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폐성장애 학생의 내면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에 대한 특수교사와 부모의 인식비교

        장역방,방명애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8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ceptions on the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problem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The research design of this study was a quantitative, non-experimental comparative study. The subjects sampled from 7 special schools were 79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Bo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rated the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problems of 79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s were implemented.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internalized problem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According to the analyses of the 5 subscales parents perceived the depression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more seriously than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cond,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externalized problem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급별에 따른 자폐성장애 학생의 내면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에 대한 특수교사와 부모의 인식을 비교하여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1개교, 광주광역시 1개교, 세종특별자치시 1개교, 경기도 1개교, 전라북도 2개교, 전라남도 1개교, 총 7개 특수학교에서 79명의 자폐성장애 학생을 편의군집표집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두 독립표본 t검증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성장애 학생의 전체 내면화 문제에 대한 특수교사와 부모의 인식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두 집단 모두 강박행동을 가장 심각하게 인식하였다. 자폐성장애 학생의 내면화 문제의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우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자폐성장애 학생의 우울 특성에 대해 부모가 교사보다 더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자폐성장애 학생의 전체 외현화와 각 하위영역에 대한 특수교사와 부모의 인식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두 집단 모두 상동행동을 가장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였다. 이 연구는 자폐성장애 학생의 내면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에 대한 특수교사와 부모의 인식을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자폐성장애 학생의 정서행동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자폐성장애 중등학생과 지적장애 중등학생의 내면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장역방,방명애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7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the internalized problems and externalized problem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research design of this study was a quantitative, non-experimental comparative and correlational study. The subjects sampled from 10 special schools were 203 special education teachers.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s and pearson product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implemented for data analysi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internalized problems between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externalized problems between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rd, the internalized problem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 externalized problems of them. The internalized problem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externalized problems of them.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성장애 중등학생과 지적장애 중등학생의 내면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 1개교, 전라남도 1개교, 전라북도 4개교, 충청남도 1개교, 경기도 3개교, 총 특수학교 10개교에서 203명의 특수교사를 편의군집표집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두 독립표본 t검증과 상관분석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는 자폐성장애 중등학생의 내면화 문제가 지적장애 중등학생에 비해 심각하다고 인식하였다. 하위영역별로 보면, 특수교사는 자폐성장애 중등학생의 사회적 회피와 강박행동이 지적장애 중등학생에 비해 심각하다고 인식한 반면에, 조증/과잉행동, 우울 및 불안 하위영역에서는 두 집단간 차이가 없었다. 둘째, 특수교사는 자폐성장애 중등학생의 외현화 문제가 지적장애 중등학생에 비해 심각하다고 인식하였다. 하위영역별로 보면, 특수교사는 자폐성장애 중등학생의 자해행동과 상동행동은 지적장애 중등학생에 비해 심각하다고 인식한 반면에, 공격성/파괴적 행동 하위영역에서는 두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셋째, 자폐성장애 중등학생 집단과 지적장애 중등학생 집단에서 모두 내면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 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폐성장애 중등학생과 지적장애 중등학생의 내면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자폐성장애 학생의 학교(급) 장애정도 지적장애 유무 및 성별에 따른 내면화문제와 외현화문제의 특성 분석

        장역방,방명애,홍점숙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ternalized problems and externalized problems in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ccording to grade, severity level, presence of intellectual disability, and gender. The subjects sampled from 39 special schools in 17 school districts across the country were 671 students with ASD. One-way ANOVA, Schéffe tests, and two independent sample t-test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internalized problems and externalized problems according to the grade of students with ASD. Second,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internalized problems and externalized problems according to the severity level of students with ASD.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internalized problems and externalized problems according to presence of intellectual disability in students with ASD. Fourth,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internalized problems and externalized problems according to the gender of students with ASD.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성장애 학생의 학교(급), 장애정도, 지적장애 유무, 성별에 따른 내면화문제와 외현화문제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소속 39개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자폐성장애 학생 671명을 편의군집표집 하였다. 연구도구는 ‘불안, 우울 및 기분 검사(the Anxiety, Depression and Mood Scale)’와 ‘문제행동 목록(the Behavior Problems Inventory-01)’을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자폐성장애 학생을 직접 교육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가 특정 자폐성장애 학생 한명에 대해 설문지에 응답하였으며, 설문지는 우편과 이메일을 통해 발송하고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을 이용하여 신뢰도, 평균, 표준편차, 일원분산분석, 두 독립표본 t 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성장애 학생의 학교(급)별에 따른 내면화문제와 외현화문제의 차이가 있었으며,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정서행동문제가 다른 학교(급)에 비해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폐성장애 학생의 장애정도에 따른 내면화문제와 외현화문제의 차이가 없었다. 셋째, 자폐성장애 학생의 지적장애 유무에 따른 내면화문제와 외현화문제의 차이가 있었으며, 지적장애를 수반하는 자폐성장애 학생의 정서행동문제가 지적장애를 수반하지 않은 자폐성장애 학생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폐성장애 학생의 성별에 따른 내면화문제와 외현화문제의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개인변인에 따른 자폐성장애 학생의 정서행동 특성을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중국 스마트폰중독 위험고등학생의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장역방 ( Yi Fang Zhang ),방명애 ( Myong Ye Ba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스마트폰중독 위험고등학생의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편의군집표집한 중국 북경 소재 3개 고등학교의 학생 1,200명으로부터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에 근거하여 위험군 기준 점수인 42점 이상을 받은 117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사용 동기는 ‘주변 사람들과의 폭넓은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가 가장 높은 응답율을 나타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기능은 메신저였으며, 스마트폰 사용에 만족하는 가장 큰 이유는 폭넓은 인맥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스마트폰중독 위험고등학생의 중독성향과 상관이 있는 변인은 학교생활 부적응, 스트레스, 스마트폰 사용시간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중국 스마트폰중독 위험고등학생들의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사용시간으로 나타났다. 즉 스트레스 수준이 높고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길수록 스마트폰 중독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variables influencing on the addiction tendencies of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at-risk for smartphone addiction. One thousand two-hundred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selected from three high school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sent by mail. The data of 117 students whose smartphone addiction scores were higher than the cutoff score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percentages, correlations, and a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motivation for using a smartphone was to communicate with close people. The most frequently used function of a smartphone was messengers. The most satisfactory aspect of a smartphone was to form a support network. Second, smartphone addic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chool life adaptation, while smartphone addi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ress response and hours of using a smartphone. Third, stress response and hours of using a smartphone had impact on the addiction tendencies of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at-risk for smartphone addiction. That is, the higher level of stress, the higher scores of smartphone addiction. The longer hours of using a smart phone, the higher scores of smartphone addiction.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가 자폐성 장애학생의 커피 만들기 기술 습득에 미치는 영향: 단일 대상연구

        차지숙,방명애,장역방 한국재활심리학회 2016 재활심리연구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가 자폐성 장애학생의 커피 만들기 기술 습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일반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자폐성 장애 남학생 한 명을 대상으로 기초선, 중재, 일반화 및 유지 단계에 따라 행동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적용하였다. 시각적 자료 분석은 목표행동의 과제 분석 단계에 대한 독립적 수행율의 평균선, 경향선, 비중복비율, 효과의 즉각성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가 자폐성 장애학생의 핫 카페라떼, 아이스 카푸치노, 핫 카라멜마끼아또 만들기 기술의 습득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에 의해 습득된 자폐성 장애학생의 핫 카페라떼, 아이스 카푸치노, 핫 카라멜마끼아또 만들기 기술이 지역사회 내에 위치한 카페에서도 일반화 되었다. 셋째,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에 의해 습득된 자폐성 장애학생의 핫 카페라떼, 아이스 카푸치노, 핫 카라멜마끼아또 만들기 기술이 중재 종료 3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 KCI등재

        상황중심 성폭력 예방프로그램이 특수학급 지적장애 중학생의 성폭력 지식과 성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정미 ( Jeung Mi Ryu ),방명애 ( Myong Ye Bang ),장역방 ( Yi Fang Zha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6 지적장애연구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상황중심 성폭력 예방프로그램이 특수학급 지적장애 중학생의 성폭력 지식과 성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B시에 위치한 일반 중학교 특수학급에 배치된 지적장애 남학생 6명과 여학생 4명을 편의목적표집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상황중심 성폭력 예방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과 후에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대응표본 t검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황중심 성폭력 예방프로그램이 특수학급 지적장애 중학생의 성폭력 지식을 향상시켰으며, ``피해자와 가해자의 유형,`` ``발생 원인과 장소,`` ``피해 예방과 대처`` 하위영역에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성폭력 개념과 범위`` 하위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상황중심 성폭력 예방프로그램이 특수학급 지적장애 중학생의 성 태도를 향상시켰으며, ``신체구조와 변화``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인간관계의 이해``와 ``성문화와 성윤리`` 하위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장애학생의 성폭력 예방을 위한 후속연구와 교육현장을 위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ituation-based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on the knowledge of sexual abuse and sexual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 The research design was a pre and post test single group design. The subjects were 10 middle school students(6 boys and 4 gir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 The intervention, as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a situation-based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knowledge of sexual abuse and sexual attitude.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wo dependent samples t-test were implemented.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intervention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knowledge of sexual abuse to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 Second, the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intervention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sexual attitude to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