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폐수처리를 위한 미생물연료전지 시스템으로부터 수소 및 전기 생산

        채경 한국해양대 대학원 토목환경공학과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폐수처리를 위한 미생물연료전지 시스템으로부터 수소 및 전기 생산 Hydrogen and electricity production from MFC (microbial fuel cell) system for wastewater treatment 토목환경공학과 채경진 지도교수 송영채 미생물연료전지는 미생물 연료전지 (Microbial Fuel Cell)는 유기물에 저장된 생화학적 에너지를 전기화학적으로 활성을 가진 미생물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미생물이 이용할 수 있는 전자 공여체를 연료로 사용하며 연료를 산화시킬 때 발생하는 전자를 전자전달계로부터 미생물 외부의 전극으로 전달하여 전기를 생산한다. 본 논문에서는 식종미생물이 수소 및 전기 생산에 미치는 영향, 외부저항에 따른 전기 생산 특성을 알아보았고 연속식 미생물연료전지를 이용한 폐수처리효율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식종 미생물에 대한 전기 및 수소생산 효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혐기성소화슬러지(AnS), 열처리한 혐기성 소화슬러지(HT-AnS), 활성슬러지(AS)를 각각 식종하였다. 쿨롱효율 (coulomb efficiency)은 음극반응조에서 제거되는 유기물질이 전기로 전환되는 효율이다. 쿨롱 효율은 AS-MFC가 13.1%, AnS-MFC 46.6%, HT-AnS-MFC 쿨롱효율은 56.7%로 HT-AnS-MFC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집적된 수소 생산량은 Modified Gompertz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AS-MFC는 Glucose 1mol당 0.87mol의 수소가 생산되었다. HT-AnS-MFC는 glucose 1mol당 3.5mol의 수소가 생성되었다. 혐기성 발효의 이론적인 수소생산량은 아세트산 2mol과 glucose 1 mol당 수소 4mol인데 반해 AnS-MFC의 경우 glucose 1mol당 4.09mol의 수소가 생산되었다. 5-803 Ω 범위의 외부저항을 가진 5기의 회분식 미생물연료전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력생산 성능에 미치는 외부저항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전압은 운전시작 후 변동 폭이 컸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외부저항의 크기에 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류는 대조군(5Ω)을 제외한 모든 시스템에서 운전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으며, 운전 50-80여 시간 사이에 최대값을 보였다. 전력생산량은 전압과 달리 412 Ω > 803 Ω > 107 Ω >5 Ω의 순으로 나타났다. 양이온 교환막과 매개체를 사용하지 않고 폐수를 처리하기 위해 연속식 미생물연료전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초기 전압은 0.02V를 나타내었지만, 미생물이 적응기간을 거친 후 25일이 경과하였을 때 전압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전류는 최고 6mA까지 급격히 증가하였다. 시간이 흐를수록 환경에 적응된 미생물들은 전극의 표면에 부착되어 생물막을 형성하였고 따라서 전압과 전류 발생량도 증가하였다. COD 제거효율은 최고 95%, 평균 78%로 높게 나타났다. 회분식 미생물연료전지 시스템으로부터의 전기 생산은 식종된 미생물의 종류, 내부저항에 영향을 받았으며, 미생물연료전지의 음극반응조에서 미생물이 유기물질을 분해하면서 생성된 전자의 이동과 기질의 완벽한 분해 그리고 미생물의 활동도가 높을수록 수소생산 수율 역시 높게 나타났다. 다양한 외부저항을 설치한 미생물연료전지 시스템의 전압은 운전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외부저항의 크기에 비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 결과는 미생물연료전지의 전력수율에 외부저항이 중요한 영향인자임을 의미한다. 연속식 미생물연료전지는 매개체와 양이온교환막이 없이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COD 제거효율이 최고 90%이상으로 다양한 유기물을 분해할 수 있으며, 폐수처리에 적용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도시성장과정에서의 도시정부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상해시와 서울시를 중심으로

        채경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업화는 생산시설을 중심으로 인구를 이동시켜 도시의 급격한 성장을 이끌었다. 하지만 제한된 지역의 밀집한 인구로 인하여 도시는 인프라 시설 부족, 환경오염, 교통체증, 주택부족, 도·농 격차 심화를 포함한 많은 도시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도시는 고유의 특성을 반영하여 발생하고 있는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 서울시와 상해시는 한국과 중국을 대표하는 도시로서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두 도시는 성장을 거듭하면서 주변지역에 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어 도시의 영향력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는 서울시와 상해시를 선정하여 도시별 인구, 면적, 경제규모, 산업구조를 살펴보고, 도시현황, 성장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와 이에 대한 도시의 대응정책을 확인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두 도시에 관한 통계자료, 선행논문, 정부에서 발표한 도시계획보고서 등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성장의 특성과 핵심이슈를 파악하고 도시의 향후발전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은 첫째, 도시의 성장특성을 살펴보면 서울시는 1960년대부터 진행된 정부 주도형 수출 지향적 경제 정책을 시작으로 짧은 기간에 신속하게 도시의 성장을 이루어 왔다. 반면, 상해시는 중앙정부에서 1950-1960년의 ‘대약진운동(大躍進运动)’과 1967-1977년 ‘문화대혁명(文化大革命)’의 정치영향을 받기로 인하여 도시는 성장하지 못하고 20여 년의 정체기를 겪었다. 이후 1984년 푸동(浦東)의 대외개발정책에 따른 도시성장의 도약기를 맞이하다. 2014년까지 도시인구가 90.3%에 달성하고 도·농 격차가 여전히 심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전자정부의 발전수준에서 보면, 서울시는 1980년대 시작하며 2003년부터 지속적으로 세계 1위를 차지한 데 반면, 상해시는 여전히 낙후한다. 둘째, 대응실태에 있어서 교통, 주택, 환경, 산업 4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서울시는 관민협조의 친환경 생태도시 구축을 기울인 데 반면, 상해시는 산업과정에서 외래인구를 이끌어 야기된 사회문제에 여전히 정부주도형 대응실태이다. 셋째, 도시별 성장과정의 핵심이슈 측면에서 보면, 두 도시는 다른 지역보다 먼저 발전해서 환경오염, 교통체증, 주택부족, 도·농 격차 심화 등 사회문제는 시급히 해결해야 한 과제가 되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향후 상해시의 발전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친환경·스마트교통발전 방안으로는 ①친환경·저공해 교통시스템을 구축 ②대중교통 이용을 권장 ③ 스마트교통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둘째, 경제·에너지·환경 협조발전 방안으로는 지속 가능한 발전에 관한 법률법규를 정비해야 한다. 셋째, 전자정부 개선방안으로는 ①정부주도형 전자정부체계를 구축 ②관련된 법률법규의 완비 ③전문인재의 배양을 해야 한다. 넷째, 외래인구 개선방안으로는 ①산업 분산화와 지역 간의 연결 강화 ②임대주택 공급정책 개선 ③관련된 법률법규의 강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향후 도시성장과정이나 대응실태에 있어서는 한국의 서울시와 중국의 상해시를 연구대상으로 분석하였는데 한국의 부산, 중국의 북경 등 광범위한 지역을 대상으로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두 도시의 다른 문화, 관광, 복지 등 다른 분야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음을 밝히며 앞으로 관련된 추가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 재한 조선족 가정 초등학생의 쓰기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채경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지문을 활용한 조선족 가정 아동과 일반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한국어 수업 교안을 바탕으로 쓰기의 분석과 다문화 아동들에게 적합한 한국어 쓰기 수업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 내용을 간략하게 밝힌 뒤 지금까지의 조선족 가정 아동의 한국어의 특징들을 살펴보고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다. 2장에서는 현재 교육과학기술부에서 고시하고 있는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와 있는 쓰기의 내용 중에서 초등학교 3~4학년군의 쓰기 내용과 한국어 교육과정에 나와 있는 초등학생의 쓰기 내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3장에서는 초등학교 3~4학년군의 국어 교과서의 예시 문을 통해 실제 쓰기 수업을 진행하여서 조선족 가정 아동과 일반 가정 아동의 쓰기의 결과물들을 모은 후에 쓰기평가 기준을 정하여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3장의 쓰기 결과를 바탕으로 조선족 가정 아동과 일반 가정 아동의 쓰기의 차이점을 토대로 하여 조선족 가정 아동에게 적합한 쓰기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결론 부분으로 본 연구의 내용들을 정리하여 요약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oper teaching method of Korean writing class for the multi-cultural raised children using contents in Korea Public Text Books for the Korean Chinese Children. In Chapter 1, describes necessity, purpose and process of this study and analyzed former studies after reviewed about the Korean Chinese Children's Korean Characteristics. In Chapter 2, describes the contents of writings in 3rd and 4th grade standardized Korean textbooks amo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riting contents in recommended by Department of Education and Science. In Chapter 3, analyzed to set a writing test standards after proceeding actual learning class for both Korean Chinese children living in Korea and Korean Children using 3rd and 4th grade textbooks contents. In chapter 4, I have recommended how to have writing classes for Korean Chinese children living in Korea on the basis of actual classes's outputs and differences. In chapter 5, as a part of conclusion, summarized of this study and float fruitfulness and definition of this study.

      • 국내 원자력 발전소에서 K-HPES 사례를 통한 인적실수 분석에 관한 연구

        채경 강릉대학교 산업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원자력발전소 종사자들의 인적실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적용된 K-EHES 사례분석을 통하여 K-HPES가 인적실수 감소에 효과적인지, 개선점은 무엇인지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K-HPES 사례는 1997-2001까지 작성된 보고서 296건 중에서 268건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사례들을 분석한 결과 K-HPES는 고유의 기능에 비하여 인적실수 감소에 덜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된다. 오류상황 분석결과 인적실수는 발전소 상태, 면허소지여부, 작업부하 및 원자력경력과는 연관성이 적은데 이것은 정신적인 안이함에서 기인되는 것으로 정신적 측면의 교육이 더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직무경력, 직무법주 및 근무시각과는 연관성이 많은데 이것은 해당분야 업무지식 및 철저한 업무준비가 필요하다 하겠다. 또한 K-HPES 인지오류형태는 비정상 상황 발생후 대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상상태에 대한 인지오류형태에는 잘 맞으나 정상적인 작업중 발생되는 인지오류형태에는 맞지 않아 분석자에게 혼란을 주고 있다. 따라서 그동안 발행된 K-HPES 보고서의 인지오류형태를 분석하여 현장실정에 맞도록 수정, 추가하고 각 항목을 상세히 설명한 절차서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K-HPES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관리적 측면, 작성의 일관성 측면, 조직제도 측면, 중립적 전담조직의 필요성, 웹환경으로의 프로그램 개선 등 적절한 수정·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K-HPES and to find the way of advanced utilization of K-HPES through its cases in nuclear power plants that are used to reduce human errors of workers in nuclear power plants. K-HPES cases are chosen from 268 cases among 296 cases that are collected during five years (1997 to 2001).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 K-HPES is. less effectively used for the reducing the human errors against its original function.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 of errors, human errors are less related to plant situation, license, workload, and nuclear career. This is caused by the spiritual neglect and the education of spiritual aspect is needed strongly. On the other hand, job career, job category and working time are more related to one another. This means that knowledge and preparation of job are very important to work in nuclear power plants. In addition, K-HPES is a very useful tool for detection of human errors in abnormal situation but it does not play a good role for detection of human errors in normal situation. This results in analyzers confusion. Thus, it is necessary to make a specifically explained procedure after analyzing the types of human errors in published K-HPES reports. There are many things to revise and modify for the effective use of K-HPES. Specific examples of needed revision and modification are management aspects, consistent format, organization aspects, the need of neutral task force team, and the development of web-based program, and so on.

      • 들깨유의 혈소판응집 및 혈전생성 억제를 통한 출혈성 뇌졸중 개선효과 : Perilla oil improves hypertensive hemorrhagic stroke by inhibiting platelet aggregation and thrombus formation

        채경 충북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Since oils and fats can induce metabolic syndrome, leading to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whether the plant oils affect the cerebral hemorrhage in stroke-prone spontaneously hypertensive (SHR-SP) rats. As mechanistic studies, the inhibitory effects of perilla oil on the platelet aggregation in vitro and thrombosis in vivo were also investigated in comparison with aspirin, a well-known blood flow enhancer. Platelet-rich plasma was incubated with perilla oil and aggregation inducers collagen or thrombin. Perilla oil significantly inhibited both the collagen- and thrombin-induced platelet aggregation and thromboxane formation. Carotid arterial thrombosis was induced by FeCl3 in perilla oil-fed rats, and the blood flow was monitored with a laser Doppler probe. Perilla oil delayed the FeCl3-induced arterial occlus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comparable to the effect of aspirin (30 mg/kg) at 2 mL/kg. Based on the anti-platelet aggregation and anti-thrombosis effects of perilla oil, male SHR-SP rats were given drinking water containing 1% NaCl to induce hypertension, and simultaneously fed semi-purified diets containing 10% perilla oil, canola oil or shortening. The onset time of convulsion following cerebral hemorrhage was recorded, and the areas of hemorrhage and infarction were analyzed in the stroke brains. Considering lifespan in SHR-SP rats given NaCl alone as 100%, perilla oil extended the longevity to 118.4%, whereas canola oil shortened it to 88.4%. Feeding perilla oil greatly reduced the total volume of cerebral hemorrhage from 17.27% in control group to 4.53%, while shortening increased the lesions to 21.23%. In a microscopic analysis, perilla oil also markedly decreased the hemorrhagic and infarction lesions to 1/10 of those in control rats, in contrast to an exacerbating effect of shortening. In blood analyses, perilla oil reduced blood total cholesterol and low-density lipoproteins which increased in SHR-SP, but canola oil further increased them and markedly lowered platelet counts. The results indicate that perilla oil inhibit platelet aggregation by blocking thromboxane formation and delay thrombosis following oxidative arterial wall injury, and that it delay and attenuate cerebral hemorrhage by improving hyperlipidemia in hypertensive stroke animals, in contrast to the aggravating potential of canola oil and shortening. It is suggested that perilla oil could be the first choice oil for improving metabolic syndrome in hypertensive persons at risk of hemorrhagic stroke. 기름(oils)과 지방(fats)은 대사증후군을 유발하여 심혈관질환과 뇌혈관질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식물성 기름이 자발적 고혈압성 뇌졸중 모델동물(SHR-SP)에서 뇌출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작용기전 연구를 위해 들깨유의 in vitro 혈소판응집 및 in vivo 혈전생성 억제효과를 잘 알려진 혈행개선제인 아스피린과 비교 평가하였다. 혈소판분획에 들깨유를 농도별로 첨가하고 혈소판응집 유도제인 collagen과 thrombin을 처리했을 때, 들깨유는 collagen과 thrombin으로 유도된 혈소판응집과 thromboxane 생성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혈행개선 실험에서는 랫드에 들깨유를 일주일간 경구투여한 후 경동맥에 35%의 FeCl3를 적용하여 혈전을 유도시키고, laser Doppler probe를 이용하여 혈류의 흐름을 측정하였다. 들깨유는 FeCl3에 의한 동맥폐쇄를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는데, 2 mL/kg의 고용량에서는 아스피린에 버금가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들깨유의 혈소판응집 및 혈전생성 억제효과에 근거하여 47일령의 고혈압성 뇌출혈 모델동물에 1% NaCl을 음수로 공급하여 고혈압을 유도하면서 동시에 사료에 들깨유, 카놀라유 또는 쇼트닝을 급여하였다. 뇌출혈로 인한 경련의 발현시간을 기록하고, 뇌출혈 및 뇌경색 면적을 분석하였다. NaCl만을 급여하는 동안 고혈압성 뇌출혈 모델동물의 수명이 58일간 지속된 데 비해, 들깨유를 동시에 급여한 군에서는 수명이 68.5일로 연장되었지만 카놀라유 급여군에서는 오히려 45.7일로 단축되었다. 들깨유 급여는 뇌출혈 부피를 대조군의 17.27%에서 4.53%로 크게 감소시킨 반면, 쇼트닝은 21.23%로 병변을 더 확대시켰다. 현미경 검사에서 들깨유는 뇌출혈 및 뇌경색 면적을 대조군의 1/10 수준으로 확연히 감소시켰지만, 쇼트닝은 더욱 더 악화시켰다. 혈액분석에서 들깨유는 고혈압성 뇌출혈 모델동물에서 증가한 총콜레스테롤과 저밀도지질단백질을 낮추었지만, 카놀라유는 이들 지질성분을 더 높였으며 혈소판수는 크게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들깨유가 thromboxane 생성을 차단하여 혈소판응집을 억제하고, 산화적 동맥손상에 따르는 혈전을 지연시키며, 고혈압성 뇌졸중 동물에서 고지혈증을 개선함으로써 뇌출혈을 지연 및 완화시켜 주는 데 비해, 카놀라유와 쇼트닝은 더욱 악화시킴을 보여준다. 따라서 들깨유는 출혈성 뇌졸중 위험군인 고혈압 환자에서 대사증후군을 개선시켜 줄 수 있는 가장 유용한 식용유로 기대된다.

      • 효과적인 논술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 : 중학생 논술, 작문을 중심으로

        채경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15

        논술문 쓰기를 어떻게 하면 잘 지도할 수 있는 것인가. 이 연구는 효과적인 글쓰기 교육, 즉 글쓰기의 지도와 훈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구자는 먼저 논술이란 쓰는 사람과 읽는 사람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이라고 보는 이론에 따라 논술의 개념에 상응하여 논술지도 및 교육을 글속에 글쓴이의 생각이나 느낌이 잘 드러나 읽는 이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것은 단순히 쓰는 기술의 함양이 아니라. 잘 써낼 수 있는 바탕을 단단히 하는 일이라고 보았다. 이에 관하여는 이미 수많은 선행연구가 있다. 연구자는 이 논문에서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검토하고 자기 나름의 새로운 논술지도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논술지도의 근본은 그냥 쓰기일 수가 없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즉, 논설문을 잘 쓰기 위하여 또는 잘 지도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논리적 사고의 함양과 함께 논술작법에 관한 기초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자는 이 논문에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논술문을 잘 쓸 수 있도록 지도하는 방법의 하나로, 우선 연구의 대상인 논술문 쓰기를 하나의 문제해결과정(Problem solving process)으로 파악하고, 이런 논술문 작성과정에 필요한 학생들의 능력을 신장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논술 쓰기와 쓰기지도의 실태를 실증분석한 세 개의 선행연구를 비교 검토한 결과 논술지도상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에 따른 지도방법상의 지표를 정리하였다. 실태분석 결과 교육 현장에서는 전통적인 결과 중심의 논술문 쓰기 지도로 일관하고 있고, 전략을 활용한 과정 중심의 논술문 쓰기 지도도 논술력 향상에는 효과가 미흡하다는 것 알 수 있다. 그 다음으로, 현재까지 논의되어 온 쓰기 이론을 크게 결과 중심의 쓰기 이론과 과정 중심의 쓰기 이론으로 대별하고 학생들의 논술문 쓰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한 바, 효율적인 논술문 쓰기 지도를 위해서는 기존의 결과 중심의 쓰기 이론을 지양하고, 쓰기 과정에 요구되는 여러 가지 전략을 지도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로서 얻어진 시사점은 학생들은 전략을 활용한 논술문 쓰기 지도 방법을 배울 수 있고, 그것을 통함으로써 논술문 쓰기 능력의 향상을 보인다는 점이다. 이후 논술지도의 현장에서 학생들의 논술문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학생들로 하여금 주변의 작은 일에서 문제점을 발견하게 하고 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아보게 하는 습관을 길러주어야 할 것이고, 또한 이를 논리적으로 서술하는 표현능력도 함께 길러줘야 한다. 그리하여 앞으로 논술지도 현장에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논술문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어야 한다. 논술문은 작문의 일종이고 작문은 언어로 표현된 의사 소통 행위이기 때문에,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데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 독자에게 영향을 미쳐 자신의 표현 내용에 공감하게 해야 하는 것이다. 이는 표현을 넘어서서 설득으로 나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독자에게 원활한 의사 소통이 이루어지게 하려면 독자가 잘 아는 내용을 독자의 지식범주와 수준에 적합하게 써야 한다. 둘째, 입시 논술의 형태 및 평가 방법이 달라져야 한다. 논술 현장에서는 대학입시를 의식한 나머지 글의 내용을 제한하는 주제(제목)만 주어지고, 그 글을 읽을 독자에 대한 조건은 전혀 주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학생들은 글을 쓸 때 독자에 대한 고려 없이 자기가 알고 있는 내용을 그냥 `표현'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독자에 대한 고려 없이 글을 쓰게 되면 내용의 선정이나 표현 방식에서 좋은 전략을 활용할 수가 없게 된다. 논술 제목이 주제를 대립적인 문제상황으로 제시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의 견해를 분명히 밝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study on the methodology and theoretical basis for the writing education. This theme was studied from the viewpoint of a communicative interaction model. In order to teach the students a logic and coherent way to write I depart from the viewpoint that an assay writing is an implicit dialogue between the writer and the potential reader(s). The writer is supposedly to persuade his counterpart successfully. A given device for him Writing. An argumentative text should be understood on the frame of the communicative interaction model. Communicative interaction model considers the argumentative writing not merely as a sets of sentences but as a series of 'communicative acts' which interacts between an writer and a potential reader. Assay writing should, in this sense, be a discussion and a problem-solution process. The writing ability is a key to a successful career. It can be improved by the learning the writing strategies. As a teacher working for middle school students I suggest in this theses that the writing ability should be improved through an activation of the knowledge-base. In this thesis I assert also, that the conventional teaching methodology should be reformed and substituted with new ones. So, the conclusion of the thesis is to summarize as : First the viewpoint of the teachers on the concept of assay writing should be changed. Second, the teaching goal of assay writing should also be changed. It should not only for the entrance examination. Third, the conventional evaluation methodology of teachers should be corrected in order that the students may feel free from every worry about the notes. First of all, they are allowed to express what they want to utte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d follows: This thesis clarifies the applicability of the communicative interaction model positively in the teaching process of writing assay. This study suggests a combination of methodology of writing education and evaluation of assays.

      • 중학생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과 성격과의 관계

        채경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강원도 강릉시 소재 중학생만을 대상으로 중학생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과 성격관의 관계를 배경요인별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강릉시에 소재한 중학교 2곳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모든 청소년에게 일반화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좀더 다양한 지역의 대상자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 유형과 성격과의 관계연구를 위해 3가지 배경요인을 바탕으로 연구를 수행하여 부분적으로 가치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으나 좀더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측정으로 위하여, 다양한 배경요인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셋째, 중학생의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과 성격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부모, 자녀와의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 연구의 수행 및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전적으로 중학생의 보고식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가 좀 더 일반화되기 위해서는 부모와 자녀의 본질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부모가 함께 참여하여 상호연관성을 살펴볼 수 있는 연구도구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