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가 자폐성 장애학생의 커피 만들기 기술 습득에 미치는 영향: 단일 대상연구

        차지숙,방명애,장역방 한국재활심리학회 2016 재활심리연구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가 자폐성 장애학생의 커피 만들기 기술 습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일반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자폐성 장애 남학생 한 명을 대상으로 기초선, 중재, 일반화 및 유지 단계에 따라 행동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적용하였다. 시각적 자료 분석은 목표행동의 과제 분석 단계에 대한 독립적 수행율의 평균선, 경향선, 비중복비율, 효과의 즉각성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가 자폐성 장애학생의 핫 카페라떼, 아이스 카푸치노, 핫 카라멜마끼아또 만들기 기술의 습득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에 의해 습득된 자폐성 장애학생의 핫 카페라떼, 아이스 카푸치노, 핫 카라멜마끼아또 만들기 기술이 지역사회 내에 위치한 카페에서도 일반화 되었다. 셋째,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에 의해 습득된 자폐성 장애학생의 핫 카페라떼, 아이스 카푸치노, 핫 카라멜마끼아또 만들기 기술이 중재 종료 3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 KCI등재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한국과 일본 어머니의 자녀 진로에 대한 인식 및 진로지도 비교

        배기연(裵基延),이동혁(李東赫),황매향(黃梅香),이송하(李松河),차지숙(車芝淑),정혜윤(鄭惠允)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아시아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 5, 6학년 자녀를 둔 24명의 한국과 일본 어머니를 대상으로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어머니가 직업에 대해서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진로기대를 가지고 진로지도를 하고 있는지 비교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5개의 영역과 1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영역들의 내용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일본 어머니에게 직업이란 살아가는데 필요한 경제적 수단으로 자신의 적성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한국과 일본 어머니 모두 자녀는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행복하게 살아가기를 바란다. 둘째, 한국 어머니와 일본 어머니는 자녀가 이러한 직업을 선택해 가는 과정에 있어서 다소 다른 생각과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어머니는 ‘성취’를 생각한다면, 일본 어머니는 ‘관계’를 생각한다. 한국의 어머니는 자녀에게 매우 높은 수준의 성취를 기대할 뿐 아니라,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노력을 아끼지 않을것임을 밝히고 있는 반면, 일본 어머니는 직업을 인간관계기술을 배우는 곳이라고 생각하고, 자녀도 다른 사람과 잘 어울리면서 살아가기를 바란다. 셋째, 한국의 어머니는 자녀의 진로지도를 위해서 ‘직접적인 관여’를 선택하고 있다면, 일본 어머니는 ‘간접적인 관여’를 보여주고 있다. 한국의 어머니는 자녀의 성취를 위해서 자신이 할 수 있는 것이면 가능한 모든 것을 직접적으로 해 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일본 어머니는 자신의 역할을 정서적 지원 또는 진로에 대한 대화 등으로 제한하면서 간접적으로 지원하고자 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가 교육과 상담에 대해 갖는 의미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Korean and Japanese mothers’ career guidance by conducting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For the study, 12 Korean and 12 Japanese mothers who have children of 5-6th grades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oth Korean and Japanese mothers perceived that an occupation is an important mean for living and needs to be chosen according to individual’s interest and aptitude. Also, Korean and Japanese mothers desired their children to obtain a job that will provide satisfaction and happiness. Second, some differences were found from Korean and Japanese mothers’ perceptions regarding children’s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guidance. While Korean mothers expect their children to make high achievement in their career, Japanese mothers expect their children to build health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their career. This indicates that achievement is a significant factor for Korean mothers in their career guidance, but relationship is a critical element for Japanese mothers in their career guidance. Third, Korean mothers responded that they are likely to assist their children as much as children want, but Japanese mothers indicated that they tend to restrict their role as emotional supporters. Base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provided limitations and further recommendations.

      • KCI등재

        정신건강전문가가 지각하는 소진 회복의 징후와 회복 촉진 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최혜윤,김은하,차지숙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6

        Using a concept mapping approac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igns of burnout recovery and factors that facilitate recovery among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 total of 12 mental health professionals who experienced both burnout and recovery completed a questionnaire, and 69 main statements regarding signs of recovery and 45 main statements regarding facilitating factor for recovery were obtained. In addition, 11 mental health professionals (including 6 professionals who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sorted the main statements by similarity and rated in terms of the importance and effectiveness. The results of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yielded six clusters, including ‘recovery of passion and functions in clinical settings’, ‘increased comfort and improved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at work’, ‘positive and proactive attitudes toward work,’ ‘regained physical energy’, ‘self-appreciation and self-expression’, and ‘decreased negative affect and increased stability and enjoyment in everyday life’ as signs of recovery. In addition, with regards to facilitating factors for recovery, five clusters of ‘meaning-making experience and efforts for internal growth’, ‘keeping appropriate distance from work’, ‘taking time for myself’, ‘seeking and experiencing social support,’, and ‘communicating and negotiating at work’ emerg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developing a more refined definition of burnout recovery and hav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intervention strategies to facilitate the recovery process. 본 연구에서는 개념도 연구법을 활용하여 정신건강전문가들이 지각하는 소진 회복의 징후와 소진 회복을 촉진시키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전일제로 근무하며 소진과 회복을 경험했던 정신건강전문가 12명을 대상으로 초점 질문지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회복 징후에 대한 69개의 핵심 문장과 회복 촉진 요인에 대한 45개의 핵심 문장이 도출되었다. 또한 초점 질문지에 응답한 6명의 정신건강전문가를 포함한 11명의 정신건강전문가들로 하여금 도출된 핵심 문장을 유사한 것끼리 분류하고 그 중요도와 효과성을 평정하도록 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다차원 척도법과 군집 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소진 회복의 징후는 ‘임상 현장에서 열정과 기능이 회복됨’, ‘직장 내에서 마음이 편안해지고 동료와의 관계가 향상됨’, ‘업무에 대해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적극적으로 임하게 됨’, ‘신체적 에너지가 생김’, ‘자신에 대한 긍지와 표현’, ‘부정적인 감정에서 벗어나 일상에서 안정과 즐거움을 찾음’ 등 6개의 군집이 나타났다. 그리고 소진 회복의 촉진 요인과 관련해서는 ‘경험의 의미재구성 및 내적성장을 위해 노력하기’, ‘업무와의 적절한 거리두기’, ‘나를 위한 시간 갖기’, ‘사회적 지지를 추구하고 경험하기’, ‘조직 내에서 소통하고 조율하기’라는 5개의 군집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진 회복의 개념을 구체화하고 회복을 촉진시키는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데 시사점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대학상담센터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 회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혜윤,김은하,백현정,차지숙 한국상담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7 No.4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들의 심리적 소진 회복 경험을 살펴보고, 상담자에게 심리적 소진으로부터의 회복이 갖는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년 이상 전일제 상담자로 대학상담센터에서 근무하면서 심리적 소진과 회복을 경험했던 전문상담자 1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한 뒤, 이를 합의적 질적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3개 영역과 10개 하위영역, 27개 범주가 도출되었는데, 구체적으로 ‘심리적 소진 회복으로 인한 변화’(개인 내적 변화, 상담 내에서의 변화, 조직 내에서의 변화), ‘심리적 소진 회복을 촉진하는 요인’(개인 내적 요인, 조직 요인, 사회적 지지 요인), ‘심리적 소진과 회복의 의미’(성장과 성숙의 기회, 자기점검이 필요하다는 신호, 자기성찰의 중요성을 깨닫게 된 계기, 실존적 태도 형성의 토대) 등의 영역과 하위영역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만 초점을 맞추었던 선행연구와 달리 심리적 소진 회복에 대해 탐색하고, 이를 촉진하는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특히 근무환경에 따라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과 회복 경험이 다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대학상담센터에 근무하는 상담자만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이를 통해 대학상담센터 상담자들의 경험을 깊이 있게 탐색 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ounselors’ experiences regarding burnout recovery and the meaning of burnout recovery for counselors. A total of 14 professional counselors who had worked for at least 4 years and experienced burnout and burnout recovery at a college counseling center participated in one-to-one interviews. Analysis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revealed 3 domains, 10 sub-domains, and 27 categories. The domains and sub-domains included three main ideas; changes by burnout recovery, factors facilitating burnout recovery, and the meaning of burnout recovery. Changes by burnout recovery were comprised of internal changes, changes in the counseling session, and changes within the organization. Factors facilitating recovery included internal factors, organizational factors, and social support factors. The meaning of burnout recovery included the opportunity for growth and maturity, a signal for self-monitoring, opportunity for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reflection, and development of existential attitudes.

      • KCI등재

        청년 대졸자의 취업좌절과 극복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정지수,이동혁,정혜윤,차지숙 한국상담학회 2020 상담학연구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mployment frustration and overcoming experiences of college graduates.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 conducted with 10 employees who experienced frustrating and overcoming. The data of interview were analyzed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mployment frustration experience of college graduates wa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cognition, emotion, and relation. Cognition category includes four subcategories of confusion caused by not setting career direction, low self-esteem, lack of knowledge of the reason for elimination, and perception of career barriers. Emotion category includes three subcategories of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hope and frustration experience, and loss of emotion. And relationship category includes two subcategories of changes of interpersonal relations, and complexity of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Second, the factors that college graduates overcame employment frustration we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ternal factors includes recognizing work values, overcoming through compromise, and overcoming through effort. External factors category includes three subcategories: advice and support from others, satisfaction with their job, and not missing happenstance opportunitie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ollowing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