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웹 기술을 기반으로 한 회계정보시스템 아키텍처에 관한 연구

        최경아(Choi Kyung Ah),김성우(Kim Sung Woo),신영대(Shin Yung Dae) 한국국제회계학회 2004 국제회계연구 Vol.10 No.-

        회계정보시스템은 기업의 여러 정보시스템 가운데 가장 중요한 정보시스템의 하나로 회계정보시스템은 일상적인 회계 상의 거래를 처리하는 자료처리시스템과 회계정보이용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정보처리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자료처리시스템은 정보처리시스템을 포함한 기업의 각종 정보시스템을 포함한 기업의 각종 정보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자료원을 제공하는데, 정보시스템은 자료처리시스템을 통해 산출되는 정보와 그 밖의 정보를 처리하여 회계정보이용자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유용한 회계정보를 산출시키는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성격을 가진 회계정보시스템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회계정보를 네트워크로 유포하고 투자자가 이 정보를 이용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정보기술 중 네트워크가 가능해진 디지털 시대에서의 인터넷/인트라넷 웹을 기반으로 한 회계정보시스템의 유용성을 검토하고 인터넷/인트라넷이 조직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 인트라넷 웹 기반 회계정보시스템의 관리와 통제를 가능케하는 정보기술을 연구하여 그에 적합한 회계정보시스템의 아키텍처를 제시하고자 한다.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 is one of most important information systems among several information system of enterprise and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 can divide to data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hat support accounting information user's decision making that handle usual account's transaction. Data processing system offers data resource that various information systems of enterprise including enterprise's various information system including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need. Information system is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 with personality which support decision making that produce accounting information that is useful in accounting information user's reasonable decision-making processing information and other information that is worked through data processing system. Purpose of this paper circulates accounting information to network and focused that investor uses this information. Among Information Technology, examine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 that network does based on Internet/intranet web in digital age that become possible. Wish to study Information Technology and present architecture of suitable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 to it, as enable latent influence, management of intranet Web-Based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 and command that Internet/intranet gets to establishment.

      • 브라흐마(Brahma)와 브라흐만(Brahman)에 대한 초기불교의 입장

        최경아 ( Choi Kyung-ah ) 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 2013 密敎學報 Vol.14 No.-

        불교를 무신론적(atheistic)이라고 보는 견해가 지배적인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붓다가 신에 관한 문제에 부정적인 입장으로 일관하였는지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초기불전에 등장하는 여러 신들의 이름과 그들의 역할을 과연 어떻게 해명할 것인가? 브라흐마(Brahma, 梵天)는 이 가운데 가장 빈번히 등장하는 신이며, 또한 붓다가 가장 극명하게 부정적 견해를 표명한 신이기도 하며, 붓다 일대기의 주요 장면에 등장하여 드라마틱한 상황을 연출하기도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붓다가 브라흐마를 전혀 인정하지 않았다는 식의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 붓다가 인정하지 않은 것은 총체적 측면의 브라흐마가 아닌, 브라흐마에게 부여된 대표적인 두 가지 특징인 최고신과 창조주 가운데서 후자였던 것이다. 더 나아가 붓다는 自我觀에 대해서도 브라흐만(Brahman)적 요소를 거부하였다. 기존의 아뜨만(Atman)에서 브라흐만의 초월적 요소를 배제함으로써, 자아의 경험적이며 실용적인 측면에 주목하게끔 하였던 것이다. Early Buddhism has been regarded as atheistic. A cursory study of early Buddhism agrees with it since there is no room for God in the fundamental doctrines of the Buddha. It is a well-known fact that the Buddha firmly rejects and criticizes the conception of Creator God that has a close connection with the conception of Brahma. On the contrary, we come across an instance where the Buddha approves Brahma. In this case, it is not the Brahma as Creator God, but as the chief of gods, or as the suzerain of three thousand world-systems. This paper deals with acceptance and adaptation of the conception of Brahma in the Nikayas. It starts with a brief outline of the conception of Brahma in the Brahmanical tradition before the emergence of Buddhism. Then, it tries to make clear about two different attitudes of the Buddha towards Brahma as shown in the Nikayas. Besides, some doubts can be raised: Why does the Buddha never mention the neuter Brahman which is already seen in the earliest Upanisads? Does this mean that he did not know it, or is it that this concept itself did not exist at that period? Rhys Davids asserts that the neuter Brahman is entirely unknown in the Nikayas, and that the Buddha’s idea of Brahma really differs widely from that of the Upanisads. It is also possible to think in this way: the concept of neuter Brahman has been already assimilated into the concept of Atman, and since the Buddha was strongly against the concept of Atman additional mentioning of Brahman became redundant.

      • KCI등재

        인도불교에서 개아론자의 출현과 의미

        최경아(Choi, Kyung-Ah) 한국인도학회 2015 印度硏究 Vol.20 No.1

        부파불교에서 윤회의 주체를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개념이 고안되었고 그 가운데 대표적인 것을 뿌드갈라라고 보는 일반통설은 개아론자들의 뿌드갈라 개념을 일방적으로 호도한 감이 있다. 그들의 관심사를 지나치게 단순화함으로써 한 시대를 대표했던 부파를 폄훼한다는 비판을 받을 여지도 있다. 부파불교 시대에 모든 부파들의 주요 관심사는 ‘자아의 부재 속에서 어떻게 인식의 발생과 축적 그리고 지속의 문제를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의 문제였다. 게다가 이 문제는 찰나설과 동시에 설명되어야만 했다. 모든 부파가 이 문제에 몰입해 있을 때, 개아론자들은 그들만의 방법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려 하였다. 개아론자들은 뿌드갈라는 찰나적 존재로서 과거·현재·미래에 속하지 않기 때문에 유위(有爲, samsk?ta)도 아니고, 활동적이기 때문에 무위(無爲, asamsk?ta)도 아니므로, 오직 자기 자신의 범주에만 속할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뿌드갈라 자체를 하나의 범주로 상정하여 유위와 무위 사이에 두었던 것이다. 뿌드갈라가 제3의 범주, 곧 불가설(不可說)로 간주되면서 이러한 개념이 아뜨만과 겹치게 되자 여러 불교부파들로부터 비판을 받게 된 것이다. 개아론자들은 수행의 공덕으로 아라한과에까지 이르는 인격의 지속체로서의 뿌드갈라를 상정해야만 했던 것이다. 개아론자들은 유위적 존재에서 무위로 넘어갈 수 있는 가능태로서의 인간 개인의 수행력에 초점을 맞추었던 것이다.

      • KCI등재

        발표 논문 : 자아(self)와 개인(person)에 대한 정의 고찰 -초기불교를 중심으로-

        최경아 ( Kyung Ah Choi ) 인도철학회 2010 印度哲學 Vol.0 No.28

        본고는 인도철학사상 핵심 쟁점이었으며, 시대를 막론하고 철학적 논의에서 첫걸음일 수밖에 없는 `나` 곧 `자아`의 개념을 밝히는 데 우선적인 목적이 있다. 이 문제에 관해 붓다가 침묵 내지는 부정으로 일관했기 때문에, 고대 용어의 풍부한 철학적 종교적 함의를 현대적 개념으로 풀어내는 일은 난해한 작업일 수밖에 없다. 붓다의 역설적인 태도로 인해 본래 의도가 어떻든건 간에 무아설(anatmavada)은 불교의 대표사상으로 자리매김되어 버렸다. 소위 『무아상경』에는 `자아`에 대한 가설로서 다섯 skandha가 소개되었으며, 다시 이 skandha는 `자아`가 아닌 것으로 부정된다. 이 『무아상경』의 콘텍스트에서 다섯 skandha의 의미와 역할 그리고 그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현대철학이 정리한 `자아`의 정의와 대비함으로써 자아에 대한 붓다의 근본적인 시각 차이를 부각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rupa의 구성요소인 upadayarupa가 집중 조명된다. 이개념으로 인해 불교의 자아 정의는 기존의 서양 철학적 관점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독특한 특징이 추가된다. 곧 자아는 인식주체인 동시에 그 인식대상까지 포괄한다. 이는 불교의 자아관은 곧 세계관이고, 인식론이 곧 존재론이라는 통설의 근거를 제공한다. It has been believed that the Buddha strongly rejects the concept of self. Subsequently, anatmavada has been regarded as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of Buddhism. Whether it is the existence of self or the idea of self that he denies, his attitude towards `self` seems to be basically negative. This paper is intended for figuring out what it really is that the Buddha tried to reject whenever he preached anatmavada. Besides, it should be discerned what `I`, `self`, `person` and atman exactly mean when they are used in common usage as well as in the context of early Buddhism. The definition of the term `I` cannot be analyzed objectively unless it becomes an objectified `self`. In other words, `I` come to be objectified and can be utilized when it is called `self`. Again, this `self` could be established as a term `person` when it specifies the individuality. This content has been implied by the term skandha in the Nikaya. The definition of self has been studied throughout the history of philosophy. The contemporary philosophy defines it in this manner: 1) not the same thing as a whole human being, 2) a subject of experience, iii) an inner presence or locus of consciousness, and so on. In the context of early Buddhism, the term skandha represents the meaning of self as well as person. Through the textual study of the Nikaya, the definition of skandha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1) It is based on materiality (body). 2) It comprehends the sense faculty and its object. 3) It is a subject of consciousness and also comprehends its object. 4) It goes as far as its mental activity persists. 5) It acts with intention and shows some character or personality depending on the condition. 6) It is a self-conscious being.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떼비자숫따(Tevijjasutta)에 나타난 종교관의 재정립

        최경아 ( Kyung Ah Choi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1 禪文化硏究 Vol.11 No.-

        떼비자숫따(Tevijjasutta)는 빠알리 니까야 가운데서도 비교적 고층에 해당하는 경전으로 추정되며 붓다의 기존 종교에 대한 입장이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는 의미 있는 경이다. 본 논고는 붓다의 기존 브라흐마니즘에 대한 비판과 이에 따른 종교관의 재정립을 떼비자숫따를 통해 살펴본다. 초기불교 연구자들이 사범주(四梵住)로 한역되어 알려진 브라흐마비하라(brahma - vihara)를 논할 때 자주 언급하는 이 경에는 실제로 이 용어가 아닌 브라흐마사하브야따(brahma-sahavyata)만 나타난다. 브라흐마사하브야따는 ``브라흐마와 함께 함``을 말하며, 브라흐마(Brahma)의 거주처에 머뭄을 암시하는 브라흐마비하라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계를 구족한 비구가 慈 悲 喜 捨를 행함으로써 브라흐마와 동등한 경지에 이른다는 것이다. 신들에게 제식을 올리고, 재물과 아내를 소유한 사제계급인 브라흐마나(Brahmana)가 아닌, 브라흐마처럼 브라흐마짜리야(brahmacariya; 淸淨梵行)를 행하는 비구가 바로 브라흐마사하브야따의 주체이며 진정한 브라흐마나라고 주장한다. 상대종교 최고신의 품위를 손상시키지 않고 추종자들의 무지와 무능을 지적하는 점, 브라흐마짜리야와 브라흐마사하브야따 등 상대 신의 이름을 적용하여 최고의 경지를 표현하고자 한점 등은 상대종교에 대한 존중과 화합을 위한 노력으로 비춰진다. 이러한 양상은 브라흐마가 접두어로 활용된 다양한 복합어의 사례에서도 확인된다. 본 논고에서 떼비자숫따의 성립시기가 초기불전 가운데서도 고층임을 규명하고자 한 까닭은 초기불전에 나타나는 브라흐마니즘(Brahmanism)과 그들의 신브라흐마에 대한 다양한 입장 가운데 극단적인 부정의 양상들이 붓다의 본래의 입장은 아니었음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 논고를 통해 초기불교가 초기우빠니샤드의 영향을 받았다는 기존 학설의 문제점도 지적하고자 한다. Tevijjasutta (TS), postulated to belong to the older strata among the suttas of the Nikaya, reflects the stance of the Buddha on the contemporary religion of ancient India. This paper examines the critics of the Buddha on the Brahmanism and the subsequent reestablishment of the perspective of religion shown in the TS. We come across the term brahmasahavyata ``being in companionship with Brahma`` instead of the well - known brahmavihara ``abode of Brahma`` in the sutta. Brahmavihara is said to be the ``moral conduct`` consisted of four mental states - metta, karuna, mudita and upekha. Using the term brahmasahavyata indicates that the one who practices the above four becomes a companion of Brahma, TS says that the Bhikkhus who practice them along with the observance of the norms of Bhikkhu can achieve the same state as Brahma, the supreme God in Brahmanism. The subject of brahmasahavyata, therefore, is the Bhikkhus who practice brahmacariya, not the Brahmanas who possess wife and property. Meanwhile, we could find some meaningful effort trying to treat the counterpart respectfully and harmoniously. Instead of degrading counterpart`s supreme God Brahma, the Buddha rebuked the followers of Brahmanism, i.e. Brahmanas, for their blind belief. Unlike the cases where Brahma as the Creator God has been strongly rejected, the name Brahma has been positively adopted by the Buddha in the sutta. It is reflected in the use of the concepts like brahmacariya, brahmasahavyata etc. which bear the sense of the supreme. Consequently, we come across various compounded terminologies throughout Pali cannon such as brahmacakka, brahmabhuta, brahmacakkhu etc.

      • KCI등재

        승단분열과 결집사의 쟁점에 대한 일고찰 : 제3결집과『까타밧투』의 성립

        최경아(Choi Kyung Ah) 韓國佛敎硏究院 2015 불교연구 Vol.43 No.-

        제3결집은 남방불교에서만 전승되는 전설로서 역사적 사실로서의 근거가 미약하다. 또한 제3결집은 남방상좌부의 논서 『까타밧투(Kathavātthu)』 (Kv)의 성립과도 맞물려 있다. 이 논서가 스리랑카의 사서가 전하는 대로 아쇼까왕 당시에 성립되었다면, 당시 실존했던 초기부파불교의 학설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임이 분명하다. 결집의 계기가 되었던 승단분열은 주로 각 부파의 율장에 나타난 역사적 사건을 통해 연구되어 왔다. 파법륜과 파갈마라는 두 종류의 파승에 대한 입장은 붓다 입멸 후에 정법을 가릴 주체가 없기 때문에 파승의 원인으로서 법륜의 파괴란 있을 수 없고, 동일한 계(界)에서 갈마를 따로 행하는 것이 파승이라는 쪽이 힘을 얻게 된다. 이는 다양한 견해를 승인하고 부파화를 촉진시키는 촉매가 되었거나, 부파화를 합리화하는 정당한 사유로 작용했다. 그러나 제3결집과 관련하여 Kv의 성립에 관한 문헌 자료들을 검토해 보면 파승에 관한 복잡한 양상들이 나타난다. 아쇼까왕 당시에 불교승단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으로 이교도들이 난입하여 교단이 분열되고 포살도 행해지지 않았고, 이로 인해 목갈리뿟따띳사(Moggaliputta Tissa)가 비구들과 함께 빠딸리뿟따(Pāṭaliputta)에서 법의 결집을 행하고 Kv를 저술했다는 것이 그 요점이다. 파갈마만이 파승의 원인으로 간주된다면 그에 대한 해법 또한 화합갈마를 행한 다거나 이를 다루는 율장을 재정비하는 방식이 자연스러운 수순일 것이다. 그런데 외도의 난입으로 포살이 끊긴 파승 상태의 승단 지도자가 행한 작업은 아비담마 논서의 편찬이었던 것이다. 물론 이는 남방상좌부 전통의 문헌에 나타난 기록이라 역사적 사실로서 완전히 신뢰할 수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내용이 시사하는 점은 단순히 기강의 확립만으로는 불법과 승단을 보전할 수 없다는 것이다. 제3결집과 Kv의 성립을 둘러싼 문제들에 대한 남전 자료의 검토를 통해, 당시 승단의 무질서와, 새롭게 부상하는 불교계의 신흥세력에 기존의 보수적 전통주의자들이 어떤 식으로 대응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The Third Assembly is recognised only in the tradition of Theravāda Buddhism and thus cannot be confirmed historically. It is, however, related to the composition of Kathāvatthu, the Abhidharma text of Theravāda, which is supposed to have been composed at the time of Aśoka. Kathāvatthu could be an important material through which some of the theories of early sectarian Buddhism can be checked on. The study on the schism of Buddhism in Indian subcontinent has been carried out mainly on the basis of Northern tradition. In this regard, if texts of Sri Lanka, which inform us of the Third Assembly and the background of the composition of Kathāvatthu, are examined, and if theories of different sects introduced in Kathāvatthu are analysed, one would investigate the history of sectarian Buddhism and the theory of a sect from a neutral point of view. What is required as well is the examination of the stance of Buddhists concerning the schism and of the historical fact regarding the Third Assembly. This paper, therefore, investigates first the definition of ‘saṃghabheda’ given in the extant Vinayas of Mahāsaṃghika, Vibhajjavādin, Dharmaguptaka, Mahīśāsaka and Sarvāstivādin, and then analyses controversial points of historical situation and meaning related to the Third Assembly and Kathāvatthu.

      • KCI등재

        벤처기업의 손실과 재무요인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경아 (Choi, Kyung-Ah),이은영(Lee, Een-Young) 한국산업경제학회 2020 산업경제연구 Vol.33 No.2

        본 연구에서는 코스닥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손실기업을 선택하여 이러한 기업들의 재무적 특성이 향후 이익개선의 기대로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검증해 보았다. 즉 현재는 손실기업이라 할지라도 재무적으로 다른 기업과 차이가 있다면 기업가치에 다른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한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된 재무변수는 영업외항목, 연구개발비수준, 기업의 성장성, 자본유지력이며, 이들 변수에 따라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한 것이다. 연구결과는 두 가지 모형으로 검증하였는데 기업의 성장성과 자본유지력의 경우 예상한 가설처럼 성장률이 높고 자본유지력이 좋은 경우 비록 현재 손실을 기록하고 있더라도 기업가치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selected loss companies for KOSDAQ ventures to verify whether these companies" financial characteristics affect their corporate value as expected for future profit improvements. That is to say, at present, it is a verification of the different effects of an entity"s value if it differs financially, even if it is a loss entity. It is a verification of the assumptions that the non-current items of financial variable roll used here, the R&D cost level, growth strategy, and capital maintenance power will differ in their impact on the value of firm. The findings were verified in two models: growth strategies and capital maintenance, have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value, even if losses are currently being recorded, if the growth rate is high and the capital maintenance is good.

      • KCI등재

        『삼미지부론』에 나타난 개아론자의 학설

        최경아(Choi, Kyung-Ah)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7 佛敎學報 Vol.0 No.79

        개아론자 소속의 문헌은 몇몇 논서들을 제외하고는 사실상 거의 유실되었다. 어떤 문헌이 이 부파의 소전인지 가늠하는 것도 쉽지 않다. 문헌이 거의 없기 때문에 개아론자들의 교리는 제대로 소개되지 않았거나 과장된 경우가 많았다. 게다가 인도불교 내에서 이단자로 취급되었기 때문에 그들의 학설이 공정히 평가되었는지도 의심의 여지가 많다. 본 논문에서는 그들의 소전이 확실시 되는 『삼미지부론』을 통해 정리된 내용을 바탕으로 개아론자의 학설을 확인하고 『식신족론』이나 『구사론』 「파아품」에 나타난 개아론자의 학설과 비교 검토하여 과연 그들의 본의가 제대로 전달되었는지 알아보도록 한다. 이 논서를 면밀히 검토해보면 우리는 개아론자들이 오온과 관련하여 업의 주체로서의 개별적 자아의 원리를 강화함으로써 뿌드갈라의 존재를 인정받으려 시도했음을 알 수 있다. 문제는 이 뿌드갈라가 오온과 같은 것도 다른 것도 아닌, 불가설의 위치에 있다는 것이다. 이는 존재의 유무를 존재의 항상함과 무상함으로 연결시키는 인도불교의 독특한 사유구조와 연관이 있다. 이러한 사고는 바로 유위법과 무위법으로 연결된다. 곧, 삼세를 윤회하는 존재로서의 유위의 뿌드갈라는 무위의 열반을 성취하는 존재로 전이될 가능성이 열려 있기 때문에, 상견과 단견을 떠난 제 3의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사유는 소위 오법장설로도 잘 알려져 있는데, 『삼미지부론』에서는 체계적 형태로 나타나지 않는다. 『삼미지부론』은 의설인, 도설인, 멸설인의 세 종류의 뿌드갈라를 인정한다. 뿌드갈라의 유무보다는 어떤 식으로든 언어로써 설정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삼미지부론』전반부를 통해 알 수 있는 개아론자의 뿌드갈라에 대한 입장은 결국 불가설(avyakṛtavya)이며 언어설정(prajñapti)일 뿐이라는 점으로 귀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부파들은 여전히 그들을 유아론적 집단으로 간주하여 집요하게 논박하고 있다. 바수반두 또한 그들이 말하는 뿌드갈라는 윤회의 주체로서 결국 실재하는 것이 아니냐고 반문하고 있다. 『삼미지부론』의 중반 이후부터는 윤회의 주체로서 오온과 중유가 재조명을 받고 있는데 전반부와의 연결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논리의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다. 최종적으로 열거되는 8종과 13종의 뿌드갈라에 대한 내용은 전반부의 비교적 치밀한 논지와는 부합되지 않는 등 『삼미지부론』전권(全卷)이 과연 한 작품인 지 의심스럽기조차 하다. 이 의문점은 추후에 다시 논할 과제로 남겨두고자 한다. The Pudgalavādins were one of the most powerful and flourishing sects in Indian Buddhism. Nevertheless, they did not leave a significant trace of their occupation in India or elsewhere. With the exception of a few post-canonical treatises, Pudgalavādins texts have virtually vanished. Due to the lack of Pudgalavādins canonical literature, most interpretations of its doctrinal position are either underestimated or have been exaggerated. Moreover, it is considered a heretic sect, resulting in its attempt to solve the inherent problems of Buddhist doctrine to be dismissed. Therefore, in this paper, the theory of the Pudgalavādins in San Mi Ti Pu Lun (Sāṃmitīyanikāyaśāstra) is examined. It seems that the Pudgalavādins sought to affirm the existence of the person (pudgala) by enhancing the principle of individualization in the five aggregates (pañca-skandha). In fact, pudgala was defined by the Pudgalavādins as neither identical with nor different from the skandhas. According to San Mi Ti Pu Lun, some schools maintain that the person is identical with the skandhas, while other schools assert that the person is different from the skandhas. The Pudgalavādins tried to uphold a neutral position of characterizing the pudgala : it is neither identical with nor different from the skandhas. Taking this position was the Pudgalavādins’ attempt to prevent the pudgala from falling into an identity dilemma. According to the Pudgalaviniścaya of Abhidharmakośabhāṣya, Pudgalavādins classified cognizables (jñeyam) in five categories. The first three are conditioned (saṃskṛta) dharmas, that is, past, future, and present; the fourth is an unconditioned (asaṃskṛta) dharma; and the fifth is ineffable (avyakṛtavya), or in other words, the pudgala. According to San Mi Ti Pu Lun, the thesis of the pudgala is based on the following three designations (prajñapti): support (upādāyaprajñapti-pudgala), transmigration (saṃkrama prajñapti-pudgala), and cessation (nirodhaprajñapti-pudgala). The pudgala, which is neither identical with nor different from the skandhast, is the one that transmigrates and enters into nirvāṇa. The Pudgalavādins did not interpret Buddha’s reticence on ātman as the denial of a pudgala. Rather, it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ir main thesis-that pudgala is ineffable; after all, pudgala is simply a designation (prajñapti). Whatever the real meaning of anātman may be, Buddhists had to explain it somehow since it was the main concern of philosophers in those day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