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5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4학년 검정 교과서에 제시된 혼합물의 분리 사례 분석 및 교사와 학생의 혼합물 개념 비교

        채희인,노석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4 초등과학교육 Vol.43 No.1

        본 연구는 2022년에 4학년을 대상으로 처음 초등학교에 적용된 7종의 2015 개정 과학과 검정 교과서의 ‘혼합물의 분리’ 단원에 제시된 혼합물의 분리 사례를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그 구조를 분석하고 상호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교사와 학생의 혼합물 개념에 관한 이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검정 교과서에 제시된 혼합물의 분리 사례를 3차례에 걸친 클렌징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96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또한 교사와 학생의 개념 이해를 분석하기 위하여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32명의 응답을 받았으며, 2022년에 검정 교과서로 혼합물의 분리 단원을 학습한경기도 소재 4학년 92명의 설문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그 결과 고체의 경우 전체 96개의 사례 중 54개(56.3%)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학생들의 발달 특성에 맞게 가장 많고 다양한 사례가 제시된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 다음으로 생물, 액체, 기타 물체 및 물질, 기체 순이었다. 혼합물의 사례를 분석하여 추출된 96개의 키워드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이들의 구조와 상호관계를 도식화하였고, 각키워드가 서로 혼합물의 사례로 관련성을 갖는 연결을 분석하였다. 교사는 교과서에 제시된 복잡한 혼합물의 분리 사례를 부분적이었지만 바르게 이해한 경우가 있었으나, 학생의 경우 대부분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설문으로 제시한 7개의 분리 사례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개념 이해를 분석한 결과 혼합물의 분리에 대한 명확한 개념 이해를 바탕으로 한 것이 아니라 개별 사례의 특성별로 다르게 응답하는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다소 추상적일 수 있는 혼합물의 분리 개념을 학생이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교육과정과 학습자의 특성에 맞게 보다 명확한 사례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amples presented in the “Separation of Mixtures” section of the 2015 revised science authorized textbook introduced in elementary schools in 2022 and to see how the teachers and students understand the concept. To do that, 96 keywords were extracted through three cleansing processes to separate the elements of the mixture presented in the textbook. In order to analyze the teachers’ perceptions, 32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do received responses to a survey, and a survey of 92 fourth graders who learned the separation of the mixture with an authorized textbook in 2022 was used for the analysis. As a result, as for the solids, 54 out of 96 separations (56.3%) showed the highest ratio, and the largest number of cases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 stage of students. It was followed by living things, liquids, other objects and substances, and gasses. By analyzing the mixture, the structure and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 96 extracted keywords were systematized through the network analysis,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keywords, which were a part of the mixture was analyzed. The teachers partially responded to the separation of the complex mixture presented in the textbook, but most of the students did not recognize it. Because the analysis of the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seven separate categories presented in the survey was not based on a clear conceptual perception of the separation of the mixture, but rather they tended to respond differently for each characteristic of each individual category, it was decided that it was necessary to present clearer examples of the separation of the mixture, so that the students could better understand the concept of separation of mixtures that could be somewhat abstract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2015 개정 과학과 검정 교과서 선정 경험 분석

        채희인,노석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3 초등과학교육 Vol.42 No.1

        This study aims to present implications for the appropriat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a scienceauthorized textbook system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selecting science-authorized textbooks and analyzing the perception of teachers. Toward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s with f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cience textbook selection process, surveys on 32 teachers, and analysis on the authors of the textbooks. The result demonstrated, first, that the “opinion gathering” stage was the most important one, and a council was formed in consideration of career and major. Moreover, the evaluation standard was reorganized and us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school. Second, in the process of opinion gathering, the teachers used a method for reviewing the entire textbook for each teacher. Inquiry activities and textbook composition (readability) were crucially considered as internal factors,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such as videos, were deemed extremely important as external factors. The variable of the author, which is an indicator of the reliability and expertise of textbooks, was also recognized as vital. Third, the deliberation by the School Committee and the report by the principal were recognized as the administrative final step after selection. Finally, selecting the most suitable textbooks for each grade group was recognized as more important than arbitrarily unifying textbooks for the third and fourth grades and for the fifth and sixth grades. 본 연구는 과학과 검정 교과서를 선정하는 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선정 주체인 교사의 인식분석을 통해 과학과 검정 교과서 체제가 바르게 정착되고 발전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과 검정 교과서 선정 과정에 참여한 초등학교 교사 5명과 내러티브 면담을 진행하고, 32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제기된 교과서의 저자에 관한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사들은 ‘의견수렴’ 단계가 가장 중요하다고 이야기하였으며, 경력과 전공을 고려하여 과학 교과서 선정협의회를 구성하였고, 학교의 상황에 맞게 평가기준표를 재구성하여 활용하고 있었다. 둘째, 의견수렴 과정에서 교사별로 과학 교과서 전체를 검토하는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내적 요소로 탐구 활동과 교과서 구성을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외적 요소로는 동영상과 같은 교수⋅학습자료가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었다고 이야기하였으며, 교과서의 신뢰성과 전문성의 지표인 저자와 관련된 부분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셋째, 학교운영위원회 심의 및 학교장 보고의 경우 선정 이후 진행하는 행정적인 마무리 단계로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3∼4학년군 교과서와 5∼6학년군 교과서를 임의로 통일하는 것 보다 학년군별로 가장 적합한 교과서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 KCI등재

        핀란드의 핵심역량교육 연구 동향 : 초등과학교육 중심의 분석

        채희인,노석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5 교과교육학연구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core competency education in Finland and to implicate the elementary Science core Competency Education(SCE) in Korea.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selected various articles and reports on core competency education in Finland. And this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network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inland has the starting point of the future change and they set up a goal of the change in education. Second, ‘learning to lear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lifelong learning’ were key concepts in core competency education. Third, Subjects scrapped and replaced with ‘topic’ as country reforms its education system. Fourth, The co-occurrence matrix was established and network analysis was carried out. As a results, the network map built up with core hubs such as ‘competency’, ‘qualification’, ‘education’ and ‘communi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really need a rethinking of education and redesigning of our science education system. 본 연구는 핀란드의 핵심역량교육 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초등학교 과학핵심역량교육(SCE)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핀란드의 핵심역량교육에 대한 다양한 논문과 보고서를 선정하여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빈도 분석과 같은 산술적인 분석방법 보다 더 심층적인 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의 과정에서 KrTitle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키워드 사이의 매트릭스를 추출하고, UcNet과 NetDraw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시각화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핀란드는 국가적인 노력을 통하여 미래 사회의 변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것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서 국가의 미래 발전과 학생들이 성인이 되어 미래 사회를 영위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 개혁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핀란드에서는 ‘배움중심수업(Learning to learn)’, ‘의사소통능력(Communication competence)’, ‘평생학습(Lifelong learning)’을 핵심역량교육의 중요한 요소로 설정하였다. 셋째, ‘교과목(Subject)’ 중심의 교육체제에서 ‘주제(Topic)’ 중심의 교육체제로의 교육 개혁을 실시하고 있었다. 넷째, 핀란드의 핵심역량교육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역량(Competency)’, ‘자격(Qualification)’, ‘교육(Education)’ 그리고 ‘의사소통(Communication)’ 등은 연결 중심성이 높은 키워드였다. 따라서 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초등학교 과학핵심역량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검정 교과서의 과학핵심역량(ScC) 반영 실태 및 교사와 학생의 인식

        채희인,노석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2 초등과학교육 Vol.41 No.2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implications of the efficient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of science core competency (ScC) education by examining the state of science core competencies derived from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analyzing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To this end, this paper investigated the reality of reflecting the science core competencies of science textbooks in a group of third and fourth graders from seven elementary schools who passed the test.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qualification textbook selection, and 156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to determine their perceptions of science core competencies. Findings showed that, first, 1,586 science core competencies were reflected throughout the textbooks, with an average of 227 per textbook and biology being the most salient area. Second, teachers did not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previous inquiry activities in textbooks and ScC education. Thir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perceptions of male and female students on science core competencies, the highest average of perceptions being those of scientific thinking ability. From these results, this study concluded that for ScC education to be realized as a curriculum, textbooks must be organiz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core competency education, implementing practical changes, and efforts must be directed toward changing the perceptions of individuals who deliver education. 본 연구는 2015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부터 도입된 과학핵심역량이 검정 교과서에 반영된실태를 분석하고,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과학핵심역량교육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시행에시사점을 주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검정을 통과한 7종의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교과서의 과학핵심역량 반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검정 교과서 선정과정에 참여한 초등학교 교사 네 명과 심층 면담을진행하고, 초등학교 3∼4학년 156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핵심역량에 대한 교사와학생의 인식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교과서 전체에 1586개의 과학핵심역량이 반영되어 있었으며, 역량별 반영 비율을 살펴보면 탐구 > 사고 > 의사소통 > 문제해결 > 참여 순이었다. 교과서별로 평균 227개를 반영하고 있었으며, 영역별로 살펴보면 생물 영역이 가장 많았다. 둘째, 교사들은 이전의과학교육과 과학핵심역량교육의 차이를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 셋째, 과학핵심역량에 대한 남학생과 여학생의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과학적 사고력에 대한 인식의 평균이 가장 높게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과학핵심역량교육이 실현된 교육과정으로 정착되기 위하여 교과서가 핵심역량교육의 취지에 맞게 구성되어 실제적인 변화를 추구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을 실행하는 구성원들의 인식을 전환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 KCI등재

        초등학교 과학과 검정 교과서의 과학핵심역량(ScC) 반영 실태 및 학생의 인식: 5∼6학년군 교과서를 중심으로

        채희인,노석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교육논총 Vol.43 No.2

        To assess whether the revised 5th and 6th-grade 2015 science-authorized textbooks had been appropriately developed to improve science core competencies (ScC), this study analyzed the textbook competencies and the student perceptions of these competencies. The 5th and 6th-grade ScC in the inquiry activities were analyzed by publisher and domain, the sub-element rankings were analyzed, and the science core competencies (ScC) perceptions were assessed by 246 5th and 6th graders. Prior research data were integrated to analyze the core competencies in all 3rd–6th-grade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and the perceptions of 402 3rd–6th-grade students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ere 2272 ScC presented in the first 2015 revised science-authorized textbook for 5th and 6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average of the 5th and 6th-grade perceptions for the science core competencies (ScC) was 3.08, and the scientific participation and lifelong learning competencies were the highest. The analysis of prior 3rd–6th-grade elementary school research data revealed that there were 3858 ScC.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guidance on the need to consider students' characteristics when improving ScC in the revised 2022 science-authorized textbook development process.

      • KCI등재

        양성평등의 관점에서 살펴본 2015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3∼4학년군 검정 교과서의 과학자 제시 실태 및 교사의 인식

        채희인,노석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2 초등과학교육 Vol.41 No.4

        본 연구는 학생들의 바람직한 성 역할 인식과 가치관 형성을 위하여 2015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3∼4 학년군 검정 교과서의 과학자 제시 실태를 양성평등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학교 교육 현장에 적용될 2015 초등학교 과학과 5∼6학년군 검정 교과서와 새롭게 적용될 2022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검정 교과서 개발에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22년에 초등학교 3∼4학년군에 처음 적용된 초등학교 과학과 검정 교과서 7종에 포함되어 있는 과학자의 성별 제시 실태를 분석하고,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현직 초등학교 부장교사 3인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32명의 교사에게 본 연구와 관련한 설문의 응답을 받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과서에 제시된 전체 23명의 과학자 중 여성 과학자는 3명(13.0%)이었고, 단원별로 살펴보면 탐구 단원에 10명(43.5%)의 과학자가 제시되어 있어서 비율이 가장 높았다.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자의 성비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남성 과학자에 비하여 여성 과학자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고, 교직 기간 중 여성 과학자와 관련된 지도 경험이 없거나 매우 적었다. 또한 교사의 성별에 따라 교과서의 과학자 제시 비율 개선에 대한 인식이 상당히 다른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 제작 과정에서 과학자의 성비와 관련하여 집필진 및 사회구성원의 합의가 필요하고, 교과서의 경우 공교육 제도 내에서 사용되는 교재이기 때문에 보다양성평등적인 측면에서 기존에 잘 알려지지 않은 과학자들의 업적을 발굴하고 소개하는 것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 KCI등재

        범교과적 핵심역량과 과학핵심역량의 개념적 정의에 대한 국내외 연구 동향의 네트워크적 분석

        채희인(Chae Hee In),노석구(Noh Suk G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7

        본 연구는 미래 사회에서 학생들의 성공적 삶과 사회의 발전에 필수적으로 요구 되는 핵심역량교육의 개념적 정의에 대한 국내외 연구를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활 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범교과적 핵심역량의 정의에 대한 81개의 키워드 를 추출하였으며, 키워드 사이에 1478개의 연결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핵심역량, 능력, 지식, 기술, 개인, 태도, 학습 등의 키워드들은 연결 중심성이 높은 것으로 파 악되었다. 둘째, 핵심역량의 학습 가능성에 대한 공통된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발현되는 핵심역량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었다. 셋째, DeSeCo Project 이후 핵심역량에 대한 연구가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진행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과학핵심역량의 경우 과학적 지식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단순히 탈맥락적인 지식이 아닌 맥락과 문제 상황에서 발현되는 지식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과학핵심역 량교육의 개념적인 기초를 확립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ceptual definition in Cross-Curricular and Science core Competency Education. For this, we selected 47 articles and reports about concept of core competency and we used the network key words analysis program(KrKwic, KrTitle, UciNet and NetDraw).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e found out 81 key words and 1478 links. Second, after the DeSeCo Project, the key words and links was increased. Third, the contextual scientific knowledge was highlighted in science core competency.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that the introduction of Science core Competency Education(SCE) should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core concepts of science subject and cross-curriculum.

      • KCI등재

        인심도심상대설(人心道心相對說)과 율곡의 인심청명어도심설(人心聽命於道心說) -리기관(理氣觀)과 인심도심관(人心道心觀)의 관계를 중심으로-

        채희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2 泰東古典硏究 Vol.48 No.-

        Yulgok’s theory of ‘Li-Chi(理氣)’, ‘Xīnxìng(心性)’, ‘Rénxīn Dàoxīn(人心道心)’ is consistent. Yulgok’s Li-chi theory never violate the principle of Chu Hsi’s “Li-chi inseparable, immiscible”(‘理氣不相離, 不相雜’). In the real world, It cannot be said that Li(理) and Chi(氣) have a before and after in time and they don't separate or meet spatially. If the Yulgok’s view of the ‘Li-Chi’ is consistently maintained, the claim that the view of the ‘Rénxīn Dàoxīn face each other (人心道心相對說)’ at the age of 37 changed to a ‘theory that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énxīn and Dàoxīn(人心道心對待說)’ at the age of 47 should be reconsidered. If Sì duān(四端) and Qī qíng(七情) focuses on elucidating the structure of the Mind, the theory of “Rénxīn Dàoxīn(人心道心)” goes one step further here and focuses on the practical execution of the Mind. Yulgok’s theory of ‘Rénxīn should follow Dàoxīn(人心聽命於道心說)’ came out based on this. Here we can find the proactive and spontaneous power of the Yulgok. 율곡에게 리기론, 심성론, 인심도심론은 일관된다. 율곡의 리기관은 주희가 천명한 ‘리기불상리불상잡(理氣不相離不相雜)’의 원칙을 한 치도 벗어나지 않는다. 현실 세계에서 리와 기는 시간적으로 선(先)과 후(後)를 말할 수 없고, 공간적으로 떨어지거나 합하는 것이 없다. 율곡의 리기관이 일관되게 유지되고 있다면 율곡의 인심도심관이 37세에 상대종시설을 따르다가 47세에야 인심도심대대설로 만년정론이 확정된다는 주장은 재고되어야 한다. 이전의 사단칠정론이 심의 구조를 해명하는 데 치중했다면 율곡의 인심도심론은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심의 실천적 실행력에 관심을 둔다. 율곡의 ‘인심청명어도심설(人心聽命於道心說)’은 이와 같은 맥락에서 나온 것이라 생각한다. 여기에서 율곡학의 주동적이고 자발적인 힘을 찾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