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게임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개인적 성향 차이 및 인구통계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진창현 ( Chang Hyun Jin ),정의철 ( Eui Chul Jung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09 언론과학연구 Vol.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게임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개인적 특성 즉 인지욕구(need for cognition), 위험감수성향 (risk-taking-propensity), 외향적/내성적(extroversion/introversion) 성향의 정도가 인터넷 및 게임 사이트에 대한 신뢰도, 그리고 중독성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또한 인구통계학적 요소 즉, 사용경험 및 성별 차이가 인터넷 중독성향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조사하고, 논의하였다. 분석 결과는 개인적 차이 및 특성 정도에 따라 온라인 게임 중독성이 다르게 나타남을 보여준다. 이들 변인들은 사용 경험 및 성별에 따라서도 중독성향에 다르게 반응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신뢰도 역시 중독성향에 밀접하게 관여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개인적 특성 분석을 바탕으로 온라인 게임 중독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책이 강구되어야 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o influence factors of individual differences such as need of cognition, risk taking propensity, extroversion/introversion on the internet and online game addiction. Also the past experience and gender differences could be analyzed. Findings indicate that factors of individual differences as well as the past experience, gender differences responded differently to addiction and credibility were closely related to addiction. Finally, this study recommends that programs, which aim to overcome online game addiction, should be based on the analysi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청년 창업인의 사회·심리적 자본이 창업의도 및창업 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진창현(Jin, Chang-Hyun) 글로벌경영학회 2015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2 No.3

        본 연구는 창업자의 사회적 자본과 심리적 자본이 청년 창업자의 실행 단계인 창업에 대한 의지와 경영성과를 파악하는데 주목적을 둔다. 사회적 자본의 구성 요소로는 구조적, 관계적, 인지적 네트워크로 분류하였고 심리적 자본의 하위 구성 요소로는 자기 효능감, 희망, 복원력, 낙관주의 차원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청년 창업인 5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는 사회적 자본 및 심리적 자본의 구성요소들이 창업에 대한 의지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창업에 대한 의지는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창업에 대한 의도가 사회, 심리적 자본을 창업의 경영성과와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 었다.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보다 심리적 자본의 하위 구성 요소들이 창업인들의 창업의도에 더많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 결과 나타났고 자기 효능감이 청년 창업인들의 창업의도와 가장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창조경제와 청년 실업 및 벤처 창업활성화를 위해 어떻게 적용하고 활용될 수 있는 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study attempts to figure out the main purpose of an entrepreneur’s start-up intention and performance relative to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capital invested by an entrepreneur. Classified as a network of components, the structural, relational, and cognitive aspects were the components of social capital which were explored, while the dimensions of self-efficacy, hope, resilience, and optimism comprised the sub-components of psychological capital which were studied. We conducted surveys targeting 560 young entrepreneurs. Results showed that components of social and psychological capital are closely related to the intention of business establishment. Moreover, a start-up intention relative to business establishment shows that it affects business performance. Research results further indicated that sub-components of psychological capital affects entrepreneurial intention more than the components of social capital. In addition, self-efficacy most strongly affects young entrepreneurs’ intention to establish a busi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not only can we suggest academic implications but also plans for stimulating a creative economy and encouraging self-employment among the youth to engage in more entrepreneurship ventures.

      • KCI등재

        IPTV 수용자의 이용 동기가 광고 이용 의도 및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진창현 ( Chang Hyun Jin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10 언론과학연구 Vol.1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IPTV 수용자의 미디어 이용 동기를 다각적으로 파악하는 동시에 이용자들의 광고 이용 의도와 브랜드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조사 방법은 LG 아레나 모바일 폰 광고 캠페인을 제작하여 브로드 앤 TV IPTV를 통해 실행하였다. IPTV를 통해 이 광고를 본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 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먼저 IPTV 이용행태 요인으로 오락성, 정보성, 사회 지향성, 및 편리성이라는 매체 이용 의도는 수용자들의 광고 이용 의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이용 의도는 브랜드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IPTV audiences` characteristics, advertising acceptance and brand attitude. For this study, the actual brand named "LG Arena Mobile Phone" used in experiment. A total of 270 participants were surveyed on IPTV using motivation and attitude toward brand. As findings, the factors such as entertainment, informative, socialization, and convenience affected advertising acceptance and IPTV audiences who have the positive advertising acceptance also have a tendency of positive attitude toward brand.

      • KCI등재

        인터넷 구매자들의 인지적 욕구, 자기 개념, 개인적 성격의 차이가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진창현(Chang Hyun Ji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1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3 No.3

        본 연구는 개인적 차이가 온라인 충동구매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논문에서 온라인 충동구매 구매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개인적 특성 차이(individual differences)"는 "인지욕구(need for cognition)", "자기개념(the Self: Self-esteem, Emotional st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solving, Interpersonal trust) 성향" 그리고 개인적 성격(personality)의 요소로써 "외향적/내성적(extroversion/introversion) 성향"을 고려하였다. 자기 개념의 5가지 하위 요인인 자기 존중감, 정서안정감, 대인관계 능력, 그리고 문제해결 능력이라는 요소들은 온라인 충동구매 성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대인신뢰감 및 인지적 욕구는 온라인 충동구매 성향과는 통계학적으로 아무런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연구 결과에서 보듯이 온라인 구매자들의 개인적 성향이 정서적으로 불안할수록 충동구매 성향이 강하게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온라인 구매자들의 감정이 불안정할수록 온라인 충동구매 성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개인적으로 물론 사회적인 문제를 가져올 수 있는 성인 구매자들의 충동구매 성향이 어떠한 심리적인 특성을 내포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충동구매자들의 심리적인 특성들에 대한 이해는 충동구매자들의 의사 결정 과정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기초적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This empirical study examines how individual differences impact on compulsive buying and examines the effects of these individual differences. Psychological factors of: ① the self-concept, ② a need for cognition, and 3) personality were the three independent variables utilized.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online shoppers tend to be more addicted to shopping as their personalities and emotions become more unstable. Shoppers with a low the concepts of self(Self-esteem, Emotional st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solving) and personality are more exposed to the risk of online shopping addiction. However, shoppers with level of NFC and interpersonal trust do not appear to have inclinations for compulsive buying.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therefore, establish basic information on therapies for compulsive buying and offer a better understanding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mpulsive buying.

      • KCI등재

        TV 광고에 나타난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관한 연구

        진창현(Chang Hyun Jin) 한국광고홍보학회 2009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1 No.4

        이 연구는 텔레비전 광고에 나타난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최근 9년 동안(2000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텔레비전에 방송된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내용 분석을 통해 캐릭터의 사용 제품 현황과 제작 방식, 표현 방식, 애니메이션 캐릭터 분류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국내 애니메이션 광고는 어떤 특정한 제품군과 애니메이션 제작 기법에 있어 한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품군 분류에서는 정보통신, 금융 및 보험, 전기전자, 공익 관련 제품에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애니메이션 제작 유형분석에서는 컴퓨터 그래픽 방식, 셀 방식, 실사와 혼합형태가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유형분석에서는 인간 형태, 기업 및 제품, 가공물, 동물 캐릭터가 가장 많이 사용된 것으로 드러났다. 애니메이션 캐릭터 이미지 분석에서는 제품의 특성 및 기업의 이미지에 맞게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이성적 이미지가 감성적 이미지보다 많이 사용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애니메이션 캐릭터 목소리 분석에서 남성의 목소리가 여성의 목소리보다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국내 애니메이션 캐릭터 산업 및 소비자의 인지도 제고를 위한 앞으로의 연구뿐만 아니라 애니메이션 커머셜 캐릭터 제작에 소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mployed content analysis to examine the animation and animated commercial characters in Television advertising. This study classified the animation creation technique and characters in television commercial advertised during the past nine years. This study analyzed animated TV commercials televised main networks(KBS, MBC, SBS, and Cable TV). 1355 commercials use in this study provided by TVCF.com. As findings, there were the different animation technique, character types in product categories. The computer graphic technique and human-based character were widely used in television animated commercials. The findings will provide advertisers and marketers some guidelines and valuable information for the researches related consumer response of animation as well as the effective production of animated TV commercials. The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is that using animation technique in marketing and advertising communication could effectively delivery the advertising message and create great value added in this age of digital environment as well as found animation in this digital age can be played as one of popular advertising design tools.

      • KCI등재

        RF 파워 변화에 따른 IGZO 박막의 구조적, 광학적, 전기적 특성

        진창현,김홍배,Jin, Chang-Hyun,Kim, Hong-Bae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5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28 No.10

        We have studied structural,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In-Ga-doped ZnO (IGZO) thin films. The IGZO thin films were deposited on the corning 1737 glass by RF magnetron sputtering method. The RF power in sputtering process was varied as 30, 50, 70, and 90 W respectively. All of the IGZO thin films transmittance in the visible range (400 nm ~ 800 nm) was above 83%. XRD analysis showed the IGZO thin films amorphous structure of the thin films without any peak. And also IGZO thin film have low resistivity ($1.99{\times}10^{-3}{\Omega}cm$), high carrier concentration ($6.4{\times}10^{20}cm^{-3}$), and mobility ($10.3cm^2V^{-1}s^{-1}$). By the studies we found that IGZO transparent thin film can be used as optoelectronic material and introduced application possibility for future electronic devices.

      • KCI등재

        부정적 사회심리학적 감정이 행동 결과인 인터넷광고 회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창중 ( Chang Joong Kim ),진창현 ( Chang Hyun Jin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2 유라시아연구 Vol.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상에서 소비자들의 부정적 사회심리학적 감정과 온라인 광고 회피성향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인터넷 사용자 즉, 소비자들의 부정적 감정 상태인 인터넷 불쾌감의 5가지 하위 요소로 구성하였다. 5가지 하위 요소는 불편성, 기만성, 반사회성, 강제성 그리고 방해성이다. 온라인 광고가 효과적이기 위해서 인터넷 광고는 소비자들에게 노출시켜야 한다. 소비자들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하지 않고서는 특정한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유도하기는 쉽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잠재적인 인터넷 광고의 노출과 실제로 소비자들에 인터넷 광고 노출되는 것에는 엄청난 차이가 존재한다. 웹페이지에 등장한 온라인 광고들은 대부분 소비자들에게 의해서 회피되고 있다. 이런 광고회피는 온라인 광고를 효과적으로 집행 또는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극복해야 할 필수적인 요소이다. 비록 전통적인 매체나 다양한 매체에서 소비자들의 광고 회피 현상에 대해서 많은 연구자들이 연구를 진행해 왔지만 새로운 미디어인 인터넷 광고 회피 성향에 대해서는 소수 연구에 불과한 실정이다. 많은 인터넷 광고 효과에 관한 연구는 인터넷 광고의 표현, 크리에이티브, 소구방법에 한정되어 있었다. 지금까지의 문헌연구를 고려해 볼 때, 소비자들의 부정적 사회 심리학적 감정과 광고회피와의 관련성에 대한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어떻게 소비자들의 이런 부정적 감정과 인터넷 광고 회피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사용자를 대상으로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그 대상은 직장인, 학생으로 구성되어있다. 인터넷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이유는 편리하게 데이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자세히 알지 못하는 인터넷 사용자들로 무작위 추출 방법으로 참가자를 선정하였다. 이 이유는 샘플들의 동질성이라는 오류를 극복하기 위함이다. 참여자 중 남성은 194명이고 여성은 168명으로 이루어져 있고, 평균 연령은 25세로 나타났다. 하루 평균 3시간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62명의 인터넷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 구성은 처음에는 인구통계학적 설문으로 구성되었다. 나이, 직업, 수입, 인터넷 사용시간에 대해 질문을 하였다. 다음으로는 소비자들의 부정적인 감정에 대해 질문하는 순으로 구성하였다. 소비자들의 부정적 감정 상태인 인터넷 불쾌감의 5가지 하위 요소로 구성하였다. 5가지 하위 요소는 불편성 4개 항목, 기민성 3개 항목, 반사회성 3개 항목, 강제성 4개 항목 그리고 방해성은 6개 항목이다. 모든 변인들은 5점 척도로 하였다. 각 잠재변인에 대한 신뢰계수는 표 1에 자세하게 서술하였다. 그리고 가설을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통계프로그램과 SPSS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먼저 불편성과 인터넷 광고 회피와의 관계로써 불편성은 소비자들의 인터넷광고 회피 성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는 기만성과 광고 회피 성향과의 관계이다. 기만성 역시 소비자들의 인터넷 광고 회피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세 번째는 반사회성과 광고 회피 성향과의 관계이다. 반사회성 역시 소비자들의 인터넷 광고 회피 성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강제성과 광고회피 성향관계에서도 강제성이라는 요인 역시 소비자들의 인터넷 광고 회피 성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방해성과 광고 회피 성향과의관계이다. 방행성은 소비자들의 인터넷 광고를 회피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이 드러났다. 인터넷 사용자들의 인터넷 불쾌감 형성 하위5가지 요소는 인터넷 광고를 회피하려는 성향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5가지 하위요소는 통계학적으로 인터넷 광고 회피성에 유의미한 영향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5가지 하위 요소 중, 기만성과 방해성이 인터넷 사용자들이 인터넷 광고를 회피하는데 가장 주요한 부정적 사회 심리학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터넷 광고의 회피 성향에 관련된 연구에서 가치 있는 이정표를 가지고 있다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온라인 광고 제작자 및 학계 종사자들에게 효과적인 온라인 광고 제작에 가이드라인뿐만 아니라 인터넷 사용자들의 심리적 성향에 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social-psychological feelings on the part of consumers and advertising avoidance as a behavioral outcome of consumer activity on the Internet. Although researchers in advertising-related fields have investigated advertising avoidance across a variety of media, from traditional vehicles to new media such as the Internet, most studies of Internet advertising have focused on aspects such as advertising creativity (efficiency of execution, creative strategy factors, media richness, etc.), individual differences (personality factors, consumer experiences, computer skills, etc.), few empirical studies have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social-psychological feelings experienced by consumers and advertising avoidance. This study seeks to fill this gap in the literature by (a) improving our understanding of how negative emotional states experienced by consumers are related to Internet advertising avoidance, and (b) suggesting a model that can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ch unpleasantness and ad avoidance as a behavioral outcome. To explore negative emotional states experienced by consumers, the study tested the effects of five factors that together form a construct, unpleasantness, representing such a negative emotional state: inconvenience, deception, anti-sociality, compulsion, and intrusiveness. The population surveyed for this study was selected using convenience samples of Internet users, with almost every participant working in a business-related field or enrolled in college. The purpose of using such a randomly collected sample was to capture representative consumer segments and to avoid the bias of demographically homogeneous sample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public personally by a research assistant. Sample respondents consisted of 194 men and 168 women, with 362 questionnaires being administered to and completed by respondents. The average age of respondents was 25 years. Daily average Internet use on the part of respondents was 3 hours. A total of 362 subjects completed the self-administered survey.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SPSS 15.0, an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both EQS6b and the MLE (Maximum Likelihood Method). Appropriate procedures for build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conducted, and model goodness of fit, including normality and sample adequacy,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model suggested by Hair et al. (1998). As seen in Tables 1 and 2, the extracted AVE ranged between .648 and .791, and the means of the squares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ranged between .03 and .46, which shows that AVE is larger than the means of the squares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r²). This condition also ensures discriminant validity, which is required for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hypotheses mode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social-psychological consumer feelings and advertising avoidance. The study examined how several constructs when regarded as components of unpleasantness (inconvenience, deception, anti-sociality, compulsion, and intrusiveness) affect ad avoidance as a behavioral outcome.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unpleasantness, as measured in terms of these five factors, successfully explains why people psychologically avoid advertising on the Internet. Deception and intrusiveness as components of unpleasantness were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antecedents to such advertising avoidance. This study provides offers significant findings a valuable cornerstone for in the research of negative emotional feeling toward Internet advertising. This knowledge is likely to help both advertising scholars and practitioners better understand consumer characteristics through the conceptual model, or help them develop various tools to make the effective Internet ads that are more effective at targeted a specific audiences on the Intern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