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급별 부모애착, 교사애착, 또래애착과 학교적응 간 상관관계 메타분석

        채선화,김진숙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4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significance of correlation between attachment to parents․teachers․peers and school adjustment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conducted a meta-analysis with selected 79 papers published in Korea between 2012 and April of 2015. The result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number of the effect size is 1,821, with the largest effect size of .560 between teacher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among elementary students and the lowest mean effect size of .222 between peer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for high school students, showing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of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econdly, at all school levels, mean effect size was in the order of attachment to teachers, parents, and peers, with attachment to teachers being more important to school adjustment than attachment to parents and peers. Lastly, in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among the mean effect sizes according to school levels within attachment to each of the three attachment figures, the mean effect sizes were in the order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the area of attachment to parents and peers. However, in the area of attachment to teachers, the mean effect sizes were in the order of elementary, high, and middle school.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초․중․고등학생의 부모애착, 교사애착, 또래애착과 학교적응 간 상관관계의 유의성에 주목하고 2002년부터 2015년 4월까지 국내에서 진행된 개별연구 중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79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종합적으로 메타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출된 효과크기는 총 1,821개로 부모애착, 교사애착, 또래애착과 학교적응 간 상관관계 평균효과크기는 초등학생의 교사애착과 학교적응 간 상관관계 평균효과크기가 .560으로 가장 크게 나타났고, 고등학생의 또래애착과 학교적응 간 상관관계 평균효과크기가 .222인 것이 가장 작은 값이지만 중간효과크기(.25)에 근접한 것으로 모든 학교급에서 큰 효과크기에서 중간 효과크기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애착, 교사애착, 또래애착과 학교적응 간 상관관계 평균효과크기의 정도는 초․중․고 모두 교사애착, 부모애착, 또래애착의 순이었고, 아동․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부모애착이나 또래애착 이상으로 교사애착이 중요하게 나타났다. 셋째, 애착대상 별로 학교급에 따른 차이 분석에서는 부모애착, 또래애착과 학교적응 간 상관관계 평균효과크기 정도는 초․중․고 순으로, 교사애착과 학교적응 간 상관관계 평균효과크기 정도는 초․고․중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상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삶의 의미 관련 변인 메타분석

        채선화,김진숙 한국상담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삶의 의미와 이와 관련된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효과크기 정도를 확인하고, 이러한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인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 출간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중 삶의 의미와 관련된 87편의 연구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개의 삶의 의미 관련 변인군 중 효과크기가 가장 큰 변인군은 개인 관련 긍정변인군이었다. 다음으로 영성 및 공동체 의식 긍정변인군, 타인과의 관계 긍정변인군, 개인 관련 부정변인군 순으로 나타났다. 개별변인들 중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는 변인은 자기효능감, 성공적 노화, 자아존중감, 희망, 자아정체감, 소명의식, 우울, 그리고 영성이었다. 가족 지지, 특별 지지, 친구 지지, 사회적 지지, 봉사활동, 자기초월적 가치관은 큰 효과크기에 근접하였다. 둘째, 조절효과 분석에서 삶의 의미 척도와 연령이 일부 변인군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상담적 함의와 미래 연구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mean effect size of the relation between meaning in life and its related variables, and the effect of selected moderators on these relations. The results of this meta-analysis are as follows. Among the four groups of variables related to meaning in life, the self-related-positive group had the largest mean effect size, followed by the spirituality and sense of community-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positive, and self-related-negative variable groups. The individual variables with large effect sizes were self-efficacy, successful aging, self-esteem, hope, self-identity, a sense of calling, depression and spirituality. Family support, special support, peer support, social support, volunteering, and self-transcendent values also had effect sizes approaching the large level. According to the moderator effect analysis, scales and ages in some variable groups showed moderating effect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 KCI우수등재

        공공조직의 제약요인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관리적 네트워킹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채선화,고영준 한국정책학회 2023 韓國政策學會報 Vol.32 No.1

        Organizational constraints are considered one of the key factors nega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public administration studies. Many public management scholars have focused on constraints, but only limited research has been studied in the Asian context. This research examines the performance effect of organizational constraints - red tape and media salience - and the moderating impact of managerial networking behavior. Analysis of this study shows the negative impact of red tape on performance in Korean context as well. On the other hand, media salienc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outcomes. In our statistical test, the top manager’s managerial networking mitigates the negative impact of red tape, especially on management performance. However, the empirical tests foun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the moderating impact of managerial network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and perform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naging constraints is one of the core requirements for public managers. 조직이 마주하는 여러 제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것은 공공관리자의 핵심 능력 중 하나이다. 기존의 연구들은 관리자의 노력이 제약요인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할 수 있는 지에 대해 관심을 가졌다. 그러나 많은 연구들이 서양의 문화권을 중심으로 한 공공조직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한국의 공공조직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이 연구는 조직에게 제약으로 작용하는 레드테이프와 언론 주목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관리자의 네트워크 관리 행위가 이를 조절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레드테이프는 조직성과에 부정적이었고, 언론 주목도는 조직성과에 긍정적이었다. 조직성과를 조직관리와 사업관리로 구분하였을 때, 인식된 수준의 레드테이프는 조직관리에 대한 성과와 부정적으로 연계되었고, 언론 주목도는 사업관리 측면의 성과와 정(+)의 방향으로 관련되었다. 한편, 관리적 네트워킹의 조절효과는 레드테이프의 부정적 성과영향에 대해서만 나타났다. 이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관리적 네트워킹에 대한 대상의 특정성을 기준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협력적 거버넌스에서 공공관리자의 역할: 한국의 교육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채선화,나종민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22 行政論叢 Vol.60 No.4

        For several years, scholars have focused on collaboration between public organizations and citizens as co-producers. Academic and practitioner attention to collaborative governance has been spreading, but the role of public managers has not been empirically studied. Considering this vacant space in academic works, this research explores the effect of public top managers’ external managerial networking and the expectation of managers for organizational-level collaboration. In addition, contingency theory suggests there is a need to consider the constraints and factors of each organization and governance system. Therefore, the moderating effect of contingency is examined from the heterogeneity of service targets. As a result,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factors and organizational level collaboration in public education governance is confirmed, as is the moderating impact of contingency. To be specific, the diverse needs of education service users mitigate the positive link between managers’ efforts and collaboration in governance. This may show the need for the public top manager’s active role in improving citizen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and support that it is hard to maintain a “one size fits all” strategy in contemporary public service delivery. 최근 행정영역에서 주민참여 및 협력적 거버넌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의 교육거버넌스에서는 마을결합형학교 등 여러 정책들이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공공관리의 관점에서 관리자가 이끌어 낼 수 있는 조직 수준의 협력과 공동생산자의 참여에 대한 관심은 부족하였다. 특히, 직접적으로 협력과 관리요인을 살펴본 연구는 부재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필요성에 기반하여, 관리요인과 조직 수준의 협력 간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학교의 최고관리자인 교장이 공동생산자인 학부모에게 가지는 기대와 외부 네트워크 관리의 효과를 탐색하고 상황적 제약요인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교장의 기대와 외부 관리 시간 비중은 조직수준의 협력과 긍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육서비스 수혜자 집단의 이질성이 관리자의 기대와 노력의 긍정적 효과에 부(-)의 방향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이 같은 분석은 거버넌스에서 협력을 이끌어낼 수 있는 관리요인의 효과를 확인하고, 조직이 위치한 상황에 따라 그 효과가 다를 수 있다는 상황이론의 예측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 KCI우수등재

        관리적 네트워킹의 다방향성과 교육성과: 젠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채선화 ( Chae Seonhwa ),김인태 ( Kim Intae ) 한국행정학회 2021 韓國行政學報 Vol.55 No.1

        본 연구는 관리적 네트워킹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관리자의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최근 여성 고위관리자의 비율 증대는 정부의 주요 정책으로 추진되어 왔다. 그럼에도 고위 관리직의 성별 차이가 그들의 관리행태와 함께 어떤 차이를 나타낼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들은 미흡하였다. 이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이 연구는 먼저 최고관리자의 네트워킹 관리 방향을 대상에 따라 세분화하였다. 그리고 각 네트워킹에 대한 교육조직의 산출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관리자 성별의 조절효과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조직 외부, 공동생산자, 내부구성원에 대한 관리적 네트워킹은 성과에 다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부구성원을 제외한 대상과의 네트워킹에서 관리자 성별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적 맥락에서 획일적인 예산규정, 관리자들이 마주하게 되는 상이한 관리환경, 이해관계자의 기대 등에 기반하여 해석되었다. Recently, the Korean government has expected to increase the number of top female managers in the public sector, but there is little empirical research on managerial gender.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gendered networking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particular, we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veral directions of managerial networking behavior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using school data in Seoul. Empirical evidence shows that managerial gender moderates the impact of outward- and sideward-oriented managerial networking on educational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internally oriented networking is positively linked with educational performance regardless of the principal’s gender. These findings may be interpreted in the contexts of the uniformity of the ruling of budget regulations, the environment, and the expectations of stakeholders. Additionally, interaction theory supports the link between internally oriented networking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 KCI등재

        팬데믹 시기의 미디어에 대한 신뢰와 정책순응 - 정부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채선화 ( Seonhwa Chae ),이재용 ( Jaeyong Lee ) 한국정책학회 2023 韓國政策學會報 Vol.32 No.3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으로 시작된 팬데믹은 관련 정책 집행의 시급성을 높이면서, 시민의 자발적 정책순응도에 대한 중요성을 확인하게 하였다. 한편, 소셜미디어 등 뉴미디어를 통한 부정확한 정보의 확산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가적 보건 위기 상황에서 시민이 뉴미디어를 통해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정부의 대응정책에 대한 자발적 순응 정도를 다르게 할 수 있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정부에 대한 신뢰가 예측된 부정적 관계성을 완화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뉴미디어와 백신 관련 정책순응 사이에 부정적(-) 관계성이 확인되었고, 정부신뢰가 이를 완화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한국에서 정부가 뉴미디어에 대한 잠재적인 부정적 효과에 어떻게 대응할지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The COVID-19 pandemic requires the government to implement urgent public policies by the government, making it crucial to achieve a high level of voluntary policy compliance during a massive health crisis. Simultaneously, the dissemination of non-accurate information through online-based new media, including social networking sites (SNS), has fueled social issues.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using new media as the primary information source and voluntary compliance with COVID-19-related policies. Additionally, this research statistically tests the moderating effect of government trust.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with survey data collected from South Korea suggest the possibility of a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obtaining pandemic information from new media and voluntary compliance with government vaccine-related policies. Moreover, the statistical tests indicate that government trust might mitigate the adverse effects of using new media, including exposure to fake news. These results may imply that government trus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maintaining a high level of voluntary compliance of citizens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policies even if there are side effects of new me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