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선초와 신선초박에 배양한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권상철(Sang-Chul Kw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12

        신선초와 신선초박을 첨가하여 배양한 노루궁뎅이버섯의 배양 추출물의 항산화와 아질산염, ACE, tyrosinase 저해 효과에 대해서 실험하였다. 신선초 및 신선초박, 신선초노루궁뎅이버섯, 노루궁뎅이버섯과 신선초, 신선초박, 신선초 노루궁뎅이버섯, 신선초박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의 항산화력은 control에 비해 높은 것을 확인하였으나 합성 항산화제인 BHT와 Vit. C보다는 활성이 낮게 나타났다. 시료 추출물 중 신선초박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에서 tyrosinase 저해 활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HE와 AK, AKP, AK+HE는 각각 57%와 61%, 82%, 78%의 저해 활성을 보여줬다. 여러 시료의 아질산염은 pH 1.2에서 약 80% 이상인 것을 확인하였으며, pH 3.0에서는 AKP를 제외하고, HE와 AK, AK+HE, AKP+HE 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ACE 저해활성은 신선초 박에서 약 6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은 약 42%, 신선초는 50%, 신선초 노루궁뎅이버섯은 35% 그리고 신선초박 노루궁뎅이버섯은 40%의 저해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천연 소재로써 기능성식품 원료와 식품 첨가물, 화장품 산업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nitrite scavenging,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Hericium erinaceus (HE) cultured in Angelica keiskei (AK) and Angelica keiskei pomace (AKP).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HE, AK, AKP, HE +AK, and HE+AKP extracts wer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but lower than those of BHT and Vit C.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was the highest in AKP+HE extract (90%), whereas those of HE, AK, AKP, and AK+HE extracts were about 57, 61, 82, and 78%, respectively.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of various samples were above 80% at pH 1.2,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E, AK, AK+HE, and AKP+HE extracts at pH 3.0, excepting the AKP extract. ACE inhibition activity was the highest in AKP extract (60%), whereas those of HE, AK, AK+HE and AKP+HE extracts were about 42%, 50%, 35% and 40%,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H. erinaceus cultured in AK and AKP may be used as a raw material for functional foods, and food additives, as well as in the cosmetic industry as a natural source of bioactive compound after further investigation in vivo.

      • KCI등재

        드레싱 제조업체의 HACCP 시스템 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도 평가

        권상철(Sang-Chul Kw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3

        Dressing 가공공정에 대한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위해요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위해요소 분석은 주원료, 용수, 미생물 평가, 작업장별 공중 낙하균과 종업원에 대한 병원성 미생물 검사를 하였다. 충청북도 진천 소재의 SJ 회사에서 2012년 4월 1일부터 30일까지 30일 동안 수행하였다. 그 결과 원료의 미생물은 5회 동안 검출되지 않았으며, 작업장Ⅰ과 작업장Ⅱ, 포장실, 세척용수, 검사실에서 사용된 용수의 총균수는 3.0×101 CFU/mL 이하로 검출되었다. 드레싱 생산과정 중 열처리 및 혼합 과정에서 총균수는 평균 3×10 CFU/mL가 검출되었으나 대장균과 진균류, 병원성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공중 낙하균(총균수와 진균류)은 각각의 작업장에서 법적 허용치 이하로 검출되었다. 작업자들의 총균수 미생물 평가에서 모두 양성반응이었으나 대장균과 황색포도상구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위생관리 기준은 HACCP 시스템을 위한 미생물의 한계기준과 일반세균과 병원성 미생물과 같은 위해요소를 예방 및 감소시키기 위하여 설정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the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system to the production of dressing. The hazard analysis examined the main materials, industrial water, microbial evaluation, and airborne microorganisms of each working area, as well as the pathogenic microbial contamination risk. The survey was conducted at SJ Company in Jincheon (Chungchengbuk-do), Korea for 30 days from April 1, 2012 to April 30, 2012. The results showed that raw material microorganisms had a total plate count in industrial water below 3.00×10 CFU/mL in working room I, working room II, the packing room, washing water, and the inspection room for five times in each place. During dressing production (including heat treatment and mixing), general bacteria were detected at an average of 3×10 CFU/mL, but yeast, mold, and pathogenic bacteria were not detected. Airborne microbiological evaluation (for total plate count, yeast, and mold) found levels below the legal limit at each working area. While workers were positive for microbes in total plate counts, coliform and Staphylococcus aureus were not detected. In conclusion, standards for hygienic management should be established to prevent and decrease hazards, such as general bacteria and pathogenic microorganisms (for example, E. coli, B. cereus, Listeria spp, Salmonella spp, Staph. aureus, Clostridium perfringens, yeast, and mold), and to found critical limits for microorganisms with an HACCP system.

      • KCI등재

        유산균을 함유한 녹즙의 HACCP 시스템 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도 평가

        권상철(Kwon, Sang-Chul)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11

        본 연구는 유산균을 함유한 녹즙제품의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시스템에 의한 제조공정도 작성과 공정별 원료 농산물과 제조 시설에 대한 일반 세균수와 병원성 미생물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공 정별 원료농산물의 원재료보관공정 단계의 4가지 시료에서 일반세균이 검출되었으며, 용수(water)는 8.67~14.67 CFU/㎖ 검출되었다. 하지만 자외선살균공정 이후, 모든 시료는 법적기준치인 105 CFU/㎖이하로 검출되었다. 식중독균인 E. coil, E. coli O157:H7, B. cereus,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Staph. aureus 실험결과, 보관공정에서 E.coli는 자외선 살균 전단계 공정까지 검출되었으며, B. cereus는 1차세척까지 일부 검출되었다. 모든 세균 및 진균류는 주원료에서 많이 검출 되고 있어 주원료의 초기 균수를 최소화하는 선행관리방법을 수립할 필요가 있으며, 세균수와 황색포도상구균 등의 교차 오염방지를 위한 제조설비 등의 효과적인 세척․소독방법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상기 결과을 바탕으로 유산 균을 함유한 녹즙류의 일반세균 및 식중독균을 감소 또는 제거할 수 있는 중요한 공정으로 UV살균공정이 CCP로 관리되 어야 한다. 따라서 자외선살균공정의 관리기준 및 이탈시 조치방법, 검증방법, 교육 훈련과 기록관리 등 철저한 HACCP 계획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research performed to evaluate a production processes reporting by the HACCP system of green vegetable juice products,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 stage of processing raw materials agricultural products and production facilities of general bacteria and pathogenic micro organism. General bacteria are found from four samples of storage of agricultural products at process stage and water was detected 8.67~14.67 CFU/ml. However, all samples were detected less than 105 CFU/ml as a legal standards after the process of UV sterilization. For the outcome of experiment of E.coli, E.coli O157:H7, B.cereus, L.moonocytogenes, Salmonella spp, Staph.aureus as the food poisoning bacterial, E.coli was detected until UV pre-step process in storage process and B.cereus was detected partly till 1st washing. Since all bacterial, Yeast and Mold are detected in main materials, pre-control method is a necessary to establish for decreasing with a number of initial bacteria of main materials and it is considered to establish the effective ways of washing and sterilization such as production facilities for cross contamination prevention of bacteria and Sthaphylococcus. Based on above results, the process of UV sterilization should be managed with CCP as an important process to reduce or eliminate the general and food poisoning bacterial of green vegetable juice products, including lactic acid bacteria. Therefore, it is considered to need an exhaustive HACCP plan such as control manual of UV sterilization, solution method, verification, education and training and record management.

      • KCI등재

        황기 효소분해물 열수추출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권상철(Sang-Chul Kwon),최구희(Goo-Hee Choi),황종현(Jong-Hyun Hwang),이경행(Kyung-Hae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3

        황기 추출액의 수율 및 생리적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황기에 효소를 첨가하여 시간별로 가수분해 시킨 후 가열 처리하고 여과시킨 추출액에 대하여 이화학적, 항산화 활성 및 관능적 평가를 측정하였다. 효소처리 황기 추출액의 oBrix의 변화는 대조군보다 ClariSEB 및 Fungamyl 처리 시 증가하였으며 pH 및 산도는 효소처리에 의하여 약간 낮은 pH와 높은 산도를 보였다. 색상변화에서는 ClariSEB 및 Fungamyl 처리 시 lightness가 증가하였으며 redness와 yellowness는 감소하였다. 환원당, flavonoid 및 polyphenol 화합물 함량은 효소처리에 의하여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ascorbic acid는 대조군과 유사하였다. 황기 추출액의 지질과 산화 억제능은 효소처리 시 억제능이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DPPH 항산화 활성, ABTS 항산화 활성 및 금속이 온 제거능에서는 ClariSEB 및 Fungamyl 처리 시 증가하였으나 환원력은 대조군과 유사하였다. 또한 황기 추출액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전반적으로 효소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효소처리 시 기호도 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To enhance the yield and bioactivity of hot-water extract from herbal medicine, Astragalus membranaceus was hydrolyzed with carbohydrases, such as ClariSEB and Fungamyl. After hot-water extracts were prepared from each hydrolysate (HW-C/F), physicochemical property, antioxidant activity and sensory property were evaluated. The solid content (oBrix) of HW-C/F was higher than hot-water extract from A. membranaceus no treated enzyme (control). Although pH of HW-C/F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acidity was higher. Lightness of Hunter's color values was increased in HW-C/F whereas redness and yellowness were decreased. The contents of reducing sugar, flavonoid and polyphenol of HW-C/F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but the content of ascorbic acid was not different from control. The inhibitory activity of HW-C/F against lipid peroxidation was slightly higher than control, but DPPH radical scavenging, ABTS reducing, metal chelating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HW-C/F. The sensory evaluation also revealed that the sensory panelists preferred HW-C/F to that of control. Therefore, hydrolysis by carbohydrases for preparation of hot-water extract from A. membranaceus is one of the good methods to improve antioxidative activity and sensory property of hot-water extract.

      • KCI등재

        볶음김치스프 제조공정중 살균공정에 대한 미생물학적 한계기준에 관한 연구

        권상철(Kwon, Sang-Chul)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9

        본 연구는 볶음김치스프 제조공정중 살균공정의 살균온도와 시간에 대한 한계기준 설정을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살균공정의 한계기준 설정은 경기도 이천시 소재의 P사에서 약 30일 (2012년 5월 1일∼30일)동안 살 균온도, 살균시간, 관능평가, 보관실험 및 보관 중 pH변화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살균 전, 일반세균, 대장균군과 내열성 세균수(세균아포수)는 6.00×10<sup>5</sup>, 7.50×10<sup>2</sup> 그리고 2.75×10<sup>2</sup> 검출되었다. 그러나 90±5℃에서 22±5min 동안 살균한 모든 시료에서는 일반세균, 대장균군, 내열성세균수(세균아포수)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관능평가 결과는 90±5℃에서 22±5min 동안 살균했을 때 가장 맛있는 김치으로써 결정되었다. 결론적으로, 볶음 김치의 살균공정은 유해미생물(일반세균, 대장균군, 내열성세균수)를 예방, 감소 또는 제거할 수 있는 좋은 대안이 될 것이다. 따라서 품지 유지와 생물학적 안전성을 위한 살균 온도와 시간의 한계 기준은 90±5℃에서 22±5분으로 설정하였다. 그리 고 HACCP 계획은 살균 공정중 모니터링 방법과 모니터링 주기, 문제 해결 방법, 교육, 훈련, 기록 관리 등을 위 하여 필요하여 이를 제안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ication in the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system of fried kimchi soup. The establishment of Critical limit during sterilization processing was measured by sterilization temperature, sterilization time, sensory test, storage test and pH change in storage for 30 days (May 1∼30, 2012). Before sterilization, general bacteria, coliform and thermophile bacteria were detected to be 6.00×10<sup>5</sup> CFU/㎖, 7.50×10<sup>2</sup> CFU/㎖ and 2.75×10<sup>2</sup> CFU/㎖, respectively. In contrast, all microbial was not detected after sterilization(90±5℃, 22±5 mins). The sensory test was decided as the most delicious kimchi according to 90±5℃, 22±5min. In conclusion, the sterilization process of fried kimchi soup would be a great alternative to prevention, decreasing and removing of harmful microorganism, such as general bacteria, coliform and thermoduric bacteria etc. Therefore, the critical limit of sterilization temperature and time for quality control and biosafety was established at 90±5℃, 22±5 mins. And it suggested that HACCP plan was necessary for monitoring method, monitoring cycle, problem solving method, education, training and record management during sterilization processing.

      • KCI등재

        유탕면류의 유탕공정 중 중요관리점(CCP)을 위한 미생물학적, 화학적 위해요소분석

        권상철(Kwon, Sang-Chul)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8

        유탕면류의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유탕 공정-CCP(Critical Control Point)에 대한 미생물학적(Biological hazards)과 화학적(Chemical hazards) 한계 기준 설정을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으며, 경기도 이천 소재의 P사에서 실행하였다. 유탕공정은 각각의 시간과 온도 측정에 따라 미생물학적, 화학적 위해요소를 제거하거나 감소에 대해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Standard plate count와 식중독균은 유탕공정 (Temperature : 145± 10℃, Time : 75±30 sec)에 의해 검출되지 않았다. 유탕공정에 의해 생성되는 화학적 위해 기 준의 산가는 법적 기준치인 0.6보다 낮은 0.2 이하였다. 증숙실과 유탕실의 공중낙하균을 측정한 결과 3 CFU/mL, 3 CFU/mL 검출되었다. 따라서 유탕공정의 CCP-BC는 일반세균과 식중독균, 산화생성물 생성을 예방, 제거하는데 좋은 대안책이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HACCP을 위해 유탕공정에 대한 한계기준설정, 모니터링방법, 개선조치, 검 증방법, 교육, 기록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critical limit at CCP (Critical Control Point) of HACCP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system for instant noodle and it was conducted at P company in Ichen(Gyeonggi-do), Korea. According to the CCP, Fried process were experimented to removal and decrease of microbiological and chemical hazards by measuring of each temperature and times. As a result, the standard plate count and pathogenic microorganism were not detected by fried processing (Temperature : 145± 10℃, Time : 75±30 sec). The acid value of chemical hazards produced by fried processing was able to manage, showed lower (0.2) than the legal limit (0.6). Air-borne bacterial examination results detected(3 CFU/mL, 3 CFU/mL) in the Frying Room and Steam Room. Therefore, the CCP-BC of fried process would be a great alternative to prevent and remove hazard analysis, such as general and pathogenic microorganism (E. coli O157:H7, B.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Sthaph. aureus etc), chemical hazard analysis. In conclusion, it suggested that HACCP plan was necessary for management standard and systematic approach in establishement of critical limit, solving the problem, method of verification, education and records management by fried processing.

      • KCI등재

        비가열 원료 함유 녹즙의 위생화를 위한 감마선 조사

        권상철(Sang-Chul Kwon),조철훈(Cheorun Jo),이경행(Kyung-Hae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7

        비가열 원료 함유 녹즙의 위생화를 위하여 저온살균기술 중 하나인 감마선 조사 기술(0~5 kGy)을 이용하여 비가열 원료 함유 녹즙을 위생화하고 저장기간에 따른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변화를 측정하였다. 비가열 원료 함유 녹즙의 제조 직후 생균수는 4.8×10³ CFU/mL의 균수를 보였으며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균수는 증가하였으며 저장 7일에는 3.0×10? CFU/mL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1~5 kGy의 감마선을 조사한 경우에는 조사 직후 1.2×10²~1.0×10³ CFU/mL로 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균수를 보였으며 특히 3 kGy 이상의 감마선 조사 시에는 l log cycle 이상의 균수 감소를 보였으며 저장기간 내내 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균수를 나타내었다. 비가열 원료 함유 녹즙의 색상변화는 감마선 조사에 의하여 lightness와 yellowness는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저장기간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다. 반면 redness는 감마선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값이 감소하고 저장기간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scorbic acid의 함량은 감마선 조사에 의하여 약간 감소하고 저장기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flavonoid 함량은 감마선 조사에 의한 영향은 없었으며 총 폴리페놀화합물의 함량은 감마선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carotenoid 함량은 감마선 조사에 의하여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To improve hygienic quality of vegetable fresh juice containing non-thermal process materials, an irradiation technology (0~5 kGy) was applied and micro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changes were evaluated during storage. The initial number of total aerobic bacteria of vegetable fresh juice containing non-thermal process materials was 4.8×10³ CFU/mL and the number was increased during storage. At day 7, the number reached 3.0×10? CFU/mL. However, the samples gamma-irradiated at 1~5 kGy were 1.2×10²~1.0×10³ CFU/mL, which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and higher than 3 kGy irradiation, showing more than a decimal reduction. The lightness and yellowness of irradiated sample was higher than control but no difference was found among storage days; whereas, redness was decreased by gamma irradiation with no difference found among storage days. Ascorbic acid and carotenoid contents were decreased by irradiation treatment and increase of storage days. There were no changes in flavonoid contents; however, the content of polyphenols was increased by irradiation of sample.

      • KCI등재

        신선초 및 신선초박을 이용한 노루궁뎅이버섯 배양추출물의 화학성분

        권상철(Sang-Chul Kwon),박강용(Gang-Yong Park),정재현(Jae-Hyun Jeong),이경행(Kyong-Hae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9

        폐기되고 있는 녹즙박을 활용하기 위한 일환으로 신선초 및 신선초박을 영양원으로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배양하고 배양물을 추출하여 화학적 성분을 분석하였다. 분쇄한 신선초 및 신선초박을 배지로 하여 노루궁뎅이버섯을 배양한 경우 107~112 ㎜의 균사생육을 보여 신선초 및 신선초박이 노루궁뎅이버섯 배양용 배지로써 이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선초 및 신선초박 추출물의 수분함량은 각각 94.36% 및 97.36%이었으나 신선초 및 신선초박 추출물에 배양한 노루궁뎅이버섯은 90.95% 및 94.20%로 수분함량은 감소하는 반면 기타 일반성분은 대체적으로 증가하였다. 비타민 A의 함량은 신선초에서 20.78 IU/100 mL로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신선초 및 신선초박 노루궁뎅이 버섯 추출물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비타민 B2와 비타민 C의 경우에는 신선초 및 신선초박에서의 함량보다 신선초, 신선초박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에서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질은 신선초 및 신선초박이 가지고 있는 함량에 비하여 노루궁뎅이버섯 배양 추출물의 무기질(Fe, P, ㎎, Ca) 모두 증가하였으며 총아미노산의 함량에서는 원료는 각각 177.17 ㎎% 및 149.99 ㎎%이었으나 노루궁뎅이버섯 배양 추출물의 경우에는 231.08 ㎎% 및 372.25 ㎎%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o utilize the abandoning byproducts after manufacturing fresh vegetable juice, Hericium erinaceum (H. erinaceum) was cultured using Angelica keiskei (AK) and the byproducts of Angelica keiskei (BAK) as a nutrient an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culture extract was analyzed. When H. erinaceum was cultured using culture media of AK and BAK, it showed 107~112 ㎜ of growth during 40 days. The moisture contents of AK and BAK extracts were 94.36 and 97.36%, respectively; however, those of extracts of H. erinaceum cultured in AK and BAK decreased to 90.95 and 94.20%, respectively. Reversely, other chemical compositions were increased. The vitamin A content of AK extract was 20.78 IU/100 mL and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 extracts. However, vitamin A was not detected in extracts of H. erinaceum cultured with AK and BAK. In contrast, vitamin B₂ and C in the extracts of H. erinaceum cultured were higher than those of AK and BAK. Total ash content including Fe, P, ㎎, and Ca increased in the extracts of H. erinaceum cultured when compared with AK and BAK extracts. Total amino acid content was also higher in the extracts of H. erinaceum cultured (231.08 and 372.25 ㎎%) than those in the extracts of AK (177.17 ㎎%) and BAK (149.99 ㎎%).

      • KCI등재

        UV 조사 신립초 및 케일 녹즙의 저장기간에 따른 미생물 및 이화학적 변화

        권상철(Sang-Chul Kwon),최구희(Goo-Hee Choi),유광원(Kwang-Won Yu),이경행(Kyung-Hae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7

        녹즙은 가열살균공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유통기한이 매우 짧아 비가열 살균기술 중의 하나인 UV 살균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신립초 및 케일 녹즙을 제조한 후 저장기간에 따른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변화를 측정하였다. 신립초 및 케일의 착즙 직후 총 균수는 각각 3.2×105 CFU/㎖ 및 7.0×104 CFU/㎖의 균수를 보였으나 UV 처리를 한 경우에는 처리직후 각각 3.6×103~9.7×103 CFU/㎖ 및 3.7×103~2.7×104 CFU/㎖로 대조군에 비하여 약 1~2 log cycle의 미생물 감소를 보였으며 저장기간 내내 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균수를 유지하였다. 대장균군수의 경우도 UV 처리군이 대조군과는 유의적이 차이를 보였으며 유속이 적을수록 대장균수 사멸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색상의 변화는 신립초 및 케일 녹즙에의 UV 처리 시 명도 및 황색도는 증가하고 적색도는 감소하였으나 대조군과 큰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신립초 및 케일 녹즙 내 ascorbic acid의 함량은 유속과 무관하게 UV 조사 및 저장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flavonoid 함량은 대조군 및 UV 처리군 모두 저장하는 동안 특정한 경향을 나타내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 기호도는 제조직후 대조군과 UV 처리군 간에 큰 차이는 없었으나 저장 3일차에는 대조군보다는 UV 처리군이 높은 기호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UV 처리를 하여도 녹즙의 향미와 색 등에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면 녹즙에의 UV 처리 시 ascorbic acid와 색상 등의 약간의 변화는 가져오지만 녹즙 내 존재하는 미생물수를 크게 줄일 수 있어 저장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고 기호도 면에서도 문제가 없으므로 녹즙의 저장성 연장을 위한 비가열 살균방법으로 UV 처리도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A fresh juice has become a new functional food available for dieting and health. However, the shelf-life of vegetable juice is very short because of the absence of heat pasteurization process. To elongate the shelf-life of vegetable juices, such as Angelica keiskei and Brassica loeracea var. acephala, the changes of microbiological, chemical and sensory property by UV irradiation were investigated. The total aerobic bacterial numbers of A. keiskei and B. loeracea var. acephala vegetable juices were 3.2×105 and 7.0×104 CFU/mL, respectively, after wring process. However, the numbers were 3.6×103~9.7×103 and 3.7×103~2.7×104 CFU/㎖ after UV treatment on wring juice, and this lower microbial number was maintained during storage. The number of coliform bacteria also reduced significantly by UV treatment, and the bactericidal effect was higher when the flow rate is slower. The increase of lightness and yellowness, and decrease of redness were observed after treatment of UV on both vegetable juices,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between flow rates. The ascorbic acid contents of vegetable juices were reduced by UV irradiation regardless of flow rate, and storage. Overall acceptance in sensory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vegetable juice irradiated UV at 0 days, but sample with UV treatment showed higher score at 3 days. Therefore, UV treatment on vegetable juice can elongate the shelf-life without any problems in flavor and col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