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초문식성에 대한 교육공동체의 지도실태 및 인식조사

        진용성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7 한국초등국어교육 Vol.6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instruction of educational community on beginning literacy instruction. In Section 2, we reconstruct the characteristics of beginning literacy and the contents of education on the theoretical basis. Each was a theoretical review of the concept of beginning literacy, period, contents and method of beginning literacy edu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questionnaire items of the previous research were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urvey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broad categories. First, each educational community confirmed that they did not agree on the timing aspect of beginning literacy education. Second, although the teaching method and contents are different, they showed a common pattern in ‘linking letters and sounds, and using picture books / fairy tales’. Third, it was found that they did not understand the content and method of beginning literacy education and recognized that there was lack of connectivity. 이 연구는 기초문식성 지도에 관한 교육공동체의 인식과 지도실태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2장에서는 기초문식성의 특성과 교육내용을 이론적 토대 차원에서 재구성하였다. 각각은 기초문식성의 개념과 교육시기, 기초문식성 교육의 내용과 방법, 기초문식성의 유⋅초등 연계교육에 대한 이론적 검토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선행연구의 설문조사 항목을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고, 이를 검증한 후 온라인 설문조사로 투입하였다. 설문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각 교육공동체는 기초문식성 교육의 시기 측면에 대한 합의를 하지 못한 것을 확인했다. 둘째, 교육공동체에 따라서 지향하는 지도방법과 내용이 다르나, 글자와 소리 연결, 그림책/동화 활용하기에서는 공통적인 양상을 보였다. 셋째, 상호간의 기초문식성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며, 연계성이 부족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국어과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의 적용 가능성 탐색

        진용성,김병수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Flipped Classroom to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First, the concept of Flipped Classroom and attributes, dealing with the specific context of the Flipped Classroom, and discussed the need for Flipped Classroom in language classes. And discuss ways to overcome dilemmas for the classroom, and to explore the significance. Flipped Classroom is a teaching strategy to enhance the learning of individual learners. Its main characteristic is the learner learning through the media outside of the classroom, inside the classroom interaction through discussion and debate. The learner and the teacher's role are different with traditional teaching. Flipped Classroom in korean language classroom emphasizes the students' individuality and mutual negotiations and, learner-centered language teaching. However, many of the ambiguous of teacher roles, relationships neglected by emphasis on education Engineering, such as difficulties in activities of Korean language class. To compensate for this, the principal language of instruction is learner-centered educational philosophy must first internalize and practice, and teacher should enhance the expertise that can be deployed in a variety of roles in the classroom. Second, take advantage of the classic literature, children's literature such as actively as a media for learning outside the classroom, and learning about the critical reading of the media should also be supplemented. Third, it combines the Havruta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teaching. 본고의 목적은 국어과 거꾸로 교실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거꾸로 교실의 개념과 특성, 거꾸로 교실의 구체적인 맥락을 다루고, 국어수업에 거꾸로 교실 수업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거꾸로 교실에 대한 논쟁점과 국어수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딜레마의 극복방안 등을 논의하고, 국어과 거꾸로 교실의 의의를 탐구하여 국어 수업에서의 적용가능성을 탐구 했다. 거꾸로 교실은 개별 학습자의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한 수업 전략이다. 그 주된 특성은 교사중심의 교과내용의 전달을 교실 수업 바깥에서 학습자가 매체를 통해 학습을 하고, 교실 안에서는 학습자간 혹은 교사와 상호작용하며 배움의 내용을 토론과 토의 등을 통해서 정교화 하는 학습을 하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학습자와 교사의 역할 등은 기존 전통적 수업과 다른 양상도 보이게 된다. 국어 수업에서도 거꾸로 교실을 통해서 학생들의 개별성을 강조하고, 상호교섭적이고, 언어의 총체성와 창조성이 나타나는 학습자 중심 국어수업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가르침의 본질과 관련된 교사 역할의 불분명성, 교육공학의 강조로 인한 관계의 소홀, 학교 급에 맞는 국어과 수업 내 활동 구성의 어려움 등이 거꾸로 교실을 실제 국어 수업에 적용할 때 도출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난제들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첫째, 학습자 중심의 국어교육 철학을 수업 주체가 먼저 내면화하고 실천해야 하며, 수업 속에서 다양한 교사 역할을 전개할 수 있는 전문성을 고양해야 한다. 둘째, 인문고전과 아동문학작품 등을 교실 바깥 배움을 위한 매체로 적극 활용할 수 있어야 하며, 매체의 비판적 읽기에 대한 학습도 보완되어야 한다. 셋째, 하브루타식 교육법을 국어수업에 융합해서 국어과 수업 내 활동 구성을 적합하게 전개할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상위인지의 개념과 대학 작문 교육의 방법

        진용성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6 리터러시 연구 Vol.- No.18

        대학생 필자에게 상위인지의 인식과 활용은 필수적인 역량이다. 특히 쓰기에서 상위인지는 능숙한 필자의 특성으로 작문 교육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관심을 두고 있는 주제이다. 이 논문에서는 상위인지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고, 대학생 필자를 대상으로 상위인지를 활용한 작문 교육의 방법을 도출하였다. 상위인지는 그 개념이 명확하지 않고, 다른 용어들과 혼재되어 사용되었고, 그 양상은 현재도 크게 다르지 않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통시적인 관점에서 상위인지의 개념을 검토하였다. 상위인지의 개념은 인지적 지식과 상위인지적 조절을 통해서, 개인 내와 개인 간에 인지·정의·행동적인 측면에 작용하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또한 상위인지의 구성요소를 정리 과정에서 자기조절과 자기 통제, 자기점검사이의 포함관계를 도출하였다. 3장과 4장에서는 쓰기에서 상위인지의 역할을 관련 국내 선행 연구와 작문 모형들을 통해서 다루고, 대학생 필자의 작문 상황을 대상으로 한 최근 연구들을 검토하여, 상위인지를 고려한 작문교육 방법을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쓰기와 상위인지가 긴밀하게 연관된 다는 것과 확인할 수 있었고, 상위인지의 필요성 차원에서 국내 대학생 필자의 상황을 다각도로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상위인지를 활용한 대학 작문 교육의 방법을 논의하였다. It is essential for college students to recognize and utilize the meta-cognition. In particular, metacognition in writing is a topic that has received constant attention. In this study, previous studies on metacognition were reviewed and have developed a method of writing education that utilizes metacognitive awareness for college students. The concept of meta-cognition is not clear, it is used in combination with other terms, and its aspect is not much different today.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concept of meta-cognition by the diachronic perspective. In addition, we summarized the constituents of the meta-cognition. n chapters 3 and 4, we discussed how to teach writing in consideration of metacognition. To do this, we reviewed the writing situation of college students. and we re-examined the writing model from the viewpoint of metacognition. Based on this, we suggested a method to apply metacognition to college composition education.

      • KCI등재

        통일시대 『우리말 터』 초등국어교과서 단원 개발 - <이해의 여섯 가지 측면>과 <놀이>의 통합을 중심으로

        진용성,김병수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0 한국어문교육 Vol.33 No.-

        This study developed an example of designing the 『Korean Language Site』 textbook designed fo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elementary learners in the Unification Era as “a play-oriented unit that considers six aspects of understanding”. This study devised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unit development of the play-centered 『Korean Language Site』 considering the 'six aspects of understanding' and the principle of restructuring the unit components. Based on this, a textbook scen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explain play, interpret play, apply play, point of view play, empathize play, and knowledge creation play' was presented. In follow-up studies, it will be necessary to conduct elementary Korean language classes using this textbook and conduct qualitative studies to explore the perceptions of learners and teachers. 이 연구는 통일시대 초등 학습자들의 국어교육을 위해서 기획된 『우리말 터』 교과서를 ‘이해의 여섯 가지 측면을 고려한 놀이 중심 단원’으로 설계한 예를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이해의 개념과 학습이 이해되었을 때의 증거가 될 수 있는 이해의 여섯 가지 측면에 대하여서 살펴보았고, 다양한 기능과 효과가 있는 ‘놀이’에 대해서 이론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 3장에서는 ‘이해의 여섯 가지 측면’을 고려한 놀이 중심 『우리말 터』 단원 개발 방향과 단원 구성 요소의 재구성 원리를 구안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설명하기 놀이, 해석하기 놀이, 적용하기 놀이, 관점 갖기 놀이, 공감하기 놀이, 지식창조하기 놀이’를 고려하여 개발된 교과서 장면을 제시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이 교과서를 활용해서 초등 국어수업을 진행하고, 학습자들과 교사들의 인식을 탐구하는 질적연구 등을 전개할 필요가 있겠다.

      • KCI등재

        통일초등국어교육 콘텐츠 탐색 연구 - 국내 통일교육용 누리집을 중심으로

        진용성,김병수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2 한국어문교육 Vol.3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tent related to unification education provided on existing websitesin order to derive necessary contents in the context of elementary Korean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unification.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homepages of two representative institutions that contain unification education contents. As a result, the contents of the website showed limitations such as the gap with the context of language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 lack of instructional materials created by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s. However, it was possible to find some implications as various efforts such as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literature works independently in consideration of unification and the production of content that considers the difficulties of various disabled people were found on the website. This study will help in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language education necessary to prepare for unifi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통일을 준비하는 시기에 초등 국어교육의 맥락에서 필요한 콘텐츠를 도출하기 위해서, 기존 통일교육관련 기관의 누리집 콘텐츠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통일교육 콘텐츠를 수록하고 있는 대표적인 2개의 기관 홈페이지를 내용분석하였다. 그 결과, 해당 기관의 누리집 콘텐츠들은 초등학생들의 언어발달 맥락과 간격이 있는 점, 초등 국어교과의 특수성을 고려한 수업자료가 부족한 점 등의 한계를 보였다. 그러나, 통일을 고려하여 아동문학작품을 자체적으로 개발하고, 다양한 장애인의 어려움을 헤아리는 콘텐츠를 생산하고,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교사의 통일 관련 역량을 강화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등의 시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통일을 준비하는 데 필요한 초등국어교육 콘텐츠 개발에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초등국어교육의 ‘시 교육’에 관한 연구의 동향과 과제 - 국어 교과서와 시 교수・학습 영역을 중심으로

        진용성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8 한국어문교육 Vol.24 No.-

        This Study analyzes trends of 'poetry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s in Korea and suggests its implications. In order to grasp current trends of researc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ethod was used and 228 papers listed in Riss from 1994 to 2017 were analyzed. The study shows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journals and theses in the trends and subject areas of different years. In this paper, based on poetry education theories, 19 issues are proposed as future tasks to be explored. Some of them are as the following: First, in the context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it is necessary that 'teaching and learning poetry' and 'the study of textbooks' should be carried out steadily. Discussions about the hierarchy of poetry education,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nd linking it with the study of children 's literature will be needed. Second,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terms of the genre of elementary literacy education, the balance between poetry comprehension education and expression education, linking between curriculum and actual research and teaching and learning. 이 논문은 국내의 초등국어교육 분야의 ‘시 교육’에 관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안한 연구이다.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체계적 문헌 고찰법을 활용하였고, 1994년부터 2017년까지 Riss에 등재된 228편의 논문을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술지 논문과 학위논문은 연도별 경향과 주제영역에서 큰 차이점을 보이지 않았으며, 시 교육 이론을 통해서 볼 때, 특정 영역에 편중되거나 연구가 누락된 항목들이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향후 탐구해야할 과제로 19개를 제시하였으며, 이는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초등국어교육의 상황에서 시 교수학습과 교과서의 연구가 꾸준히 진행될 필요가 있으며, 시 교육의 위계성과 학습자의 특성, 아동문학연구와의 연계 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될 필요가 있겠다. 둘째, 초등 문학 교육의 장르 용어에 대한 연구, 시 이해교육과 표현교육의 균형, 교육과정과 실제 연구와 교수학습의 연계, 시 교육 평가와 교과서 구성, 시 교수학습 모형 등에 대한 논의가 실제적으로 필요한 것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북한 소학교 1학년 국어교과서(2013)와 남한 초등학교 1학년 국어교과서(2017)의 비교 연구

        진용성,차해나 청람어문교육학회 2018 청람어문교육 Vol.0 No.6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and analyze Korean textbooks of first grade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s a result, I would like to suggest 5 things. First, it is necessary to accept the advantages of the North Korean textbooks, which reduce learning burden and focus on the process of learning Korean. Second, it is necessary to accept the merits of South Korean textbooks which have clarity of learning objectives and structure of unit system. Third, it aims to set a unified goal for the common 'language tools and open textbooks' Fourth, it is necessary to synthesize a balanced system of Hangul learning that takes into account the systematic learning of Hangul learning in North Korea and level of learners in South Korea. Fifth, in the aspect of the first unit of the first grade,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right attitude of listening, speaking and reading in South Korea. 본고의 목적은 남한과 북한의 1학년 국어교과서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행 남한과 북한의 국어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를 함께 견주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크게 5가지를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학습 양이 상대적으로 적고, 한글해득과정에 집중한 북한의 교과서의 특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목표의 명료성과 단원구성체계의 구조성을 확보한 남한 교과서의 특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남북한 공통적으로 ‘언어가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관점’과 열린 교과서관’을 고려한다는 것을 바탕으로 통합된 목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북한의 체계적인 한글 해득 교육과 남한의 학습자의 경험과 수준을 고려한 균형적인 한글 해득 교육’의 종합이 필요하다. 다섯째, ‘1학년 첫 단원의 측면에서 남한의 바르게 듣고 말하고 읽는 자세에 대한 교육, 북한의 학습자의 수준과 경험을 고려한 말하기 중심의 교육’을 장점을 종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예비 국어교사의 수업전문성 ‘성장과 딜레마’에 관한 사례연구 – 독서교육론 수업에 참여한 세 명의 예비교사를 중심으로

        진용성,장은섭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9 리터러시 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사범대학교 독서교육론 수업에 참여한 세 명의 예비 국어교사가 겪은 수업전문성 성장과 딜레마에 관해서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수업실연 동영상, 수업실연 평가표, 교사의 자기 효능감과 직무만족도 검사, 수업실연 후 소감문, 반구조화된 질문지, 심층면담 등을 통해서 자료를 살펴보았다. 자료 분석은 교육비평의 형식으로 표현하였으며, 그 결과는 크게 다음의 두 가지로 종합할 수 있다. 첫째, 국어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성장의 측면에서 볼 때, 주목받지 못하던 예비 교사의 시기는 하나의 단계로 통칭할 수 없는 복잡한 양상을 가지는 점이 도출되었다. 이에 따라서 이러한 양상에 대한 사려 깊은 고려가 사범대학 교육과정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예비 국어교사는 자신의 수업 딜레마를 부분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것이 수업 설계와 실행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 딜레마의 원인과 양상에 대해 국어교사의 전문성 발달의 중요한 요소로서 주목하고 다룰 수 있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 detail the growth and dilemma of the professionalism of three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reading education course of the university. In order to do this, we examined the data through class-demonstration videos, evaluation of class performances, teacher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est, post- class testimonies,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Data analysis is expressed in the form of educational criticism, an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in two main ways. First, in terms o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Korean language teacher, it is derived that the pre-teacher’s time, which is not noticed, has a complicated aspect that can not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single stage. Second, the preliminary Korean language teachers partially perceived their class dilemma and this was influencing the instructional design and exec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