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판 <소대성전> 판본 검토

        차충환(Cha Chung-Hwan) 어문연구학회 2021 어문연구 Vol.109 No.-

        본고에서는 경판 <소대성전>의 판본을 검토하였다. 경판 <소대성전>의 판본에 대해서는 기왕에 구체적인 논의가 있었는데, 그 후에 새로 소개된 판본도 있고 아직 검토되지 않은 판본도 있어, 이 시점에서 종합적으로 다시 정리할 필요가 있었다. 현재 경판 <소대성전>은 같은 장수(張數)의 이판본을 포함하여 총 11종의 판본이 남아 있다. 이는 현전 경판 방각소설 중에서 가장 많은 양이다. 16장본 <소대성전>은 최소 세 번 이상 간행되었고, 그중에서 와세다본은 1901년 이전에 간행된 것이다. 그리고 와세다본을 모본으로 1905년에 서강대본이 간행되었으며, 다시 서강대본을 모본으로 1920년에 한남서림본이 간행되었다. 경판 방각소설 중에는 <춘향전>, <조웅전> 등 16장으로 간행된 작품이 더러 있는데, 세 번 이상 간행된 작품은 <소대성전>이 유일하다. 또한 와세다본은 경판 16장본들이 대략 1900년 전후 시기에 간행되었음을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그동안 소개되지 않은 와세다본의 제반 특징을 검토하고, 이 와세다본을 중심으로 16장본들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연경본과 천리대본은 와세다본과 같은 판본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서강대본이 와세다본을 번각하고, 한남서림본이 서강대본을 번각하는 과정에서 개각도 폭넓게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16장본과 장수가 다른 판본을 비교해 보았는데, 그 결과 ‘21장본→와세다본→서강대본→한남서림본’의 형성 계보를 알 수 있었다. 17장본은 16장본과는 관계가 없었다. 와세다본(16장본)을 보면 행간에 다른 판본의 내용을 삽입한 부분이 다수 나타난다. 이것은 다른 판본과의 비교 읽기에 의한 흔적이다. 그런데 삽입된 행문을 다른 판본과 비교해 보니, 와세다본의 독서자는 현전하는 판본이 아니라 현전 판본의 내용을 포괄하는 다른 판본을 가지고 비교 읽기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현전 36장본보다 장수가 더 많은 판본이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한 기존 연구자의 생각이 타당함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studied So Daeseong-jeon Seoul Edition (Gyeongpan, 京板). There has been a detailed discussion on So Daeseong-jeon Gyeongpan in the past. However, some new Gyeongpans have been introduced in the meantime, and There are also woodblock prints that have not been studied yet. Therefore, a comprehensive review is required again at this point. At present, there are a total of 11 Gyeongpans in So Daeseong-jeon. This is the largest volume in the Gyeongpan novels in Hangeul. So Daeseong-jeon Gyeongpan 16 leaves has been published more than three times, of which the one in the collection of Waseda Univ. in Japan was published before 1901. And based on Waseda version, the Sogang Univ. version was published in 1905, and Hannam Seorim version was published in 1920 based on the Sogang Univ. version. Among Gyeongpan woodblock novels, So Daeseong-jeon is the only one of 16 leaves published more than three times. Also Waseda version is an important source of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16 leaves of the Gyeongpan were published around 1900. The Waseda version, the version of Cholli Univ. in Japan, and the version of the Harvard Yanqing Library are the same version. When the Sogang Univ. version was produced based on the Waseda version and the Hannam Seorim version based on the Sogang Univ. version, it was produced not only in the same shape, but in a different form in terms of vocabulary and arrangement of lines. When viewing Waseda version, there are many places where content of another version is inserted between lines. This is a trace of what readers of Waseda version read in comparison with other versions. Comparing the contents inserted in the Waseda version with other versions, it was found that the reader of the Waseda version did a comparative reading with a different version rather than the present version of the So Daeseong-jeon.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guess the fact that a larger version was published than the present 36 leaves.

      • KCI등재

        <효우창선록> 연구

        차충환 ( Cha Chung-hwan ) 한국고소설학회 2017 古小說 硏究 Vol.44 No.-

        <효우창선록>은 한글필사본 고전서사 작품으로서, 현재 국립한글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조선시대 양반집 자제가 가난하여 부모를 봉양할 수 없게 되자, 부부가 스스로 몸을 팔아 그 대가로 부모와 가족을 봉양하고, 나중에는 양반신분을 회복하여 입신공명의 현달한 삶을 누리는 이야기이다. 1910년대 초반에 유통된 신소설의 표현방식이 폭넓게 나타나고, 특히 1910년대 초반에 널리 유통된 활자본 고소설 <보심록> 계열의 한 삽화를 작품 창작에 직접 활용한 것으로 보아, 이 작품은 1910년대 초반 이후에 창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장남인 이관옥 부부가 몸을 판 것은 효를 위한 것이고, 관옥 부부를 대신하여 노비의 천역을 수행한 그 동생들은 형제간의 우애를 중시하여 그렇게 했다. 그리고 주변인물들은 이관옥 형제의 효우에 감동을 받아 관옥 형제에게 여러 차례 큰 은혜를 베풀어 주었는데, 이는 관옥 형제의 효우가 그들의 선심(善心)을 자극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이 작품은 작품 제명에 부합되게 ‘효우창선’을 매우 강조하고 있다. 곤궁한 처지에서 벗어난 이관옥 형제는 그동안 자신들이 받은 은혜에 일일이 보답을 한다. 이로 인해 ‘시은-보은’의 구조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구성방식 상으로는 기존 고전서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삽화나 일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는 특징을 지닌다. <효우창선록>에 활용된 삽화나 일화로는 <보심록>에 등장하는 삽화, 홍순언일화, 『금계필담』에 실려 있는 일화, 암행어사출도 삽화, 위기에 처한 여인 구해주기 삽화 등이 있다. <효우창선록>은 내용적으로는 조선후기 현실에서 실제로 행해졌던 매신 풍조를 반영하여 창작된 것으로 짐작된다. 실제로 양인들 중에 가난, 치상(治喪), 부모 봉양 등의 이유로 자매(自賣)를 한 사실을 보여주는 자매문기(自賣文記)가 많이 남아있는바, 비록 기록은 찾을 수 없지만, 양반의 자제 중에도 자매를 하는 일이 분명히 있었을 것으로 본다. <효우창선록>은 양반의 그러한 현실을 반영한 작품으로 이해된다. 1910년대 이후에 창작된 서사 작품 중에는 이 작품과 같은 문제의식과 서사형태를 지닌 작품은 희소한 것으로 보이는바, 그런 점에서 <효우창선록>은 새로운 읽기 텍스트로서의 가치가 충분한 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겠다. Hyowoochangseonnok is a Korean classical narrative manuscript, and is now stored in National Korean Language (Hangeul) Museum. The summary of the narrative is as in the following. A son from an aristocrat family during the Chosun Dynasty of Korea could not support his parents. He prostituted himself to take responsibility of the family, and finally succeed in maintaining his status as an ‘aristocrat’. This narrative shows how a “new-style novel (nouveau roman)” is realized during beginning of the 20<sup>th</sup> century. Also, it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Bosimnok which was distributed in the 1910s. These traits backs up hypothesis on the year this narrative was created. Postulation of the main character Gwan-ok, followed by similar actions that his brothers take, proceed from the traditional concepts of “Hyo” and “brotherliness”. These are what the writer tries to highlight across the story. The Gwan-oks stimulated the surrounding people’s “good heart”, therefore making them to offer help for the siblings. This resulted in the Gwan-ok and his brothers to repay for the kindness. The “offering-repaying” structure is noticeable in this narrative. Furthermore, the story borrowed typical anecdotes that many classical narrative possess. The anecdotes that were insulted in Hyowoochangseonnok were “HongSooneon story”, an anecdote found in Geumgyepildam, and the motifs on “appearance of the royal secret investigator” and “rescuing woman in danger”. These are the reflection of the reality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There certainly exists considerable amount of records on postulating oneself because of poverty, funeral processes, and supporting parents. Though the records of the aristocrats are hardly found compared to other stratum, it can be easily implied. Hyowoochangseonnok reflects the reality of the aristocrats. However, the narratives created after the 1910 does not possess those kind of problem awareness and narrative style. This is the reason why Hyowoochangseonnok repays careful reading and analysis.

      • KCI등재

        이항복 이야기책 연구

        차충환(Cha, Chung-Hwan) 우리문학회 2016 우리文學硏究 Vol.0 No.51

        이항복 이야기는 그동안 다양한 문헌기록과 구비설화로 전승되어 왔다. 그러다가 1920년대 후반이 되면, 여러 문헌자료와 각편의 구비설화 등 그때까지 여기저기에 산재해 있던 이항복의 이력과 이야기들이 한 곳에 모아져 출판물로 발행되는 기회를 갖게 된다. 그 구체적인 증거가 구활자본으로 발행된 회동서관본 〈오성기담〉, 신구서림본 〈한음과 오셩실긔〉, 문광서림본 〈오성과 한음〉, 세창서관본 〈오성과 한음〉이다. 이들을 살펴본 결과, 신구서림본은 회동서관본의 아류작이며, 세창서관본은 신구서림본과 문광서림본을 짜깁기하여 만든 책임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현존하는 구활자본 이야기책 중에서 대표본은 회동서관본과 문광서림본임이다. 그 중에서 회동서관본은 이항복의 여러 인간상 중에서 특히 해학, 지모, 이인적 인간상에 초점을 두고, 이를 부각시키는 방향으로 저술된 것이다. 이렇게 하기 위해 저자는 전승자료 중에서 특히 구비설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이에 반해 문광서림본은 이항복의 전 생애를 허구와 사실의 결합을 통해 총체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를 위해 『백사집』이나 실록 등 이항복의 이력과 인간상을 전하는 거의 모든 문헌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그와 함께 구비설화도 다양하게 활용하였다. 그 결과, 문광서림본은 이항복의 이력과 인간상의 총서라고 할 작품이 되었다. 1920,30년대에 이와 같은 이항복 이야기책이 다수 발행될 수 있었던 것은 이항복 이야기의 매력과 그것의 상업적 유통 가능성, 그리고 역사인물을 대상으로 하는 실기류가 폭넓게 저술되었던 당대의 출판 환경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Lee Hang-bok was born humor, satire, ingenuity, piercing eye. And he was not bound every circumstance. He lived hotly. Besides, he contributed to overcom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So he become worthy retainer of attendance. He made plans to carry out correct defamation of morality with negative memorial to the Throne of deposal of queen. These careers and personality of Lee Hang-bok was transmitted by several documentary records such as the collection of works of Lee Hang-bok and the True Record of the Yi Dynasty. And they was transmitted by oral folk tales also. After that, at late in 1920, the storybooks of Lee Hang-bok was published. They collected many fact and folk tale on documentary records and oral folk tales. The storybooks was Osunggidam is printed by Hoedongseogwan, Hanumgwa Osungsilgi is printed by Singuseorim, Osunggwa Hanum is printed by Mungwangseorim, Osunggwa Hanum is printed by Sechangseogwan etc. Hanumgwa Osungsilgi made by base on Osunggidam. And Osunggwa Hanum(Sechangseogwan) made by invisible mending of Osunggwa Hanum(Mungwangseorim) and Hanumgwa Osungsilgi. Accordingly, the main texts of Lee Hang-bok storybook are Osunggidam and Osunggwa Hanum(Mungwangseorim). Osunggidam emphasized humor, ingenuity, unusual ability of Lee Hang-bok with oral folk tales. Osunggwa Hanum(Mungwangseorim) showed Lee Hang-bok’s whole life through union of fact and fiction. In order to them, A writer utilized almost entire documentary records and oral folk tales. In shot, Osunggwa Hanum(Mungwangseorim) is afford to acknowledge a collection of books on careers and personality of Lee Hang-bok.

      • KCI등재

        일반논문 : 고소설에 나타난 놀이문화 연구 -<옥루몽>과 <옥선몽>을 중심으로-

        차충환 ( Choung Hwan Cha ),김진영 ( Jin Young Kim ) 한국공연문화학회 (구,한국고전희곡학회) 2012 공연문화연구 Vol.0 No.24

        본고에서는 고소설 <옥루몽>, <옥선몽> 그리고 기타 몇 작품을 대상으로 고소설에 나타난 놀이문화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고소설에는 당대에 존재했던 많은 놀이들이 등장한다. 그런데 대개의 경우 놀이의 명칭만 등장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놀이와 관련된 간략한 문구만 서술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옥루몽>과 <옥선몽> 등에는 일부 놀이의 장면이 구체적으로 서술되어 있어, 소설 창작 당대의 놀이 모습을 어느 정도 확인할 수있고, 또 어떤 경우에는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놀이 지식을 보충해 주는 부분도 확인된다. 본고에서 살펴본 놀이는 격구(擊毬), 선유(船遊), 전춘(餞春), 쌍륙(雙六), 낙성연(落成宴)의 놀이들이다. <옥루몽>에는 격구 장면이 자세히 서술되어 있다. 격구는 구문(毬門)을 세워두고 공을 치거나 굴려 구문 안으로 공을 넣는 경기이자 놀이인데, <옥루몽>에 서술된 격구는 양 편이 공을 번갈아치면서 공을 땅에 떨어뜨리면 지는 방식의 경기로 서술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은 <옥루몽>이 창작된 19세기 당대에 실제로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옥루몽>은 격구를 남방에서 새끼사자가 자신의 목에 달린 털뭉치를 이용하여 사냥 연습을 한 데서 유래했다고 서술하고 있다. 이 또한 새로운 정보이다. 선유놀이는 대개 왕족이나 고위 관리, 양반풍류객들, 유흥과 부를 기반으로 한 중간계 층 등 주로 남성들에 의해 행해진 놀이였다. 그러나 <옥루몽>에는 여성들도 단독으로 선유놀이를 하는 장면이 제시되어 있다. <옥루몽>에는 전춘놀이의 면모도 매우 구체적으로 서술되어 있다. 전춘놀이는 본래 소년과 기녀들이 주장하는 것이었는데, 근래에는 상하귀천 없이 모든 사람들이 즐긴다는 것, 기녀들이 낮에는 가무를 즐기다가 저녁이면 머리에 꽂은 채화를 물에 던지면서 놀이를 마무리하는 것은 고법이고, 근래에는 남녀 인물들이 각기 인물됨을 품평하여 짝짓기를 한다는 것, 전춘교에서 기녀들이 춤을 추고 노래를 하면서 즐긴다는 것 등이 <옥루몽>에 서술된 전춘놀이의 대략이다. 쌍륙은 많은 고소설 작품에 등장하는 놀이이다. 그러나 대부분 명칭만 등장하는데, <옥루몽>에는 "사 ", "놉흔사`" 등 쌍륙을 칠 때 사용하는 용어들이 일부 등장하고 있어, 쌍륙놀이의 현장을 어느정도 체감할 수 있다. <옥선몽>의 낙성연 장면에서는 갖가지의 연희물과 놀이들이 소개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 19세기 당시 솟대장이를 "효 장이"로, 꼭두각시놀음을 "골 "로 부르기도 했다는 사실을 새롭게 알게 되었다. 그 외에도 현재로서는 재구하기 힘든 " 검질", "먹국질" 등의 놀이도 있었음을 알 수 있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play culture of Korean ancient novel. A chief object are <Okroomong(옥루몽)> and <Oksunmong(옥선몽)>. The plays much appear Korean ancient novel, But they was most name of play and brief sentence. But in <Okroomong> and <Oksunmong>, plays appear concretely. So, play forms and new informations get through <Okroomong> and <Oksunmong>. This article investigated a kind of polo(擊毬), boating(船遊), springtime play (餞春), a Korean parchisi(雙六), plays of building completion party(落成宴의 놀이) etc. A kind of polo that ball put goal. But a kind of polo of <Okroomong> that in turn hit ball, don`t drop land. This style is play style of Korean 19`s. And by <Okroomong>, a kind of polo is started hunting exercise of lionet. This also is new knowledge on a kind of polo. A boating was pass off by royalty, high-ranking officials, Yangban elegant young men, middle-income bracket etc. But in <Okroomong>, women enjoyed boating. This also is new knowledge. In <Okroomong>, a springtime play primary was play of young man and gisaeng[Korean geisha], But it now become play of entire persons. And gisaeng enjoyed songs and dances day and gisaeng draw flower of hair into river. And young man and gisaeng do mating ritual through each figure valuation, Also gisaeng singing and dancing on bridge. In <Okroomong>, a concrete words of a Korean parchisi appear, <Oksunmong> shows several play, for exemple Sotdae(솟대) play, marionette play ete. In <Oksunmong>, Sotdae(솟대) play named "Hyoddaejangyi(효때장이)", marionette play named "Golddo(골또)". Except for that, "Palgumjil(팔검질)", "Mukkugjil(먹국질)" appear. But this can`t know.

      • KCI등재

        필사본 고소설 〈왕현전〉연구

        차충환(Cha, Chung-hwan),안영훈(An, Young-hoon) 우리문학회 2014 우리文學硏究 Vol.0 No.42

        <왕현전>은 한글 필사본 고소설로서 현재 2종의 이본이 전한다. <왕현전>은 주인공의 만득자 출생, 간신의 참소로 인한 가족 간의 분리와 시련, 도사로부터의 수학 및 대결력 획득, 양병한 군사들의 출전, 외적과의 대격전 및 무공, 조국의 재건과 가족 회복 등 서사 전개양상이 <유충렬전> 유형의 영웅 소설과 비슷하다. 그러나 충신과 간신의 갈등이나 가족의 시련 등은 약화된 반면, 明과 金으로 설정된 국가 간의 쟁투가 매우 강화되어 있다. 작품에는 두 차례의 대규모 전쟁이 설정되어 있는데, 제1차 대전에서 호적들은 明을 멸망시키고 金을 세운다. 그때 명황제는 신하들과 도피생활을 하고 왕현을 비롯한 일련의 영웅들은 해중 고도에서 양병을 한다. 그런 다음 제2차 전쟁에서 왕현 등은 장기간의 격전 끝에 金을 패망시키고 明을 회복?재건한다. 이와 같이 <왕현전>은 국가 간의 쟁투를 골격으로 하는데, 그 국가 간의 쟁투가 明·金간에 이루어지고, 그 과정에서 작가는 大明회복의식을 매우 강조하고 있다. 이것은 17 · 18세기 조선조 사회에서 팽배했던 대명의리론, 중화회복의식 등과 관련이 있는 것이다. <왕현전>의 작품 속 주인공들은 아군, 적군 관계없이 모두 역사적 실존인물이 재생한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는 점도 주요한 특징이다. 명나라 측의 왕현, 왕충, 울진필, 진옥 등은 각각 관평, 관흥, 장비, 조자룡의 재생인물이고, 호적 장수들인 호천통, 철통골, 벽역 등은 각각 항우,조조, 손권의 재생인물이다. 작품은 이들의 대결에서 최종적으로 왕현 측이 승리하여 明을 재건하는 것으로 전개한다. 이처럼 대결 주축들을 역사영웅의 재생으로 설정한 것은 국가 간의 쟁투를 강화하기 위한 장치로 여겨진다. 또한 전쟁에서 蜀漢인물의 재생인 왕현 측이 승리를 거두고 明을 재건하는 것은 明이 촉한의 정통성을 계승한 나라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왕현전>에는 17?18세기 조선조 사회의 주류 이념이었던 明나라 중심의 정통론이 일정하게 반영된 것으로 여겨진다. <왕현전>은 인물형상이나 서사구조, 모티프 등에서 조선후기에 유통된 유명 작품들, 즉 <사씨남정기>, <구운몽>, <창선감의록>, <숙향전>, <조웅전> 등의 전대 작품의 영향을 많이 받아 형성되었다는 점도 특기할 만하다. 〈WanghyunJun〉 is Hangul copying novel of Josun latter period. Now it is two versions. In content and style, 〈WanghyunJun〉 belong to hero novel style of Josun latter period. It is proved through next facts. Namely, protagonist is born begetting a child in parent later years, loyalist is chased border areas because of condemnation on villainous retainer, family of protagonist is faced suffering, protagonist correct villainous retainer by confrontation power and recovers national rights, the betrothal and betrothal obstacle of protagonist appear in work, family of protagonist meet again and they come to happiness. Especially 〈WanghyunJun〉 belong to 〈YoochungnyulJun〉 style. But conflict of loyalist and villainous retainer has weakened, suffering of families has weakened. En revanche, racial battle, that is battle between Ming(明) and Jin(金) is emphasized. Twice large scale battle is set in work. The foreign enemy have the overthrow Ming on the first battle. And the foreign enemy found Jin. After that, emperor of Ming escaped in deep mountains with vassals. And heroes, including Wanghyun, trained military forces on isolated island in the sea. And then in the second battle, heroes, including Wanghyun, had the overthrow Jin through fighting of long terms. And they restored Ming. Like this, 〈WanghyunJun〉is based on racial battle, that battle happened between Ming and Jin. Writer of 〈WanghyunJun〉 expressed Sinocentrism in battle story structure. In this writer consciousness, it is reflected thought and ideal of Josun latter period. The character of〈WanghyunJun〉is all recycling reclamation of historic existent persons. In Ming nation, Wanghyun is recycling reclamation of Gwanpyung, Wangchung is recycling reclamation of Gwanheung, Uljinphil is recycling reclamation Jangbi, Jinok is recycling reclamation Jojaryong. Also in Jin, Hochuntong is recycling reclamation of Hangwoo, Chultonggol is recycling reclamation of Jojo, Byukyuk is recycling reclamation of Songwon. From among these, Gwanpyung, Gwanheung, Jangbi, Jojaryong was ShuHan (蜀漢) persons. In work, writer composed of work with battle of this both parties, and finally Ming gain the battle Jin. Therefore victory of heroes, including Wanghyun, equals victory of ShuHan persons. In the composition of these, writer emphasized Sinocentrism of ShuHan legitimacy. In character figure, narrative structure, motif, 〈WanghyunJun〉 was created on influence of previous generation works in the Josun period. That is, 〈WanghyunJun〉 was effected 〈Sassinamjunggi〉, 〈Guunmong〉, 〈Changsungamuirok〉,〈SukhyangJun〉, 〈JoungJun〉 etc.

      • KCI등재

        〈신랑의 보쌈〉의 성격과 개작양상에 대한 연구

        차충환(Choung-hwan, Cha) 어문연구학회 2012 어문연구 Vol.71 No.-

        본고는 1917년에 발행된 구활자본 고소설 〈신랑의 보쌈〉의 성격과 개작양상, 그리고 소설사적 의의를 고찰한 것이다. 〈신랑의 보쌈〉은 전대에 존재했던 〈정수경전〉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정수경전〉은 과거 길을 떠한 한 청년이 운명으로 주어진 여러 난관을 극복하고 행복한 결말에 이른다는 내용이다. 〈신랑의 보쌈〉도 이런 줄거리를 이어받았다. 그러나 동물과 초월적 존재의 구원, 범인 추포 과정, 악인의 간계로 인한 혼사장애, 여성인물의 정절과 일부다처제 수용, 보쌈폐지 관련 내용 등은 〈신랑의 보쌈〉에서 새롭게 설정된 것이다. 또한 인물을 새롭게 창조하고 역전서술 기법을 활용하여 작품의 흥미를 높였다. 진술방식 상으로는 신소설적 표현을 일부 구사하연서 서술자 개입이 강화되었다. 서술자는 작품의 내용을 그냥 보여주지 않고 독자들을 자신의 설명과 해석으로 인도하려는 성향을 보여주었다. 아울러 서술자는 인물의 내면심리 표출을 중시했다. 작가의 주제의식으로는 효와 정절의 윤리, 계몽의식 등이 두드러졌다. 〈신랑의 보쌈〉은 고소설적 성격을 유지하면서 신소설적 요소도 일부 가미된 작품이다. 이러한 성격은 1910년대 후반에 발행된 활자본 고소설의 성격과 궤를 같이 한다. 1910년대 당시 일부 고소설 중에는 신소설 득세기에는 신소설적 성격의 작품으로 개작되었다가, 다시 고소설적 성격의 작품이 득세했을 때는 고소설적 성격이 강한 활자본으로 개작되었다. 〈정수경진〉이 〈옥중금낭〉으로 개작되었다가, 다시 〈신랑의 보쌈〉으로 개작된 것도 그러한 경우이다. This paper investigated character and adaption shapes of 〈Bossam of Shinrang〉. And through it. meaning of novel history was investigated. 〈Bossarn of Shinrang〉 was based on 〈Jeongsookyeongjeon〉. Therefore comparison of 〈Bossam of Shinrang〉 and 〈Jeongsookyeongjeon〉 is necessary. 〈Jeongsookyeongjeon〉 is composed of ceremonial walk for examination, fateful hardship, hardship surmount of a young man. 〈Bossam of Shinrang〉 was succeeded contents of 〈Jeongsookyeongjeon〉. However. rescue of animal and transcendental person. criminal hunt course. marriage obstacle is caused villain. chastity of woman, polygamic customs. Bossam story was new set. And interest of work was increased through creation of new characters. reverse description technique. The intervention of narrator was stand out. The narrator had a dash at draw readers in his explanation and interpretation. Besides. the narrator put stress on inner description of characters. A filial duty and chastity. enlightenment concept was stand out. This is thematic concept. 〈Bossam of Shinrang〉 has both the succeeded shape of a classical novel and the shape of new novel. But the succeeded shape of a classical novel is more stand out. One part of classical novel was adapted new novel at gain power of new novel. Also, One part of classical novel was adapted shape of a classical novel at gain power of classical novel. The typical example is 〈Okjungkeumnang〉 and 〈Bossam of Shinran〉. 〈Jeongsookyeongjeon〉 was adapted novel of 〈Okungkeumnang〉 at gain power of new novel. Also, 〈Jeongsookyeongjeon〉 was adapted novel of 〈Bossam of Shinrang〉 at gain power of classical novel. Therefore. 〈Bossarn of Shinrang〉 has meaning that it represent rebirth a printed copy classical novel go through new novel gain power time.

      • KCI등재

        판소리 독서물 탄생의 기반 사유 -<춘향전> 필사본을 통한 고찰-

        차충환 ( Choung Hwan Cha ) 한국공연문화학회 (구,한국고전희곡학회) 2011 공연문화연구 Vol.0 No.23

        판소리작품 필사본을 읽다 보면, 방각본이나 창본 등 다른 이본에는 보이지 않는 생소한 내용이나 장면을 드물지 않게 발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보고, 해당 이본의 작가는 어떠한 목적으로 그처럼 생소한 내용이나 장면을 설정했을까 하는 의문을 가지게 되었는데, 이러한 의문이 본고의 출발점이다. 다른 이본에는 존재하지 않아 공유성이 거의 없는 내용이나 장면은 해당 이본의 작가가 새롭게 창조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이본은 대개 독서물로 유통된 작품이라고 판단된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일부 <춘향전> 필사본을 대상으로, 생소한 내용이나 장면에 초점을 맞춰, 판소리 독서물 탄생에 개재된 기반 사유를 추론해 보았다. 그 결과 첫째, <춘향전> 독서물 중에는 작가가 자신의 지식을 현시하기 위해 전에 없던 사설과 장면을 창조한 예를 볼 수 있었다. 이에 해당하는 이본으로는 김광순소장28장본 <별춘향가>, 사재동소장87장본 <춘향전>, 홍윤표소장154장본 <춘향전> 등이 있다. 이들 이본에 나타난 지식의 현시는 19세기 전후에 폭넓게 부상한 지식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일부 <춘향전> 이본을 보면 마치 조선후기의 연희 현장을 재현한 듯한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이에 해당하는 이본으로 본고에서 주목한 것은 경상대소장75장본 <춘향전>과 계명대소장52장본 <춘향전>이다. 전자에는 주점 여객들의 이야기판, 판소리명창의 판소리판이 장면화되어 있고, 후자에는 왈자들의 연희판이 장면화되어 있다. 이러한 특징은 해당 이본의 작가가 조선후기 당대에 흔히 접할 수 있었던 연희판을 자신의 작품 속에 재현해 보려는 목적이 있었기에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실제로 조선후기 연희 현장에는 판소리가 다른 예능들과 늘 함께 있었다. 판소리의 이러한 존재 환경이 판소리 작가에게 주목되었고, 그 결과로 독서물에 연희판을 재현한 듯한 장면이 등장할 수 있었다고 본다. 셋째, 일부 <춘향전>에는 양반권력을 풍자·비판하려는 목적이 좀 더 강화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에 해당하는 이본으로는 충남대소장72장본 <춘향전>과 그 계열, 박순호소장59장본 <춘향전>과 그 계열이 있다. 양반권력에 대한 퐁자와 비판은 판소리작품이면 거의 모두 공유하는 것인데, 위 계열의 작가는 다른 이본에는 없는 내용과 장면을 새롭게 설정하여 그 점을 좀 더 강화했다. This thesis investigated basic thinking of Pansori reading text appearance. Among Pansori reading texts, it is versions include unfamiliar contents and scenes in text. They was created by writers of Pansori reading text. Why created a writers of Pansori reading text them? First, writers of Pansori reading text created new contents and scenes in order to show their knowledge. Reading texts of this feature are 28pages version Chunhyangjun belonged to Kim Kwang-sun, 87pages version Chunhyangjun belonged to Sa Jae-dong, 154pages version Chunhyangjun belonged to Hong Yun-pyo etc. This reading texts was effected on knowledge culture of Chosun later period. Second, writers of Pansori reading text created new contents and scenes in order to reenact festivities field. Reading texts of this feature are 75pages version Chunhyangjun belonged to Kyungsang university, 52pages version Chunhyangjun belonged to Keimyung university etc. the former shows story field and Pansori field, the latter shows play field of Walja. Third, writers of Pansori reading text created new contents and scenes in order to lampoon yangban authority. Reading texts of this feature are 72pages version Chunhyangjun belonged to Chungnam university and it`s affiliation, 59pages version Chunhyangjun belonged to Park Sun-ho and it`s affiliation etc.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시대 중국소설의 수용과 비평에 관한 연구

        차충환 ( Cha Chung-hwan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인문학연구 Vol.0 No.38

        본고에서는 조선 초부터 19세기 말까지, 국내에 유입된 중국소설 중 어떤 작품이 어느 시기에 누구에 의해 언명되었는지를 먼저 표로 정리했다. 이를 통해 시대별로 다양한 중국소설들이 수용되어 읽히면서 가치 평가와 비평의 대상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중에서 『태평광기』, 『전등신화』 등의 문언소설과 『삼국지연의』, 『수호전』 등의 연의소설과 사대기서가 특히 관심과 사랑을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태평광기』와 『전등신화』는 정치적 목적에 의해 일시적으로 부정되고 거부되는 일이 있었으나, 실제 현실에서는 별다른 거부감 없이 연면히 수용되었다. 독자들은 대체로 이들 작품을 실용서, 박학·박문의 자료, 희담과 파한, 유희와 풍류, 교훈과 감동의 작품으로 이해하고 수용하였다. 『삼국지연의』, 『초한연의』 등의 연의소설과 사대기서는 정사를 어지럽힌다는 이유로 유입 초기부터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실제 현실에서는 읽는 사람이 많았으며, 17세기 후반이 되면 이들의 한글 번역본이 유통될 정도였다. 그러다가 18세기 후반, 정조의 문체반정 정책에 의해 소설이 배격되었는데, 소설 배격의 차원에서 문체반정을 선도한 이는 이덕무였다. 이덕무는 단아한 고문체로 글을 써야 하며, 소설은 절대로 읽어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특히 연의소설은 사실과 어긋나고 인륜과 교화를 해치기 때문에 반드시 배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반해 이덕무와 동시대 사람인 유만주는 중국소설을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러면서 자신이 읽은 소설의 독후감을 다양하게 제시한 바 있다. 유만주의 경우 중국소설을 특별히 많이 읽은 것으로 보이지만, 18세기 말이 되면 너나없이 별 거부감 없이 중국소설을 탐독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독서 흐름이 계속 이어져 19세기 중반의 이우준은 『삼국지연의』, 『서유기』등을 잡서라고 비방하는 자를 어리석은 사람으로 조롱하기도 하였다. The Chinese Novels was accepted in the Chosun Period multiply. And they was read and critic multiply. Among them, Literary Novels Taepyeong Kwanggi(Taiping guangji), Jeondeung Sinwha(Jiandeng Xinhua) and Expatia tion Novels such as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Sankuochi hyieni), The Water Margin(Shuihuzhuan) have been loved by readers especially. Taepyeong Kwanggi, Jeondeung Sinwha was accepted novels such as practical books, erudition material, books of refined tastes, moral and moving books etc. The novels such as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The Water Margin at first was accepted negatively. But they was loved by readers progressively. Later, Hangeul novel in translation of them was circulated widely. The woman readers have read the Hangeul novels in translation mainly. In the later 18th century, King Jeongjo enforced Munchebanjeong. It is that bad style recovers good style. At this time, novel readings was restricted. The person that was lead such flowing was Lee Deokmu. Lee Deokmu insisted not novel style but ancient writing on writing style. Especially he criticized Expatiation Novels. He recognized that they hurt morality and edification. But Yu Manju recognized Chinese Novels positively. He leaved many impressions of a book on novels. The positive flowing on Chinese Novels was continued 19th century.

      • KCI등재

        국문필사본 〈춘향전〉의 계열과 성격

        차충환 ( Choung Hwan Cha ) 판소리학회 2004 판소리연구 Vol.18 No.-

        이 글은 국문필사본 <춘향전> 이본 중에서 독자적 가치가 있는 이본을 선별하고, 각 이본들의 사설 특성을 구명한 것이다. 현전하는 것으로 확인된 국문필사본 춘향전 이본은 총 71종인데, 이 중에서 이본적 가치가 있는 것은 51종이다. 국문필사본 중에는 완판 계열이 가장 많다. 그리고 완판 계열에 속하는 이본들은 완판29장본과 완판33장본의 혼합 계열, 완판33장본과 완판84장본의 혼합 계열이 대부분이다. 국문필사본 중에는 완판과 경판의 혼합 계열에 속하는 이본도 상당수 현전한다. 그러나 경판 계열을 전승하고 있는 이본은 몇 종 되지 않았다. 그 외, 개작이 많이 이루어져 독자성을 갖춘 이본도 있고, 다른 이본에 있는 사설들을 망라하여 이를 창본의 형태로 다시 만든 이본도 확인되었다. 한편, 이본들 중에는 상호간에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가지는 이본도 상당수 존재하기에, 이들을 몇 개의 계열로 묶는 것이 가능했다. `도서원 약속`계열, `옥사장 구속` 계열 등이 그것이다. 국문필사본 춘향전의 이러한 자료적 현황을 바탕으로, 앞으로 이본간의 파생 방법과 계통 등이 심도 있게 구명될 필요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pick out individual valuable versions among korean transcription version choonhyangjuns. and it is to investigate story characters of individual valuable versions. A result of study is as following. First, Individual valuable versions among korean transcription version choonhyangjun is 51 versions among the whole 71 versions. Second, Among korean transcription versions, Wanpan types is most numerous. Among Wanpan types, the mixing types of Wanpan 29 changbon and Wanpan 33 changbon, and the mixing types of Wanpan 33 changbon and Wanpan 84 changbon were numerous. And a mixing types of Wanpanbon and Kyungpanbon was numerous. On the other hand, Kyungpan types is rare. And Sori(唱) versions and much adapted versions is a little. Third, Among korean transcription versions, versions on mutual relation is a large number. and I tied up them with a `type`. The types was `Dosowon Yaksok(도서원 약속)` type, `Oksajang Kusok(옥사정 구속)` type etc. The last, In future, We must study derivation method between versions and genealogy between versions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