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작은도서관 순회사서 직무환경 개선방안 연구

        채희라,김유승 한국비블리아학회 2022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3 No.1

        While small libraries have steadily increased in quantity, parts of qualitative growth such as lack of manpower and poor operation have been pointed out as problems. Accordingly, with the aim of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linkage and cooperation between public libraries and small libraries, the small library itinerant librarians project has been promoted since 2010, and its scale has been continuously expanding. However, the lack of manpower and poor operation still remain tasks to be solved, and the poor treatment and job environment of itinerant librarians have not improved.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blems of small libraries and job problems experienced by itinerant librarians an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job environment of itinerant librarians based on this.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small libraries and net companies were investiga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articipants related to itinerant librarians and small libraries. Through interview data analysis, a total of 17 meaning topics were extracted, including ‘lack of work authority’, ‘lack of work manual’, ‘lack of communication, community’, ‘lack of integrated operating system’, ‘poor trea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malicious user’, and ‘lack of belonging’. Based on this, four improvement measures were proposed, including the improvement of the job authority and standard regulations of itinerant librarians, the establishment of a community organization, job security guarantees, and job education reinforcement. 작은도서관은 양적으로 꾸준히 증가해 온 반면 인력 부재와 운영 부실 등 질적 성장에 대한 부분이 문제점으로 줄곧 지적되어왔다. 이에 공공도서관과 작은도서관의 연계와 협력 기반 구축을 목표로 2010년부터 작은도서관 순회사서 사업이 추진되었고, 그 규모는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인력 부재와 운영 부실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고, 순회사서의 열악한 처우와 직무환경은 개선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순회사서가 경험하는 작은도서관의 문제점과 직무상 문제 상황들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순회사서의 직무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작은도서관과 순회사서에 대해 알아보고, 순회사서와 작은도서관과 관련된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면담자료 분석을 통해 ‘업무권한 부족’, ‘업무 매뉴얼 부재’, ‘소통, 커뮤니티 부재’, ‘통합 운영 체계 미비’, ‘열악한 처우 및 근무환경’, ‘업무 환경 미비’, ‘악성 이용자’, ‘소속감 부재로 인한 고립감’ 등 총 17개 의미 주제를 추출하였고, 이를 업무, 조직, 환경, 정서, 사회, 제도 등 6가지 요인으로 범주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순회사서의 직무 권한 및 기준 규정 정비, 커뮤니티 조직 구축, 고용안정성 보장, 직무교육 강화 등 4가지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心卽理’ 명제와 율곡 ‘心是氣論’의 대응 - 지각설과 격물설을 중심으로 -

        채희도 ( Chae Hee Doh ) (사)율곡연구원 2021 율곡학연구 Vol.45 No.-

        조선에서 陽明學이 득세하지 못한 이유를 탐구하는 데 있어서 다음의 두 가지 견해가 있을 수 있다. 한쪽은 조선은 동아시아의 학술 지형과 무관한 자체의 철학을 개발하고 자신의 문제에 치중하느라 양명학이 틈입할 여지가 없었다는 견해이다. 다른 쪽은 주자학이 가진 한계를 지적한 양명학의 문제 제기에 대하여 주자학에 중대한 결함이 있는 듯이 오인되는 부분을 16세기 조선의 지식인들이 주자학의 핵심과 궁극적 관심을 짚어내고, 또 한편으로 보완하여 주자학을 심화시킨 결과로 보는 견해이다. 이 문제는 율곡학의 정체성을 규명하는 것과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다. 과연 율곡학은 기존 주자학에서 이탈하여 완전히 이질적인 새로운 철학을 완성하여 주자학과 다른 별도의 문호를 열고 이후 조선 철학의 중요한 한 축으로 작용한 것인가? 또는 육왕학의 도전에 대하여 조선 지식인들이 성리학적 역정을 거치는 동안 온축된 힘을 바탕으로 펼친 응전이라 평가할 것인가? 이 글에서는 다음의 문제를 중심으로 이 점을 살펴보겠다. 첫째로 ‘주희와 이이의 지각론의 동이는 무엇인가?’, 둘째로 ‘주희의 격물 우선 주의는 양명학에 의해 어떻게 도전 받는가?’, 셋째로 ‘율곡학에서 지각과 주재의 관계를 어떻게 보는가?’, 넷째로 ‘양명학의 심즉리설이 가진 문제점은 무엇이고 이이는 여기에 어떻게 대응하는가? 다섯째, 이이가 심시기를 주장하는 맥락과 이유는 무엇인가?’ 이다. There are two views to explore why Lùwángxuéwas not gaining power in Joseon. On the one hand, Joseon has developed its own philosophy that has nothing to do with the academic terrain of East Asia, and there was no room for Lùwángxuéto enter into Joseon. On the other hand, 16th-century Joseon intellectuals focused on researching the core and ultimate interests of Neo-Confucianism, which Lùwángxué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Neo-Confucianism. This could be complementing and deepening Neo-Confucianism. This issue is closely related to the investigation of Yi Yi's identity. Can Yi Yi evaluate as a response to Yangmingism's challenge? Or has it acted as an important axis of Korean philosophy since it separated from the Neo-Confucianism and completed a different new philosophy and opened a door different from Neo-Confucianism? In this article, I took a look at this issue from an former standpoint, focusing on the following: First, how different and ZhuXi's Zhijue[知覺]? Second, ‘how ZhuXi's Géwù[格物] priority is challenged by Yangmingism?’ Third, how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Zhijue[知覺] and control in YulgokHak. Fourth, what is the problem of the ‘mind is li(心卽理)’ of Yangmingism? Fifth, What is the reason for Yi Yi claiming ‘mind is gi(心是氣)’? ‘what is the context in which Yi Yi said ‘mind is gi(心是氣)?’

      • KCI등재후보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실행 형태 분석

        채희인 ( Hee In Chae ),노석구 ( Suk Goo Noh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5 科學敎育硏究誌 Vol.39 No.1

        본 연구는 융합인재교육(STEAM)이 학교 현장에서 교육과정 상의 의도에 맞게 적용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융합인재교육의 각 요소별로 교사의 실행 형태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실행형태의 요소별 체크리스트(IC Component Checklist)를 수정·보완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126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그 결과 교사의 전반적인 실행 형태를 살펴보면 이상적인 실행 형태를 가장 많이 보인 항목은 시간 운영형태(33.3%)였으며, 실행 계획의 설정(34.1%) 항목은 수용할 수 없는 실행 형태를 가장 많이 보였다. 또한 교사의 개인 변인별 실행 형태 분석 결과 직책, 교직 경력, 연수 경험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이러한 차이는 심층면담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융합인재교육의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적 믿음을 확인하고 명료화하기 위한 심층 면담 결과 평가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융합인재교육의 실행 형태를 분석하고, 융합인재교육의 평가에 대한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eachers`` Innovation Configuration(IC) on STEAM of the 2009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to implicate the assessment of STEAM.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by the IC component checklist of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CBAM). The total number of 126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ime management(33.3%) was the most ideal IC. On the other hand, curriculum planning(34.1%) was the most unacceptable IC. Second, the results of the chi-square test showed that the IC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positions, career in education and training experiences(p<.05). Third, to explore the teacher``s epistemic beliefs on STEAM, one in-service elementary teacher who studied in a doctoral course of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articipated in the study.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that the support of application and the revolution of the science curriculum and assessment should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teachers`` IC.

      • KCI등재

        2015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4학년 검정 교과서에 제시된 혼합물의 분리 사례 분석 및 교사와 학생의 혼합물 개념 비교

        채희,노석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4 초등과학교육 Vol.43 No.1

        본 연구는 2022년에 4학년을 대상으로 처음 초등학교에 적용된 7종의 2015 개정 과학과 검정 교과서의 ‘혼합물의 분리’ 단원에 제시된 혼합물의 분리 사례를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그 구조를 분석하고 상호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교사와 학생의 혼합물 개념에 관한 이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검정 교과서에 제시된 혼합물의 분리 사례를 3차례에 걸친 클렌징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96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또한 교사와 학생의 개념 이해를 분석하기 위하여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32명의 응답을 받았으며, 2022년에 검정 교과서로 혼합물의 분리 단원을 학습한경기도 소재 4학년 92명의 설문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그 결과 고체의 경우 전체 96개의 사례 중 54개(56.3%)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학생들의 발달 특성에 맞게 가장 많고 다양한 사례가 제시된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 다음으로 생물, 액체, 기타 물체 및 물질, 기체 순이었다. 혼합물의 사례를 분석하여 추출된 96개의 키워드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이들의 구조와 상호관계를 도식화하였고, 각키워드가 서로 혼합물의 사례로 관련성을 갖는 연결을 분석하였다. 교사는 교과서에 제시된 복잡한 혼합물의 분리 사례를 부분적이었지만 바르게 이해한 경우가 있었으나, 학생의 경우 대부분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설문으로 제시한 7개의 분리 사례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개념 이해를 분석한 결과 혼합물의 분리에 대한 명확한 개념 이해를 바탕으로 한 것이 아니라 개별 사례의 특성별로 다르게 응답하는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다소 추상적일 수 있는 혼합물의 분리 개념을 학생이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교육과정과 학습자의 특성에 맞게 보다 명확한 사례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amples presented in the “Separation of Mixtures” section of the 2015 revised science authorized textbook introduced in elementary schools in 2022 and to see how the teachers and students understand the concept. To do that, 96 keywords were extracted through three cleansing processes to separate the elements of the mixture presented in the textbook. In order to analyze the teachers’ perceptions, 32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do received responses to a survey, and a survey of 92 fourth graders who learned the separation of the mixture with an authorized textbook in 2022 was used for the analysis. As a result, as for the solids, 54 out of 96 separations (56.3%) showed the highest ratio, and the largest number of cases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 stage of students. It was followed by living things, liquids, other objects and substances, and gasses. By analyzing the mixture, the structure and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 96 extracted keywords were systematized through the network analysis,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keywords, which were a part of the mixture was analyzed. The teachers partially responded to the separation of the complex mixture presented in the textbook, but most of the students did not recognize it. Because the analysis of the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seven separate categories presented in the survey was not based on a clear conceptual perception of the separation of the mixture, but rather they tended to respond differently for each characteristic of each individual category, it was decided that it was necessary to present clearer examples of the separation of the mixture, so that the students could better understand the concept of separation of mixtures that could be somewhat abstract

      • KCI등재

        율곡학에서 四端의 不中節 문제 - 호굉과 비교를 통해서 -

        채희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9 泰東古典硏究 Vol.42 No.-

        율곡이 리기를 ‘하나이면서 둘이고 둘이면서 하나이다.’라고 주장한 데서 비롯한 정통성 논쟁은 그 역사가 오랜 것이다. 퇴계학파에서는 율곡을 “기를 리로 인식한다[認氣爲理]”고 비난하고, 율곡학파에서는 ‘리기불상리, 불상잡(理氣不相離, 不相雜)’의 해석에서 퇴계와 율곡의 사이에 좀처럼 좁힐 수 없는 간극이 있음을 시인한다. 율곡이 말하는 “일이이, 이이일(一而二, 二而一)”은 주자학의 가장 강력한 명제인 ‘리기불상리, 불상잡(理氣不相離, 不相雜)’을 표현하는 율곡의 고유한 수사이다. 율곡은 악의 기원은 오로지 기의 책임이라고 하며, 이는 ‘인심도심론(人心道心論)’으로 표현된다. 율곡이 주자학의 노선을 벗어났다고 하는 주장은 퇴계의 사단칠정론을 정통으로 삼는다. 즉, 퇴계는 그 근원에서부터 사단과 칠정을 분리하여 태생적 차별을 둠으로써 사단의 위상을 제고하여 성선의 선명성을 부각시킨 것이 주자학을 발전시킨 퇴계의 정체성으로 본다. 과연 이러한 주장이 타당한지 이 글에서는 다음의 사항을 검토하여 보았다. 첫째로 호상학에서 말하는 동체이용의 의미를 호상학과 주자학에서 검토하는 데 있어 미발에 대한 개념의 차이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둘째로 주희와 호굉이 악을 설명하는 것이 다른 점을 기질과 기질변화와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셋째로 사단(四端)의 주자학적 위상을 다루어 보았다. 넷째로 조선유학에서 율곡학파는 사단을 어떻게 이해했으며 또한 악의 기원을 어떻게 설명하는지 살펴보았다. The legitimacy argument that Yulgok claims about as “one is two and two is one” is a long history. In the Toegye school, Yulgok is accused of “recognizing Qi as Li”, and in Yulgok's school there is a gap that can not be narrowed between Toegye and Yulgok in the interpretation of “Li Qi bù xiāng lí, bù xiāng zá”. Yulgok 's “one is two and two is one” is Yulgok' s unique rhetoric expressing the most powerful proposition of linguistics: “Li Qi bù xiāng lí, bù xiāng zá” Yulgok says that the origin of evil is solely the responsibility of the Qi, which is expressed as 'the Rénxīn dào xīn lùn'. The claim that Yulgok has escaped the line of Zhu Xi makes teachings of Toegye orthodox. By dedicating the birth of Sì duān by separating Sì duān from Qī qíng by giving Sì duān a distinction from Qī qíng, it is regarded as the identity of the Toegye that developed the Xìngshàn lùn by raising the phase of Sì duān and emphasizing the clearness of the Zhu Xi study. In this article, we have reviewed the following points.First of all, I will examine the meaning of the ‘the Same in Substance but Different in Function’ from the point of Zhu Xi(朱熹) and Hu Hong(胡宏) especially through the difference of the concept of the ‘Weifa(未發)’. Second, Zhushi and Hu heng explain the difference of evil in particular with regard to qìzhì (氣質) and Qìzhì de biànhuà(氣質的變化). Third, I will deal with the status of the ‘Four’, which are distinguished from the ‘Seven’. Fourth, I will look at the ‘Renxin Daoxin(人心道心)’ theory of the Yulgok school in Chosun Confucianism.

      • KCI등재

        인심도심상대설(人心道心相對說)과 율곡의 인심청명어도심설(人心聽命於道心說) -리기관(理氣觀)과 인심도심관(人心道心觀)의 관계를 중심으로-

        채희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2 泰東古典硏究 Vol.48 No.-

        Yulgok’s theory of ‘Li-Chi(理氣)’, ‘Xīnxìng(心性)’, ‘Rénxīn Dàoxīn(人心道心)’ is consistent. Yulgok’s Li-chi theory never violate the principle of Chu Hsi’s “Li-chi inseparable, immiscible”(‘理氣不相離, 不相雜’). In the real world, It cannot be said that Li(理) and Chi(氣) have a before and after in time and they don't separate or meet spatially. If the Yulgok’s view of the ‘Li-Chi’ is consistently maintained, the claim that the view of the ‘Rénxīn Dàoxīn face each other (人心道心相對說)’ at the age of 37 changed to a ‘theory that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énxīn and Dàoxīn(人心道心對待說)’ at the age of 47 should be reconsidered. If Sì duān(四端) and Qī qíng(七情) focuses on elucidating the structure of the Mind, the theory of “Rénxīn Dàoxīn(人心道心)” goes one step further here and focuses on the practical execution of the Mind. Yulgok’s theory of ‘Rénxīn should follow Dàoxīn(人心聽命於道心說)’ came out based on this. Here we can find the proactive and spontaneous power of the Yulgok. 율곡에게 리기론, 심성론, 인심도심론은 일관된다. 율곡의 리기관은 주희가 천명한 ‘리기불상리불상잡(理氣不相離不相雜)’의 원칙을 한 치도 벗어나지 않는다. 현실 세계에서 리와 기는 시간적으로 선(先)과 후(後)를 말할 수 없고, 공간적으로 떨어지거나 합하는 것이 없다. 율곡의 리기관이 일관되게 유지되고 있다면 율곡의 인심도심관이 37세에 상대종시설을 따르다가 47세에야 인심도심대대설로 만년정론이 확정된다는 주장은 재고되어야 한다. 이전의 사단칠정론이 심의 구조를 해명하는 데 치중했다면 율곡의 인심도심론은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심의 실천적 실행력에 관심을 둔다. 율곡의 ‘인심청명어도심설(人心聽命於道心說)’은 이와 같은 맥락에서 나온 것이라 생각한다. 여기에서 율곡학의 주동적이고 자발적인 힘을 찾을 수 있다.

      • 독립 조향장치와 인휠모터를 사용한 6*6 Hybrid 차량의 SW 아키텍쳐 설계와 평가

        채희서(Heeseo Chae),이대옥(Dae Ok Lee) 한국정보과학회 201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8 No.2B

        본 논문에서 소개된 임무 차량은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6개의 휠 구동 모터와 6개의 조향 모터 그리고 10개 이상의 임베디드 시스템으로 구성되어있다. 이처럼 모든 서브시스템이 모터를 통해 전자식으로 제어되는 하이브리드 차량을 위해서 COMET의 접근법을 응용한 HEVA(Hybrid Electric Vehicle S/W Architecture)라는 전자식 차량제어 SW 아키텍쳐를 제안했다. 실시간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 방법론에 객체지향적인 접근법을 이용한 제안된 아키텍쳐는 아키텍쳐 검증법 중의 하나인 ATAM을 통해 검증을 거쳐 설계단계의 신뢰성을 보장하였으며 구체적인 구현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사용성을 확보하였다.

      • KCI등재

        율곡 공부론 이해의 단초로서 호연지기론 연구

        채희도 ( Hee Doh Chae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6 율곡학연구 Vol.32 No.-

        본고에서는 호연지기론을 통해 이이의 공부론의 특징을 조명하고자 한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이이의 호연지기론에 거의 주목하지 않았거니와 특히 그의 공부론과 연계하여 살펴본 연구가 드물다. 이이의 호연지기론은 주희와 여조검의 논쟁과 관련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정약용이 여조검과 이이가 호연지기 해석에서 동일한 입장을 가졌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주자학의 리에 반기를 든 17세기 조선의 학자들에게서도 여조검의 호연지기론이 발견된다. 이런 점에서 율곡의 학술적 정체성이 주자의 그것과 이질적인 것인지 호연지기론을 통해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illuminate the distinctive character of Yi-I``s theory of Gongfu (工夫) through the concept of haoranzhiqi (浩然之氣). Yi-I’s interpretation of haoranzhiqi (浩然之氣) has hardly received any attention until now,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theory of Gongfu (工夫). When dealing with Yi-I``s haoranzhiqi (浩然之氣), the debate between Zhu Xi and Lu zu jian concerning its significance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Jeong Yakyong insists, without reasonable foundation, that the two philosophers take the same stance in their interpretation of haoranzhiqi (浩然之氣). Furthermore, the influences of Lu zu jian``s theory of haoranzhiqi (浩然之氣) can be found in some scholors of the 17C Chosun dynasty who protest to the Zhu Xi``s Li(理). A thorough comparison of the two theories brings resolve to the issue whether the academic identity of Yi-I differs from that of Zhu Xi or no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