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도잡지(京都雜誌)』 「세시(歲時)」편 번역의 오류 문제

        진경환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6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5 No.-

        "The Compliments of The Season(歲時)" section of the Gyoungdojapji(京都雜誌) vividly describes the lives of the Hanyang (漢陽) Yangban (兩班) during the 18th and 19th centuries. A fairly wide range of fields use the text; it is often cited and used in the study of life cycles and businesses. Looking closely into the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the text, a number of unexpected "mission-critical" errors are found. On a count o f the wide influence this text has, these errors are a very serious problem. Reviewing 19 translations and annotations, 14 of them had errors. In total, errors were found in 40 locations. These were not simple mistakes that can be attributed to negligence; most of the translations were seriously distorted. Work must start to address these errors and correct them. Ideally, this author hopes that the all the fields making use of the text will be improved. 『경도잡지(京都雜誌)』 「세시(歲時)」편은 18~19세기 서울 양반의 생활상을 집중적으로 그리고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텍스트이다. 생활사 연구의 진작과 더불어 이 텍스트는 대단히 자주 인용, 활용되고 있다. 논문작성에서부터 이른바 ‘문화원형콘텐츠’ 개발에 이르기까지 상당히 광범위한 분야에서 두루 참조, 원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그 텍스트의 번역과 주석의 실상을 들여다보면, 예상외로 중차대한 오류들이 다수 발견된다. 그 영향력의 막중함에 비추어 볼 때, 이것은 대단히 곤란한 문제다. 거의 모든 학인들이 아무런 비판없이 신뢰하고 인용하고 있는 자료에서 이런 오류들이 다수 발견된다는 점은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경도잡지』 「세시」편의 19항목에 대해 번역을 하고 주석을 단 텍스트에서 오류라고 생각하는 문제들을 하나씩 지적, 비판하고 수정해 보았다. 총19개의 항목 중 무려 14개의 항목에서 오류가 발견되었다. 세부적으로는 40군데에서 잘못이 보였다. 이것들은 단순한 실수라거나 부주의로 일어난 불찰 정도의 수준이 아니라, 대부분 사실을 모호하게 하거나 심지어는 심각하게 왜곡하는 경우였다. 지금이라도 이러한 지적을 수용하여 잘못된 부분을 수정하고 보완하는 작업을 시작해야 한다. 더 이상 잘못된 이해가 통용되도록 놓아두어서는 안 된다. 오류를 사실로 인정하고, 그것을 토대로 하여 예컨대 이른바 ‘문화원형콘텐츠’로 활용되는 등, 전혀 근거없는 창작이 활성화되어서는 더더욱 곤란하다. 막대한 세금을 투입하고, 이 분야의 전문 인력들을 대거 투입한 결과물에 대해서는 연구자의 책임감을 강조하는 일 못지않게, 그 결과물을 철저히 그리고 다각도로 검토한 후에 비로소 공표케 하는 제도적 장치가 절실히 요청된다. 잘못을 지속적으로 수정, 보완하는 이른바 ‘성과물 업그레이드 시스템’ 같은 것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학 원전 번역과 주석의 한 사례 -『京都雜誌』 「風俗」 ‘巾服’을 중심으로 -

        진경환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4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26 No.-

        Recent years, the need for translation and annotation in Koreanology call attention, resulting in a significant number of in-depth approach attempts were made. But now a new check point, you should review the myriad of problems also. The problem with the existing translation, or lack of comments as you can point out the following five degree. First, it is commonly translated not exactly. Second, it does not help us understand text in-depth. Third, it does not contribute to correct erroneous information. Fourth, it does not devise for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such as a picture or pictures by making full use of photographic materials. Finally, it does not induce the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multi-layer by presenting a wealth of examples. While leaving some of the challenges in mind, study around the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Koreanology text was presented focusing on the "geonbok(巾服)" of the <Kyungdojabji(京都雜志)> by Yoo Deuk Gong(柳得恭, 1749-1807). These tasks can take on an individual task. More systematic and more long-term planning should be approached in dimension. And, above all translation and annotation by default, should be subject to education. Education is not only the subject of the student. Regardless of all the intellectuals, teachers and professors of education may be subject to. So that while the dimensions of the popular writing and monographs sharply divide, but now the levels of reading class are generally higher in the point, given the widespread adoption of the gap will be narrowed. Now, a new writing should be done in terms of the creation. 근래 들어 한국학 원전의 번역과 주석의 필요성에 대해 꾸준히 문제가 환기되었고, 그 결과 심층적인 시도와 접근이 상당수 이루어졌다. 그러나 지금 시점에서 새롭게 점검, 검토되어야 할 문제 또한 적지 않다. 기존 번역과 주석의 문제점 혹은 부족한 점으로 다음 다섯 가지 정도를 지적할 수 있겠다. 첫째, 정확치 못한 번역이 통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텍스트를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셋째, 잘못된 정보를 바로 잡을 수 있는 데 기여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넷째, 그림이나 도판 등 사진 자료를 충분히 활용함으로써 이해의 편의를 도모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다섯째, 용례를 풍부하게 제시함으로써 다층적이고 구체적인 이해를 유도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상의 몇 가지 과제를 염두에 두면서, 조선 후기 서울지방의 세시와 풍속을 기록한 유득공(柳得恭, 1749-1807)의 『경도잡지』 「풍속(風俗)」편의 제일 첫 장인 ‘건복(巾服)’을 중심으로 한국학 원전에 대한 번역과 주석의 유의미한 사례를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한 개인이 맡아서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좀 더 체계적이고 보다 장기 계획적인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번역과 주석은 기본적으로 교육을 전제로 이루어져야 한다. 교육의 대상은 학생만이 아니다. 교사나 교수를 막론하고 지식인 모두가 교육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그 동안은 대중적 글쓰기와 전공 논문의 차원을 날카롭게 구분하였지만, 이제 독서대중의 교양수준이 전반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양자의 간격은 대폭 좁혀져야 할 것이다. 이제 유의미한 번역과 주석 작업은 새로운 글쓰기의 창출이라는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누정가사의 공간과 풍경 - 「면앙정가(俛仰亭歌)」를 중심으로

        진경환 우리어문학회 2010 우리어문연구 Vol.38 No.-

        From the viewpoint of the fact that the mix of the each characters doesn't constitute the whole, there are fields which have to elucidate the universal foundation. That is the NoojungGasa. The universal foundation of NoojungGasa are the space and landscape. Especially, the space and landscape of “MyunAngJungGa” is necessary to examine from the point of feng shui. Very the core of feng shui is the interaction of the settlement and the transcendency. “MyunAngJungGa” recites the situation which interact the desire of the settlement and the transcendency. The desire is expanded to the concern of the concreteness, and then gets the effect of the deep of the concreteness. The desire of the space and the concern of the concreteness may be the universal foundation of NoojungGasa. On this universal foundation, the various issues that brought up formerly are necessary to reargue. 개별적 특성들의 조합이 하나의 전체를 온전히 구성하지 않는다는 관점에서 볼 때, 보편적 토대를 좀더 해명해야 하는 영역으로 누정가사를 들 수 있다. 누정가사에서 보편적 토대는 공간과 풍경의 문제다. 누정가사, 특히 「면앙정가」에서 공간과 풍경의 문제는 우선 풍수의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는데, 그 핵심은 안주와 초월의 상호작용이다. 풍수의 기본 요건인 산맥과 물줄기의 흐름에서 볼 때, 「면앙정가」는 초월과 안주의 욕망이 동시에 작동하는 공간을 노래하고 있다. 그러한 욕망은 다시 구체성에 대한 관심으로 확장되고, 나아가 구체성의 깊이를 창출하는 효과를 얻는다. 이러한 공간의 욕망과 구체성에의 관심이야말로 누정가사의 보편 토대가 될 것이다. 이러한 보편 토대 위에서 기왕에 제기된 바 있는 여러 논점들은 전반적으로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삼국유사三國遺事』 「감통感通」 “욱면비념불서승郁面婢念佛西昇” 번역의 문제

        진경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8 한국전통문화연구 Vol.22 No.-

        『삼국유사』는 오랜 기간 여러 학자들에 의해 번역되어 왔다. 정식 번역으로 인정 받을 수 있는 텍스트는 다음에서 보듯이 대략 17종 정도가 된다. 그 동안 많은 발전 이 있어 왔다. 그런데 풀이가 좀 석연치 않은 부분에서는 유사한 오류가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잘 해결이 안 되니, 선행 번역의 성과를 그대로 가져오거나 그것에 약간 수정을 가하는 관례가 지속되고 있는 것 같다. 삼국유사에는 이러한 실정에 있는 구절이 상당수 존재하는데, 이 글에서는 「감통」편의 “욱면비염불서승”조에 나오는 한 구절을 중심으로 이 문제에 대해 논의해 보려고 했다. 해당 원문은 이렇다. “庭之左右竪立長橛以繩穿貫兩掌繫於橛上合掌左右遊之激勵焉.” 이 구절에 대해서는 분분한 풀이가 이루어져 왔으나, 합리적인 관점으로 일관되게 풀이하지 못해왔다. 이 단상은, 문제가 있는 모호한 번역을 무비판적으로 줄곧 답습해 온 관행의 잘못을 지적하고, 나아가 소위 ‘상징적인 의미’(조동일)나 ‘설화적 각색’(신종원)이라고 치부 한 부분을 보다 현실적인 맥락에서 합리적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귀진은) 뜰의 좌우에 긴 말뚝을 세워놓고 노끈으로 (욱면의) 양손을 뚫고 꿰어서 말뚝 위 에 합장한 채로 (욱면을) 매달았다. (그럼에도 욱면은 이에 굴하지 않고 매달린 채 자기의 몸을) 좌우로 흔들며 (스스로를) 격려했다”라고 번역하는 것이 합리적임을 입증하였다. Samgukyusa(三國遺事) has been translated by many scholars for a long time. Approximately 17 texts can be recognized as official translations. There have been many developments over the years. However, similar errors have been repeated in areas where there is a lack of clarity. It seems that the convention of bringing the performance of the preceding translation or adding a little modification to it seems to be continuing. There are a lot of passages in this situation in Samgukyusa. In this article, I tried to discuss this problem mainly on a verse in “Ukmyeon goes to heaven by a prayer to Buddha(郁面婢 念佛西昇)” of “Gamtong(感通)”. This is the text. ‘庭之左右竪立長橛以繩穿貫兩掌繫於 橛上合掌左右遊之激勵焉.’ I have been able to find a comprehension of this verse, but I have not been able to consistently interpret it from a reasonable point of view. This pagan pointed out the mistake of the practice which has followed the vague translation of the problematic vague translation continuously and also the part which called the so-called ‘symbolic meaning’ or ‘narrative adaptation’. But I tried to interpret it rationally in context. The result is “Guijin(貴珍) hanged a long pile on the left and right side of the yard, pinched with both (Ukmyeon’s) palms by a string, and put her on a pile. (But Ukmyeon did not submit) She encouraged his own body to shake it from side to side”. It proved rational to translate.

      • KCI등재

        『동국세시기』 번역과 주석의 문제 -정월 풍속을 중심으로-

        진경환 한국고전번역원 2020 民族文化 Vol.55 No.-

        This article aims to compare and examine the aspects of the existing translations and annotations of the part titled ‘Seasonal Customs of Jeongwol(正月)’ of Dongguksesigi(東國歲時記), which is a complete version of Joseon-dynasty sesigi(record of seasonal customs), and to correct and supplement the problems found. The widely known seasonal customs-related information has a greater degree of errors than expected. The practice of providing wrong images of seasonal customs with ambiguous and unclear solutions and also injecting distorted images with interpretations that do not conform to the facts has not been resolved. Given the fact that errors are accepted repeatedly as if they are true, and that new creations are mass-produced under the name of content based on them, it is urgent to set up a precedent for establishing correct translations and faithful annotations. This paper is a kind of case study. The problems of translation are pointed out in a total of 22 cases, and the problems of annotation were pointed out in six examples. These comments may not have meaning in themselves. It is most important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clearly reflect on what points should be particularly significant and supplemented in future Sesi translations by carrying out these basic tasks actively. It may sound rather fundamental, but it does not require a second thought that a more complete translation will be possible only when these critical works continue to be carried out. The seasonal customs of the Joseon dynasty, represented by Dongguksesigi, contain widely known content, but sometimes they also contain very professional content. So it is difficult to reach an accurate understanding without the help of proper annotations. This is why faithful annotation work using illustrations such as paintings and photographs is required. 이 글은 조선 시대 세시기의 완결편이라 할 수 있는 동국세시기 중 정월의 세시풍속을 대상으로 한 기존의 번역과 주석들이 어떠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지를 비교 검토하고, 각각의 문제점을 지적한 후 수정, 보완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널리 알려진 세시풍속 관련 정보들은 생각보다 심각한 정도로 많은 오류들을 안고 있다. 모호하고 불명확한 풀이로 세시풍속에 대한 잘못된 이미지를 제공하고, 사실에 부합하지 않은 해석으로 왜곡된 상을 주입하는 관례가 해소되지 않고 있다. 오류들이 사실인 양 거듭 수용되고, 나아가 그것들을 바탕으로 새로운 창조물들이 이른바 ‘문화원형콘텐츠’라는 이름으로 양산되는 현실에 비추어 볼 때, 올바른 번역과 충실한 주석을 확립하기 위한 범례를 시급히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은 일종의 사례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총 22개의 사례를 중심으로 번역의 문제점을, 6개의 예시를 통해 주석의 문제점을 각각 지적하였다. 이러한 지적은 그 자체로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닐 것이다. 이러한 기초 작업이 활발하게 진행됨으로써 향후 세시기 번역에 있어 어떤 점을 특히 유의하고 보완해야 하는지를 분명히 성찰하는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소 원론적인 이야기 같지만, 이러한 비판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때, 보다 완벽한 번역이 비로소 가능해질 것이라는 점은 재론을 요하지 않는다. 동국세시기로 대표되는 조선 시대 세시풍속기들은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내용을 담고 있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매우 전문적인 내용도 함께 들어 있다. 적절한 주석의 도움 없이는 정확한 이해에 도달하기 어렵다. 그림이나 사진 등 도감을 활용한 충실한 주석 작업이 요구되는 이유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