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UV-VIS 흡광광도법으로 란탄족원소들의 정량분석에 관한 연구

        지봉일,김하석,하영구,Ji, Bong Il,Kim, Ha Seok,Ha, Yeong Gu 대한화학회 1990 대한화학회지 Vol.34 No.6

        UV-VIS 흡광광도법으로 Nd, Pr, Sm, Eu, Ho 및 Er을 정량할 때 스펙트럼 방해를 다원소 보정법으로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개별희토류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또, Nd와 Pr의 혼합용액 및 Sm, Eu, Ho, Er의 혼합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몰흡광 계수를 구하고 이들로부터 상호 방해가 가장 적은 파장 즉, Nd(444.2nm), Pr(575.1nm), Sm(401.7nm), Eu(394.2nm), Ho(416.6nm), Er(379.7 nm)임을 알았다. The spectrophotometric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Nd, Pr, Sm, Eu, Ho, Er were developed, using the multicomponent method of absorption spectra cointerference. The absorption spectra of individual Nd, Pr, Sm, Eu, Ho, Er, mixture of Sm, Eu, Ho, Er in hydrochloric acid solutions were investigated, and also a band register which includes the molar absorptions for all trivalent Nd, Pr, Sm, Eu, Ho and Er absorption band maxima were measured. The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Nd, Pr, Sm, Eu, Ho and Er were investigated using the analytically significant absorption bands at 444.2, 575.1, 401.7, 394.2, 416.6, and 379.7 nm, respectively.

      • KCI등재후보

        남북간 인적·물적 교류에서 발생하는 법적 분쟁해결에의 적용법에 관한 연구

        지봉 통일연구원 2005 統一 政策 硏究 Vol.14 No.2

        If dominium and imperium over the Korean peninsular belonged to both South and North Korea, the law of either South or North Korea would apply to the inter-Korean per-sonel and economic exchange and cooperation. However, since South and North Korea have the imperium over their respective sides exclusively, South Korean law is applied to North. Consequently, if a legal dispute arose, it is unclear which of the two sides laws would apply. For example, in the legal relationship betwen private individuals in inter-Korean trade, it is uncertain whether to apply South Koreas or North Koreas private international law, or whether the provisions of 'The Four Economic Corporation Agreement' would apply in the case of private contract between the two Koreas. Therefore, whatever the nature of the inter-Korean personnel and economic exchange and cooperation,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law -"South and North Koreas Quasi-International Private Law"- agreed by both South and North Korea to be applied in case of a dispute.

      • KCI등재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토지 이용계획 규제시스템에 관한 법적 고찰

        지봉한(Ji, Bong-Han),김상진(Kim, Sang-Jin) 한국법학회 2018 법학연구 Vol.72 No.-

        본고는 미국의 도시계획을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단서로서 캘리포니아 주의 토지 이용계획 및 규제시스템을 고찰하는 바, 샌 프란시스코 도시계획법(planning code)을 통해서 검토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도시계획이 1962년 도시계획법(현행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정을 포함하여 오로지 도구의 도입에 주력하고, 시스템의 개선을 하지 않아 거품경제 하의 도시문제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특히 토지 이용계획 및 규제시스템의 파악에 주력하여 우리나라의 도시계획 시스템의 상대화를 밝혀보고자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본문에서는 미국에 있어서 도시계획 권한과 관련법의 구성 등 기초적 사항을 정리한 후, 도시계획의 시스템을 뒷받침하는 두개의 주요 기둥, 토지 이용계획 및 규제의 구성과 그것들의 결정 절차에 대해서 검토했다. 이상의 검토로부터 우리나라 제도와의 대비를 염두에 두면서, 캘리포니아의 토지 이용계획 및 규제시스템을 최대한 단순하게 정리하였다. 즉, (1) 지방정부에 경찰권(police power)에 기초하여 광범위한 토지이용의 규제권한이 존재한다. (2) 규제와 사업으로부터 자립한 강력한 계획이 존재한다. (3) 용도지역을 중심으로 세부적이고 강력한 규제가 존재한다. (4) 지역설정 계획 등 사전 확정적 규제의 획일성을 넘는 채널이 제공된다. 그 경우의 법적 근거는 도시계획에서 요구한다. (5) 재량적 판단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래서 도시개발 절차에서는 청문회를 중심에 둔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 (6) 계획과 규제를 결정하는 입법부문, 그것을 현실에 적용하는 실행부문, 판결을 통해서 도시계획의 구체적 기준을 만드는 사법부문이라는 명확한 삼권분립에 의한 상호간의 체크를 시도하고 있다. 이는 ‘상세하고 냉엄하지만 탄력적인’ 토지 이용계획 및 규제라고 표현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도시계획은 완만하고 경직적이다. 그 차이의 배경은 우리의 도시계획이 토지소유권에 대한 국가의 제한이라는 형태로 전개하여 왔지만, 미국에서는 풍요로운 생활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 소유권 상호의 분쟁을 조정하는 규범으로 전개되어 왔다는 점에 있다. 그러나 지방분권, 지자체 자체의 토지 이용계획 및 규제의 진전이라는 트렌드의 아래, 사전 확정형의 토지 이용계획 및 규제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협의형으로의 이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상황을 모두 고려한 종합계획(master plan)의 창설 등에 나선 우리나라의 도시계획에 있어서 미국의 토지 이용계획 및 규제시스템은 지금보다 진지한 조사와 검토의 대상이 되지 않으면 안 된다. 본고에서의 조사와 설명이 우리나라의 도시계획 정책 및 부동산법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The objects of this article is to grasp the system of land use planning and control in California State through the State Government Code and Planning Code of San Francisco as clue to recognize American land use planning. Under the critical mind that the Korean urban planning act could not deal with the urban problem causing overheated economy of 1980s because it does not improve the system itself but only add new tools after another, intend to grasp the American planning system and estimate the Korean one relatively. In the body of the article, after reviewing the basic subjects like the planning power and the composition of relative laws, discussed two points. 1. The framework of land use planning and control, 2. the process of adoption.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lifornian land use planning and control system should be summarized comparing with Japanese system as follows. Local governments have extensive power of land use planning and control on the basis of police power, 2. A powerful planning exists being independent of control and public works, 3. the control power of zoning is very detailed and strong, 4. there are another channel by which the rigidity of zoning controls is avoided. In such a case the general plan is to be the basis of permission. 5. Discretionary acts aroused in many cases, and through the process public hearing is essential, 6. Legislative branch, ministerial branch and judicial branch are checked by each other. We may sum up the Californian system to be detailed/strict but elastic, and Korean system ambiguous/loose and rigid. The background may be regarded as follows. in America the land use planning and control have been developed as rules justify the dispute between inhabitants aiming the better environment, where as in Japan town planning have been developed as regulations to the right of land owner by nation. However under the trend of enhancing the local power and developing their own planning system, the American and use planning and control system should be studied more serious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is, in other words, the problem that results from the difference of the democratic way,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is very large. However, under the trend of decentralization and the progress of the land use planning and regul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itself, from the pre-determined land use planning and regulation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sultative town development and the creation of the comprehensive plan, now, the American system can not be viewed as simply a matter of observation in a different country with a different cultural or social climate. US land use planning and regulatory systems must be subject to more serious investigation and review. I expect that this work will be the guide for the further study.

      • KCI등재후보

        목적신탁의 존속기간 제한과 그 근거의 재검토

        지봉,김상진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22 법률실무연구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rationale for whether the duration of the purpose trust is limited to 20 years. Previous studies on purpose trusts Although it seems that there are a lot of studies focusing on the validity of purpose trusts and the mechanisms that make them possible, these issues are not addressed in this paper. This is to find the meaning of limiting the period of existence on the premise that certain reasonable demands in the purpose trust system are valid. In the order of the detailed review, first, we analyze how the regulation on the limitation of the duration of the purpose trust was formed through discussion with the Trust Law S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Trust Law Section) of the Legislative Council (II). Contrary to the explanation of the planning officer above, it seems that the restriction was influenced by the concern that the property prohibited for seizure is being created by the purpose trust. Therefore, we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concern about the creation of property prohibited from seizure and whether it can be resolved by the limitation of its duration (III). We check how the issue of the duration of the purpose trust is being discussed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as well as the old law in Japan (IV). Attempts to reexamine (V). It can be evaluated that it is reasonable to set an upper limit on the duration of the purpose trust, but it is difficult to rationally explain the difference in the period for the successor bequest type and continuous beneficiary type trust with the numerical content of 20 years. . Even if such a conclusion is obtained, the upper limit of the duration of the purpose trust under the current law can be interpreted and extended. may consider the above conclusion. In addition, although this paper presupposes the existence of a reasonable request for a purpose trust, if such a request actually exists and the current period of 20 years is insufficient for its realization, there is room for extension of the duration by law amendment. it seems It would be nice to be able to provide a basis for such a future review. 본고에서는 목적신탁의 존속기간이 20년으로 제한되어 있는지의 근거를 재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목적신탁에 관한 선행 연구 목적신탁의 유효성을 인정의 시비와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메커니즘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수많은 것처럼 생각되지만,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는 다루지 않는다. 목적신탁이라는 제도에 일정한 합리적인 요구가 그 유효성이 인정된다는 것을 전제로 그 존속기간을 제한하는 것의 의의를 찾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검토의 순서로는 먼저 목적신탁의 존속기간의 제한에 관한 규율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법제 심의회 신탁법부회(이하 신탁법 부회는) 토론을 통해 분석(Ⅱ)이 작업은 목적신탁의 존속기간의 제한은 위의 계획 담당관의 설명과는 달리, 목적신탁에 의해 압류금지 재산이 창출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영향을 주고 있었던 것이 보일 것이다. 그래서 이 압류금지 재산의 창출이라는 우려의 의의와 그 존속기간의 제한에 의해 해결할 수의 당부를 검토(Ⅲ). 그런 일본의 구법과 미국 및 영국에서 목적신탁의 존속기간의 문제가 어떻게 논의되고 있는지 확인한다(Ⅳ), 마지막으로, 후계 유증에 대한 최근의 기능적인 분석을 참고하여 목적신탁 존속기간의 제한 근거에 대한 재검토를 시도하다(Ⅴ). 목적신탁의 존속기간에 상한을 마련하는 것 자체에는 합리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지만, 20년이라는 수치 내용은 후계 유증형, 수익자 연속형 신탁에 관한 기간의 차이를 합리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생각된다. 이 같은 결론을 얻었다 고해서 현행법의 목적신탁의 존속기간의 상한을 해석하여 연장 할 수 있으며 기간 경과 시 목적신탁이 종료한 것으로 간주하고 업데이트 할 것은 인정할 수 없다고 생각되지만, 국제사법상의 공서의 판단 등에는 상기의 결론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고에서는 목적신탁에 대한 합리적인 요구의 존재를 주어진 전제로 하고 있었지만, 이러한 요구가 실제로 존재하고 그 실현을 위해 현재 20년이라는 기간은 불충분한 것이라고 하면, 존속기간을 법 개정에 의해 연장 여지는 있는 것 같다. 그런 미래 검토의 기초를 제공할 수 있으면 다행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