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코기토, 소유적 개인주의, 예속적 주체화 ―서양 근대에서 개인과 개인주의―

        진태원 ( Jin¸ Tae-wo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0 民族文化硏究 Vol.89 No.-

        이 논문에서 나는 우선 서양 근대의 철학적 개인에 관한 지배적인 서사(특히 하이데거에서 유래한 서사)를 살펴보면서 그것이 지닌 맹점과 역설을 검토해볼 것이다. 그 다음 이러한 서사에서 빠져 있는 정치적 개인에 관한 또 다른 쟁점들을 ‘소유적 개인주의’라는 해석틀에 입각하여 검토해볼 것이다. 이러한 검토는 근대의 정치적 개인이 함축하는 양가성을 보여줄 것이다. 세 번째로 알튀세르와 푸코가 각각 나름대로 제시한 바 있는 예속적 주체화의 문제를 살펴볼 것이다. 예속적 주체화라는 개념은 근대의 철학적 주체 및 정치적 주체에 관한 서사들을 전도하여, 자율적 주체로서의 개인들이 사실은 지배관계의 재생산 메커니즘 속에서 예속적으로 생산되고 재생산된다는 점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서양의 철학적 근대성과 정치적 근대성에 대한 강력한 도전이다. 관계론적 자율성 이론은 탈근대 사회 또는 신자유주의 사회로 특징지어질 수 있는 오늘날의 시대에 주권적 개인성 이론에 대해 한 가지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이 이 글의 마지막 결론이다. In this paper, I will first look at the dominant narratives of philosophical discourse on the individual in the modern Western philosophy (especially one derived from Heidegger), and examine its blind spots and paradoxes. Then I will review other issues concerning individuals as political subjects that are missing from these narratives on the basis of an interpretative framework of ‘possessive individualism’ which will demonstrate the ambivalence of modern political subjects. Third, we will look at the problem of assujettissement (subjectification), which Althusser and Foucault have suggested in their own ways. The concept of assujettissement is a strong challenge to Western philosophical and political modernity in that it overturns modern philosophical and political narratives, showing that individuals as autonomous entities are in fact subjugated and reproduced in the reproduction mechanism of domination. The conclusion of this article is that the theory of relational autonomy may be one alternative to the theory of sovereign individuality in today’s age, which can be characterized as the postmodern or neoliberal one.

      • KCI등재

        탈근대, 탈식민, 탈민족 포스트 담론 20년의 성찰 ‘포스트’ 담론의 유령들 -애도의 애도를 위하여-

        진태원 ( Tae Won Ji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民族文化硏究 Vol.57 No.-

        In this paper I attempt to critically reappraise the ``post`` discourses which have had a huge influence on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in Korea since 1990s. Most of the discussions on the ``post`` discourses have taken mainly two opposite stances: on the one hand, many postmodernists accepted them as a Zeitgeist that represents the world-historic changes in reality; on the other hand, they were accused by the radical left as an ideology of the late capitalism. I think, however, they rather have played as a discourse of mourning: that is, they liquidated one of the most significant agendas for the Korean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in 1980s`-the rehabilitation of Marxism and the reconstruction of the national history on the basis of a theory of immanent development-as an outdated one, and, instead of it, they raised another topic, namely, the transition from Marxism to postmodernism, from people`s history to cultural history, and from social philosophy to ``post`` discourses. So, this was a work of mourning, but one which was blind to the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of the New World Order. Hence, they counted the cost for their blindness: first, both Marxism and ``post`` discourses were paralysed by the neoliberal globalization; second, the task of critical reflections on the historical limits of Marxism and of the national-popular mouvement was abandoned, or at least marginalized, and ``post`` discourses, in separation from Marxism, were consumed mostly for the justification of the new hegemonic liberal power. This is very disappointed result, especially considering the insights we could learn from the ``post`` discourses: multiplicity of the universalities, the philosophical·political signific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on (assujettissement) and subjectivation, and, finally, the plurality of politics, which are crucial to overcome the essentialism of the working-class politics and the eurocentric universalism. It is, therefore, urgent for the critical theory to fill the gap between Marxism and ``post`` discourses, or to make them to transform each other, and to develop these insights further in concrete analyses. To speak in terms of Derridean philosophy, it could be called a task of the mourning of a mourning.

      • KCI등재

        마르크스와 알튀세르 사이의 푸코

        진태원(Tae-Won Ji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8 철학사상 Vol.68 No.-

        이 글은 미셸 푸코와 루이 알튀세르의 이론적 차이점을 마르크스를 매개로 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푸코와 알튀세르는 인간적 · 제도적 · 사상적으로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으나, 두 사람은 서로에 대해 거의 아무런 언급을 남기지 않았다. 그런데 최근 출간된 푸코의 초기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은 1970년대 푸코의 권력의 계보학이 알튀세르의 마르크스주의, 특히 그의 이데올로기론에 대한 비판적 대안으로 구상되었음을 잘 보여준다. 이 강의록에 입각하여 두 사람의 이론을 살펴보면, 푸코는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 이론이 국가장치를 중심으로 삼기 때문에 권력의 미시적 작동 방식을 제대로 해명해주지 못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자본주의가 성립하기 위한 논리적 · 물질적 조건도 제대로 해명해주지 못한다는 비판을 제기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푸코는 알튀세르를 포함한 마르크스주의자들이 비정상적 인간들을 예속화하는 권력의 작용에 무관심하다는 비판을 제기했다. 하지만 알튀세르의 관점에서 보면 푸코는 이데올로기 개념을 알튀세르 이전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데올로기의 상상적 차원(스피노자적인 의미에서)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다. 더 나아가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의 권력의 비대칭성은 미시권력만으로는 해명되지 않는다는 점을 놓치고 있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비판적 토론에는 몇 가지 잔여가 여전히 남게 될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theoretical differences between Michel Foucault and Louis Althusser using Marx as a mediation. Foucault and Althusser had very close personal, institutional, and ideological relations, but they left little reference to each other. A recent publication of Foucault’s early Collège de France lectures, however, suggests that Foucault`s genealogy of power in the 1970s should be considered as a critical alternative to Althusser"s Marxism, especially his theory of ideology. If we look at their relationship on the basis of these lectures, we realize that Foucault criticizes Althusser on two points: first, because Althusser’s theory centers on state apparatus, it doesn"t really explain the micro-actions of powers; second, moreover, it does not explain the logical and material conditions under which capitalism is to be established. Foucault also criticized the Marxist - including Althusser - for being uninterested in the role of power to subject abnormal human beings. However, from the Althusser"s point of view, Foucault has limitations on two points: first, Foucault understands ideology from the pre-Althusserian perspective, and ignores the importance of the imaginary (in the Spinozan sense) in ideology; second, Foucault misses that the asymmetry in the power of the ruling and lower classes cannot be explained by micro-powers alone. There will be, however, some remnants in this critical exchang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칼 슈미트와 자크 데리다

        진태원(Tae-Won Jin) 한국현상학회 2018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78 No.-

        이 글에서 내가 다뤄보려고 하는 첫 번째 주제는 주권에 관한 데리다의 작업이다. 주권의 문제는 초기 데리다 저술에서는 거의 논의의 대상이 되지 않다가 1990년대 후반 이후 법, 정의, 폭력, 환대, 세계시민주의 등과 더불어 데리다 정치철학의 주요 주제가 된다. 주권에 관한 데리다의 논의는 그의 철학에 고유한 유사초월론의 논리에 기반을 둔 매우 사변적인 논의이지만, 세계화 이후 전개되는 국민국가의 쇠퇴, 이주, 난민, 국경의 폭력 등의 문제에 대해 매우 많은 시사점을 제시해준다. 데리다의 주권 개념의 특성을 칼 슈미트에 대한 데리다의 독해와 관련하여 살펴보는 것이 이 글의 두 번째 주제다. 정치적인 것의 개념에 초점을 둔 데리다의 슈미트 독해는 슈미트 정치철학 및 법철학의 핵심개념인 적과 동지의 구별, 결정, 주권 개념이 암묵적으로 기반을 두고 있는 주체성의 논리의 한계를 보여준다. 아울러 주권이라는 것은 자기성의 원리에 기반을 두지만, 자기성에 고유한 면역의 메커니즘은 자기면역의 한계를 드러낸다. 따라서 주권에 관한 데리다의 논의는 근대 주권 개념이 지닌 양가성 내지 아포리아를 보여주며, 이는 주권의 국민적 전제를 변혁하기 위한 실마리를 제공해준다는 것이 이 글의 결론이다. The first topic I want to discuss in this article is Derrida’s conception of sovereignty. The issue of sovereignty is rarely discussed in the early Derrida’s writings, but since the late 1990s it has become a major theme of the Derridean political philosophy, along with law, justice, violence, hospitality, and cosmopolitanism. His discussion of sovereignty is a very speculative discussion based on the logic of quasi-transcendentalism unique to his philosophy, but it offers a great deal of implications for the decline of the nation-state after globalization, migration, refugees, and violence of borders. The second theme of this article is to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deconstructive conception of sovereignty in relation to his reading of Carl Schmitt. This reading, which focuses on Concept of the Political, shows the limits of the logic of subjectivity that forms an implicit foundation of the distinction between friend and enemy, decision, and sovereignty ― the core concepts of Schmidt’s political and legal philosophy. In addition, for Derrida sovereignty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ipseity, but the mechanism of immunity inherent to it reveals the limit of autoimmunity. Thus, Derrida’s conception of autoimmunity shows the ambivalence or aporia of the modern conception of sovereignty, and provides a clue to transform the national premise of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