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보상담자가 경험하는 윤리적 이슈

        최경란(Kyungran Choi),오정희(Junghee Oh),홍지영(Jiyoung 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본 연구는 초보상담자들이 상담과정에서 경험하는 윤리적 이슈가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를 위해 J지역과 D지역 소재의 상담관련 대학원 재학이상, 3년 이하의 경력을 가진 초보상담자 12명을 대상으로, 총 3회에 걸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9개의 영역, 19개의 범주, 52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결과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내담자 보호’(범주: 내담자 보호의 어려움 등), ‘사전 동의’(범주: 내담자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사전 동의 받는지 의문이 듦 등), ‘비밀보장’(범주: 초보상담자로서 불안을 감소시키려는 욕구와 비밀보장이 갈등됨 등), ‘상담기록물 관리’(범주: 기록물 관리가 비밀보장을 어렵게 할까 우려됨 등), ‘상담자 전문역량’(범주: 전문역량이 부족하나 성장하고자 사례를 진행하며 갈등함 등), ‘상담자 보호’(범주: 위기사례에서 상담자가 보호받지 못함 등), ‘상담자의 자격관리’(범주: 수련기관과 프로그램을 신뢰할 수 없음 등), ‘수퍼비전 관계’(범주: 다중관계로 상담에서 힘듦을 말하지 못함 등), ‘운영기관과의 관계’(범주: 기관방침과 내담자 복지가 상충됨 등) 영역이 추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보상담자의 상담과정에서 경험되는 다양한 윤리적 이슈를 밝히고, 이러한 이슈에 내적논쟁을 심화하거나 완화하는 환경적 요인을 탐색적으로 드러냈다. 마지막으로 초보상담자의 적응과 윤리적 발달을 위한 제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clarify the ethical issues experienced by novice counselors during the counseling process. Methods For this study, 12 novice counselors with 3 years or less of counselling experience and graduate school experience in J and D regions were interviewed with three focus groups and analyzed the data. Results From the results analyzed, 9 areas, 19 categories, and 52 concepts were derived. The main concepts are ‘Client protection’ (category: Difficulty relating to client protection, etc.), ‘Informed consent’ (category: Doubt about whether client was given enough explanation before informed consent, etc.), and ‘Confidentiality’ (category: Dilemma between desire to relieve anxiety as a novice counselor and concern of confidentiality, etc.), ‘Management of counseling records’ (Category: Worries if client confidentiality would be in crisis because of the management of consult records, etc.), ‘Expert competency of counselors’ (category: Conflict between recognition of incompetence and desire of self-improvement, etc.), ‘Counselor protection’ (category: Difficulty in counselor protection in critical situations, etc.), ‘Qualification management of counselors’ (category: Mistrust in training institutions and training programs, etc.), ‘Relationship in supervision’ (category: Difficulty in discussing hardships in counseling due to multiple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etc.), and ‘Relationships in operating institutions’ (Category: Conflict between institutions’ policies and welfare of client, etc.) were extracted.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adaptation and ethical development of novice counselors were discussed among with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문화적응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최경란(Choi, Kyungran),홍지영(Hong, Jiyo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한국청소년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문화적응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남도·북도의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다문화가정 청소년 120명을 대상으로 부모애착 척도, 학교적응 척도, 문화적응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통한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애착, 문화적응스트레스, 학교적응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부모애착과 학교적응의 관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부모애착과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학교적응과 문화적응스트레스의 관계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부모애착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문화적응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부모애착과 학교적응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애착은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도 관계되며, 문화적응스트레스를 통해 학교적응에 간접적으로 관계 되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관련하여 부모애착과 문화적응스트레스의 관계를 확인하고, 부모애착과 학교적응 관계에서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매개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밝힌 것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 상담과정에서 부모애착에 대한 고려와 더불어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대한 청소년시기의 적절한 개입을 통해 학교생활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적응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in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 total of 120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ook part in the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and the AMOS 22.0 programs. The study found that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school adaptation was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parents attachment and culture adjustment stress, culture adjustment stress, and that school adaptation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Second, cultural adaptation stress played the role of a partially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hows that cultural adaptation stress can act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 KCI등재

        고령노인을 중심으로 한 실내 주거공간의 창문 환기 방식 연구

        한연 ( Han Yan ),최경란 ( Choi Kyungra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연구배경 및 목적) 고령 노인 인구수의 증가세에 따라 인구 고령화의 현상은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나이가 듦에 따라 신체적 기능저하는 가속화되며, 노인이 주거공간 내부에서 활동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자연을 접할 기회는 상대적으로 줄어든다. 창문은 실내와 실외의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매개체로, 공기, 바람, 햇빛 등 자연의 요소들을 실내로 끌어들이는 특징을 갖고 있는데, 이는 거주인이 자연을 접촉하는 수단일 뿐만 아니라, 노인들이 선호하는 주거공간의 환기방식이다. (연구방법) 본문은 고령 노인의 수요에 기반하여 전산유체역학(CFD) 원리를 통해 Airpak 컴퓨터 기술 시뮬레이션을 사용하고, turbulence model의 zero-equation model을 사용하여 미세기창, 여닫이창, 상현창과 하현창 등 4 종의 자주 보이는 창문 개폐 방식에 대하여 자연 통풍 조건에서 실내 공기 기류와 온도의 비교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자연 통풍 시미세기창이 공간 내 기류에 대한 영향이 가장 크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는데, 실내에서 바람을 가장 강하게 느낄 수 있었고, 환기 효과도 가장 좋았다. 그 다음은 양쪽 여닫이창이다. 상, 하현창의 경우, 공간 내의 기류가 안정적이며, 바람의 세기와 환기효과도 상대적으로 약하거나 무풍의 느낌을 준다. 이 4가지 개폐방식은 온도를 조절함에 있어서 그 차이가 뚜렷하지 않다. 다만 하현창은 실내 사물의 저해를 적게 받아 실내 공기의 온도의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었고, 사람 주변의 온도도 하현창의 경우에 현저하게 낮은 경향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고령 노인들이 주거공간에 대하여 항상 일정한 온도가 유지될 것과 환기할 때의 바람이 부드러울 것을 바라는, 자연을 접하고 싶어하는 생리적, 심리적 요구에 근거하고, 거기에 시뮬레이션 실험의 결과를 종합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자연풍 효과가 가장 좋은 여닫이창과 온도 분포를 더욱 균일하게 하는 하현창의 특징을 결합함으로써, 창문 형식의 조합, 개폐방식과 경첩 설치 장치에 대한 설계를 통해, 기류를 윗방향으로 유인하고 저해하는 하현창과 기류를 직접 끌어들이는 여닫이창의 특징을 살려 창문을 디자인한다면 고령 노인들의 심리적 신체적 요구에 더욱 부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is contributing to the aging of the popul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physiological functions of the elderly decline with age, which increases the time they spend in the living space and decreases their access to nature. Windows exist as a medium for communicating between indoors and outdoors, and have the property of introducing natural elements such as air, wind, and sunlight into the interior, which is not only a means for the occupants to contact nature, but also a way of ventilating the living space that is favored by the elderly. (Method) This paper explores the optimal window openings for natural ventilation in indoor spaces frequented by senior citizens. Using the principles of fluid dynamics (CFD), simulated experiments were conducted through Airpak computer technology and the zero-equation model in turbulence model. The four common window types studied include left/right sliding windows, casement windows, top-hung windows, and bottom-hung windows. The comparative study analyzed airflow and temperature in the indoor space under these four types of window openings. (Results) After simulation experiments, it was found that natural ventilation under the left and right sliding windows have the greatest impact on the airflow in the space, the strongest sense of indoor wind and the best ventilation effect, followed by casement windows. The airflow in the space under the influence of upper and lower hung windows is smooth, and the wind sense and ventilation effect are weak or no wind sense. In terms of temperature, the four forms of window openings in the range of temperature regulation is not obvious, but only under the lower-hung windows due to less interference from indoor objects so that the indoor temperature distribution is uniform, the human body around the temperature is also under the influence of the lower-hung windows show a significantly lower situation. (Conclusions) This study proposes a design strategy based on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needs of elderly people for constant temperature, soft breeze and contact with nature in the living space, combined with the results of simulation experiments. It is believed that by combining the features of casement windows, which have the best natural ventilation effect, and downward-hung windows, which have a more uniform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mbination of window openings, window opening methods, and the design of the transmission device, the window design will better meet the physical and mental needs of the elderly by reasonably utilizing the features of bottom-hung windows that block and direct airflow upward, and the features of casement windows that directly bring in airflow.

      • KCI등재

        한중일 정원 공간과 사용자 행위 특정 비교 분석

        후핑리 ( Hu Pingli ),최경란 ( Choi Kyungra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8

        (연구배경 및 목적) 본 논문은 사용자를 중심으로 정원 공간의 정신적 기능 특성에 대한 연구로 다양한 사용자가 유사한 동아시아가 사상(유(儒), 불(佛), 도(道), 신(神)과 자연 철학 사상 포함)이 있다. 제 2장에서는 한중일 정원 공간 형태는 사용자의 지역 문화와 생활방식의 연관성을 탐구하고 공간 건축은 역사문화, 민간 신앙 및 사용자의 사회 신분 특징을 구현된다. 제3장과 제4장은 사용자의 입장과 특정한 시대의 공간 생활행위를 통해 서원(書院), 문인(文人) 정원, 가레산스이(枯山水) 정원의 공간 배치, 경관 요소, 시각적 화면과 정신적 사용 기능 등 공간형태 특성에 대해 유추분석을 통하여 사림(士林), 문인(文人), 무사의 사상과 생활 취미가 공간 정신적 기능의 사용 요소가 형성되는 것을 얻었다. 공간 형태는 사용자의 정신과 물질적 삶을 담고 있으며, 이런 사용자의 문화 특성으로 15-17세기 한중일 지역 공간의 독특한 문화를 형성하였다. 동시에 전통적인 생활공간을 비교 분석하는 목적도 사회변화에 따른 이용자의 공간형태에 대한 영향과 생활공간 욕구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서적, 문헌, 회화 자료를 바탕으로 한중일 사용자 생활과 관련된 사례 3개씩 총 9개의 공간을 선정해 사용자 유형의 정원 공간 사용 행태를 자세히 그려 분석한다. 정원 사용자의 공간 사용 유형은 사상 유형, 생활 유형, 취향 유형이다. 문헌 조사 연구는 사용자 행위, 공간 배경 연구에 사용하였다. 본 논문은 한중일 분석 연구와 고대 회화(繪畵) 자료에 대한 연구로 사용자 생활방식을 찾고, 공간 현장 조사 연구를 진행하였다. ‘유추(Analogy)’라는 인지모델과 이론을 사용해 정원공간 내 사용자와 공간유형의 유사성과 차이의 특성관계를 분석 연구한다. 유추의 주요 기능에는 이미 알고 있는 유추 내원의 개념 액세스, 이미 알고 있는 유추 내원을 목적물과 비교, 유추물 및 목적물간의 매칭 접합도 평가, 나의 액세스 유추물과 목적물간의 추론, 유추물과 목적물간의 공통성과 차별성 추출이 있다. (결과) 연구결과로 보면 사용자 사상은 서원, 문인정원, 가레산스이(枯山水) 정원 공간유형을 형성하면서 사용자의 생활습관과 풍속, 개인적 취향 등이 공간의 차이를 이루고, 또 사회환경과 구조의 변화는 사용자의 생활방식에 영향을 미치고 생활공간의 사용방법과 형태요소 특성을 변화시킨다. (결론) 유사한 사상 배경, 상이한 생활 방식과 상이한 사용자 정신적 기능에 대한 욕구에서 서원(書院), 문인(文人)정원, 가레산스이(枯山水)정원 유형의 형태가 나타났다. 본 논문이 공간 문화의 차이 특징에 대한 연구를 형성하였으며, 공간 문화 특성의 구성요소를 발생하여 공간의 정신적 기능의 디자인 구성 요소의 가상을 제출하였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paper examines the spiritual functions of the user-centered garden space in Korea, China, and Japan, for users from diverse background who share similar East Asian beliefs, including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God, and natural philosophy. The second chapter discuss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atial form of gardens in these countries and the regional culture and lifestyle of users. The spatial architecture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y and culture, folk beliefs and the social identity of users. In Chapters 3 and 4,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forms such as spatial layout, landscape elements, visual images, and spiritual use functions of academy, literati garden, and dry landscape garden are analogously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users and the spatial life behaviors of specific times, respectively. It is concluded that the thoughts and life interests of scholars, literati, and warriors form the use demand elements of spatial spiritual function. These types of gardens that were unique to Korea, China, and Japan in the 15-17th centuries, are composed of users’ ide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has been recognized as a world cultural heritage by the United Nations. Concurrently, the purpose of comparative analysis of traditional living spaces is also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users on space form and the exploration of living space demand under social changes. (Method) Based on documents, painting materials, field investigation and research, and users’ perceptions and living space as the selection criteria, three user-centered living spaces in Korea, China, and Japan were selected. Overall, nine gardens were used to analyze users’ life behaviors in the space, which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thinking type, the life type, and the interest type. The case study uses the cognitive model and theory of “Analogy” to analyze and study the relevance between the function, spatial form, and spatial concepts, and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the key elements of space types in the extant Korean, Chinese, and Japanese gardens.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users' beliefs form the space types of academy, literati garden, and dry landscape garden respectively, and users' living customs, personal interests, and other factors constitute the different space form. Changes in social environment and structure have an impact on users' lifestyle, and change the use methods and features of the living space. (Conclusions) Similar ideological backgrounds, different lifestyles, and diverse users’ spiritual requirements have resulted in the types of academies, literati gardens, and temple rock gardens.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types constitute the featured elements of space culture. Accordingly, the hypothesis of the design of the space spiritual function is proposed.

      • KCI등재SCOPUS
      • KCI등재후보

        소가구(小家口)를 위한 욕실 디자인 경향

        신인철(Inchul Shin),최경란(Kyungran Choi) 한국가구학회 2013 한국가구학회지 Vol.24 No.1

        Households of today tend to gradually change from a large household to a small one. The tendency starts from urban concentration of population with modern industrial society. Small-sized households have rapidly increased with the following three reasons: (ⅰ) one-person households with aging society, (ⅱ) individualistic pursuit of happiness, and (ⅲ) emergence of single households due to high prices and a decline in the quality of life. With these social changes, various products for small-sized households have been created and there have also been changes in dwelling patterns with small-size housing and one rooms increasing. Current small-sized living space has combined space of a living room, a bedroom and a kitchen, which makes a house compositive space. A bathroom, however, requires a differentiated suggestion from existing one since it is special space where water is used. Based on this issue,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bathrooms in small-sized living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