으며 저장기간 내내 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균수를 유지하였다. 대장균군수의 경우도 UV 처리군이 대조군과는 유의적이 차이를 보였으며 유속이 적을수록 대장균수 사멸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색상의 변화는 신립초 및 케일 녹즙에의 UV 처리 시 명도 및 황색도는 증가하고 적색도는 감소하였으나 대조군과 큰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신립초 및 케일 녹즙 내 ascorbic acid의 함량은 유속과 무관하게 UV 조사 및 저장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flavonoid 함량은 대조군 및 UV 처리군 모두 저장하는 동안 특정한 경향을 나타내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 기호도는 제조직후 대조군과 UV 처리군 간에 큰 차이는 없었으나 저장 3일차에는 대조군보다는 UV 처리군이 높은 기호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UV 처리를 하여도 녹즙의 향미와 색 등에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면 녹즙에의 UV 처리 시 ascorbic acid와 색상 등의 약간의 변화는 가져오지만 녹즙 내 존재하는 미생물수를 크게 줄일 수 있어 저장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고 기호도 면에서도 문제가 없으므로 녹즙의 저장성 연장을 위한 비가열 살균방법으로 UV 처리도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A fresh juice has become a new functional food available for dieting and health. However, the shelf-life of vegetable juice is very short because of the absence of heat pasteurization process. To elongate the shelf-life of vegetable juices, such as Angelica keiskei and Brassica loeracea var. acephala, the changes of microbiological, chemical and sensory property by UV irradiation were investigated. The total aerobic bacterial numbers of A. keiskei and B. loeracea var. acephala vegetable juices were 3.2×105 and 7.0×104 CFU/mL, respectively, after wring process. However, the numbers were 3.6×103~9.7×103 and 3.7×103~2.7×104 CFU/㎖ after UV treatment on wring juice, and this lower microbial number was maintained during storage. The number of coliform bacteria also reduced significantly by UV treatment, and the bactericidal effect was higher when the flow rate is slower. The increase of lightness and yellowness, and decrease of redness were observed after treatment of UV on both vegetable juices,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between flow rates. The ascorbic acid contents of vegetable juices were reduced by UV irradiation regardless of flow rate, and storage. Overall acceptance in sensory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vegetable juice irradiated UV at 0 days, but sample with UV treatment showed higher score at 3 days. Therefore, UV treatment on vegetable juice can elongate the shelf-life without any problems in flavor and color.

      • KCI등재

        미생물을 이용한 후발효차의 발효기간별 화학성분 변화

        김용식(Yong-Shik Kim),최구희(Goo-Hee Choi),이경행(Kyung-Hae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12

        안전성이 확보된 후발효차를 제조하기 위해 Bacillus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 및 Lactobacillus bulgaricus를 이용하여 후발효차를 제조한 후 발효 시간에 따른 화학성분의 변화와 관능적 기호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발효 진행 정도에 따른 색상변화에서는 lightness는 감소하고 redness와 yellowness는 모두 증가하였으며 특히 B. subtilis에 의한 후발효차 제조 시 가장 많은 수색의 변화를 보였다. Chlorophyll의 함량변화에서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균종에 관계없이 모두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총 카테킨의 함량변화에서는 B. subtilis균의 발효에 의하여 카테킨의 함량이 가장 많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효기간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L. bulgaricus균에 의한 발효에서는 카테킨의 함량은 감소하지 않았다. Caffeine 함량변화에서는 모든 발효차에서 발효전의 함량보다는 다소 감소하였지만 많은 함량의 변화는 없는것으로 나타났다. 발효기간별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색, 향, 맛 및 종합적 기호도 모두 B. subtilis를 이용한 후발효차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To manufacture the fermented tea with hygienic quality, green tea was fermented using Bacillus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Lactobacillus bulgaricus and chemical composition and sensory changes were evaluated during fermentation period. The lightness of the fermented samples decreased; in contrast, redness and yellowness increased. Especially, the color change of the fermented tea using B. subtilis was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and other samples with different microorganisms during fermentation period. Chlorophyll contents were decreased by similar level regardless of fermentation treatments. The fastest decrease of total catechins contents were found in the tea fermented with B. subtilis and significantly reduced by increase of fermentation period. However, total catechin contents of the tea fermented by L. bulgaricus were not decreased. The caffeine contents of the microbial fermented teas were more decreased than that of control, even though the decrease was slight. Sensory panelists preferred the tea fermented by B. subtilis to those of control or other fermentation treatment.

      • KCI등재

        미생물을 이용한 후발효차의 발효기간별 항산화 성분 및 활성의 변화

        김용식(Yong-Shik Kim),조철훈(Cheorun Jo),최구희(Goo-Hee Choi),이경행(Kyung-Hae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8

        위생적으로 안전성이 확보된 후발효차를 제조하기 위해 Bacillus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 및 Lactobacillus bulgaricus를 이용하여 후발효차를 제조한 후 발효시간에 따른 항산화 성분 및 활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후발 효차의 ascorbic acid의 함량은 발효기간 내내 균종에 관계없이 녹차(66.74 ㎎%)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함량(43.62~62.84 ㎎%)을 보였고 산소와의 접촉을 최소화한 L. bulgaricus 균에 의한 발효가 비교적 적은 변화를 보였다. 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은 녹차의 경우 14.88%였으며 후발효차는 11.54~14.12%로 세 균주 모두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함량이 다소 감소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녹차의 flavonoid 함량은 7.78 ㎎%였으며 미생물을 이용한 후발효차의 경우에는 4.33~7.88 ㎎%로 대부분 녹차에서의 함량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의 경우, 녹차의 DPPH 전자공 여능 및 ABTS 항산화 활성은 각각 87.47% 및 203.22 AEAC ㎎%였으나 발효기간에 따른 후발효차에서는 녹차에 비하여는 낮은 활성을 보여 후발효차 제조 시 어느 정도 항산화 성분의 함량 및 활성이 다소 감소하게 되지만 미생물을 이용하여 후발효차를 제조 시 위생적이고 기호도가 우수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Changes of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activity of fermented tea manufactured by Bacillus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Lactobacillus bulgaricus were evaluated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The ascorbic acid content in the fermented tea was relatively lower (43.62~62.84 ㎎%) than that of green tea (66.74 ㎎%) during the entire fermentation period. The tea fermented by L. bulgaricus, which had the least contact with air, showed less change in ascorbic acid content. The polyphenol content of green tea was 14.88%, whereas that of fermented tea was 11.54~14.12% and it decreased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The amount of flavonoids in green tea was 7.78 ㎎%, whereas that of fermented tea was 4.33~7.88 ㎎%.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BTS reducing activity of green tea were 87.47% and 203.22 AEAC ㎎% (ascorbic acid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respectively, whereas those of fermented tea were lower than green tea. Results indicated that the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activity of fermented tea were lower than those of green tea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But, when the sensory and hygienic quality are considered, fermented tea can be one of the higher quality tea products on the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