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 역사시의 정의와 그 유형 분석 - 힝크와 트릴케의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

        채연숙 ( Chae Yonsuk ) 한국헤세학회 2015 헤세연구 Vol.34 No.-

        Die vorliegende Arbeit beschäftigt sich mit der Begriffsbestimmung der deutschen Geschichtslyrik, die im Vergleich zu dem historischen Roman oder dem Geschichtsdrama noch nicht geklärt wurde. Trotzdem gibt es bereits seit dem 19. Jahrhundert viele Verwendungen ähnlicher Begriffe, wie z. B. historische Anthologien, historische Lyrik usw. Daher stützt sich die vorliegende Arbeit auf die Begriffsbestimmungen Walter Hincks und geht davon aus, dass sich die Geschichtslyrik mit den Themen beschäftigt, die eindeutig im Zusammenhang mit in der Vergangenheit liegenden Inhalten stehen. Von dieser engen Definition ausgehend unterscheidet Peer Trilcke zwei Typen von Geschichtslyrik. Mit Trilcke lässt sich zusammenfassend sagen, dass es sich bei Geschichtslyrik entweder “um Gedichte handelt, in denen eine dem Produktionszeitpunkt temporal vorgängige Geschehensebene etabliert wird, auf der Elemente angesiedelt sind, die von einer bestimmten kulturellen Gruppe in einer kollektiven Vergangenheit verortet werden; oder es handelt sich um Zeitgeschichtsgedichte, die ein temporal nahezu nicht distanziertes Geschehen auf eine Weise behandeln, die diesem Geschehen eine historische Bedeutung zuspricht.” An dieser Stelle wird deutlich, dass sich Geschichtslyrik gemäß verschiedener Schreibarten und Gattungsformen kategorisieren lässt.

      • 애상 기억과 ‘행위자’로서의 사물들 - W. G. 제발트의 소설, 『이민자들 Die Ausgewanderten』(1994)에서 쎌윈 박사를 중심으로

        채연숙(Yonsuk Chae) 대한문학치료학회 2023 대한문학치료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인간 삶 속에서 비인간, 즉 사물들이 행위할 수 있는가 하는 질문에서 시작하며 사물들이 행위할 수 있다면 어느 범위 내에서 행위할 수 있는가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분석의 대상은 제발트의 소설 『이민자들』에서 쎌윈 박사이며 그를 둘러싼 사물들이 어떻게 행위자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특히 이러한 사물들은 쎌윈 박사에게 서사 속 인간 인물들이 주지 못하는 위로를 주고 있다고 보고 이를 브루노 라투르의 ANT 이론에 적용하여 읽어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3가지로 정리할 수 있겠다. 첫째, 사물들은 행위자로서의 기능을 하되 이는 쎌윈 박사의 삶의 활력과 비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쎌윈 박사 주변에는 다양한 사물들이 존재하는데, 여기에는 그의 야생정원에 자생적으로 살아남은 식물과 야채들, 그리고 사진과 나무들을 들 수 있다. 셋째, 사물들 외에도 쎌윈 박사를 둘러싼 인간 인물들, 그의 아내 헤디, 네겔리, 아일린, 화자와 클라라, 엘리스 등은 그와는 이미 먼 거리를 두고 살고 있거나 이 세상에 없는 망자들이라는 점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비인간인 사물들이 쎌윈 박사의 일상적 삶 속에서 의미하는 바는 자못 크고 충분히 행위자로서의 주요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았다. 그 밖에도 본 고에서는 쎌윈 박사의 기억 구조를 시문학에서 종종 찾아볼 수 있는 ‘아픈 기억’으로 간주하여 애상 기억으로 보았으며, 이에 대한 근거로 쎌윈 박사의 향수병, 즉 ‘시대적 상흔’으로 읽고자 하였다. 그러나 아쉽게도 쎌윈 박사의 주변을 둘러싼 인간과 비인간들(여기서는 사물들)은 제각각 삶의 활기를 잃어감으로써 개별 행위자로서는 물론 위로자로서의 상호 행위적 관계에서도 삶의 체념, 혹은 상실로 마감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자살 예방 예비 프로그램이 공감 능력과 반추에 미치는 효과: 독일 및 러시아 문학작품을 중심으로

        채연숙(Chae, Yonsuk),윤영순(Yoon, Youngsun),김춘경(Kim, Choonkyung),조민규(Cho, Minkyu) 한국독서치료학회 2021 독서치료연구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독일 및 러시아 문학작품 기반 자살 위험성 예방 예비 프로그램이 공감 능력과 반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검증은 00 대학생 32명을 대상으로 예비 프로그램에 참여 집단 16명과 비참여 집단으로 구분하여 진행되었다. 측정 도구는 공감 능력 척도와 반추 척도이며, SPSS 18.0을 활용한 공분산분석을 통해 효과성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독일문학을 활용한 예비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높은 수준의 공감 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독일문학을 활용한 예비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낮은 수준의 침습적 반추와 더 높은 수준의 의도적 반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러시아문학을 활용한 예비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공감 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러시아문학을 활용한 예비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더 낮은 수준의 침습적 반추와 더 높은 수준의 의도적 반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문학작품 기반 독서 및 글쓰기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대학생의 공감 능력과 반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검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empathic ability and rumination in the preliminary program for suicide-risk prevention based on the German and Russian literary works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This preliminary program is based on the readings of German and Russian literary works which were used to form the basic framework of the suicide-risk prevention program. This program divided university undergraduate students into two groups selecting 16 undergraduates to participate in the preliminary program and 32 undergraduates in a non-participating group. Measurement tools in this study included the empathic ability scale and the rumination scale. To prove effectiveness, an F-test analysis of applying SPSS was us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the nonparticipation group, the participation group in the preliminary program using the German literature appeared to express higher levels of empathic ability. Second, in comparison to the nonparticipation group, the participation group in the preliminary program using the German literature indicated lower levels of intrusive rumination and higher levels of deliberate rumination. Third, compared to the nonparticipation group, the participation group in the preliminary program using the Russian literature was seen to represent higher levels of empathic ability. Fourth, in comparison to the nonparticipation group, the participation group in the preliminary program using the Russian literature appeared to reflect lower levels of intrusive rumination and higher levels of deliberate rumination. This study implemented the reading & writing program based on literary works, thereby inferring that the program’s use of high-quality classical literature may have a positive influence upon empathic ability and rumination in university students. Finally, some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attached aiming at the application of follow-up research and programs related to suicide prevention.

      • KCI등재

        위로의 의미읽기와 문학치료- 영화, 〈그녀에게 Hable con ella〉를 중심으로

        채연숙(Chae, Yonsu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2 외국문학연구 Vol.- No.48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위로를 필요로 하지 않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이것은 우리 삶에서는 물론 문학 텍스트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특히 나날이 심각성을 더해 가는 미래에 대한 불안이나 상실감으로 점철된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위로는 고난을 헤쳐 나가는 힘이 되기도 삶을 살아가는 원동력이 되기도 한다. 이처럼 위로를 줄 수 있는 힘은 격려의 말 Zu-spruch과 위로의 말 Trost-spruch을 통해서도 가능하겠지만 문학치료의 주요 매체이자 주요 동인이라 할 수 있는 ‘형상화된 언어 gestaltete Sprache’, ‘쓰여진 언어 Geschriebenes Wort’를 통해서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영화, 〈그녀에게 Hable con ella〉에서 인물들이 구사하는 위로 Spruch의 말과 행동이 주변 사람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영화장면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일어나는 일련의 변화를 문학 치료적 실천이라 규정하고, 그것이 갖는 문학 치유적 의미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 영화에서는 인물 한 사람 한 사람이 상대방에게 위로의 말을 건네는 장면이 자주 등장하는 데, 그러한 위로의 말이 상대에게 치유적 반향 Resource을 줄 수 있다는 점, 그리고 그러한 말이 위로를 하는 사람에게도 동시에 치유적인 요인으로 상호 작용하고 있다고 보았다. 그런 맥락에서 보아 문학치료 과정에서 목도되는 참여자들의 모든 언어적ㆍ비언어적 행위들은 일종의 위로 행위로 본다. 가령 위로 행위를 통해서 참여자 스스로는 물론 다른 참여자들도 자신의 과거와 화해를 하고 새로운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위로는 결국 상대방과의 공감을 통해 가능하다. 그 외에도 본 논문에서는 위로를 표현하는 다매체적 예술 장르들(여기서는 무용극, 음악, ‘영화 속의 영화’, 문학, 춤 등)과 상호 매체적 기법이 영화 텍스트 내에서 교차적으로 사용이 되고 있는 것은 문학치료학의 이론적 토대인 “창의적인 인간학”에 의거한 긍정의 의미가 기저하고 있는 것과 맥을 같이 한다고 본다. 또한 이것이 본 논문에서는 위로의 의미가 문학치료와 만나는 접점으로 보았다. From the movie in which two stories are running parallel, the characters console each other for their misfortune and sorrow, and it creates the effect of feeling alive. Reviewing their personalities and psychological analyses, those dramatized characters are interpreted through not only their inherent alter egos but also the compensation of their inner pain. Therefore the characters could be a metaphor which represents the overall crisis of our contemporaries face. In other words, they demonstrate the contemporary post-moderns who cannot receive requests and orders of the current society, and live independently. As mentioned above, from the feedback in therapeutic literature sessions to the life energy they generate, these characters reveal the various consolation figures simultaneously. Especially from ballet scenes and gestures in the middle of the movie which represents Begnino’s inner aspiration, we could find that those are equivalent to cross media technology based on an integrated art therapy. Such therapy is used in therapeutic literature. It must be pointed out that multi-media arts and cross media technology are in collusion with the positive film aesthetics, “Creative Anthropology”, which is a base for therapeutic literature. Furthermore, those characters’ own ways of consolation have the tendency to create literature figures, and also have the therapeutic factors to achieve success in contextualization with the reality of the audience. It is a meaning of consolation in the therapeutic literature, and could also affect the participants in literature therapy sessions. Therefore, the beneficiaries of these consolation words and actions are not only the counterpart characters in the movie, but also the audience of the movie.

      • KCI등재

        독일어권 문학에서 생존 예술로서의 반추 행위와 주의 분산 행위 읽기 - 아르투어 슈니츨러의 단편에 나타난 인물들을 중심으로

        채연숙 ( Chae Yonsuk ) 한국독일어문학회 2019 독일어문학 Vol.86 No.-

        본고는 인간의 사유 행위가 삶을 개선한다거나 성찰하는데 있어서 긍정적으로 작동하는 측면도 있지만 지나칠 경우 우울이나 자기 비하와 같은 부정적인 면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입장에 주목을 하였다. 이것이 독일어권 문학, 즉 아르투어 슈니츨러의 단편에서의 작중 인물들에서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본고에서는 슈니츨러의 인물들이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 행하는 기억 작업, 즉 이들 인물들에게 반추행위가 궁극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반추 행위가 어떠한 상황에서 일어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반추 행위를 인물들의 생존 예술 Lebenskunst 내지는 생존 전략 Lebensstrategien으로 간주하여 이것이 삶을 체념하기 위한 것인지 아니면 삶을 영위하기 위한 것인지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가령 본고에서는 체념이나 절망과 같은 상황의 근본 원인을 이들 인물들의 부모와의 애착 관계에서 찾아 이를 반추 행위(프란츠와 엘제의 경우)로 보았으며, 반면 반추 행위를 하는 가운데서도 가족과의 긍정적인 애착관계가 적절히 작동함으로써 최악의 상황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환하거나 변화로 이끄는 것을 주의 분산행위(엠마의 경우)로 보았다. 그 외에도 본 연구에서는 주제와 관련된 인물들을 분석하여 이들의 반추행위를 살펴보고 이것이 삶과 죽음의 결정 및 경계에서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In der westlichen Kultur wurde das Denken insbesondere seit Descartes hochgeschätzt. Doch es gab und gibt auch kritische Stimmen, die auf negative Aspekte des menschlichen Denkens hinweisen. Daher untersucht diese Studie, wie solche Ruminationen, grublerische Wiederholungen von Gedanken, von den Figuren des österreichischen Schriftstellers Arthur Schnitzlers reproduziert werden. Beispielsweise beeinflusst die Spielsucht seines Vaters den kleinen Franz in der Novelle Reichtum in hohem Maße. In einer anderen Schnitzler-Novelle, Fräulein Else, gerät die Hauptfigur in eine Situation, in der sie entweder etwas zutiefst Beschämendes tun muss oder ihrem Vater keine finanzielle Hilfe zuteilwerden lassen kann. Ihr langer Monolog ist von diesem Zwiespalt geprägt - ihn prägen exzessive Ruminationen der Ausweglosigkeit. Übehaupt sind Gedankengänge in Form von Ruminationen eine Art destruktive Lebensstrategie fur Else. Das obsessive Grubeln lässt sich sogar fur ihren Tod verantwortlich machen. Die Schnitzlerschen Figuren Franz und Else belastet also beide eine starke Abhängigkeit von ihren Vätern. Der Stress, der daraus resultiert, wirkt schließlich sowohl körperlich als auch psychisch zerstörerisch. Eine feste Bindung an die Eltern, insbesondere an die Väter, entsprach den Konventionen der damaligen Zeit; es war keine selbstbestimmte Freiheit erlaubt. Das ist grundsätzlich anders als in heutigen Gesellschaften, wo man dem Psychotherapeuten und Kommunikationswissenschaftler Paul Wazlawick in seiner ironisch zugespitzten Aussage zustimmen möchte, dass „man in der Wahl seiner Eltern nicht vorsichtig genug sein kann“. Es gibt noch eine andere Art der Rumination, die man als Distraktion, also Ablenkung, bezeichnen kann. Damit lässt sich die Figur Emma aus der Erzählung Die Toten schweigen in Verbindung bringen. Emma verheimlicht ihrem Ehemann fur lange Zeit, dass sie einen anderen Mann trifft. Bei einer gemeinsamen Kutschfahrt stirbt dieser durch einen Unfall und Emma flieht vom Ort des Geschehens, damit ihr Ehebruch unbemerkt bleibt. An dieser Stelle des Textes verändert sich die Erzählweise hin zu einem dominanten inneren Monolog und es wird deutlich, dass die Rumination Emma hilft, sich von ihrem Geliebten zu distanzieren. Die ablenkende Wirkung des Grubelns fuhrt schließlich sogar dazu, dass Emma gewissermaßen verdrängen kann, die ehelichen Bande verraten zu haben. Die Sicherheit der Ehe erscheint ihr so groß, dass sie ihrem Mann alles mitteilen möchte - uberraschenderweise offenbar ohne mit größeren Konsequenzen zu rechnen.

      • KCI등재

        소설 속의 시 텍스트 읽기 - 칼 필립 모리츠의 소설 『안톤 라이저』를 중심으로

        채연숙 ( Chae Yonsuk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7 獨逸文學 Vol.58 No.1

        본 연구는 칼 필립 모리츠의 소설 『안톤 라이저』 속에 삽입된 시 텍스트에 주목을 한 바, 전통적으로 시라는 장르가 가진 서정성 및 주관성을 넘어 `미시적 서사 micro narrative`를 담고 있다는 데 착안하여 이루어졌다. 다시 말해 주인공 안톤이 자작한 시 텍스트들이 소설 속 자신의 성장 서사와 교차하고 있다고 본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안톤이 소설 속에 삽입한 시 텍스트들은 독일 낭만주의문학 전통이 보였던 글쓰기 방식의 또 다른 변주로 간주될 수 있다. 왜냐하면 당대 작가들이 소설 속에 다양한 장르들을 혼융하여 사용한 형식으로 본 소설을 간주하고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둘째, 이는 최근 서사학 Narratologie에서 주목하고 있는 시와 서사의 탈장르적 관점을 호응해주는 결과로써, 소설 속의 시 텍스트들은 그 자체적으로는 시대를 넘어 시적 메시지의 보편성을 담보하는 것은 물론 또한 이러한 형식은 서사 구성의 주요 요소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소설 속 시 텍스트들은 서사 속 주인공의 정신적·정서적 갈등을 해결해주는 주요 동인이자 성장과정으로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In der vorliegenden Arbeit gehe ich davon aus, nach den Funktionen und Rollen der lyrischen Texte, die in dem Roman Karl Philipp Moritzs Anton Reiser vorkommen, zu suchen. Neulich gab es einige Beobachtungen, wobei man es gleich merken konnte, dass man auch bei der Lyrik etwas Neues einbringen soll. Sei es eine Erweiterung durch die Erzahltheorie, wie Eva Muller uns vorstellt. Sei es auch eine andere Richtung mit der Narrativtheorie, wodurch man irgendein `micro-Narrative` herausfinden kann. Das heisst, lyrische Texte stehen meist im Kontext der weiteren Narrativen des Romans. Deshalb kann man sie einfach mit der Handlung eingebettet weiter lesen und dadurch die in den lyrischen Texten einbetteten Handlungen automatisch verstehen. Wie es in den lyrischen Texten zu beobachten ist, schlagt ihm das dichterische Wort nicht nur die Brucke zur Lebenskraft, sondern wird auch zum Schutzraum fur die eigene Existenz. Dies setzt sich in einer nach innen gerichteten Schreibtradition von Moritz und Goethe, uber Keller und Storm bis hin zu Rilke und sogar Kafka in die Moderne der deutschen Literatur fort.

      • KCI등재

        독일역사시 전통 새로 읽기 - 쉴러의 시, 「종의 노래 Das Lied von der Glocke」(1799)를 사례로

        채연숙 ( Chae Yonsuk ) 한국뷔히너학회 2017 뷔히너와 현대문학 Vol.0 No.48

        Die vorliegende Arbeit versucht die deutsche Geschichtslyrik aus einer anderen Sicht zu lesen, und zwar aus Sicht der Opfer wie Walter Hinck es betonte. Außerdem geht diese Arbeit auf eine genealogische Entwicklung der Geschichtslyrik von Schiller bis in die Moderne ein. Als ein Beispiel dafur wird hier das Gedicht Das Lied von der Glocke (1799) von Friedrich Schiller genommen, welches von den Lyrik forschen meist als ein konservatives Gedicht angesehen wurde. Hier soll nun analysiert werden, wie Schiller in seinem Gedicht seinerzeit die Burger und die Franzosische Revolution aus einer anderen Perspektive gezeigt hat. Um die genealogische Tradition der Geschichtslyrik zu analysieren wird auch auf Lyriktexte von Goethe, Heine, Jandl und Enzensberger eingegangen, deren “Gegenstand Themen bzw. Vorgange der Geschichte - auch aus der Epoche der Mitlebenden, der Zeitgeschichte - sind” und deren inhaltliche Merkmale, einen spezifischen Gegenstand aufweisen. Bei dem Gedicht Goethes An Werther (1824) lasst sich zusammenfassend sagen, dass es sich hier um eine besondere Ausdrucksform von Geschichtslyrik handelt, wobei es im Kontext von Goethes spatem `Sich-Selbst-Historisch-Werden` zu lesen ist. In Heines Gedicht Die Schlesischen Weber(1844) findet man, dass er sich immer mehr mit den realen Lyrikstoffen der Arbeiter beschaftigt, wobei man sich dabei leicht das Lebensumfeld der Massen bildlich vorstellen kann. Gedichte werden bei ihm zu einem Verhullungsmedium der Realitat. Dieses Charakteristikum wird bei den modernen Dichtern wie z. B. bei Jandl und Enzensberger noch deutlich konsequenter sichtbar als bei Schiller oder Goethe. Jandl beschreibt in seinem Gedicht, markierung einer wende (1985), den Zeitraum, in welchem der Krieg vorbeigeht. Enzensberger widmet sich auch der Tragodie der Titanic in seinem Gedicht, Der Untergang der Titanic. Eine Komodie (1978), wobei nur die armen Menschen zuerst umkommen und dadurch als eine echte Komodie die reale Welt widerspiegelt. Als Beispieltext fur den anderen Fall der Geschichtslyrik wird hier auf einen Text Friedrich Schillers, Das Lied von der Glocke (1799), eingegangen, in welchem Schiller anders mit der Franzosischen Revolution umgeht und sich auf die Seite der Burger stellt. Hier wird erlautert, wie sich die deutsche Geschichtslyrik von Schiller, Goethe, Heine, Jandl und Enzensberger in verschiedenen Schreibformen und durch unterschiedliche Stoffe entwickelte. Aber was sie alle gemein haben, ist im Wesentlichen die Thematik `Geschichte im Gedicht`. Das ist das Charakteristikum der deutschen Geschichtslyrik, die sich auch durch eine Kontinuitat bis in die moderne Zeit hinein erweiterte, sowie es Goethe wohl meinte: `die hochste Lyrik sei entschieden historisch`.

      • KCI등재

        작가의 표상으로서 새로운 인간상 – 독일문학속의 인물들을 사례로

        채연숙(Yonsuk Chae)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3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인간은 재교육이 가능하다는 사실은 자명하다. 왜냐하면 인간 내면에는 인 간만이 가지는 고유의 참자아 Being/Dasein와 참양심 Deep Consience이 숨쉬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 은 또한 인간이 제 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공지능 및 로봇과는 차별화된 점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 구에서 필자가 여기서 주목을 하고자 하는 것은 최근 인공지능(AI)이나 로봇공학의 등장으로 21세기 인간의 역할과 기능에 관해 묻고 우리 인간이 이러한 인공 지능 및 로봇들과 어떻게 공존할 수 있을 까 하는 것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제4차 산업혁명이 초미의 관심사로 대두하 고 있는 학문의 흐름에 편승하여 독일문학에서의 새로운 인간상에 주목을 한 바 이를 칼 필립 모리 츠 Karl Philipp Moritz의 장편 소설, 『안톤 라이저 Anton Reiser』(1785)』와 헤세의 『페터 카멘친 트 Peter Camenzind』(1904)에서 찾아 제시하고자 한다. 새로운 인간상 모색과 관련하여 이 두 인물 들에서 찾은 특징들은 아래와 같이 3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 하에서 본 이 두 소설의 주인공들의 공통점은 아래와 같이 3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이들 주인공들은 각각의 삶을 기 록하고 있다. 예를 들어 안톤의 경우, 시라는 매체를 통해 자신의 삶을 기록하는가하면 페터의 경우, 자기 성장 및 발전을 위한 삶의 과정들을 여행일지라는 형식으로 남긴다. 이들 사이에서 더욱 흥미로 운 점은 이들 주인공 모두가 궁극적으로는 시인이 되는 것이 삶의 목표이자 꿈이다. 물론 이들의 꿈 은 실현되어 이 둘은 결국 자타가 인정하는 시인이 된다. 둘째, 이들은 모두 집을 떠나 자기만의 독 립적인 삶의 방식을 찾아간다는 점이다. 특히 안톤의 경우, 학교를 가기 위해 남의 집 생활을 하는 것은 물론 끼니를 굶어야할 정도로 힘든 생활을 하는가하면 페터의 경우도 갖은 고생 후에 결국 자 신의 길을 찾아가게 된다. 셋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자신의 고향(페터의 경우)으로 회귀하거나 살고 있는 지역사회를 위해 헌신하는 삶(안톤의 경우)을 선택한다는 점이다. 이는 이들이 고된 삶의 과정 속에서도 좌절하지 않고 궁극적으로는 이들의 삶의 터에서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가고 있는 열 린 인간상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Regardless of any age, it is obvious that a human being is available for re-education. That is because the human mind is being breathed Being/Dasein and Deep Conscience peculiar to a human being. This is also a human being s differentiation from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obot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ask about a human being s role and function in the 21st century due to the recent appearance of AI(artificial intelligence) or robot engineering as for a writer s attention here, and to examine how we humans will be able to coexist with these AI and robot. Hence, with paying attention to a new human image in German literature going along with a flow of the learning in whic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emerging as an urgent concern these days, this study aims to make a suggestion through seeking this in Karl Philipp Moritz s full-length novel 『Anton Reiser』(1785)』and Hesse s 『Peter Camenzind』(1904). In terms of pursuing a new human image, the characteristics, which were found in these two characters, can be arranged as the following 3 things. Under this context, a common ground in the main characters of these two novels can be arranged as the following 3 things. First, these leading characters are recording each one s life. For instance, Anton records own life through a medium dubbed a poem. On the other hand, Peter leaves the processes of a life for self-growth and development in the form of a travel diary. What is more interesting between these two is that both main characters have a goal and a dream of a life ultimately as becoming a poet. These characters dream is realized, of course. Thus, these two result in becoming a generally admitted poet. Second, both characters proceed with seeking their own method of independent life with leaving home. Especially, Anton makes a hard life enough to necessarily skipping meals as well as living in other person s house in order to go to school. On the other hand, even Peter comes to proceed with resulting in seeking own way following all kinds of hardships. Third, nevertheless, these characters select a life of returning to his hometown(in case of Peter) and or of devoting himself to community(Anton). This can be considered that these characters show an open human image of ultimately living with people in their livelihood without being frustrated even amidst the process of a tough life.

      • KCI등재

        통합문학치료 경험을 통한 자기성찰

        심지현(Jihyun Shim),채연숙(Yonsuk Chae)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5

        본 연구는 중년여성이 통합문학치료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지금까지 살아온 자신의 삶을 성찰하고, 중년 이후의 삶이 지금보다 더 나은 삶을 추구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B시 S구에 소재하는 도서관에서 진행되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년여성들 중에서 본 연구에 참여하고자 하는 중년여성 6명을 대상으로 통합문학치료 프로그램과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자료는 클랜디닌과 코넬리가 제시한 내러티브 연구절차를 따라 진행하였다. 자기성찰은 ‘자기영역 성찰(자기탐색, 자기이해)’과 ‘관계영역 성찰(타인탐색, 타인이해)’로 분류하여 성찰하였다. 자기를 성찰하는 과정에서 참여자는 자신의 생애를 전반적으로 살펴보는 텍스트를 통해 신체적․정신적․경제적․역할변화 등에 따른 문제에 직면했을 때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자기를 이해하는 방향이 ‘개인적 자기’와 ‘관계적 자기’ 중에서 어디에 중점을 두는지에 따라 자신을 이해하 는 방향이 다름을 알게 되었다. ‘자기영역 성찰’에서 다양한 모습의 자신을 볼 수 있었으며, ‘관계영역성찰’에서는 의미 있는 타인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자신과 타인과의 관계에 긍정적·부정적인 영향을 받았음을 알게 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help middle-aged women reflect on their lives for pursuing and leading a better and happier lives beyond their middle-aged years, through participation in an integrative literatherapy(ILT)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six middle-aged women who consen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mong participants in a program held at a library located in S district of B city.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ILT program and in-depth interviews. The study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narrative inquiry approach proposed by Clandinin and Connelly. Self-reflection was divided into the “self” (i.e., self-exploration and self-understanding) and “relational” domains (i.e., exploring others and understanding others). In reflecting on one’s self, the participants tried to understand themselves and others when confronted with problems associated with physical, mental, economic, and role changes, which was based on text that took an overall review of one’s lifetime.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also realized that the way of understanding one’s self differed depending on whether they focused on “individual self” or “relational self”. The participants viewed themselves in various ways in the “reflection in self domain”. Moreover, in the “reflection in relational domain”, they realized that their relationships with self and others were influenced both positively and negatively by examination of meaningful relationships with 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