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문단사와 ‘순수’, 그 이면을 찾아서

        진설아(Chin Sul-a) 중앙어문학회 2005 語文論集 Vol.33 No.-

        Published in 1996 by The Korean Writers' Association, 『The Liberation Literature for 20 Years』 was all inclusive of 20 years' Korean literary history from the moment of liberation to the 1960s. This book is important in that it made almost all the history of literature take the same or similar perspective for Korean literature. Of course, this study was not conducted in the aspect that the perspective of 『The Liberation Literature for 20 Years』 was wrong anyhow. However, the investigator raised some issues in this study. The point of time that 『The Liberation Literature for 20 Years』 began to include all was during the 5 years' period just after the liberation. This seemingly short but long period of five years from the liberation to the establishment of Korean government and the Korean War was very confusing but arranged with firm perspectives. So far, the five years' history after the liberation has been regarded as dividing Korean literary circles into the left and right wings, degrading and erasing the existence of the left wing. The issue in this study is this portion of history. What form of existence did the left and right wings take in the Korean literary circles after the liberation? How could the right wing literature reshuffle the literary history after the liberation and dominate the field of literature? Indeed, how can the viewpoint of The Korean Writers' Association that explains these issues be justifiable? In order to get answers for these questions, the investigator divided the post-liberation era into two periods-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Korean government, and examined the changes of literary circles' activities of the left and right wings. In addition, the right wing's various political activities, which were produced in volume within the literary circles, were checked in this study. Study findings show that the appearances of the right wing are not grea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left wing after all, which the former persisted to reject. In conclusion, the investigator looked into the birth process of The Korean Writers' Association, an entity of the right wing, and checked the procedure of gathering its power as a symbol. In this series of processes, we can find the fictitiousness of the classification of the left and right wings and the dark side of literary 'purity' that the right wing defends.

      • KCI등재

        『완전사회』가 제시하는 이상적 인간상과 그 한계 연구

        진설아(Chin Sol-a) 한국비평문학회 2021 批評文學 Vol.- No.82

        이 연구는 현대 포스트휴머니즘의 요청에 의해 1960년대 한국 SF인 『완전사회』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미래의 인간상을 올바르게 정립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과거 우리가 가졌던 인간상의 정체를 명확히 하는 일이다. SF는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인간과 인간다움에 대한 논의를 끊임없이 진행하는 텍스트이다. 즉, 텍스트가 쓰인 해당 시점에서 바라보고 있는 인간상의 정체를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완전사회』는 1960년대라는 시점에서의 인간의 문제점과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상적 인간상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해당 시기와 작가 문윤성의 인간상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텍스트라고 하겠다. 2장에서는 『완전사회』의 미래의 시점에 서술하고 있는 인류의 역사를 확인해 보았다. 그 과정에서 인류가 왜 전쟁과 폭력을 되풀이하며 스스로를 멸망의 상황으로 향하게 하는가에 대한 해답으로서 인간 자신의 문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물질적 풍족함과 기술적 완벽함을 가진 미래 사회가 여전히 인간이라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음도 드러나 있다. 『완전사회』의 주인공 우선구는 이러한 미래사회의 문제를 ‘인간 혁명’으로서 해결하고자 한다. 그 방법은 인문학적 교육의 방식인 소설을 통해 새로운 인간상을 형상화하는 것이다. 3장에서는 이와 같은 새로운 인간상의 제시가 가진 한계를 확인한다. 『완전사회』는 계몽주의적 인간관을 가지고 트랜스휴머니즘적 인간 향상을 거부함과 동시에 인간이 동물적 본능을 넘어서 인간의 본질을 되찾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여기에서의 인간의 본질이란 이미 이분법적 구분 아래에 있는 것으로서 미래사회의 여성들에게는 해당되지 않는 것이었다. 그녀들에게는 오직 여성으로서의 본질만이 강조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완전사회』가 제시하는 인간상은 영웅적이며 신화적 인간상에 가까운 형태로서 미래사회에서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오직 과거의 어느 시점에서 완벽한 형태로 전달된 이 영웅적 인간관은 미래사회가 목표로 하여 형성할 수 있는 인간의 모습이 될 수 없었던 것이다. 『완전사회』는 인간이 역사를 통해 되풀이하는 문제에 대한 명확한 인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인간상을 제시하는 나름의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인간과 인간다움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있다. 하지만 인간관이 가지고 있는 모순을 통해 결론적으로 ‘완전사회’에 이르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는 작품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Korean science fiction "Perfect Society" in the 1960s at the request of post-humanism in modern society. It is important to clarify the identity of the human image we had in the past to correctly establish the human image of the future. SF is an important text that allows us to confirm the human image we are looking at specific time by continuously discussing the human and humanity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Therefore, ‘Perfect Society’ is Korea’s first science fiction, and it is a text that must be confirmed in that it clearly reveals the problems of human beings and presents the ideal human image as a condition for building a ideal society. In Chapter 2, we checked the history of mankind, which is being described in the future point of the “Perfect Society”. In the process, he was able to identify the problem of man himself as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why mankind is turning itself into a situation of destruction by repeating wars and violence. It is also revealed that the future society with material affluence and technological perfection is still not solving the problem ‘human’. The main character of ‘Perfect Society’ seeks to solve these problems of the future society as a ‘human revolution’. It is the method that shape a new human image through the ‘novel’, which is a way of education of liberal arts. Chapter 3 confirms the limitations of this new presentation of the human image. ‘Perfect Society’ has an Enlightenment view of the human being and rejects transhumanistic human improvement, and at the same time argues that human beings must overcome animal instincts and regain human essence. However, the essence of human beings here is already under the dichotomous division and does not apply to women in the future society. This is because only the essence of women is emphasized to them. In addition, the human figure presented by ‘Perfect Society’ was a form close to the heroic and mythical human figure, and it was not something that could be created in the future society. Only at some point in the past, this perfect heroic-human being can be made and be delivered to the future society, and it can not become the human form that the future society can aim for and shape. ‘Perfect Society’ raises questions about ‘human’ and ‘humanity’ in that time. and it presents its own solutions that present a new image of humanity based on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oblems that humans repeat throughout history. However, it is a work that has limitations in not reaching a ‘perfect society’ through the contradictions of the human view.

      • KCI등재

        90년대 추리소설의 장르적 방향성과 한계 연구

        진설아(Chin Sola)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1

        본 연구는 90년대 한국 추리소설을 추리소설이라는 장르적 특성을 기반으로 분석하여 그 성과와 한계를 확인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90년대 추리소설은 고전추리라는 추리소설의 세부 장르적 지향점을 가지고 출발하여이성적 주체를 통한 이상의 실현이라는 성과를 내며 황금기를 맞았다. 한국 추리소설에서는 잘 등장하지 않는 이성적 주체로서의 탐정을 등장시키며 고전추리소설이 꿈꾸는 이상적인 질서의 회복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고전추리 장르가 제시하는 이상이란 비현실적인 것이며 문학의 감정적인 요소를 배제한 것이라는 한계를 가지고있기에, 추리소설은 점차 고전추리의 한계에서 벗어나 저마다의 사회적 현실을 반영하는 형태로 진화하며 살아남아왔다. 90년대 추리소설 역시 이러한 진화와 정체성의 확립이라는 기로에 놓인 상태였으나, 결국 현실에 따라 진화하는 방식으로 살아남지 못하게 된다. 현실과 환상의 경계에서 현실이 아닌 환상을 선택하게 되며 90년대 추리소설은 점차 추리소설로서의 정체성을 상실하게 되었다는 한계를 보이게 된다. 이러한 90년대 추리소설의 성과와 한계는 추리소설이라는 장르와 현실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문학으로서 추리소설이 갖는 사회적 역할을 확인하게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Korean mystery novels in the 1990s by analyzing them based on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mystery novels. Mystery novels in the 1990s started with a direction of ‘the classic mystery novel’, and reached a golden age with the achievement of realization of the ideal by rational subject. It shows the recovery of the ideal order dreamed of by classical mystery novels by introducing a detective as a rational subject that does not appear in Korean mystery novels often. However, since the ideal suggested by the classical mystery genre is unrealistic and has limitations in that it excludes the emotional elements of literature, mystery novels have evolved and survived in a form that reflects their real life of each society, breaking away from the limits of classical reasoning. Mystery novels in the 1990s were also at the crossroads of this evolution and establishment of identity, but in the end they do not survive in a way that evolves according to reality. At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fantasy, they choose fantasy rather than reality, and the mystery novels of the 90s gradually lose their identity as ‘Mystery novel’. Thes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e detective novels in the 1990s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re and reality of the detective novel, thereby confirming the social role of the mystery novel as literature.

      • KCI등재

        인간과 기술의 관계 맺기를 위한 사유 - 질베르 시몽동, 『기술적 대상들의 존재양식에 대하여』 읽기

        진설아(Sol-a Chin ) 한국리터러시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2

        이 글은 인간과 기술의 관계라는 측면에서 질베르 시몽동의 『기술적 대상들의 존재양식에 대하여』를 다시 읽어보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쓰여졌다. 이를 통해 시몽동의 사유가 현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의 사유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고민해 볼 것이다. 시몽동의 사유는 첫째, 그의 시대에 존재하지 않았던 기술적 대상들이 있는 현재까지도 여전히 기술적 대상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둘째, 기술적 대상에 대한 그의 사유는 기술에 대한 인간의 인간 중심적인 사고를 뒤집어 놓는다. 셋째, 기술적 대상을 기반으로 하였으나 인간의 본질에 대한 고민이라는, 포스트휴머니즘적 질문에까지 확장이 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책을 바탕으로 현재의 우리는 기술적 대상의 위치와 역할을 재정립하고, 기술성의 본질이란 무엇인가를 고민해 볼 수 있다. 또한 그 고민은 기술적 대상의본질에 대응하는 인간성의 본질이란 무엇인가라는 데에도 이르게 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기술과 인간의 관계를, 인간만의 편향된 관점에서만 바라보지 않을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기술과 인간은 같은 환경과 사회를 공유하는 존재라는 것을 인정하게 되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was written with the goal of re-reading Gilbert Simondon’s Du mode d ’existence des objets technologies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technology. Through this, we will find out the influence of Simondon’s thought on the modern day and consider how to utilize his thought. Simondon's thinking is, first, helpful in understanding technical objects even to this day, where there are technical objects that did not exist in his time. Second, his thinking on technological objects reverses human anthropocentric thinking about technology. Third, although it was based on a technical object, it has been extended to a post-humanistic question of worrying about the essence of human beings. Therefore, based on this book, we can redefine the position and role of technological objects and contemplate what is the essence of technicality. In addition, the concern leads to the question of what is the essence of humanity that corresponds to the essence of the technical objec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we can stop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humans only from the biased point of view of humans. This is because technology and humans are recognized as beings that share the same environment and society.

      • KCI등재후보

        이름 없는 자들이 벗어낸 삶의 모습, 다시 쓰기 : 구효서, 『랩소디 인 베틀린』을 중심으로 살펴본 21세기 디아스포라

        진설아(Chin Sol-A) 중앙어문학회 2010 語文論集 Vol.4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 the another view of diaspora. History of diaspora exposed to violence always, and that violence is repetitive and never end. It is the universality of violence and the violence of universality. Most importantly, how can they escape form that violence. The Rhapsody in Berlin by Koo, Hyo-Seo, suggest an alternative that is 're-writing'. In this novel, 're-writing' is, restoration of history about disappeared or dead people's life by violence. But this restoration is not over at once. Microhistory wiriting that trying a individual' history, is a 'history of possibillity', and 'history of a story'. It is defferent all the time depends on who saids. In this novel, the 'men', who 're-writing' is a another diaspora, not a man of power. Because of that, they can have questions about everything. So the history of 're-writing' can be change the space of violence to place has individual story.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 교육 탐색 : 블렌디드 수업의 가능성 연구

        손혜숙(Son, Hye-suk),진설아(Chin, Sol-a)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2

        이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을 모색해 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첫째, 비대면 교육 관련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의교육 방향을 설정하는 데 참고하였다. 둘째, 비대면 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및 반응 관련설문 문항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인식 조사 후 분석을 통해 비대면 교육에서 필요한 요구사항과,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추출해 내었다. 이러한 제반 작업을 기반으로 셋째, 온라인 수업의 장점과 특징을 살린 비대면 녹화 강의와 상호작용 및 피드백을 진행할 수 있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혼합한 ‘블렌디드 러닝’을 제안하고, 실제 교육에 적용하여 그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그 결과 첫째, 접근성과 편리성이 확대되면서 학습자 중심의 교육기회를 증대시킬 수 있었다. 둘째, 실시간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온라인 수업의 한계였던 의사소통의 문제를 극복하고지식 공동체를 형성하며 지식을 체계화하고 정교화 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오프라인면대면 학습 환경에서 다른 학습자들의 영향을 받거나, 학습 분위기에 따라 자유로운 의사개진이한정적이었던 측면을 온라인 공간의 특수성으로 극복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educational method that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the post-corona era in University. First, we reviewed prior studies related to untact education and referenced them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universities education in the post-corona era. Second, try to developing a questionnaire related to learners’ perceptions and responses to untact education, and based on this, conduct a survey. After analysis the survey, we extract the requirements and items to be considered in untact education, Third, based on these studies, we propose a ‘Blended Learning’ that combines ‘recorded lectures’ that utilize the strengths and characteristics of online classes and ‘real-time online classes’ that enable interaction and feedback, and try to apply them to actual education. As a result, first, we reveal the possibilities to increase learner-centered educational opportunities as expending of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of online classes. Second, it is helped that the use of a real-time online platform to overcome the problem of communication, which was the limitation of untact classes. And it is also the way to form a community that is systematize and elaborate of knowledge in the classes. Finally, we reveal the strength of the untact-online classes that learners can join the classes easily and being free by not being affected with other learners, or any other atmosphere of the offline 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 KCI등재

        대한민국 항공사의 사회적 책임 소통 -CSR 활동과 경영 시사점에 관한 연구-

        진설 ( Chin-sol Kim ),이윤철 ( Yun-cheol Lee ) 한국항공경영학회 2016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한민국의 항공사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과 관련된 사례들을 파악하고 평가하는데 있다. 기업 웹사이트, 온라인 뉴스 기사와 지속가능 보고서를 통해 공개된 CSR 사례들을 데이터로 등록한 후 기존 연구에서 제안된 분류법과 소주제를 사용하여 분류하였다. 이 연구는 기업이CSR에 대한 정보를 사회와 기업의 제한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공개한다는 정당성 이론에 기초하여 작성되었다. 내용 분석을 통해 이 세 가지 채널을 통해 공개된 CSR의 사례들을 비교분석하였다. 대한민국의 총 일곱 개의 항공사 중 대형항공사(FSC)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항공만이 2016년 연구기간 동안 사용가능한 2014 지속가능보고서를 공개했으며, 일곱 개 모든 항공사 역시 온라인 뉴스혹은 기업 웹사이트를 통해 CSR 사례들을 2014년에 공개하였다. 저가항공사(LFA)들이 대형항공사에 비해 낮은 수준의 CSR 사례들을 공개했으나 지방정부의 투자를 받은 저가항공사들은 주로 공동체 지원이나 자선에 집중된 사례를 공개한 기타 저가항공사들보다는 잘 조직화된 CSR 사례들을 보여주었다. 두 대형항공사를 모회사로 가진 저가항공사들은 모회사들과 비슷한 내용의 CSR 사례들을 공개했으나 사례의 수는 모회사 보다는 훨씬 적었다. 한 저가항공사에서 CSR 활동의 의도에 대해 이해관계자들의 의심을 일으킬 만한 그린워싱의 시도로 해석 될 수 있는 사례가 발견되었다. 대형항공사들이 목표로 한 집단의 종류에 따라 다른 미디어를 사용하는 전략을 채택한 것이 확인되었고 특히 폐쇄적으로 인지되는 환경 측면에서의 CSR 사례들은 투자자 등을 위한 지속가능 보고서를 통해서 집중적으로 공개되었으나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기업 웹사이트나 온라인 뉴스 기사를 통해서는 제한적으로 공개되었다. 또한, 이해관계자나 기업인이 CSR 활동의 수혜자로 인식될 경우 기대되는 효과를 얻는 대신 기업의 정당성이 훼손될 수도 있는 사례들도 발견되었다. 결론에서 개별 항공사 입장에서 공개된 CSR 활동을 기준으로 앞으로 기업에서 CSR 활용에 대한 제안이 제시하였다. 단순한 기업의 자선활동을 넘어선 항공사로서 기업역할에 적합한 CSR 활동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소비자들이 CSR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대한민국 내에 있는 항공사들도 정당성을 높이는 전략으로서 CSR에 관련된 노력들을 더 공개해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항공사가 기업전략의 일부로서 사용하는 CSR 활동을 분석할 수 있는 키워드와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데 의미가 있으며 대한민국 항공사의 CSR 소통을 분석하는 첫 번째 연구 중 하나로 각 항공사의 CSR 전략과 공개에 관한 실질적인 경영시사점 역시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isclose and evaluate practices related to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within the airline industry of the Republic of Korea. Contents on corporate websites, online news articles and sustainability reports were assessed in order to evaluate the CSR practices. The study wa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legislation theory suggesting firms within the society voluntarily disclose CSR information to avoid social and government sanctions. Content analysis was employed to identify specific CSR practices and then sort them into proposed categories and themes for research and discussion. Of seven airlines, only the full service carriers(FSCs), Asiana Airlines and Korean Air, voluntarily issued annual sustainability reports for the year of 2014, which were publicly available in January 2016. At the same time, all seven Korean carriers disclosed their CSR practices through online news articles or their corporate websites in the same year. Although low fare airlines(LFAs) reported fewer CSR practices than FSCs, two LFAs partially-funded by local governments reported more complete, well-organized CSR practices than other LFAs whose CSR practices were mainly centered on community sponsorship and charity involvement. Two subsidiaries of Korea``s two largest airlines implement CSR practices similar to their parent companies``; however, the number of specific practices was fewer than their parent companies``. A case which might be interpreted as ``greenwashing`` was found in one LFA, which may raise suspicions among stakeholders regarding the sincerity and integrity of its CSR practices. Corporate CSR strategies that intentionally targeted specific audiences using carefully chosen media were also observed among FSCs. In particular, CSR practices related to environmental impact were described extensively in sustainability reports, but had limited coverage in the other two channels targeting the general public. Moreover, in some cases, stakeholders or management are perceived as the beneficiary of a CSR activity. Such cases may harm corporate legitimacy instead of achieving the expected outcomes. In the part of conclusion, strategic implications were offered to each airline, grounded on their disclosed CSR practices and the necessity of employing CSR practices fit to the corporate missions of the airlines was underlined, beyond simple activities concerned with corporate philantrophy. With increasing consumer awareness of CSR, South Korean airlines might have a stronger obligation to disclose their CSR efforts as a part of their overall corporate strategies to enhance legitimacy. Accordingly, as one of the first studies analyzing CSR communication in the South Korean airline industry, this research offers practical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to improve the South Korean airline industry``s CSR reporting and management strategies.

      • KCI등재

        슈퍼볼 애드미터와 광고 어필사이의 문화측면에서 연관성 연구

        진설 ( Chin Sol Kim ),이윤철 ( Yun Cheol Lee ) 국제지역학회 2016 국제지역연구 Vol.2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Ad 미터 점수가 높은 슈퍼볼 광고가 홉스테드 모델과 관련있는 광고 어필을 더 많이 가지는지를 테스트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의의는 대표적인 미국적인 스포츠인 슈퍼볼 이벤트에서 미국 소비자의 광고에 대한 선호도를 문화적 측면에서 분석한데 있다. 이 연구는 2005년부터 2011년까지 7년간의 슈퍼볼 광고 중 상위 10위와 하위 10위 광고를 대상으로 한 내용 분석에 기초하였다. 상위 및 하위 하위 광고는 USA 투데이가 발표한 Ad 미터점수를 참고하였고 2명의 코더가 저자와 함께 총 139개 광고를 코딩하였다. 상위 10 그룹의 광고들이 홉스테드 모델 중 낮은 불확실성 회피 측면과 연관된 젊음, 길들여지지않음, 마법같은 어필을 더 많이 보여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높은 권력차이의 측면과 관련된 장식,허영, 지위 같은 어필들이 주로 하위 10위권 그룹의 광고에서 많이 나타났다. 내용 분석에 기초한 이번 발견에 근거하여, 특정한 어필과 점수 수준의 관계가 슈퍼볼을 TV로 시청하는 사람들을 타켓으로 한 광고를 제작할 시 어떤 문화적인 측면에서 어필들을 채택해야하는지에 대한 제안점을 제공한다.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whether the Super Bowl adverts with high Ad Meter scores had more advertising appeals related to U.S. culture in Hofstede’s dimension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the analysis on U.S. consumer preferences on adverts in terms of culture under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American sport event: Super Bowl. The study was based on a content analysis of top and bottom 10 Super Bowl adverts during a period of consecutive seven years 2005 through 2011. The top and bottom ten were grouped based on the Ad Meter scores by the USA Today. The number of adverts interpreted by two coders along with the author was 139. The coding results implies that adverts in the top 10 group carried more appeals connected to US culture in Hofstede dimensions, such as youth, untamed, and magic in uncertainty avoidance dimension. Meanwhile, such appeals as ornamental, vain, and status in high power distance dimension were mainly found in the bottom 10 adverts group. Grounded on the findings from the content analysis, links between the score levels and the presence of certain appeals may offer marketers a hint on what appeals they emphasize when producing adverts in a certain cultural bound, let alone Super Bowl adverts targeting TV viewers in the U. S. A.

      • 인식된 기업평판을 통한 CSR 커뮤니케이션의 소비자 수용 -아시아나 항공 광고 중심 사례 연구-

        진설 ( Chin Sol Kim ) 한국항공경영학회 2013 한국항공경영학회 춘계학술대회 Vol.2013 No.-

        기업들은 소비자들에게 기업 평판을 높이기 위해 CSR 이미지를 전달하는 CSR 이니셔티브를 사용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소비자가 기업의 메시지를 수동적으로만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러한 활동의 결과는 기업의 이전 평판에 부분적으로 의존적이다. 소비자들은 그들 마음속에 있는 인식된 기업 속성들에 기초하여 기업의 이니셔티브를 능동적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이 연구는 정보 실제성, 이해관계자의 이익과의 합치성, 수혜자 확인의 세가지 CSR 커뮤니케이션 어필이 소비자 수용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지 아니면 소비자들이 이전 기업 평판을 통해 그러한 어필을 수용하는지에 관한 것으로, 궁극적으로는 이 세가지 구성요소로 이뤄진 기업 CSR 커뮤니케이션이 이전 기업 평판을 통해 소비자자에게 어떻게 수용되지는에 관한 통합적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데이터는 온라인 설문을 통해 수집될 예정이며, 이 연구를 통해 CSR 커뮤니케이션 어필과 소비자 수용 사이에서 매개변수 역할을 하는 기업의 사전 평판 속성들이 확인되기를 희망한다. Businesses adopt CSR initiatives to deliver their CSR images to customers to enhance their reputation; the outcomes of the CSR initiatives are partly reliant on a firm`s prior reputation, since most customers do not passively receive the delivered corporate messages. Instead, they may actively decode them based on the perceived corporate attributes in their mind. This study tested whether three CSR communication appeals consisting of information substantiality, congruence to stakeholders` interest and beneficiary identification directly affect consumers` acceptance or consumers refer to a firm`s prior reputation before accepting the sincerity of CSR communication. The eventu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omprehensive model explaining consumers` acceptance on corporate CSR communication consisting of three constructs through a firm`s prior reputat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In this study, some of attributes related with a firm`s prior reputation will be identified as significant mediator variables mediating between CSR communication appeals and consumer acceptance.

      • 學問의 自由와 大學의 自治

        진설 광주대학교 1988 論文集 Vol.5 No.-

        I have followed the history of development of Academic Freedom in England,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Germany. From this observation I found that civil Liberties are the foundation of Academic Freedom. For Academic Freedom Academic autonomy, participation in Academic administration und Academic Community are indispensable. Academic Freedom is cognate with civil Liberties. Where civil liberties are guaranteed sufficiently Academic Freedom can thrive enough. The misson of Universities is to serve for society and state, but this service can be accomplished only by finding the truth. Universities should be free from outside and within them in order to do this service. This service can be done only by independent thinking and criticism In this sense popular University is inconsistent logically. Universities that are not controvercial are not Universities. For Academic Freedom there should be civil liberties, respect and support of the people for Academic Freedom, independance from state and various social forces, Academic Autonomy, participation in policy-making and Academic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