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간과 기술의 관계 맺기를 위한 사유 - 질베르 시몽동, 『기술적 대상들의 존재양식에 대하여』 읽기

        진설아(Sol-a Chin ) 한국리터러시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2

        이 글은 인간과 기술의 관계라는 측면에서 질베르 시몽동의 『기술적 대상들의 존재양식에 대하여』를 다시 읽어보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쓰여졌다. 이를 통해 시몽동의 사유가 현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의 사유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고민해 볼 것이다. 시몽동의 사유는 첫째, 그의 시대에 존재하지 않았던 기술적 대상들이 있는 현재까지도 여전히 기술적 대상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둘째, 기술적 대상에 대한 그의 사유는 기술에 대한 인간의 인간 중심적인 사고를 뒤집어 놓는다. 셋째, 기술적 대상을 기반으로 하였으나 인간의 본질에 대한 고민이라는, 포스트휴머니즘적 질문에까지 확장이 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책을 바탕으로 현재의 우리는 기술적 대상의 위치와 역할을 재정립하고, 기술성의 본질이란 무엇인가를 고민해 볼 수 있다. 또한 그 고민은 기술적 대상의본질에 대응하는 인간성의 본질이란 무엇인가라는 데에도 이르게 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기술과 인간의 관계를, 인간만의 편향된 관점에서만 바라보지 않을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기술과 인간은 같은 환경과 사회를 공유하는 존재라는 것을 인정하게 되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was written with the goal of re-reading Gilbert Simondon’s Du mode d ’existence des objets technologies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technology. Through this, we will find out the influence of Simondon’s thought on the modern day and consider how to utilize his thought. Simondon's thinking is, first, helpful in understanding technical objects even to this day, where there are technical objects that did not exist in his time. Second, his thinking on technological objects reverses human anthropocentric thinking about technology. Third, although it was based on a technical object, it has been extended to a post-humanistic question of worrying about the essence of human beings. Therefore, based on this book, we can redefine the position and role of technological objects and contemplate what is the essence of technicality. In addition, the concern leads to the question of what is the essence of humanity that corresponds to the essence of the technical objec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we can stop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humans only from the biased point of view of humans. This is because technology and humans are recognized as beings that share the same environment and society.

      • KCI등재후보

        이름 없는 자들이 벗어낸 삶의 모습, 다시 쓰기 : 구효서, 『랩소디 인 베틀린』을 중심으로 살펴본 21세기 디아스포라

        진설아(Chin Sol-A) 중앙어문학회 2010 語文論集 Vol.4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 the another view of diaspora. History of diaspora exposed to violence always, and that violence is repetitive and never end. It is the universality of violence and the violence of universality. Most importantly, how can they escape form that violence. The Rhapsody in Berlin by Koo, Hyo-Seo, suggest an alternative that is 're-writing'. In this novel, 're-writing' is, restoration of history about disappeared or dead people's life by violence. But this restoration is not over at once. Microhistory wiriting that trying a individual' history, is a 'history of possibillity', and 'history of a story'. It is defferent all the time depends on who saids. In this novel, the 'men', who 're-writing' is a another diaspora, not a man of power. Because of that, they can have questions about everything. So the history of 're-writing' can be change the space of violence to place has individual story.

      • KCI등재

        『완전사회』가 제시하는 이상적 인간상과 그 한계 연구

        진설아(Chin Sol-a) 한국비평문학회 2021 批評文學 Vol.- No.82

        이 연구는 현대 포스트휴머니즘의 요청에 의해 1960년대 한국 SF인 『완전사회』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미래의 인간상을 올바르게 정립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과거 우리가 가졌던 인간상의 정체를 명확히 하는 일이다. SF는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인간과 인간다움에 대한 논의를 끊임없이 진행하는 텍스트이다. 즉, 텍스트가 쓰인 해당 시점에서 바라보고 있는 인간상의 정체를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완전사회』는 1960년대라는 시점에서의 인간의 문제점과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상적 인간상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해당 시기와 작가 문윤성의 인간상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텍스트라고 하겠다. 2장에서는 『완전사회』의 미래의 시점에 서술하고 있는 인류의 역사를 확인해 보았다. 그 과정에서 인류가 왜 전쟁과 폭력을 되풀이하며 스스로를 멸망의 상황으로 향하게 하는가에 대한 해답으로서 인간 자신의 문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물질적 풍족함과 기술적 완벽함을 가진 미래 사회가 여전히 인간이라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음도 드러나 있다. 『완전사회』의 주인공 우선구는 이러한 미래사회의 문제를 ‘인간 혁명’으로서 해결하고자 한다. 그 방법은 인문학적 교육의 방식인 소설을 통해 새로운 인간상을 형상화하는 것이다. 3장에서는 이와 같은 새로운 인간상의 제시가 가진 한계를 확인한다. 『완전사회』는 계몽주의적 인간관을 가지고 트랜스휴머니즘적 인간 향상을 거부함과 동시에 인간이 동물적 본능을 넘어서 인간의 본질을 되찾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여기에서의 인간의 본질이란 이미 이분법적 구분 아래에 있는 것으로서 미래사회의 여성들에게는 해당되지 않는 것이었다. 그녀들에게는 오직 여성으로서의 본질만이 강조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완전사회』가 제시하는 인간상은 영웅적이며 신화적 인간상에 가까운 형태로서 미래사회에서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오직 과거의 어느 시점에서 완벽한 형태로 전달된 이 영웅적 인간관은 미래사회가 목표로 하여 형성할 수 있는 인간의 모습이 될 수 없었던 것이다. 『완전사회』는 인간이 역사를 통해 되풀이하는 문제에 대한 명확한 인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인간상을 제시하는 나름의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인간과 인간다움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있다. 하지만 인간관이 가지고 있는 모순을 통해 결론적으로 ‘완전사회’에 이르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는 작품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Korean science fiction "Perfect Society" in the 1960s at the request of post-humanism in modern society. It is important to clarify the identity of the human image we had in the past to correctly establish the human image of the future. SF is an important text that allows us to confirm the human image we are looking at specific time by continuously discussing the human and humanity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Therefore, ‘Perfect Society’ is Korea’s first science fiction, and it is a text that must be confirmed in that it clearly reveals the problems of human beings and presents the ideal human image as a condition for building a ideal society. In Chapter 2, we checked the history of mankind, which is being described in the future point of the “Perfect Society”. In the process, he was able to identify the problem of man himself as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why mankind is turning itself into a situation of destruction by repeating wars and violence. It is also revealed that the future society with material affluence and technological perfection is still not solving the problem ‘human’. The main character of ‘Perfect Society’ seeks to solve these problems of the future society as a ‘human revolution’. It is the method that shape a new human image through the ‘novel’, which is a way of education of liberal arts. Chapter 3 confirms the limitations of this new presentation of the human image. ‘Perfect Society’ has an Enlightenment view of the human being and rejects transhumanistic human improvement, and at the same time argues that human beings must overcome animal instincts and regain human essence. However, the essence of human beings here is already under the dichotomous division and does not apply to women in the future society. This is because only the essence of women is emphasized to them. In addition, the human figure presented by ‘Perfect Society’ was a form close to the heroic and mythical human figure, and it was not something that could be created in the future society. Only at some point in the past, this perfect heroic-human being can be made and be delivered to the future society, and it can not become the human form that the future society can aim for and shape. ‘Perfect Society’ raises questions about ‘human’ and ‘humanity’ in that time. and it presents its own solutions that present a new image of humanity based on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oblems that humans repeat throughout history. However, it is a work that has limitations in not reaching a ‘perfect society’ through the contradictions of the human view.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 교육 탐색 : 블렌디드 수업의 가능성 연구

        손혜숙(Son, Hye-suk),진설아(Chin, Sol-a)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2

        이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을 모색해 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첫째, 비대면 교육 관련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의교육 방향을 설정하는 데 참고하였다. 둘째, 비대면 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및 반응 관련설문 문항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인식 조사 후 분석을 통해 비대면 교육에서 필요한 요구사항과,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추출해 내었다. 이러한 제반 작업을 기반으로 셋째, 온라인 수업의 장점과 특징을 살린 비대면 녹화 강의와 상호작용 및 피드백을 진행할 수 있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혼합한 ‘블렌디드 러닝’을 제안하고, 실제 교육에 적용하여 그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그 결과 첫째, 접근성과 편리성이 확대되면서 학습자 중심의 교육기회를 증대시킬 수 있었다. 둘째, 실시간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온라인 수업의 한계였던 의사소통의 문제를 극복하고지식 공동체를 형성하며 지식을 체계화하고 정교화 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오프라인면대면 학습 환경에서 다른 학습자들의 영향을 받거나, 학습 분위기에 따라 자유로운 의사개진이한정적이었던 측면을 온라인 공간의 특수성으로 극복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educational method that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the post-corona era in University. First, we reviewed prior studies related to untact education and referenced them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universities education in the post-corona era. Second, try to developing a questionnaire related to learners’ perceptions and responses to untact education, and based on this, conduct a survey. After analysis the survey, we extract the requirements and items to be considered in untact education, Third, based on these studies, we propose a ‘Blended Learning’ that combines ‘recorded lectures’ that utilize the strengths and characteristics of online classes and ‘real-time online classes’ that enable interaction and feedback, and try to apply them to actual education. As a result, first, we reveal the possibilities to increase learner-centered educational opportunities as expending of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of online classes. Second, it is helped that the use of a real-time online platform to overcome the problem of communication, which was the limitation of untact classes. And it is also the way to form a community that is systematize and elaborate of knowledge in the classes. Finally, we reveal the strength of the untact-online classes that learners can join the classes easily and being free by not being affected with other learners, or any other atmosphere of the offline 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