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제 금동대향로 정상부의 새 도상 재검토- 금시조 가능성에 대한 모색 -

        진영아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2

        Baekje Incense Burner, excavated at Neungsan-ri Temple Site (陵山里寺址) in 1993, has been studied since its discovery. There were many different views, especially in the icon and chronology of incense burner. Among them, especially, Taoism was reflected as a main view in the iconic interpretation of the Baekje Incense Burner. As a result, the dominant theory that the bird at the top of the incense burner is considered naturally auspicious mythic bird 'phoenix', or ‘Kalavinka’. Besides the theory of Heavenly Rooster (天鷄) or Paradise Bird (極樂鳥) still exist. But the theory of 'phoenix' has been dominant one up to the present. However, each 'phoenix' have different iconic interpretation according to the literature. Additionally the object (持物) location of bird in the Tile with Phoenix in China and the top part of Baekje Incense Burner are different. So we can not accept the theory of phoenix as dominant theory. Also the meaning of Phoenix does not correspond to the character of Neungsan-ri Temple Site which commemorates the ancestor kings. Therefore I considered the bird at the top as “Garuda,” a Buddhist bird. And the general view of the incense burner and the background of the icon production was inferred through the Buddhist commentaries. The incense burner production period was estimated early 7th century because Beophwa ideology (法華思想) prevailed in Baekje Kingdom period. Accordingly, this paper focused on the Lotus Sutra commentaries. I focused the review in the commentaries of Weimo jing (維摩經) which was popular across the East Asia at that times. Especially I concentrated Zhiyiʼs Fahua wenju (法華文句) and Weimo jing lue shu (維摩經略疏) that supposedly have deep connection with Baekje. So I considered the bird at the top as Garuda, a Buddhist bird. Lastly the mountain range and lotus combination of the central part of the incense except the bird icon in the top and the dragon icon of the lower part looks like a structure of Sumeru (須彌山). It is something like a depiction of Xumi-Lianhua (須彌蓮華) mentioned in the Lotus Sutra. Furthermore, from the artifact of Baekje Incense Burner icon to the present, ‘phoenix’ icon should be reexamined. In addition to that, like Baekje, Garuḍa icon appears in Tamamushino Jushi (玉虫厨子 たまむしのずし) which is owned by Hōryūji temple in Japan. Accordingly we can presume that the cultural relationship between Baekje and Japan will be examined in the future. 1993년 능산리사지에서 출토된 백제 금동대향로는 발견 이래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그 가운데 향로에 표현된 도상과 편년에 대한 다양한 이견(異見)이 있다. 특히 이 향로는 도교적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주된 의견을 바탕으로 백제 금동대향로 정상부의 새를 봉황(鳳凰)으로 보았다. 그 밖에 천계(天鷄)나 가릉빈가(迦陵頻伽)로 보는 의견도 존재하나 현재는 봉황 설이 유력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하지만 봉황은 문헌마다 나타나는 도상이 일정하지 않으며, 봉황이 표현된 중국 하남성 등현묘 출토 봉황명 화상전과 백제 금동대향로 정상부의 새의 지물(持物) 위치가 달라, 향로의 새를 봉황으로 확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였다. 더욱이 봉황이 갖는 의미가 선대 왕을 추모하는 능산리사지의 성격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생각하였다. 천계의 경우 불교 문헌에는 당대부터 등장하여 향로 제작 시 영향을 주지 못했을 것으로 보이며 가릉빈가는 불교계 내 중요도가 높지 않다고 보이므로, 기존의 설을 제외하고 필자의 의견을 제시하며 논지를 전개하였다. 당시 백제에서는 법화 사상이 유행했다는 점에 근거하여 본 논문에서는 해당 시기의 『법화경』 주석서와 동아시아 전반에 유행한 『유마경』 주석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여러 문헌 가운데 백제 승려 현광의 동문인 지의가 강의한 『법화문구』와 백제에서 찬술되었다고 보는 『유마경약소』에 집중하였다. 여러 문헌을 살펴본 결과 금시조는 목에 구슬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도상적 특징이 수대(隋代)부터 당대(唐代)까지 이어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금시조가 열반의 언덕으로 데리고 가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여, 무덤과 결합된 사찰인 능산리사지에서 백제 금동대향로가 출토되었기 때문에 정상부의 새를 금시조로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상부의 새와 하단의 용을 제외한 향로 중앙부는 당시 법화가들이 인식하였던 ‘수미연화(須彌蓮華)’를 형상화한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백제 금동대향로의 도상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봉황으로 추정하였던 유물들의 도상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생각하며, 일본 호류지(法隆寺) 소장 다마무시노즈시(玉蟲廚子)에도 백제와 마찬가지로 금시조 도상이 나타난다는 점을 통해 추후 백제와 일본의 문화사적 관계도 유추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 1930年代모더니즘 論爭에 대한 -考察

        진영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5 牛岩斯黎 Vol.5 No.-

        1930년대에 들어서면서 일제의 문단 탄압이 극에 달하자 문단의 주 류를 이루었던 카프진영은 위축되어 쇠퇴기에 접어 들었다. 카프진영 은 새로운 문학 비평 방법론을 모색하였으나 문학비평을 더욱 위축시 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와중에 시문학파, 모더니즘계열 등의 대항적 의미의 문학논의가 표면화 된다. 넓은 의미에서 김기림을 중심으로 한 이들은 주로 20년대 감상적 낭만주의 문학과 20년대 후기 계급문학의 편내용주의에 대한 반작용 으로 생겨난 것이었다. 그러나 전대문학의 시론을 부정하고 기술,기교 를 중시한 결과, 형식에 치중하는 과오를 노정하게 된다. 이러한 경향 으로 인해 기교주의로 몰리어 비판받게 되었고 기교주의 논쟁을 야기 시켰다. 이 논쟁에서 김기림은 기본적으로 문학을 이원론으로 보고, 형식우위의 논리에서 자신의 논리를 수정하여 시대정신(현실)과 기술 (기교)의 조화를 주장하는 전체시론으로 발전하게 된다. 임화 역시 내 용과 형식의 이원론에서 변증법적인 통일을 주장, 내용우위의 논리를 개진한다. 표면적으로는 이 두 논리가 많은 상이점을 가지고 있지만 내면적으로는 상호 절충적인 방향으로 나아간다. 이후 임화는 어느 정도 김기림에 대해 유보적인 입장을 취하게 되었다. 그 후 이상과 박태원의 소설을 중심으로 최재서, 김기림, 안회남- 백철, 임화, 한효 등의 모더니즘 논쟁이 있었다. 이 논쟁에 있어서의 문제점은 모더니즘에 대한 평가기준의 상이 함을 그대로 노출시킨 것이었다. 그것은 첫째, 현실에 대한 적극성 결 여, 둘째, 모랄의 결여, 셋째, 반영론적 원리에 입각한 이념부재 등이 다. 이러한 평가기준의 상이함은 당시 전형기적 문단의 특수한 상황 에도 있겠지만, 이 논쟁의 반대론자들이 리얼리즘계열이었기 때문에 그들의 논리에서 모더니즘 소설을 볼 때, 소설 형식이 보이는 의미론 적 구조가 자연 <리얼리즘>에 귀결될 수 밖에 없었을 것으로 생각된 다. 임화 등 카프계열 비평가들은 다음 해 다시 이 모더니즘 소설들의 의의를 재평가하는 집착과 의욕을 보여주는데, 여기서 그 문학들의 퇴폐성과 개인주의적 모습이 긍정되고 계승되어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보인다. 그러나 임화의 이런 모더니즘 부정에도 불구하고 이 논쟁은 모더니즘 소설도 현실과 전혀 동떨어진 것이 아니라는, 모더니즘 소 설도 하나의 역사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인정받게 된 계기가 되었다. 위에서 논의된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의 관계를 통해 볼 때 1930년대 문단은 리얼리즘/모더니즘의 대립구조로만 이루어져 있는 것이 아니 라 표면상 상호대립구조 속에서도 서로의 이론을 보완해 가며 일정한 문학적 성과들을 이루어 나간 시기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빈곤선 측정방식에 대한 비교 연구

        진영(Moon, Jin-Young)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5 비판사회정책 Vol.- No.46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이 제정된 1999년부터 최저생계비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빈곤’과 ‘공공부조제도’에 대해서 다양한 입장을 가진 사람들이 최저생계비의 개념과 기능 그리고 수준에 대해서 다르게 규정하고 있다. 우리 사회의 보수진영 사람들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가 근로능력이 있는 수급자들에게도 지나치게 높은 최저생계의 수준을 보장함으로써 근로의욕을 감퇴시켜서 빈곤의 덫에 빠지게 한다고 공격하고 있다. 한편으로 진보 진영에서는 현재 최저생계비의 수준이 헌법에서 규정한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하기에 턱없이 낮기 때문에 대폭적으로 상향조정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같은 빈곤이라는 현상과 최저생계비의 수준을 놓고서 이념에 따라서 전혀 상반된 해석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의견 차이가 한 단계 높은 빈곤논쟁으로 발전하지 않은 채, 이념적 공세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한국 사회가 복지국가를 지향한다면 빈곤에 대한 논쟁을 비켜갈 수 없다. 최저생계의 보장이 복지국가의 도덕적 토대라면, 최저생계비는 바로 복지국가의 문을 여는 열쇠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빈곤선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5가지 측정방식(정책빈곤선, 가계표준예산 빈곤선, 통계적 빈곤선, 주관적 빈곤선, 박탈지표 빈곤선)을 설명하고, 각 측정방식을 과학성, 자의성, 측정편의성, 제도정합성, 발전가능성이라는 기준으로 비교할 목적을 가지고 작성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 장에서는 빈곤선과 최저생계비의 개념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어서 제3장에서는 빈곤선 측정의 역사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본문에 해당하는 제4장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5가지의 빈곤선 측정방식의 성격을 비교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빈곤선의 성격에 대한 이해가 증진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It is widely accepted that Korean society entered the era of social rights with the enactment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1999) which guarantees the minimum living standards for all, irrespective of their age, sex, and working ability. At the heart of social rights lies the minimum cost of living (poverty line) in that it works as the eligibility criteria and, at the same time, it provides with the guideline for benefits as well. In other words, it is the key to open the gate of the welfare state. Thus,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re has been fierce debate on the amount of the minimum cost of living between market liberals and progressive commentators since its enactment of 1999.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e debate was mired in exhaustive ideological brawls. It has not yet developed to productive debate with a solid theoretical foundation. It is in this regard that this paper purports, first of all, to explain five different measurements of poverty line (administrative lines, budget standards, statistical lines, subjective lines, and deprivation indicator, and secondly, to compare and evaluate them into five perspectives (scientific validity, non-arbitrariness, convenience to measure, conformity to program, and prospect to develop). For this purpose, the chapter 2 explains the concept of poverty line and the minimum cost of living stipulated in the Act and, consequently the chapter 3 deals with the history of poverty studies since the monumental social research of S. Rowntree in 1899. The chapter four compares and evaluates the five measurements of poverty line. This study hopefully contributes to deepen our understandings of the nature of poverty in modern capitalist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

        화엄사상으로 본 사자빈신사(獅子頻迅寺)와 덕주사(德周寺)

        진영아,한민수 한국불교학회 2021 韓國佛敎學 Vol.99 No.-

        본 논문에서는 사자빈신사(獅子頻迅寺)와 덕주사(德周寺)의 연관성을 살피고자 한다.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덕주사가 사료(史料) 등에 기반해 법상종(法相宗) 사찰로 존재했다고 이해되었다. 그러나 다소 신빙성이 떨어지는 덕주사 창건 설화를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었다. 그리고 사자빈신사의 경우 자료 부족으로 사찰의 성격 등 자세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사자빈신사와 덕주사의 사상적 기반을 새롭게 살펴보고, 두 사찰 간의 관련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고는 크게 2가지 점에 의거해 논의를 진행한다. 첫째, 두 사찰명이 화엄사상에 기반했을 것이라는 점. 둘째, 두 사찰에 조성된 불상이 각각 ‘비로자나불’과 ‘아미타불’이라는 점이다. 먼저 사자빈신사지는 화엄경 의 주석서인 징관소 (澄觀疏)의 설명에 의거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자빈신사 창건에 화엄교학이 반영되었고, ‘빈신(頻迅)’이라는 독특한 용어로 발전했다고 판단된다. 덕주사 역시 화엄교학의 보현행(普賢行)에서 기인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사자빈신사와 같이 화엄에 기반한 사찰로 볼 여지가 있다. 화엄 주석서에서 ‘덕주’라는 표현이 빈번하게 보이고, 설명 또한 구체적이기 때문이다. 사자빈신사지 사사자석탑의 경우 탑에 존상이 모셔져 있는데, 탑의 구조를 변화하여 상(像)을 안치했다는 점, 탑기(塔記)가 기단부 외면에 새겨져 있다는 사실을 근거로 사리가 아닌 법신 비로자나불을 모셨을 것이라 보았다. 덕주사 마애불은 아미타구품인을 취하고 있으며, 사찰명 또한 보현행에 입각한다는 점에서 볼 때 아미타불로 간주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고려시대의 유가업(瑜伽業) 사찰에서도 아미타상이 모셔졌다는 점이 확인되므로, 미륵불로 단정하기 어렵다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사자빈신사지부터 상덕주사, 상덕주사에서 하덕주사까지의 거리가 서로 비슷하다는 점, 화엄사상을 바탕으로 명명되었다는 점, 인접한 사찰임에도 불구하고 덕주사만의 기록이 후대에 남아있다는 점 등을 근거로 하나의 사찰이었을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추정한다.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Sajabinsinsa Temple (獅子頻迅寺) and Deokjusa Temple (德周寺) is examined. First of all,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ajabinsinsa Temple name coincides with explanations given in Chengguan's Commentary on the Avataṃsaka-sūtra (澄觀疏). In other words, it is judged that the Huayan doctrine is reflected in the establishment of Sajabinsinsa Temple, at which time the unique term 'Binsin’ (頻迅) comes to rise. Since Deokjusa Temple may also have originated from the practice of Samantabhadra (普賢行), there is a possibility that Deokjusa Temple, like Sajabinsinsa Temple, is also connected to the Huayan School. Regarding the pagoda supported by four lions (四獅子石塔) at the Sajabinsinsa Temple site, it has been found that a sacred image (尊像) is enshrined within. It has been found that the image is enshrined in the changed pagoda structure, and that the memorial-stele biography (塔記) is carv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of pagoda. Thus it is concluded in this thesis that Vairocana Buddha as Dharmakāya (法身), not śarīra (舍利), is enshrined in the pagoda. Furthermore, the image of a buddha inscribed on the face of a cliff at Deokjusa Temple is in the form of the nine grades mudra of Amitābha (阿彌陀九品印). The name of this temple coincides with the practice of Samantabhadra, and is considered to be a temple of Amitābha Buddha. Moreover, it is confirmed that the Amitābha image was enshrined in the Yuga-eob (瑜伽業) temple of the Goryeo period. Lastly, the approximate distances between Sajabinsinsa Temple site, and the upper and lower sites of Deokjusa Temple, are similar. They were also named on the basis of Huayan thought. In addition, even though it is an adjacent temple only the records of Deokjusa Temple remain. With this in mind, one can presume the possibility that all three sites were a single temple.

      •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ㄹ’말음 용언 사용의 오류 분석과 지도 방향

        진영아 국어교과교육학회 2017 국어교과교육연구 Vol.30 No.-

        ‘ㄹ’말음 용언의 탈락은 일정의 음운 환경이 조성되면 예외 없이 일어나 는 자동적인 교체현상으로 한국인에게는 별 어려움이 없는 현상이지만 일 정의 음운 환경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외국인 학습자들에게는 이해하기 어 려운 현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의 발화를 녹음하여 ‘ㄹ’말음 용언 활용의 오류를 분석하여 유형을 정리해 보았다. 그리고 대학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에서는 어떤 어휘로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ㄹ’말음 용언 활용을 효과적으로 지도하는 방안을 도입→제시․설명→연 습․활용→마무리의 4단계로 제시하였다. If a constant phonological environment is made of, dropping of the last consonant letter ‘ㄹ’ is phenomenom that automatically occurs without exception, and also it is normal for korean, but it is very difficult for foreign learners who lack of understanding of a constant phonological environment. In this paper, the study aims to show the type of improper use of ‘ㄹ’ when ‘ㄹ’ is pronounced as the last consonant letter, through recording speaking of foreign leaners. In order to find the way for forein learners to understand this pheonmenom, I also investigated the current Korean Language Textbooks using in the university to know how to explain with what vocabulary. Finally,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utilizing ‘ㄹ’ predicate are suggested in 4 steps as introduction → explanation → practice → finalization.

      • KCI등재

        고대 금시조(金翅鳥) 도상(圖像)에 나타난 보주(寶珠) 연구: 여의주(如意珠)와 마라가타(摩羅伽陀)를 중심으로

        진영아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22 강좌미술사 Vol.59 No.-

        최근까지 학계에서는 한국 삼국시대 유물 가운데 닭과 유사한 새를 대체로 봉황이라고 추정했다. <백제 금동대향로>의 정상부 새, 부여 외리 출토 <문양전>의 새, 부여 부소산성 출토 <새모양 장식>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하지만 이들 유물 속 새를 살펴보면 새의 목에 구슬이 있거나, 구슬을 물고 있는 형태도 보인다. 만약 이것이 봉황을 도상화한 것이라면, 도교의 문헌에서도 봉황과 보주의 내용이 존재해야 한다. 그러나 이런 내용은 불경과 주석서에만 등장하므로, 불교의 새 금시조로 보아야 할 여지가 있다. 오늘날 우리가 금시조를 봉황과 동일시하는 것처럼, 격의불교(格義佛敎) 시대에도 이러한 경향은 존재했던 것 같다. 다만 5세기 말에서 6세기 초에 이르러서는 금시조와 봉황을 도교와 불교의 상징물로서 각각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수(隋)대에는 이러한 내용이 일반화되어 전해진다. 즉, 불교계 내에서는 금시조를 새들의 왕으로 인식하였고, 도교의 새인 붕(鵬)과 엄격한 차이를 둔다. 나아가 금시조의 도상적 특징 가운데 하나로 구슬이 언급된다. 금시조 목에 있는 구슬은 ‘여의주’, 부리에 표현된 보주는 ‘마라가타’로 각 구슬의 성격 역시 차이를 갖는다. 상징하는 바를 정리하면, 여의주는 ‘전륜성왕-미륵’, 마라가타는 ‘푸른 빛-해독-죽임(殺)’ 정도로 요약할 수 있다. 즉, 수대 이후 동아시아 불교계에서는 금시조와 봉황을 확실히 구분했으며, 금시조의 지물로 여의주나 마라가타를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그에 따라 고대 동아시아의 유물 가운데 봉황으로 간주되었던 것들을 재고할 필요가 생긴다. 특히 새 도상에서 보주와 함께 표현된 사례들은 불교의 금시조로 추정할 수 있어, 외리 출토 <문양전>이나 부소산성 출토 <새모양 장식> 등의 도상들을 재검토하고자 한다. Until recently, academia estimated that the chicken-like birds were largely phoenix among the relics of the Three Kingdoms era in Korea. The examples include the bird design at the top of Baekje Incense Burner, a bird of tile design unearthed in Oeri, Buyeo city, and a bird shape decoration unearthed in Busosanseong Fortress, Buyeo. However, if you look at the birds in these artifacts, you can see that they have beads around the bird's neck or that are biting them. If this is a iconography of the phoenix, the contents of the phoenix and the precious jewel should be existed in the Taoist literature. However, this only appears in Buddhist sutras and commentaries. So there is a room to see it as the new garuḍa of Buddhism. Now, just as we equate the garuḍa with phoenix, this trend seems to have existed in the age of an analogical understanding of Buddhist doctrine (格義佛敎). However, from the end of the 5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6th century, the garuḍa and phoenix began to be recognized as symbols of Taoism and Buddhism respectively. And the contents of the Sui Dyansty era are generalized and conveyed later on. In other words, in Buddhist circles, the garuḍa was recognized as the king of birds, and it has strict differences from the Taoist bird (鵬). Furthermore, the bead is mentioned as one of the iconography features of garuḍa. The bead around the neck of the garuḍa are 'mani-jewel', and the bead represented on the beak is 'mārakata', which also differs in the nature of each bead. In summarizing what this symbolizes, the mani-jewel can be summed up as 'the wheel-turning king-maitreya', and mārakata as 'green light'-detoxification-killing'. In other words, in east Asian Buddhism after the Sui Dynasty, it was clearly distinguished between garuḍa and phoenix, and it appears to be an accessory of garuḍa, expressing mani-jewel or mārakata.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what was considered the phoenix among the relics of ancient East Asia. In particular, the examples expressed with the precious jewel in the iconography are the garuḍa of Buddhism. Accordingly, the Oeri unearthed design or Busosasung unearthed bird-like iconography will be reviewed and reexamined.

      • 배움과 나눔의 구성주의 학습이론을 적용한 과학수업 학습능력 신장

        진영아 한국미래교육학회 2012 미래교육연구 Vol.2 No.1

        This study is fundamentally for increasing students' learning ability by overcoming present students' refuge phenomenon, in other words, class disruption and helping students to recognize science as a fun subject that is deeply related to our life. The teaching processes to achieve this goal are building relations of what our society is requiring, learning model of interaction posed by communication and sympathy applying to constructivist teaching theory which is the 'learning and sharing community class'.I divided the process of 'learning and sharing community class' into three steps. The first step is greeting with a warm hello for smooth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then three minutes strategy which is setting study goals by oneself to get the main points of the class and lastly, triggering interest and suggesting the study direction by opening students' thoughts. The second step is understanding the study contents with the teacher, then 'solving by ourselves!' which is a step for strengthening the basics and lastly, a step called 'together with the group members!'. The last third step is internalizing the community spirit and the studying process by returning the process of debate and presentation class and recording the 'learning and sharing activities'. Students soon will be able to research the study work by themselves and develop their problem solving ability by network between teacher-student, student-student and teacher-student-teaching material thorough the planned studying process. Finally, increase of students' learning abil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will naturally be executed within the process of consideration of others and cooperation. 이 연구는 근본적으로 지금의 학생들이 배움(수업)으로부터 도피하는 현상, 즉 학교붕괴(교실붕괴) 현상을 극복하고, 과학수업에서 과학을 어렵고 딱딱한 교과라는 인식으로부터 재미있는 과학, 우리 생활과 가까운 과학으로 인식시켜 과학학습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업방법으로 지금 시대가 요구하는 관계형성, 상호작용에 의한 소통과 공감의 수업모형인 구성주의 학습이론을 적용한 배움․나눔 공동체수업을 구안․적용하였다. 배움․나눔 공동체수업 과정은 크게 3단계로 나눠진다. 1단계는 원활한 상호작용과 소통을 위한 따뜻한 인사 건네기-수업의 핵심을 파악하기 위한 스스로 탐구목표 세우기 3분 전략-생각열기를 통한 흥미유발 및 수업방향 제시이다. 2단계는 교사와 함께 수업내용 파악-기초다지기 과정의 혼자 풀어요!-점프, 도전과제의 모둠원과 함께해요! 과정을 거친다. 마지막 3단계는 되돌리기 과정의 전체토론 및 발표수업, 배움․나눔 활동을 기록함으로써 수업과정을 정리하고 내면화한다. 이처럼 철저하게 계획된 수업과정을 통해 교사-학생, 학생-학생, 교사-학생-교재․교구와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학생들은 스스로 수업내용을 탐구하고 문제해결력을 기르며 내면화하게 된다. 결국 서로를 배려하고 협력하는 과정 속에서 과학수업의 학습능력 신장을 가져오고, 공동체의식이 함양되어 인성교육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 KCI등재후보

        영유아 아토피피부염에서 항원감작 및 가족력, 섭식력에 대한 연구

        진영아,심정섭,이초애,염혜영,한만용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2003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13 No.3

        The Allergen Sensitization, Family History, Diet Patternin Atopic Dermatitis under 2 Years of AgeYoung A Jin, M.D., Jung Sub Shim, M.D., Cho Ae Lee, M.D. Hye Yung Yum, M.D. and Man Yong Han, M.D. 목 적 : 2세 미만의 아토피피부염군에서 식품 항원과 흡입 항원을 이용한 피부단자시험과 가족력 및 섭식력에 대해 알아보았다.방 법 : 2002년 7월부터 2003년 3월까지 포천 중문 의과대학 분당 차병원 소아과 외래를 내원한 2세 미만의 아토피피부염 환자 82명을 환자군, 건강아 53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알레르기 가족력, 4개월 이상 모유 수유 시행 여부, 모유만 수유한 개월 수, 이유식 시작 시기, 출생 후 섭취한 식품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우유, 계란, mixed bean, 쇠고기, 돼지고기, 대구와 mixed flour의 총 7개의 식품 항원과 흡입 항원으로 D. f., 양성 대조군으로 히스타민(1 mg/ml), 음성 대조군으로 생리 식염수를 사용하여 피부단자시험을 시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