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사행로 관련 中對馬 지명 고찰

        진영미(Jin, Young-Mi) 한일관계사학회 2018 한일관계사연구 Vol.62 No.-

        사행 관련 문헌에서 추출한, 中對馬에 속한 사행로 관련 지명들을 크게 ‘中對馬에 위치한 사행로 지명 유형’과 ‘中對馬에 위치한 사행로 지명 분석’으로 나누고, 후자의 경우 다시 ‘사행로 芳浦지명 출현’과 ‘지명 변천과 神社 이야기’ 및 ‘사행로 위치 착오 양상’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芳浦라는 지명은 1748년 사행 때 등장한다. 그 뒤 1763년 사행 때부터는 사행록마다 등장하고 宿站과 館所가 있다는 기록까지 나오면서 정식 사행노선처럼 인식되었다. 그런데 芳浦는 실상 일본지도에 없는 지명이며 蘆浦의 오기로 추정된다. 中對馬에는 현재의 住吉瀨戶에 해당하는 지명이 다양하게 등장한다. 下瀨[下瀨浦]와 瀨戶는 지형적 특성에서 비롯된 지명이고, 住吉灘[愁美要時 · 愁美要時浦], 船頭港[船頭項 · 舡頭港 · 船頭浦 · 舡頭浦 · 懸頭浦], 篙工項[篙工瀨 · 沙工項] 등은 모두 神社와 관련이 있는 지명들이다. 신사와 관련된 지명 가운데 愁美要時[愁美要 · 愁美要時浦]와 住吉灘은 효자 住吉 고사와 관련이 있고, 船頭港[船頭項 · 舡頭港 · 船頭浦 · 舡頭浦 · 懸頭浦]과 篙工項[篙工瀨 · 沙工項]은 풍신수길-뱃사공 고사와 관련이 있다. 神社 관련 고사가 달라짐에 따라 동일한 장소의 지명 또한 변천하였다. 中對馬와 관련하여 사행로 위치 착오 양상을 보면, 下瀨를 현재 지명인 蘆浦와 住吉瀨戶 전체로 인식한 경우가 있고, 船頭浦 곧 船頭港을 船越浦 혹은 舡越浦로 잘못 인식한 경우가 있으며, 住吉灘을 鴨瀨로 잘못 인식한 경우가 있고, 끝으로 현재 지명 蘆浦를 鴨瀨로 잘못 인식한 경우도 있다. 지형적 특성과 행정구역으로 보아 蘆浦와 住吉瀨戶 및 鴨居瀨등이 서로 넘나들 수 있는 여지가 충분히 있긴 하지만, 전후 사행 순서가 뒤바뀌는 것은 분명 문제가 된다. 따라서 바로잡아야 하는 것 또한 당연하다. This study focus on the records of ambassadorial missions (사행, sahaeng) to Naka-Tsushima (中對馬), and divides the research into “Placename patterns on the ambassadorial mission route (사행로, sahaeng) on Naka-Tsushima,” and “An analysis on the place-names on the ambassadorial mission route on Naka-Tsushima”. The latter is further divided into “The appearance of Bangpo (芳浦, Yoshiura) on ambassadorial missions,” “Place-name changes and Shinto shrines (神社, jinja),” and “Location error occurrences on ambassadorial missions.” The place-name Bangpo is first mentioned in the 1748 ambassadorial mission to Japan. Afterwards, starting from the 1763 ambassadorial mission, this place-name has been frequently mentioned in the ambassadorial mission documents. And as documents also contained records of governmental official lodgings in the form of sookcham (宿站), and kwanso (館所), this location was regarded as part of the official ambassadorial mission route. However, Bangpo is not located on Japanese maps, and it is thought to be an incorrect interpretation of Ropo (蘆浦, Roura). In Naka-Tsushima, various place-names which are part of today’s Sumiyoshiseto (住吉瀨戶) can be seen. The place-names Shimose (下瀨) [also known as Shimoseura(下瀨浦)] and Seto (瀨戶) have their origins in their g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lace-names such as Joogiltan (住吉灘, Sumiyoshidan) [also known as Sumiyoshi (愁美要時), Sumiyoshiura (愁美要時浦)], Sundoohang (船頭港, Sendokou) [also known as Sendokou (船頭項), Godokou (舡頭港], Sendoura (船頭浦), Godokou (舡頭浦), Hyundoopo(懸頭浦)], and Gogonghang (篙工項, Koukoukou) [also known as Gaogongrai (篙工瀨)・Sunakoukou (沙工項)] are place-names which have connections with Shinto shrines. Amongst the place-names connected to the Shinto shrines, Sumiyoshi (愁美要時) [also known as Sumiyo (愁美要), Sumiyoshiura (愁美要時浦)] and Joogiltan have their roots in the ritual to the filial Sumiyoshi (住吉), while Sundoohang, [also known as Sendokou, Godokou, Sendoura, Godokou, Hyundoopo) and Gogonghang [also known as Gaogongrai and Sunakoukou] are related to rituals to Poongshinsugil (豊臣秀吉, Toyotomi Hideyoshi) and boatmen. Depending on the Shinto shrine ritual, the same location has different place-names. Finally, several place-name errors are seen during ambassadorial missions to Naka-Tsushima. Shimose is known as either its current place-name of Ropo or as the entirety of Sumiyoshiseto, Sendoura (or Sundoohang) is incorrectly thought as Sunwolpo (船越浦) or as Dokosiura (舡越浦), Joogiltan is incorrectly known as Kamose (鴨瀨), and even its current name of Ropo is also incorrectly known as Kamose. Due to the g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how their administrative districts are placed, it is understandable how Ropo, Sumiyoshiseto and Kamoise (鴨居瀨) can be confused amongst themselves, but nevertheless, it is problematic when this problem also confuses the chronological order of the ambassadorial missions. Consequently, it is proper to set matters in order.

      • KCI등재

        지지 면에 따른 양측 상지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개선에 미치는 영향

        진영미(Jin, Young-Mi),송브라이언병(Song, Brian-By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8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지지 면에 따른 양측 상지 운동이 상지 기능의 개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2년 7월 5일부터 8월 1일 까지 이다. 대상자는 뇌졸중 환자 20명을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움직이는 지지 면 군(10명), 고정된 지지 면 군(10명)으로 실시하였다. 움직이는 지지 면 군은 발란스 볼에 앉아 양측 상지 운동을, 고정된 지지 면 군은 고정된 의자에 앉아 양측 상지 운동을 4주간 주5회 30분 적용하였다. 실험 전과 후에는 상지 기능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상지 기능 검사(Manual Functional Test: MFT)와 상지 운동 기능 평가(Fugl-Meyer Motor Function Assessment: FMA)로 측정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움직이는 지지 면 군과 고정된 지지 면 군의 각 실험 전, 후 상지 기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둘째, 실험 전, 후 두 군 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상지 기능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움직이는 지지 면에서의 양측 상지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개선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effect of upper extremities exercises using two different supporting surface, mobile surface and fixed surface in sitting on the function of upper extremities for the patients with stroke. The study period was between July 5, 2012 and August 1 2012. The subjects were 20 subjects who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 (1) mobile surface group, (2) fixed surface group. The mobile surface group performed bilateral upper extremities exercise sitting on balance disc, and the fixed surface group was provided fixed surface chair. Both groups performed 30 minutes 5 times per a week for 4weeks. The Manual Functional Test(MFT) and Fugl-Meyer Motor Function Assessment(FMA) was used to measure the differences of upper extremity function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oth groups, mobile surface group and fixed surface group showed the significant increase(p<.05) in upper extremity function. Second, the improvements of the hand function in mobile surface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ing with the group with fixed surface.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bilateral hand exercise program on mobile surface is more effective than the fixed surface bilateral hand exercise program for the patients with stroke.

      • KCI등재

        『퇴계시역주』에 나타난 번역의 구조와 의미

        진영미(Jin, Young-mi) 한국고전번역원 2017 民族文化 Vol.49 No.-

        오늘날 퇴계의 매화시에 대한 이해는 무엇보다도 번역에서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退溪詩譯注』는 淵民 李家源 교수가 퇴계의 문집 가운데 內集 5권에 실린 시 전체를 번역하면서 註를 붙인 번역시집이다. 『퇴계시역주』에 수록되어 있는 매화시를 보면, 편마다 번역시 전체가 한눈에 들어오고, 소리 내지 않고 눈으로만 읽는데도 술술 읽히면서 절로 흥이 난다. 연민이 퇴계의 매화시를 어떻게 이해하고 번역하였기에 이처럼 독자의 눈을 사로잡는지 살펴보지 않을 수 없다. 먼저, 연민은 번역시에서의 음악성을 중시하여 우리에게 익숙한 전통 리듬인 음수율과 함께 시가를 읽을 때 한 호흡 단위의 규칙적 배열로 형성되는 음보율을 중시하였다. 다음으로, 연민은 오언절구 · 칠언절구 · 오언율시 · 칠언율시 · 오언배율 · 칠언배율 · 장단구 등 다양한 종류의 詩體를 일정하게 담아낼 수 있는 형식을 모색한 끝에 ‘2음보-休止-2음보’ 구조를 착안해 내었다. 끝으로, 연민은 수식어를 사용하거나 시어를 조탁하기보다는 원시의 詩想 및 퇴계가 추구한 삶과 정신세계에 부합하도록 작품의 의미뿐만 아니라 작가의 의도까지 간파한 번역을 시도하였다. 곧 연민은 한시를 번역함에 있어서 음절과 음보, 행과 휴지 등을 통해 번역시에 리듬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직역과 의역 너머 공감대 형성을 중시함으로서 독자에게 쉽게 다가갔던 것이다. In present day, understanding of the finest scholar T’oegye’s Maehwashi(The poem about the apricot blossom) depends on how to translate. T’oegyeshiyŏkchu (『退溪詩譯注』) is the translated version of all the poems in the 5th edition of Naejip(內集), one of the four categories(Naejip, Uejip, Byeoljip, Sokjjip) of all T’oegye’s literature work, which was translated and interpreted by Prof. Yŏnmin(淵民). When we took a look at Maehwashi in T’oegyeshiyŏkchu, we could see the whole poem at a glance, and it was very exiting to read even though we had not read the poem out loud. Therefore, we decided to examine Prof. Yŏnmin’s work based on how he translated and understood T’oegye’s Maehwashi. Yŏnmin’s translation work of Maehwashi fascinated reader’s mind. First of all, Prof. Yŏnmin made much account of musicality by translating T’oegye’s Maehwashi. When he read a poem with Eumsuyul which was very familiar Korean traditional rhythm, he made much account of Eumboyul which was formed by regular sequence of one breath unit. Moreover, Prof. Yŏnmin created 2 foot-pause-2 foot structure for covering all different kinds of poems such as Oeonjeolgu, Chileonjeolgu, Oeonyulshi, Chileonyulshi, Oeonbaeyul, Chileonbaeyul, Jangdangu, etc. At last, Prof. Yŏnmin did not use any modified words or embellish any poetic dictions. He tried to translate with seeing through the author’s purpose and t he m eaning of apiece of work which can be corresponded with Toikye’s seeking life and spirit. Ultimately, Prof. Yŏnmin has given the rhythm in translated poem by syllable, foot, line, and pause. In addition to that, he easily approached to the readers by making much account of empathic point of view over metaphrasing and paraphrasing.

      • KCI등재
      • KCI등재

        중국학 관점에서 본 『한국문집총간』

        진영미(Jin, Young-Mi) 한국고전번역원 2007 民族文化 Vol.- No.30

        자국의 문학을 배우는 학생들마저 외국문학에 눈을 돌리고 있는 것이 오늘날의 세계적인 추세이다. 북경대학 중문과 또한 예외가 아니다. 중문과 교과과정을 분석해보면, ‘중국문학과 세계문학’이라는 세부전공과 관련 외국문학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미국 · 영국 · 프랑스 ·독일 등 구미문학과 관련된 강좌가 이미 개설되어 있고, 일본의 경우도 ‘日本中國學名著導讀’이라는 강좌가 개설되어 있다. 그런데 한국문학과 관련된 강좌는 없다. 한국은 지정학적으로 중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이웃나라이다. 이런 이유로 한국과 중국은 예나 지금이나 정치 · 경제 · 문화 · 예술 · 교육 등 제 분야에 걸쳐 교류가 매우 활발한 편이다. 중국 유학생을 보더라도 유학생의 과반수이상이 한국학생일 정도이다. 북경대학 중문과 교과과정의 변화추세와 양국간의 교류 상황을 고려해 볼때, 중국에서의 한국문학 관련 교과과정 개발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시급한 과제임이 분명하다. 『韓國文集叢刊』은 한국정부 지원 하에 민족문화추진회에서 1987년부터 해마다 20책씩 간행하고 있는 한국의 주요 古典籍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방대한 한문자료집이다. 이 자료집 속에는 중국문학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비평자료가 많다. 게다가 한자로 표기되어 있어 16억 인구의 한자문화권에 쉽게 진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국문집총간』의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이 자료집을 활용하여 만든 책자가 북경대학에서 연구 자료로 활용된다면 학생과 연구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문학을 예로 들면, 해외에서 바라본 중국문학, 중국문학이 한국문학에 끼친 영향 등 한중비교문학연구에 적지 않은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외국에서 보는 중국문학비평론을 통해 중국 연구자들이 중국문학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도 보인다. 한국의 경우, 수준 높은 詩文을 통해 한국문인들의 우수성을 중국에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것이다. 확장된 논리로 『한국문집총간』속에서의 중국문헌 · 양국문인교류 · 『사기』 『한서』를 중심으로 한 역사 등 중국학 전반에 걸쳐 논의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중국시선집 『정언묘선(精言妙選)』의 내용과 특성

        진영미 ( Young Mi Jin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5 율곡학연구 Vol.31 No.-

        본고에서는 먼저 율곡의 생평(生平)과 사상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고, 이어 『정언묘선』에 대한 서지적 검토와 함께 중국시선집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정언묘선』의 편찬 의의를 고찰하였다. 『정언묘선』은 조선시대 문신이며 학자인 율곡 이이가 1573년 38세 때 편찬한 중국시선집이다. 서두에 「정언묘선서」가 있고, 이어 원자집 · 형자집 · 이자집 · 정자집 · 인자집 · 의자집 · 예자집 · 지자집 등 8개의 ‘자집(字集)’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자집’마다 넉자로 된 풍격용어로 성격을 규정지었고, 그 풍격의 특성을 밝힌 짧은 서문이 본문 앞에 붙어 있다. 각 ‘자집’마다 오언고시 · 칠언고시 · 오언율시 · 칠언율시 · 오언절구 · 칠언절구 순으로 창작시기가 이른 시부터 수록되어 있다. 시제를 기준으로 총 402편의 시가 수록되어 있는데. 위응물의 시가 47편으로 가장 많이 수록되어 있고, 이어 이백(41) · 두보(31) · 맹호연(20) · 유종원(17) · 왕유(15) · 유장경(11) 순이다. 『정언묘선』에 수록되어 있는 시들을 중국시선집 및 중국개인시문집과 비교 검토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1) 한위진남북조 시의 경우 대부분 『풍아익』에서 시를 선하였고, (2) 당나라 시는 주로 『당음』과 『당시품휘』에서 시를 선하였으며, (3) 송나라 시는 『송예포집』과 각종 개인시문집에서 선하였다. 그렇다면 율곡은 왜 『정언묘선』을 편찬한 것인가? 율곡은 거짓과 수식을 일삼는 시를 바로잡아 시도(詩道)의 본원을 찾기 위해, 중국 역대 시 가운데 ‘가장 정(精)하여 법(法)으로 삼을 만한 시’ 400여 편을 선하여 여덟 개의 자집으로 만들었다. 여덟 개의 자집은 곧, 『역경』의 ‘원(元) · 형(亨) · 리(利) · 정(貞)’으로 표제(標題)를 삼은 뒤 각각 ‘沖澹蕭散[元字集] · 閑美淸這[亨字集] · 淸新灑落[利字集] · 用意精心[貞字集]’이라는 풍격용어로 성격과 가치를 부여하였고, 『논어』와 『맹자』의 ‘인(仁) · 의(義) · 예(禮) · 지(智)’로 표제를 삼은 뒤 역시 각각 ‘情深意遠[仁字集] · 格詞淸健[義字集] · 精工妙麗[禮字集] · 明道韻語[智字集]’라는 풍격용어로 성격과 가치를 부여하였다. 동시에 율곡은 충담(沖淡)한 시를 첫 번째에 둠으로써 시의 원류가 어디로부터 왔는지를 알게 하였고, 점차 뒤로 내려가 미려(美麗)함에 이르러서는 시의 맥락이 거의 참됨을 잃음에 가까워짐에 따라 도를 밝힌 운어(韻語)로 끝을 맺음으로써 억지나 거짓으로 흐르지 않게 하였다. 따라서 율곡의 『정언묘선』은 원형이정(元亨利貞)이라는 천도(天道)와 인의예지(仁義禮智)라는 인도(人道)가 율곡의 차원 높은 철학적 심미의식의 발현인 풍격을 통해 시도로 통합된 조선본 중국시선집이라고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first of all, Yoolkok(栗谷)`s life and his thoughts will be introduced briefly. Subsequently, compilation purpose of the Jungeonmyosun was considered by its` bibliographic review and comparative research with Chinese poetry anthology. Jungeonmyosun is Chinese poetry anthology written in 1573 by Yoolkok Yi Yi(李珥) who is a scholar and politician in Chosun Dynasty. The book starts with the declaration of the Jungeonmyosun followed by Wonjajip(元字集), Hyeongjajip(亨字集), Ijajip(利字集), Jungjajip(貞字集), Injajip(仁字集), Euijajip(義字集), Yejajip(禮字集), Jijajip(智字集). In each jajip, Yoolkok has named with qualitative words in 4 letters such as Choongdamsosan(沖澹蕭散), Hanmicheongjeok (閑美淸這), Cheongshinshaerak(淸新灑落), Yongeuijeongshin(用意精深). In the Jungeonmyosun, total of 402 poems with each topics are included. Within the book, 47 poems by Wieungmool(韋應物) followed by 41 by Yibaek(李白), 31 by Doobo(杜甫), 20 by Maenghoyeon(孟浩然), 17 by Yoojongwon(柳宗元), 15 by Wangyoo(王維), and 11 by Yoojangkyung(劉長卿) are contained. After comparing poems from Jungeonmyosun with Chinese poetry anthology and Chinese Personal Poetry Literature, we have discovered a few significant characteristic. Firstly, most of the poems written in Han, Wee, Jin Dynasty, and South North Period were extracted from other poetry named Poongaick(風雅翼). Secondly, most of the poems written in Dang Dynasty was extracted from other poetry named Dangeum(唐音) and Dangsipoomhui(唐詩品彙). Lastly, most of the poems written in Song Dynasty was extracted from Songyepojip(宋藝圃集) and various personal poetry anthology.

      • KCI등재후보

        농암 김창협의 시 창작 방법론

        진영미 한국시가학회 2002 韓國 詩歌硏究 Vol.11 No.-

        This paper's main purpose is to look over Nongam Kim Chang-hyup's poetic creative method. It is necessary to study for making fundamental approach to his poetic world and critical world. The important in Nongam Kim Chang-hyup's poetic creative method is the harmony between feelings and scenery[情景交融]·giving form[形象化]·rhythm[入律]·Jayuon[自然]. Nongam Kim Chang-hyup's poetic creative method has generally been focused on 'Jayuon(自然)'. The concepts of 'Jayuon' on Nongam(農巖) Kim Chang-hyup(金昌協)'s poetics is very important. There was little study about this field so far. For it, I would attempt to make a systematic analysis of 'Jayuon' through Nongam Kim Chang-hyup's poetic creative method. The most obvious and important of Nongam's poetic creative method is 'Sungjung(性情)' and 'Chungi(天機)'. These are closely related to 'Jayuon'. 'Jayuon' that based on Nongam's poetic cognition, have three major concepts : ① nature, natural view, landscape, scenery ② naturally, unstudied ③ natural beauty, scenic beauty. The stage of 'Jayuon' can only be attained when the sincerity of the poetic materials has been achieved. In this brief outline of a very complex topic, I have tried to show what the precise meaning of 'Jayuon' is. 'Jayuon' is a principle of Nongam Kim Chang-hyup's poetic creative method. There is no a great distance between poetic creative theory and practice. Through 'Jayuon', Nongam Kim Chang-hyup finally opened up new ground in literature and literary theories. After this, we have to look at this Nongam's 'Jayuon' in a new light.

      • KCI등재

        尹奉吉 시문집 재고

        진영미 한국한문교육학회 2004 한문교육논집 Vol.23 No.-

        본 논문은 보물 제568호로 지정되어 현재 충남 예산 忠義祠 윤봉길기념관에 전시중인 『玉唾』·『漢詩集』·『鳴椎』·『壬椎』·『濂洛』이라는 시문집이 과연 尹奉吉 義士가 직접 쓰고 지은 것인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데 있다. 『옥타』는 다시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앞부분은 9편의 시와 1편의 서문이 실려 있고, 뒷부분은 윤의사의 한시 알려진 37편의 시가 각각의 제목 아래 가지런히 실려 있는데, 모두 칠언율시이다. 『한시집』에는 칠언율시가 200여 편 가량 실려 있고, 칠언절구가 6면, 오언절구가 2편 실려 있다. 그 사이에 4편의 文이 실려 있다. 『명추』에는 총 20편의 시가 실려 있고, 『임추』에는 총 50편의 한시가 실려 있다. 두 시집 모두 필체는 물론 제목과 시를 배치한 체재가 서로 다르다. 뿐만 아니라 앞의 『옥타』 및 『한시집』과도 다소 차이가 있다. 『염락』은 그 제목이 말해주듯, 창작시가 아닌 기존에 있던 중국시를 모아 놓은 시집이다. 시문집에 대한 몇 가지 문제점을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윤의사 생존 연대와 맞지 않은 시들이 있다는 점, 둘째 윤의사와 교유한 사람들의 나이가 너무 많다는 점, 셋째 나이 들어 지은 작품으로 추정되는 글이 상당수 보인다는 점, 넷째 전체 시풍이 윤의사의 삶과 거리감이 있다는 점이다. 특히 일본인에게 지어준 시와 대동사문회 차운시가 더욱 그러하다. 윤의사가 일본인에게 이별시를 지어주었다는 것도 그렇고, 또 친일적 성향이 강한 대동사문회를 두고 차운시를 지었다는 것 역시 쉽게 이해되지 않기 때문이다. 끝으로 『옥타』 전반부에 쓴 필체와 후반부의 필체가 다를 뿐만 아니라, 대체적으로 시문집마다 시풍과 필체가 달라 윤의사 한 사람이 썼다고 하기에는 무리가 없지 않은 것 같다. 종합하면, 윤봉길 의사가 직접 짓고 쓴 것으로 알려진, 그로 인해 보물 568호로 지정된 시문집 『玉唾』·『漢詩集』·『鳴椎』·『壬椎』·『濂洛』은 앞서 살펴본 여러 가지 정황으로 미루어 볼 때 윤의사의 시문집은 분명 아니다. 그러므로 윤의사의 여타 유품들과 함께 보물 568호로 지정된 것은 문제이다. 그러나 비록 이런 문제가 있긴 하지만 위의 시문집이 윤의사와 전혀 무관한 것은 아니다. 『임추』 속에 윤의사가 직접 지은 시가 한 수 들어 있을 뿐만 아니라 『옥타』 속에는 윤의사가 오치서숙을 다니면서 배웠던 스승 매곡 성주록의 한시도 들어 있고, 나아가 스승의 벗인 혜정 강치헌의 한시 역시 여러 수 실려 있다. 그리고 위의 시문집은 구한말 몇몇 유명 인사들과도 관계가 깊은 중요한 역사적 자료이기도 하다. 예를 들면, 艮齋 田愚(1841∼1922)·石亭 李定稷(1841∼1910)·志山 金福漢(1860∼1924)과 관련된 시문들이 실려 있다. 윤의사와 윤의사 주변 인물들을 함께 연구하는데 없어서는 안 될 자료라고 생각한다. This thesis is in bring up several questions about 『Ok Tah』 『Han See Jeeb』『Myoung Chu』 『Ihm Chu』 『Yeum Rock』 anthologies which are exhibiting in Bong Gil Yun memorial hall which islocated on Ya-San, Chung Nam province, Korea. Because of being written by martyr Bong Gil Yun, these anthologies had been appointed Korea's Treasure No.568. can it be so? 『Ok Tah』 can divide into 2 parts. Front part has 9 verses and preface. Back part has 37 verses which are known as martyr Yun's poem, are written under each topics, and all poems are 'a style of Chinese verse with seven Chinese characters in each line'. 『Han See Jeeb』 collected poems have about 200 'a style of Chinese verse with seven Chinese characters in each line', 6 'a quatrain with seven Chinese characters in each line', 2 'a quatrain with five Chinese characters in each line', and between there is 4 proses. 『Myoung Chu』 has 20 verses and 『Ihm Chu』 has 58 verses. These 2 anthology style of penmanship and structure of topic and verse's arrangement are different each other. In addition they are also different as 『Ok Tah』 and 『han See Jeeb』. As 『Yeurn Rock』 the topic itself is saying, it hadn't collected story poem but had collected existing chinese poems. There are some problems about anthology. First, some poem are inapt with martyr Yun's age. Second, those people who have communicated with Yun were aged. Third, a large number of writings are presumed as advance in age's work. Fourth, whole works' image are inapt with Yun's life. Specially, <Re poems for Japanese> and <De Dong Sha Mun meeting poem>, it also not understandable that Yun made farewell verse for Japanese and made borrowing rhyming verse to the 'De Dong Sha meeting' which have pro-japanese tendency. Last, the style of penmanship in the first half and second half are different, also generally, for each collected poems' image of verse and style of penmanship are different. So it's hard to guess that Yun wrote everything. If we put together, those collected poems : 『Ok Tah』『Han See Jeeb』『Myoung Chu』『Ihm Chu』『Yeum Rock』 which are known as Yun's direct work and Korea's Treasure No. 568 are absolutely not Yun's collected poems. Therefore, the assignment of Korea's Treasure No. 568 with other Yun's relic is a problem. However, in spite of this problem, the collected poem which mentioned is not wholly irrelevance with martyr Yun. There is one Yun's poem in 『lhm Chu』. In 『Ok Tah』, there is Yun's teacher whose name is Mea Gok Ju Rock Sheng's verse. And teacher's friend whose name is Hye Jung Ci Huen Gang's verses are also in there. Then the collected poems that mentioned is a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s. This material have deep relationship with several celebrity in Japanese colony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