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과 사회적 배경에 따른 여성노인의 신체활동력과 간단신체수행능력 비교분석

        차효정 창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지역과 사회적 배경에 따른 여성노인의 신체활동력과 간단신체수행능력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도시 53명, 농촌 58명을 대상으로 신체활동력에 관한 설문 조사 및 간단신체수행능력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지역(도시/농촌)간 동거형태, 월수입, 거주기간, 교육수준, 운동빈도, 운동기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낙상경험, 본인의 건강상태, 직업유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도시/농촌)에 따른 신체활동력은 전체항목을 비교하였을 때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도시/농촌)에 따른 간단신체수행능력검사는 전체항목(일반자세, 반일렬자세, 일렬자세, 의자 일어서기, 보행속도)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배경(동거형태, 운동빈도, 운동기간)에 따른 신체활동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적 배경(동거형태, 운동빈도, 운동기간)에 따른 간단신체수행능력검사는 3가지 항목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통하여 여성노인들의 신체활동력과 간단신체수행력은 지역 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여성노인들의 신체활동력과 간단신체수행능력에는 운동참여시 주 3회 이상의 운동빈도와 1년 이상의 운동기간이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차후 운동과 관련한 노인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후속연구에서는 지역과 사회적 배경 등 생활환경에 따른 비교분석 연구가 제안된다.

      • 버즈토의법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관련태도에 미치는 영향

        차효정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5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 교수·학습 방법에서 토의·토론 활동이 추가되고, 과학의 본성을 기르기 위한 방법으로서 토의활동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었지만 초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또한 학생들이 토의활동에서 말을 하는 것에 대한 부담감이 크다는 선행연구에 따라 학생들의 부담을 줄이면서 과학의 본성 습득을 위한 토의활동의 적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소집단 토의·토론법의 일종인 버즈토의를 적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을 향상시키고, 긍정적인 과학관련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광명시에 소재한 G초등학교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비교집단은 기존 교과서를 따른 수업을, 실험집단은 버즈토의를 적용한 재구성 과학 수업을 처치한 후 비교, 분석하였다. 버즈토의법을 적용한 과학 수업 프로그램은 김현경이 개발한 FPHER 수업모형을 바탕으로 Toulmin(1958)과 Wilen(1990)의 토론수업모형에서 공통된 토의, 토론의 요소를 추출하여 초등학생 수준에 맞추고, 버즈토의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변형하여 11차시로 개발하였다. 그 효과 분석을 위해 TSPS와 TOSRA로 변화를 살펴보고, 프로그램에 대한 수업반응 설문지를 통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확인하였다. 적용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수업 적용 결과, 과학탐구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05). 특히 기초탐구능력 하위영역 중 관찰, 측정, 예상영역과 통합탐구능력 하위영역 중 자료해석영역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수업활동에 토의 문제에 대한 관련 실험 탐구 활동이 포함되어 있고, 버즈토의를 위해서 실험을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하여 자신의 의견에 대한 근거를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과학탐구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본 연구의 수업 적용 결과, 과학관련태도 형성에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하지만 과학관련태도 하위영역 별로 검사한 결과, 본 수업이 과학탐구에 대한 태도와 과학적 태도의 수용, 과학수업의 즐거움에 대한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버즈토의법을 적용한 수업 자체가 일방적인 지식의 전달이 아닌 학생들이 친구들과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하는 과정이므로 토론과 같이 학생의 직접적인 참여를 요구하는 교수·학습 방법의 경우 과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신장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는 이미경, 정은영(2004)의 연구가 이를 뒷받침한다. 셋째, 버즈토의법을 적용한 과학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 대하여 살펴보면 버즈토의 수업활동 흥미도와 참여도에 약 80% 이상의 학생이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다. 친구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과학지식의 이해도는 약75% 이상의 학생이 긍정적으로 답하여 본 프로그램에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만, 토의문제는 흥미로웠으나 어렵지 않았다는 인식이 많아 적절한 인지갈등이 일어날 수 있도록 토의문제에 대한 난의도 조절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실시한 버즈토의법을 적용한 과학수업은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 향상 및 일부 과학관련태도 형성에 효과적이며 다수의 학생들이 본 수업 프로그램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따라서 과학수업에서의 토의집단 구성 및 버즈토의 주제에 대한 후속연구가 뒷받침 된다면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관련태도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생각된다. Discussion activities have been emphasized since it was changed in 2007 Curriculum Revision. Although discussion activities are important for the nature of science, studies that can be practically applied in the field of education are lim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actical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to study effects of the science education program using Buzz discuss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This study is based on 56 students(experimental group 28 students, controlled group 28 students) of two classes from the 5th grade of G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wang myeong city of Gyeonggi Province. This program was developed by modifying FPHER teaching model made by Hyun-Kyung Kim(2008). And It was reorganized 11 periods in 5th grade science first semester ‘1. Temperature and Heat’. To analyze the effect using Buzz Discuss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the study used TSPS and TOSRA.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science education program using the Buzz discussion, science process skills in experimental group were improved(p<.05). Especially, Observation, measurement and estimation in basic process skills were improved(p<.05). Only the data interpretation domain in integrated process skills was significantly influenced(p<.05). Second, science education program using the Buzz discussion wan’t effective for the significant change of learner’s science-related attitudes. However, The result of checking subareas of science-related attitudes said Buzz discussion teaching program was effective in shaping positive attitudes for attitude toward science inquiry, acceptance of scientific attitude and the pleasure of science clas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search about students’ recognition ot this Buzz discussion program,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had positive recognition about this program. They(more than 85% of students) said this program was fun and helpful to them. In conclusion, This study mentioned above suggest that science education program using Buzz discussion has meaningful resul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Also, this education program gave students a positive awareness of Buzz discussion. Therefore, this buzz discussion program shows to be highly recommendable for use in elementary school’s science class.

      •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영어과 교육과정 및 교원 인식 조사

        차효정 숙명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English curriculum and teachers’ perception of the pilot research schools in Seoul regarding the Korean High School Credit System where students can choose subjects and take courses depending on their own academic or career needs. Personal interviews were adopted as a qualitative method in order to seek useful insight on applying the new system via the pilot schools designated to test the system in advance and discover apt new models. Although there were seven general high schools in total as the pilot research schools in Seoul from 2018 to 2019 in preparation of the credit system,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personal interviews with eight teachers, including four curriculum teachers and four English teachers from six of the pilot schools. Under the pilot system, the total units of English curriculum in the pilot schools became more declined than before in accordance with the limitation that the total units of basic subjects, Korean, Mathematics, English, and Koran History, cannot exceed more than 50% of the total units in each high school curriculum, while the total number of the elective subjects in English was increased. The statistical data also displayed constant decreases in the number of students, classes, and English teachers in most of the pilot schools. In addition, English teachers not only empathized with the original intent of the system, designed to meet the aptitude and interest of all students one by one, but also denoted concerns about the discrepancy with the Korean college entrance system such as the graduation requirements, departmentalized class system with diverse subject offerings, and criterion-based evaluation. Especially, English teachers desired that teachers’ autonomy on assessment and teaching methods should be settled first, before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refore, th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education policy makers and stakeholders in schools should reach an agreement to resolve these issues in the English curriculum in order to secure the educational rights of both teachers and students.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을 앞두고 서울지역 학점제 연구학교의 영어과 교육과정은 어떻게 편성 및 운영되고 있으며, 연구학교의 영어과 교원은 학점제 도입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고 이를 통해 후속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을 두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충분하게 논의되지 않은 과목별 특성을 고려하여 연구학교의 사례를 보다 면밀하게 다뤄보고 고교학점제의 성공적 도입을 위해 참고해야 할 사안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질적연구를 채택하였다. 특히, 새로운 제도의 도입을 앞두고 학교현장에서 변화의 주체로 활약하고 있는 연구학교 교원들의 인식을 읽어내는 것이 가장 유용할 것으로 판단하여 고교학점제 연구학교로 지정된 서울지역 7개 일반계 고등학교 중 연구 참여에 응한 6개교에서 교육과정 담당 교원 4명과 영어과 교원 4명을 대상으로 개별 인터뷰 방식의 사례연구를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연구학교의 영어과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실태를 통해 국가 교육과정 차원에서 기초교과의 내 영어교과의 편성 단위 수는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지만, 선택과목의 수는 이전 교육과정보다 확대되었고, 단위학교 내 학생 수, 학급 수, 영어과 교원 수에 있어서는 대체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인다는 점에서 연구학교 간에 유사한 경향성을 띄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연구학교의 영어과 교원을 통해 고교학점제 도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더불어 선결과제에 대한 의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학교 영어과 교원들은 고교학점제가 학생들의 진로결정권 및 과목선택권을 확대하고, 협력적인 학교문화를 제고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지만, 제도적 기반의 한계로 대학입시와의 연계성, 이수∙미이수제, 교과교실 및 시청각 기자재 확충 등의 문제를 제기하였다. 또한, 고교학점제 도입 이후 영어과 교원의 입장에서는 과원 문제가 대두되고 교원의 역할과 업무 부담이 보다 가중되었음을 확인해볼 수 있었고, 학생의 입장에서 진로 및 과목 선택에 따른 책임과 부담이 가중되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고교학점제가 본래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입시제도와 교육과정의 괴리를 좁히기 위한 제도적인 노력이 먼저 선행되어야 하고, 선택과목을 개설을 장려하되 영어과 교원의 수업 설계에 대한 자율성이 확보된 상태에서 성취평가제가 실효성 있게 확대 추진되어야 하며, 학생들의 진로 및 과목 선택권이 충분히 보장될 수 있도록 교육정책 입안자와 학교현장 간의 소통과 노력이 더욱 필요함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 12주간 스퀘어스텝운동이 노인의 낙상관련 체력, 인지기능 및 뇌신경성장인자(BDNF, IGF-1)에 미치는 영향

        차효정 창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스퀘어스텝운동(SSE)이 노인의 낙상관련 체력, 인지기능 및 뇌신경성장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65세 이상 노인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0명, 대조집단 10명으로 구분하여 12주간, 주 2회 70분 동안의 스퀘어스텝운동 참여에 따른 노인의 낙상관련 체력, 인지기능 및 뇌신경성장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낙상관련 체력 1) 하지근력은 실험집단의 경우 운동 전에 비해 운동 후에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대 조집단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2) 평형성은 집단과 시점 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3) 유연성은 집단과 시점 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2. 인지기능 인지기능은 집단과 시점 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3. 뇌신경성장인자(BDNF, IGF-1) 1) BDNF는 실험집단의 경우 운동 전에 비해 운동 후에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대조 집단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2) IGF-1은 실험집단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대조집단은 유의미하게 감소하 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SSE가 낙상관련체력, 인지기능, 뇌신경성장인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SSE가 노화와 비사용으로 인한 근력 감소가 진행되고 있는 노인들에게 체력의 향상과 함께 인지기능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운동으로 판단되며, 규칙적이고 지속적으로 실천함으로써 뇌 혈류량을 증가시키어 뇌 혈관의 작용과 인지기능을 유지 및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운동 프로그램은 단순한 움직임과 따라하는 형식에서 벗어나 끊임없이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는 자극을 주는 프로그램이 중요할 것으로 여겨지며, 노인의 특성과 함께 개인차가 많은 대상자의 경우 운동기간을 보다 길게 설정한 연구들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노인들에게 SSE에 대한 더욱 큰 규모의 연구가 가능하다는 실행가능성을 입증 한 것으로 보이며, 이 연구 결과에 해당하는 연구문제 또한 향후 후속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Square stepping Exercise (SSE) on the fall-related physical strength, cognitive function and neurotrophic factors(BDNF, IGF-1) of the elderly. For this study, 20 senior citizens aged 65 or older were divided into 10 exercise group and 10 control group. The effects on the fall-related physical strength, cognitive function and neurotrophic factors(BDNF, IGF-1) of the elderly were analyzed from participation in the SSE twice a week for 12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Fall-related physical strength 1) Muscle strength of extremity significantly increased in exercise group after exercise compared to before exercise,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2) Balanc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tween the two groups and point of time within a group. 3) Flexibilit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tween the two groups and point of time within a group. 2. Cognitive function Cognitive func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tween the two groups and point of time within a group. 3. Neurotrophic factors(BDNF, IGF-1) 1) BDNF significantly increased in exercise group after exercise compared to before exercise, and control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2) IGF-1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ercise group, and control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are thought to have positive effects on fall-related physical strength, cognitive function and neurotrophic factors(BDNF, IGF-1). SSE in this study is judged to be an exercise that can improve cognitive function as well as physical strength improvement in elderly undergoing aging and inactivity, to practice regularly can increase amount of flowing in brain blood to maintain and improve brain blood vessel function and cognitive function. As such, exercise programs for the elderly which take away from simple movements and follow-up forms, give them the impetus to think and act constantly are thought to be important. For those who have a large personal gap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t is thought that studies with a longer exercise period are needed. The study appears to have demonstrated the feasibility of a larger-scale study of SSE in the elderly. It is believed that this research result will also help further research.

      • 스프링 백본을 활용한 다지손 메커니즘 설계 및 구현

        차효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로봇이 물체를 잡거나 접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충격, 손상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소프트 핑거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기존에 개발된 소프트 핑거는 손가락 끝 부분에 유연한 핑거 팁을 달아 충격을 방지, 흡수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메커니즘들은 힘반영의 기능을 지니고 있지 않다. 또한 대부분의 손가락 메커니즘은 손가락 말단을 제외하고 휨이 없는 강체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구조적으로 유연하며 백드라이브 가능한 새로운 소프트 핑거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먼저, 스프링과 와이어를 이용한 4 자유도 소프트 핑거 메커니즘의 구조를 제시하고, 기하학을 이용하여 기구학 모델을 유도한다. 또한 와이어를 이용하여 각 손가락 마디를 제어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마지막으로, 소개된 제어 방법을 이용하여 소프트 핑거가 주어진 경로를 따라 구동되는 실험 결과를 제시하여 제안한 소프트 핑거의 성능을 입증한다. 입증된 소프트 핑거를 이용하여 서비스 로봇에 응용할 수 있는 다지손 메커니즘을 소개한다. 사람의 손을 본 떠 손바닥과 5개의 손가락으로 구성된 이 메커니즘은 와이어 3개로 5개의 손가락을 동시에 제어한다. 먼저, 풀리와 와이어를 이용한 다지손 메커니즘의 손바닥 내부 구조를 제시하고, 다지손 메커니즘의 전체적인 모습과 특징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물체를 잡는 동작과 수직방향으로 물체를 드는 동작의 실험을 통하여 다지손 메커니즘의 유용성을 입증하고 사람의 몸과의 충돌 실험을 통하여 안전성을 입증한다. As many human-like robots have been developed, the robots have become familiar with human. Especially in the area of service robots, robot hands operate with human or contact with the human body directly. Therefore the grasping robots must require safety for a human. In this thesis, a new soft finger mechanism using a spring as a backbone is proposed. It is a 4 DOF mechanism that consists of a spring and 3 cylinders, which behave like joints with 3 up-and-down rotations and 1 left-and-right rotation. To control each joint, cylinders have small holes in their cross-sectional areas, and wires of different length are penetrated into these holes. Each joint can be controlled by pulling the corresponding wire. The forward kinematics is solved by using the geometry of mechanism. And the relationship (Jacobian) between the linear velocity of the wires and the joint angular rate is obtained. A virtual simulator is developed to test the validity of the kinematic model. In the experiment, first, the position control is conducted by tracking a given trajectory. Second, the flexibility and safety of the mechanism is proved by showing that the soft finger is deflected in a safe manner, in spite of the collision with environment. Also, an underactuated soft multi-fingered hand applying the 2 DOF soft finger is presented. The structure and the kinematics of the 2 DOF soft finger are introduced and the soft multi-fingered hand using five 2 DOF soft fingers is presented. Three wires are used to control the grasping behavior of this device. Finally, usefulness of the multi-fingered hand is demonstrated through experimental work for grasping objects, lifting objects, and verifying the flexibility and safety of the hand.

      • 해양미생물의 생리적 특성과 항균활성물질 분석

        차효정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current study on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ulturable bacteria and study on antimicrobial activity of marine bacteria against the wood degrading fungi and pathogenic bacteria". The marine bacteria were isolated from the marine water and the sediments using the marine agar. The pure cultures were isolated by selecting the colonies based on the size, shape and texture. The 43 isolated pure cultures were used for the further study. The characterization of the bacteria were done by both microscopic and molecular analysis. The bacterial genomic DNA was isolated and 16S rDNA regions were amplified using the Universal primers 27F and 1492R. The amplified products were purified and then sequenced using automatic sequencer. The sequences were then compared with the sequences in the DDBJ data bank and BLAST analysis were performed. The phylogenetic tree was constructed using the GENETRYX software using the neighbour hood joining method. The 43 bacteria isolated fall into five major categories. Pseudoalteromonas was found to be the predominant among the isolated species. The 43 microorganisms were tested for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he wood degrading fungi Trametes sp, Irpex lacteus and Trichoderma sp.,.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he pathogenic bacteria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Klebsiella pneumoniae and Staphylococcus aureus were also carried out.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exhibited by the Pseudoalteromonas sp., against the micro organisms tested. To find out the possible compounds responsible for the antimicrobial activity the bacteria was cultured in bulk and the culture filtrate was analysed by the GC-MS. The results from the GC-MS suggests that the benzoic acid, propiophenone, and isoquinolone may be responsible for the antimicrobial activity. Further studies like HPLC and NMR are required for finding out the active compound with the antimicrobial activity. Out study suggests that the compounds with the antimicrobial activity can be used for the pharmaceutical applications and in the conservation of woods from the wood degrading fungi.

      • 놀이치료자의 내담아동과의 관계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차효정 숙명여자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study was conceived by the intere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play therapist and a child.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therapist with child in play therapy, and to understand the meaning profoundly. For those purposes, I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play therapists on their experience and collected relevant data from August 2009 to August 2011. The data was analyzed and interpreted using the date analysis procedures suggested by the phenomenological method. As the first step, data analysis resulted in 268 ‘meaning units’ and common key words were gathered and placed under 21 categories. Then, they were investigated five themes.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round the research question as follows: First, there were five aspects in the 'a therapist as an human'. In this study, not only the relationship patterns of the participants but also their humane emotion, struggles, and confusion occurred from the relationship with a child were revealed. The therapists confessed about their diverse relationship patterns. For example, they care about others, have a difficulty expressing negative emotion, and sometime focus their energy into significant others. They also make mistakes in the therapeutic process with a child and may experience negative emotions. However, they have a self-reflection and learn from this opportunity for their own growth. The therapists may have their preference in child based on their own nature and they find themselves loved and comforted by the child. Second, 'you the way you are' was observed in four aspects in which the process of develop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therapist and the child is disclosed. The therapists try to get into children's unrevealed inner world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behavior and emotion. Over the period of time while having numerous interviews with parents, the therapists become to gradually understand the children and await for their change and growth. Third, in 'self awareness of therapist', diverse efforts to function as a therapist were observed in five aspects. The therapists try to be significant others to their children and provide their full attention to the children during the therapy. In addition, the therapist stress the importance of a genuine relationship with a child. However, they still remain fully responsible and remember the main purpose of the therapy. Fourth, 'sharing moments' described the process of developing relationships between therapists and children by sharing play therapy room which is special space and spending time in therapy process. 'play' is the communicate tool for play therapist. by understanding the theme of the play of children, they get into children's inner world. Furthermore, therapist and child experience mediation of relationship in play. Finally, there were three aspects in 'transition'. As time goes by, relationship with a child become used to each other and a part of everyday life. The therapist and child become sharing emotions and experience in comfort like a family or a friend. In this experience, they encounter the meanings of their own behavior and emotion. with the change of the therapist, the child showed positive changes and development. The meaning of having relationship between play therapist and child was interpreted in seven asp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therapist and child have dual meaning. The therapist gives helps to the child. But also between therapist and child, there is a equal partnership. For therapist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relationships and maintain balance of relationship, they need to have reflective awareness and thorough understanding of self which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true relationship with child. It is especially important that therapist is immersed in the now moment with a child. The immersion to child give awareness and promote the growth of relationship with the child. It is the only and powerful way to differentiate therapeutic relationship from the relationship in everyday life and make the moment of therapy experiential. At first, a therapist and a child meet as a stranger to each other. However they are getting used to each other and become 'the only' and 'special' to each other. In other words, attachments developed in relationship which is fundamental for their changes. A therapist and a child communicate each other by power of play. When therapists disclose their genuine feelings to children, children start to open their mind and get close to their therapist. The importance of holding a child with patience and belief for growth and change of child cannot be overemphasized. For protecting and maintaining 'therapeutic relationship', a therapist should respect a child in the ‘Ich-Du’ relationship and hold him with 'patient mind’ It is required for therapists to confront their genuine emotions in therapeutic relationship. While a therapist and a child share their experiences, emotions, behaviors and secrets in the play therapy room which is protected and safe place, special bonding is established between them. Depending on the bonding, a therapist and a child become aware of 'togetherness' emotionally and physically. This bonding helps developing therapeutic relationship between a therapist and a child and facilitating deep understanding of each other. This study created an opportunity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 therapist and a child in play therapy. The relationship between a play therapist and a child has multidimensional nature including the relationship in every day life as well as therapeutic relationship. From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apists need to understand their own relationship patterns and maintain thorough self awareness, self observation and self-reflec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child. Furthermore, this study provided an opportunity to take a close look into the meaning of 'genuine relationship'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a therapist and a child. 이 연구는 놀이치료자와 내담아동의 관계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놀이치료 안에서 치료자가 아동과의 관계를 어떻게 체험하였는지 살펴보고 그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2009년 8월부터 2011년 8월까지 4명의 놀이치료자들을 심층 면담하여 이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 및 해석은 현상학적인 방법에서 제시하는 절차를 따라 수행하였다. 우선 면담자료를 268개의 의미단위로 파악하고 공통되는 핵심어를 모아 21개로 범주화하여 5개의 의미들로 주제화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으로서의 치료자’는 5가지 측면으로 드러났다. 참여자들의 일상적 관계양상을 비롯해 내담아동과의 관계에서 체험하는 인간적인 감정이나 갈등과 반성이 있는 그대로 드러남을 볼 수 있었다. 치료자들은 일상에서 타인에게 맞추고 배려하고, 부정적인 감정표현을 힘들어 하며 때로 자신에게 중요한 사람에게만 에너지를 쏟는 등 다양한 관계양상을 고백한다. 또 그들은 내담아동을 만나는 과정에서 많은 실수를 하기도 하고 부정적인 감정들을 느끼기도 하지만 다양한 성장의 기회를 통해 이를 깨닫고 반성한다. 뿐만 아니라 치료자들은 각자의 성향에 따라 편하게 느껴지는 아동을 선호하기도 하고 아동으로부터 사랑받고 위로받는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기도 한다. 둘째, ‘있는 그대로의 너’는 4가지 측면으로 드러났다. 여기에서는 치료자가 아동과 관계를 맺어가는 과정의 모습들이 드러난다. 치료자들은 아동들의 행동이나 감정을 이해하기 위해 드러나지 않은 아동의 내면을 보고자 한다. 치료자들은 부모 상담과 아동과 함께 하는 시간 속에서 점 주제어: 놀이치료자, 관계, 질적 연구, 놀이치료, 현상학적 연구 점차적으로 아동을 이해하며 변화와 성장을 기다린다. 셋째, ‘치료자로서의 나를 각성함’은 치료자로서 역할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5가지의 측면으로 드러났다. 치료자들은 아동에게 의미 있는 대상이 되어주고자 노력하며 그들과 함께 하는 시간에 온전한 관심을 기울인다. 또한 항상 아동이 치료에 온 목적을 의식하고 이에 대한 책임감을 잠시도 놓지 않으면서 동시에 진실한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넷째, ‘함께 하는 순간들’은 아동과 치료자가 놀이치료 안에서 시간을 함께 하고 놀이치료실이라는 특별한 공간을 공유함으로서 함께 관계를 쌓아나가는 과정의 모습이 드러났다. 또한 ‘놀이’를 통해 아동과 대화하고 아동이 놀이를 통해 표현하는 주제를 알아나감으로써 아동과 함께 한다. 나아가 놀이 안에서 아동과 치료자는 관계 안의 조율을 체험한다. 다섯째, ‘달라짐’은 3가지의 측면으로 드러났다. 아동과의 관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익숙하고 편한 관계로 변화되어 일상의 한 부분이 되어간다. 그 안에서 치료자는 아동과 편안한 감정과 경험을 나누게 되는 동시에 서로 유일하고 특별한 존재로 변화한다. 또한 아동과의 관계 체험을 통해 이전에 알지 못했던 자신의 행동이나 감정의 의미를 알게 된다. 치료자의 변화와 함께 아동의 긍정적 변화와 성장한 모습도 볼 수 있게 된다. 놀이치료자들의 아동과의 관계 체험의 의미는 7가지로 해석하였다. 치료자와 아동의 관계는 치료자가 아동에게 도움을 주는 동시에 ‘동등한 존재’의 이중적 의미를 가진다. 치료자가 이러한 관계 의미를 수용하고 둘 간의 조화를 위해서는 자신에 대한 반성적 성찰과 철저한 ‘앎’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아동과 진정한 관계로 나아가게 된다. 또한 아동과 함께 하는 ‘현재’에 몰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동 존재에 대한 몰입은 아동과 함께 있음을 자각하고 아동과의 관계맺음을 촉진한다. 그것은 치료자와 아동의 관계를 일상의 다른 관계와 차별화 하고 그들의 시간을 ‘체험적 시간’으로 나아가게 하는 유일하고 강력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아동과 치료자가 낯선 존재로서 만나게 되지만 ‘길들여짐’을 통해 서로 익숙한 존재가 되는 동시에 ‘특별하고 유일한 존재’로 나아갈 수 있다. 이것은 서로에 대한 애착의 형성이며 이것을 서로를 변화시킬 수 있는 바탕이 된다. 또한 ‘놀이’가 갖는 힘을 통해 치료자는 아동과 서로 대화하고 소통할 수 있다. 치료자가 아동과의 놀이 안에서 순수하고 진실한 감정을 나눌 때 아동이 자신을 열어 치료자에게 다가올 수 있게 된다. 무엇보다 치료자는 아동 각각의 변화와 성장에 대한 믿음을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리는 것이 중요함을 알게 된다. 아동과의 관계 안에서 ‘나-너(Ich-Du)’ 관계를 통해 아동을 존중하고 ‘느린 마음’으로 지켜보는 것은 ‘치료적 관계’를 보호하고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길이다. 또한 치료자는 아동과의 관계 안에서 자신의 진실한 감정과 직면하는 용기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놀이치료실이라는 보호된 공간과 치료자와의 안전한 관계 안에서 아동과 함께 경험, 감정, 행동과 비밀을 공유하는 것은 특별한 유대를 갖게 한다. 그것은 아동과 치료자가 물리적, 정서적으로 ‘함께하고 있음’을 깨닫게 한다. 이러한 연결은 치료자와 아동의 관계를 ‘치료적’인 관계로 발전하게 돕고 서로에 대한 깊은 이해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한다. 연구를 통해 놀이치료에서 아동과 치료자의 관계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힐 수 있었다. 놀이치료자와 내담아동과의 관계는 일상의 관계와 치료적 관계를 모두 포함하는 다차원적인 성격을 갖는다. 무엇보다 아동과의 관계 안에서 치료자는 철저한 자기 각성과 통찰 및 반성이 요구되며 자신의 관계 양상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치료자와 아동의 관계를 통해 ‘진정한 관계 맺음’의 의미를 숙고해 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침습적 외상 기억의 조형적 표현 : 청소년기, 관계, 상실을 중심으로

        차효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경험을 바탕으로 한 기억은 연구자에게 내재된 감정들과 함께 발현되어 크고 작은 행동으로 연결된다. 각 경험들은 기억으로 남아 특정한 감정으로 내면에 존재한다. 그러므로 기억한다는 것은 당시의 상황 뿐만 아니라 특정한 감정을 되새기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연구자는 특정한 경험 후 지금까지 살아오며 스스로 변화된 행동에 대해 집중적으로 관찰해 보았다. 본 논문은 연구자의 10대 시절 교우관계에 있어서 오래된 기억이 지금까지 일상의 삶에 영향을 끼친 감정에 대해 시각적 언어를 사용해 청소년기의 관계 소멸을 경험한 후 정서적 변화를 겪으며 나타난 태도, 감정 상태를 조형적으로 표현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이론적 접근을 통해 우선 심리학에서 침습적 외상 기억이 감정에 미치는 결과를 살펴보았다. 둘째, 관계 상실이 청소년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문헌 연구가 수행된다. 셋째, 조형 표현으로 연구자가 얘기하고자 하는 감정에 대한 표현이 타당한지에 대한 이론 연구도 진행한다. 현대 미술에서 외상 이후 감정 표현과 관계 상실 후 정서적 표현을 한 사례를 살펴보고, 조형적 연구에서 연구자의 작업 주제와 관련된 작가의 작품과 조형적 표현과 관련된 작품 사례를 연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연구자가 주제에 접근하는 방향에 대해 탐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과정에서 기존의 구체화된 작품의 사례 연구를 통해 실제 작품을 제작할 때 참고하였다. 작업 진행을 위해 드로잉으로 먼저 작업을 구상하였고, 투명성 효과를 이용한 공간 구축적 작품제작을 위해 전체적으로 낚싯줄, 투명사(Monofilament thread)를 주재료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뜨개질(Knitting) 기법을 이용하여 관계들이 꼬여가고 혼란스러워지는 상황을 은유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그 중 코바늘을 이용한 크로셰(Crochet)기법을 통해 낚싯줄을 코일의 형태를 가진 하나의 실로 만들었다. 이렇게 제작을 한 이유는 실을 엮어 가는 과정이 연구자가 살아오면서 만들어가는‘관계 맺음’과 유사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를 바탕으로 총 7 개의 작품이 제작되었으며, 일반 섬유 소재로 나타낸 평면에 국한되지 않고 투명한 소재로 공간 속에 연출하는 조형 언어의 배경을 만들 수 있는지 실험해 보았다. 이 과정을 통해 연구자가 경험한 일과 감정, 그 이후의 변화는 특별한 것이 아니라 그와 유사한 일을 경험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겪는 과정임을 알게 되었다. 이를 예술로 표현하는 것은 작품을 통해 타인과 공감대를 형성하며 소통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Experience-based memory is expressed with the emotions inherent in the researcher and leads to large and small actions. Each experience remains a memory and exists inside with a particular emotion. Therefore, to remember is to reflect not only the situation at the time, but also the particular emotion. In this process, researchers focus on the behavior that has lived so far since a particular experience and changed themselves. This paper is intended to provide a figurative account of the feelings of the my long-standing memories of friendship as a teenager that have influenced everyday life so far. Visual language refers to the attitude and state of emotions that have emerged through emotional changes after experiencing the disappearance of relationships in adolescence. In the theoretical approach to this, first look at the effect of invasive trauma memories on the emotions in psychology. And aesthetics studies are conducted on the effects of loss of relationships on adolescence. I will also study whether the expression of emotion that I want to talk about as a form expression is appropriate. In modern art, I looked at examples of post-traumatic emotional expressions and post-traumatic emotional expressions, studied examples of works by authors related to the subject of a my work, and explored the direction in which the my approached the topic. In this course of study, I refer to the case studies of existing concrete works to produce real works. To proceed with the work, I first planned the work with drawing, and to create a space-constructed work using the transparency effect, I used fishing lines and a monofilament thread as the main material.And using the Knitting technique, I wanted to metaphorically express a situation where relationships became twisted and confused, and I made the fishing line into a thread in the form of a coil through a crochet technique using a crochet. The reason for the production is that the process of assembling threads is similar to a relationship that I make throughout my lives. Based on this, a total of seven pieces have been produced and experimented on whether the background of the language is created in the form of a formative language that is produced in space with transparent material, not limited to the plane represented by ordinary textile materials. My experiences, emotions and subsequent changes are not unique, but are a process that anyone who has experienced similar things. Expressing this with art creates a consensus with others through the work and confirm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They could create a background of the language of sculpture in a transparent material, not limited to the plane represented by ordinary textile materials.

      • 중환자실 환자의 환경적 스트레스 요인이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위험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차효정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tensity of environmental stress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quality of life in ICU (Intensive Care Unit) survivors after intensive care, and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quality of life in order to provide objective data on the risk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ICU patients and basic data that could help develop an intervention for reduc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Data were collected from 116 patients who were discharged from ICU in a university hospital in Deajeon, Korea from April 1, 2017 to March 23, 2018. The environmental stress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quality of life were measured by the ICUESS, IES-R-K, and EQ-5D-3L respective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n SPSS PASW Statistics 18.0 program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of environmental stressors (ICUESS) perceived by patients was 1.49(SD=0.38) immediately after ICU discharge. In the category of ICU environmental stressor, the highest mean rating perceived by patients was immobilization, followed by isolation, sleep deprivation, sensory deprivation, disorientation, and depersonalization. 2. The results from IES-R-K revealed that 19 patients (16.4%) reported experienc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degree of the respondent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was an average of 7.81(SD=10.04), with 7 patients (6.0%) categorized into the low-risk group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12 patients (10.4%) categorized into the high-risk group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3. They scored an average of 0.64(SD=0.32) for the quality of life immediately after ICU discharge and average of 0.82(SD=0.16) for the quality of life 1 month later after ICU discharge. The quality of life was improved over time. 4.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1 month later after ICU discharge were as follows: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Departments of Medicine (t=-2.32, p=.022), experience of ICU re-entry (t=-2.13, p=.035), previous psychological drug history (t=-2.10, p=.038), using psychotropic drugs and narcotic analgesics in ICU (t=-4.11, p<.001), Demerol (t=-3.54, p=.001), Fentanyl (t=-1.99, p=.049), Codeine (t=-2.49, p=.014), anxiolytic agent (t=-2.03, p=.045), painkiller (t=-3.90, p<.001), and ICU admission after cardiac intervention or surgery (t=-2.08, p=.040). 5.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quality of life immediately after ICU discharge were as follows: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t=2.39, p=.021), education level (F=4.43, p=.005), prior job before ICU (t=2.20, p=.030), entry route (t=4.91, p<.001). types of ICU (F=16.44, p<.001), sedation status when entering ICU (t=-2.20, p=.029), Departments of Medicine (t=3.32, p=.001), ventilator (t=2.71, p=.008), using psychotropic drugs and narcotic analgesics in ICU (t=3.86, p<.001), Demerol (t=3.67, p<.001), Fentanyl (t=2.80, p=.006), sedatives (t=3.55, p=.001), pain killer (t=3.99, p<.001), restraint (t=2.70, p=.008), APACHE II score (r=-.34, p<.001), basal kidney disease (t=2.63, p=.010), frightening experience in ICU (t=2.54, p=.012), 6.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quality of life 1 month later after ICU discharge were as follows: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age (t=2.40, p=.018), living with family (t=-2.45, p=.016), prior job before ICU (t=2.63, p=.010), sedation status when entering ICU (t=-3.00, p=.007), experience with CPR (t=-6.13, p<.001), using psychotropic drugs and narcotic analgesics in ICU (t=2.76, p=.007), APACHE II score (r=-.29, p=.002), basal heart disease (t=2.29, p=.024). 7. Factors significantly affect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1 month later after ICU discharge were found that pain killer (β=.392, p=.013) had the greatest impact. followed by environmental stressor score (β=.299, p=.001), experience of ICU re-entry (β=.238, p=.006).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25.3%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1 month later after ICU discharge. 8. Factors significantly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immediately after ICU discharge werev found that pain killer (β=-.255, p=.048) had the greatest impact. followed by the ICU entry route (β=-.247, p=.020), APACHE Ⅱ score (β=-.221, p=.009), prior job before ICU (β=-.200, p=.018), gender (β=-.185, p=.038).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37.6% of the quality of life immediately after ICU discharge. 9. Factors significantly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1 month later after ICU discharge were found that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β=-.299, p=.001) had the greatest impact. followed by sedation status when entering ICU (β=.264, p=.004).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29.1% of the quality of life 1 month later after ICU discharge. In conclusion, environmental stressor is the factors affect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s the factors significantly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1 month later after ICU discharge. It is necessary to concentrate on nursing intervention to reduce environmental stressors for ICU patients. If Nursing Interventions focused on the immobilization and isolation, which are the greatest stress factors, would not only reduce environmental stress but also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the quality of life later.

      • 대인관계 장애아동의 장애 정도와 가족의 체계적 특성과의 관계연구

        차효정 聖心女子大學校 大學院 1992 국내석사

        RANK : 248639

        아동에게 있어 가정이라는 환경은 아동의 올바른 성장에 매우 중요한 변수가 될 수가 있다. 그러나 현대의 과도기적 사회구조와 가족문화의 변화는 아동의 정서적 혼란과 역기능적인 행동을 유발하는 요인을 제공해 주고 있다. 특히 정서적인 곤란에 처한 아동에게 있어 가족이라는 환경체계는 아동의 대인관계형성에 문제를 유발할 수도 있으나 동시에 문제의 해결방법을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대인관계장애 아동과 그 가족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인관계장애 아동의 가족체계특성과 아동의 대인관계장애 정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봄으로써 서로 연관성이 나타나는 요인에 초점을 두고 대인관계장애아동의 가족에 대한 개입방안을 모색해 본다는 목적아래 1992년 8월 부터 10월 까지 서울의 D 아동상담소와 H 연구소에서 상담치료를 받고 있는 아동의 가족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아동의 대인관계와 가족체계특성에 관한 이론과 문헌고찰을 통해 연구의 개념적인 틀을 마련하고, 대상가족의 일반적 사항과 가족체계특성 및 아동의 대상별 대인관계정도를 알아본다. 또한 일반적인 사항들과 관련된 가족체계특성과 아동의 대인관계정도에 대한 분석과 함께 아동의 대인관계정도와 가족체계특성간의 상관관계를 통해 두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는 대상가족에 대해서는 체계이론에 입각해 개발된 김규수의 가족사정도구를, 아동의 대인관계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한국행동과학연구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대인관계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PC+를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변량분석(oneway ANOVA)과 상관관계(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사항에서 부모의 학력과 관련된 요인은 가족의 내적적응과 부모관계정도,형제자매관계정도,친구관계정도이다. 그리고 부모의 직업과 가족전체성이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이 나타났고, 부모의 수입과는 형제자매관계정도가 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한편,아동의 치료기간과는 가족전체성과 가족내적위계,의사소통양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가족체계특성과 아동의 대상별 대인관계정도의 상관관계를 통해 가족의 개방성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전체성은 형제자매관계정도와 정적상관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즉,가족전체성이 긍정적으로 나타날 때 아동의 형제자매관계도 원만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가족의 내적위계는 부모관계정도 및 형제자매관계정도와 정적상관관계가 있음이 나타나 역시 가족내 위계질서가 바람직하게 이루어질 때 아동이 부모나 형제자매와 관계 맺는데 어려움을 적게 느낌을 알 수 있었다. 가족의 내적적응은 형제자매관계정도와는 정적상관관계가,교사관계정도와는 부적상관관계로 나타나,가족의 적응능력은 아동의 긍정적인 형제자매관계와 연관성을 가지지만 교사와 관계를 맺는데 있어서는 오히려 부정적인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족항상성이 긍정적일수록 아동은 부모 및 형제자매와 긍정적인 관계를 맺고 있음이 나타났다. 가족의 의사소통양상은 형제자매관계와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나,가족내 의사소통과정을 통한 상호작용은 아동의 긍정적인 형제자매관계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족규율은 아동이 교사와 관계맺는데 있어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위의 결과를 통해 아동의 대인관계장애는 가족체계특성과 각 하위영역들에서 부분적으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특히 아동의 형제자매관계가 가족체계의 하위특성들중 전체성,내적위계,내적적응, 항상성,의사소통양상과 연관성이 높음이 나타났다.즉, 가족체계가 긍정적인 성향을 가질수록 아동의 형제자매관계가 원만하며, 형제자매관계는 아동이 최초로 접하는 또래관계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인관계장애를 겪고 있는 아동들과 그 가족들에 대한 구체적이고 통합적인 치료접근을 모색할 수 있는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좀더 대인관계장애아동가족의 연구에 적합한 도구개발과 구체적인 치료프로그램에 관한 후속 연구들이 나온다면 아동의 정상적인 성장과 가족기능의 회복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The family environment is substantially important to the proper growth of a child. However, modern transitional social structure and the change of family culture offers primary factors for child to cause emotional confusion and disfunctional behavior. Especially for a child in emotional difficuties, even though family environment system can cause problems in his or her form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imultaneously can introduce the solution of the problem. Therefore, we need definite approach by studying children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sorder and their fami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by analizing family's systemic characteristics of the child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sorder and the child's degre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sorder, focusing on their correlation. In accordance with these aims, I did this research with the childern and his or her family who were being treated in "D" Child Guidance Center and "H" Institution in Seoul. The period of this research was from Aug.1992 to Oct.1992. The content of this study, first,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research by studying theories and records of children'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family's systemic characteristics, and next analiz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families provided by the result of the research, and the degree of families' systemic characteristics and children'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addition, the researcher analized family's systemic characteristics and child's interpersonal relationship degree related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with them correlation of the two variables were studied. In this research I used the scale systemetically developed by Kim Kyu Su's Family Assessment Scale for the famili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used in Korea Behavior Science Institution to analize the degre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the children. Computer software program SPSS PC+ was used on data to find out frequency, percentage distribution, oneway ANOVA,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general characteristics, parents' education level is related to family's adaptation, the degrees of parents, sibling, friend relationship, and parents' occupation is related to family wholeness. The child's period of treatment and family wholeness, family hierarchy and communication pattern have statistically important relations. Second, through the correlation of the family's systemic characteristics and degre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it revealed that family openness has no correlations. Whereas family wholeness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sibling relationship. When family wholeness is positive, the child's sibling relationship is tend to be quite satisfactory. The hierarchy of family has positive correlations with degree of parent and sibling relationship. It shows that child feels less difficulty in the relatonship with his or her parents or sibling when the hierarchy of family is desirably founded. The family adaptation has correlation with degree of sibling and teacher relationship. It shows that the family's adaptation ability possitive relationships with sibling relationship, but with the teachers, it tends to have negative ralationships. In addition, when family homeostasis is positive, the chlid has possitive ralationship with his or her parents and sibling. Since the family communication pattern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ibling relationship. And the family rules has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teacher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child's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sorder are partly related to the family's systemic characteristics and its subfields. Especially the child's sibling relationship is highly related to wholeness, hierarchy, adaptation, homeostasis and communication pattern in the family systemic subfields. The more positive tendency the family system has, the more satisfactory the child's sibling relationship becomes. And it suggests that sibling relationship might be one of the first typ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y involv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more specific and integrated treatment for the children suffering disorder in interpersonal realtionship and their family. If the follow-up studies can develop more specific treatment programs and adequate scales, they will contribute to child's normal growth and the recovery of family's fu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