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작업회상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차유진(Yu-Jin Cha)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8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경도인지장애로 진단받은 노인들을 대상으로 작업회상치료(ORT)를 적용한 후 인지 기능, 신체적 건강상태, 의사소통과 상호작용 기술 및 우울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경도인 지장애 진단받은 만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YW 보건소에 등록되어 정기적으로 내원하는 자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임의로 할당하였고 실험군에게 1주일에 1회, 1시간씩 총 8회기 작업회상치료를 실시하였다. 작업회상치료 프로그램은 대상자들의 개별 인터뷰를 통해 공통으로 경험한 사건 및 활동을 확인하고, 선행 연구에서 사용된 프로그램들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여 종합한 후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작업회상치료가 미치는 효과에 대한 전·후간 차이 검증은 paired t-test, 중재 후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변화량 차이 검증은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n=9)이 대조군(n=9)에 비해 인지기능, 신체적 건강상태, 의사소통과 상호작용 기술 및 우울감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로써, 작업회상치료(ORT) 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치매를 예방하고 건강 유지 및 증진에 효과적인 비약물적 치료 방법의 하나로 적극 활용될 수 있기 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pply occupational reminiscence therapy (ORT) to the elderly diagnosed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who reside in the local community and determine its effects on cognitive functions, physical health,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skills, and depression. The participants were elderly diagnosed with MCI who visited YW community health center on a regular basis and were random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eight one hour sessions of ORT once a week. Individual interviews were then conducted with the participants to determine if an event or activity had been commonly experienced, after which the program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as necessary by referring to previous programs. The Content Validity Index (CVI) was calculated, and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ORT's were identified by paired t-tests. Moreover, the Mann-Whitney U-test was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variances between groups. Only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n=9) repor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cognitive function, physical health status,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skills, and depression when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n=9).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ORT will be actively used as a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for preventing dementia and improving the health of elderly persons with MCI.

      • KCI등재

        국내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비교 연구

        차유진(Yu-Jin Cha)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6

        본 연구는 국내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여러 선행 연구들의 결과에 대해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스트레스 관련 요인들의 차이를 비교해 봄으로써 향후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 예방 및 완화, 효과적인 대처 방법 마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작업치료의 질 향상과 작업치료 인력관련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선정기준에 적합한 총 8건의 논문이 선정되었고, 이중 메타분석을 위해 크기의 변환이 가능한 통계치를 밝히고 있는 연구 5건을 대상으로 상관계수를 이용한 메타분석을 실시해 전체 상관계수 값과 요인별 상관계수 값을 구하였으며 대상 논문들의 동질성 검정과 출판편견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전체 효과크기에 대한 95%의 신뢰구간은 .27에서 .34로이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직무스트레스 요인들 중 조직관련 요인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그 다음으로 조직외관련 요인, 물리적환경 요인, 직무관련 요인, 개인관련 요인 순으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출판편견을 배제할 수 있어 본 연구 결과는 신뢰할 수 있음을 뒷받침 해주고 있다. 이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 예방 및 완화, 효과적인 대처 방법 마련을 위해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us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as carried out to integrate precedent studies on factors affecting domestic occupational therapists’ job stress. It aims at providing basic information resources of preventing and reducing stress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effective counter-measurement to improve quality of occupational therapy and to establish effici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policy.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were performed on eight thesis proven relevant to selection criteria in order to figure out correlation coefficients value by total, and factors correlation coefficients value. Also homogeneity test and publication bias test was performed too. The total correlation coefficients value of occupational therapists was .30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to job stress factors, the organization related factor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of coefficiency, followed by factors other than the organization related, physical environment, job related factor and personal factor. This research result can be used as a reference to prevent and reduce job stress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to develop an effective measurement scheme.

      • KCI등재

        단축형 회상기능척도(Reminiscence Function Scale-Short Form) 개발

        차유진(Yu-Jin Cha)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 집단에 총점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단축형 회상기능척도(RFS-S)를 개발하고 정상노인 집단과 경도인지장애 집단에게 RFS-S를 시행하여 RFS-S의 내적신뢰도 및 준거타당도 검증과 인구학적 특성이 회상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65세 이상 정상대조군 60명, 경도인지자애군 58명으로 두 집단 간 일반적 특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문항 간 내적신뢰도는 0.63이었고, RFS-S와 이야기회상검사, 치매임상평가척도 박스총점과의 수렴타당도는 각 0.20(p<.05), -0.25(p<.001)로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ROC 곡선 아래의 면적을 분석한 준거 타당도 결과 0.68(p<.001)로 덜 정확한(less accurate) 검사로 최적 절단점은 17점이었고 이에 따른 민감도는 0.59, 특이도는 0.72였다.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회상기능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RFS-S는 정상과 경도인지장애 차이를 판별하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진단 보조 도구이자 회상치료의 효과를 평가하는 유용한 도구임을 나타낸다.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Reminiscence Function Scale-Short Form(RFS-S) and verifying it as a supplemental diagnosis instrument to judge differences between normal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useful measure to rate effects of reminiscence therapy in the clinical field through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criterion validity. The study also aims at figuring out factors affection reminiscence function by figuring out demographic features of RFS-S. The research subjects were the control group of 60 normal people and experimental group of 58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both groups were over 65 years old. For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Cronbach’s alpha) between questions was reliable with 0.63. Convergent validities of RFS-S with SRT and CDR-SB were 0.20(p<.05) and -0.25(p<.001), respectively, as both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As a result of criterion validity to analyze AUROC, it was 0.68(p<.001) and less accurate. Its optimal cut-off points were 17 and sensitivity according to them was 0.59, and specificity was 0.72, respectively. However, reminiscence fun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RFS-S will be used as a supplemental diagnosis instrument with higher reliability and validity for discerning differences between normal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s a useful one to verify effects of reminiscence therapy.

      • KCI등재

        뇌손상 환자의 지역사회재활(CBR) 프로그램의 효과

        차유진(Yu-Jin Cha),김세연(Se-Yu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3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뇌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최근 연구들의 지역사회재활의 효과를 ICF 요소별로 알아보고, 최근 지역사회재활 프로그램 적용방법 등을 알아봄으로써 지역사회재활 프로그램의 개발 및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선정기준에 적합한 논문은 총 15건을 ICF 요소별로 나누어 효과크기 값을 구하였으며 대상 논문들의 동질성 검정과 출판편견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역사회재활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0.22였고, ICF 요소별 효과크기는 신체기능과 구조 0.21, 활동과 참여 0.20으로 작은(small) 효과크기를 보였다. 또한 메타분석에 포함된 연구들은 통계적 이질성이나 출판편견이 없는 것으로 간주되어 본 연구 결과는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뇌손상 환자의 지역사회재활 프로그램이 ICF 요소들인 신체기능과 구조, 활동과 참여 요소에 대한 변화 정도 즉 개입 효과를 잘 설명해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on patients with brain injury by ICF factor in previous studies and examine the application of recent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program. Total 15 articles that satisfied the selection criteria were divided by ICF factors to obtain the effect size. Homogeneity and publication bias were tested for those selected papers. As a result, the overall effect size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was 0.22; the effect size by physical function and structure among the ICF factors came to be 0.21; and the effect size of activity and participation was 0.20, indicating a small effect size. The studies involved in a meta-analysis were considered as the absence of heterogeneity and publication bias, which indicates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bjectively reliable. These results well explained the level of change on ICF factors, specially physical function and structure, activity and participation, in other words, the intervention effect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on patients with brain injury.

      • KCI등재

        한국판 SWAL-QOL의 신뢰도와 타당도

        김세연(Kim, Se-Yun),차유진(Cha, Yu-Ji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5

        본 연구는 삼킴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국판 SWAL-QOL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비디오 투시 영상을 통해 삼킴장애로 진단받은 환자 71명과 일반인 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한국판 SWAL-QOL의 문항내적일치도 는 Cronbach’s 값이 .86∼.96이었고,급간내상관계수는 .80∼.93으로 신뢰도가 높았다.한국판 SWAL-QOL의 각 척도간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피어슨 상관계수는 .17∼.74로 모든 척도간에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p<.05).삼킴장애군과 정상군 간에 한국판 SWAL-QOL을 비교한 결과 모든 척도에서 정상군의 점수가 높았으며 두 그룹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p<.01).관 식이 그룹은 관 식이를 하지 않은 그룹에 비해 모든 척도에서 점수가 낮았으며 수면척도를 제외하고 모든 척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식이단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식이 4단계 환자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식사욕구,의사소통,두려움 척도를 제외한 모든 척도에서 식이 단계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따라서 한국판 SWAL-QOL는 신뢰도와 임상타당도가 높기 때문에 임상에서 삼킴장애 환자의 삶의 질을 측정하는 도구로 사용되는 데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wallowing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KSWAL-QOL). The study was performed in 71 patients diagnosed dysphagia by videofluoroscopy and 80 healthy swallowers. The reliability was good with a Cronbach’s and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of .86∼.96 and .80∼.93, respectively. The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KSWAL-QOL scales ranged from .17∼.74 which wa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Healty swallowers scored higher than dysphagic patients on all scale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cross all the scales between healthy swallowers and dysphagic patients(p<.01). Tube feeders scored lower than non-tube feeders on all scale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all the scales except sleep(p<.05).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iet steps in all scales except eating desire, communication, fear and people on diet fourth step feeding had the highest scores on the all scales(p<.05). Because KSWAL-QOL seems to be a reliable and valid tool, it is considered to be appropriate as a tool to measure quality of life of patient with swallowing dis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