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적장애 청소년의 집행기능 향상을 위한 태블릿 PC 기반 음악 만들기 활동

        지경미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5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2 No.1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tablet PC-based music-making program on the executive function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ur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Each participant received 45-minute individual sessions twice a week for a total of 16 sessions. The music-making program was designed in the sequence of planning; learning table PC operations; exploring musical elements; making rhythm, melody, and lyrics; composing loop sections; and presentation of the completed music. The Stroop test, Children’s Color Trails Test, and Digit Span and Letter-Number sequencing tests were measured at pretest, midtest, and posttest in order to examine changes in executive function. The participants showed increased scores on all three tests. The participants’attention span also increased and their attempts to correct errors during tasks occurred more frequently at posttest. This study supports the effects of the technology-based program on the executive function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presents its expanded applicability for adolescents who show low cognitive function and limited motivation for cognitive engagement. 본 연구는 태블릿 PC를 활용한 음악 만들기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청소년의 집행기능 향상에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지적장애 청소년 남학생 4명으로 세션은 주 2회씩 회기별 45분으로 진행하여 총 16회기 동안 개별 중재하였다. 음악 만들기 프로그램은 노래 구상 및 태블릿 PC 조작법 습득, 음악 요소 탐색, 리듬·멜로디·가사·반주 리듬 만들기, 루프 구간 설정 및 생성, 발표하기로 구성되었고 각각의 창작 과정은 난이도에 따라 단계별로 반복 진행되었다. 집행 기능 측정을 위해서 스트룹(Stroop)검사, 아동 색 선로 검사(CCTT), 작업기억지표의 하위검사인 숫자따라 외우기(DST)와 순차연결하기(LN) 검사를 사전·중간·사후에 실시한 결과 연구 결과 참여자들 모두 세 가지 검사에서 점수가 향상되었다. 비디오 촬영을 통한 행동 분석 결과, 주의 지속 시간이 증가하고 리듬과 멜로디 수행 시 나타나는 오류를 자발적으로 개선해 나갔으며 정보 범주화를 통해 정보의 활용과 응용이 가능해졌다. 이와 같은 결과는 태블릿 PC를 활용한 음악 만들기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청소년의 집행 기능을 향상시키는 중재도구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더 나아가 기존에 지적장애 아동기에 집중되어있던 연구를 청소년기로 확장시켜, 인지기능 저하 및 인지적 과제 참여에 대한 동기가 낮은 다른 대상군에게도 확장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정신지체고등학생을 위한 컴퓨터 활용 전이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지경미,박은혜 한국특수교육학회 2002 특수교육학연구 Vol.37 No.3

        The Effect of Computer-supported Transi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Regarding the Use of Community ATMs >본 연구는 정신지체 고등학생들에게 이들이 졸업후 통합된 지역사회 환경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 중 하나인 현금인출기 사용 기술을 교수하여 교수효과를 알아보았다. 교수방법으로는 실제지역사회에서의 직접교수를 보완하기 위한 컴퓨터활용 교육 프로그램과 지역사회 교수를 병합하여 사용하였으며, 본 실험에서 사용한 컴퓨터 모의현금인출기 교수 프로그램은 정신지체학생들이 어려움을 보이는 기술의 일반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일반사례 프로그램의 원리를 적용하여 개발하였다. 세 명의 대상학생에 대한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연구 결과 세 학생 모두 현금인출기 사용 기술을 성공적으로 습득하고 교수받지 않은 다른 현금인출기 사용으로도 일반화 시켰으며, 교수 종료후 3주에 실시한 유지검사에서도 높은 수행율을 유지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지역사회교수의 유용성과 함께 지역사회교수를 보완하는 모의학습으로서의 컴퓨터 프로그램 활용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실제 지역사회 교수를 어렵게 하는 현재의 특수학교 교수여건상 이와같이 장애학생의 학습특성을 고려하여 제작된 컴퓨터 모의학습은 향후 연구 및 적용이 확대될 필요가 있는 분야라고 생각된다.<검색어> 정신지체, 교수방법, 직접교수 컴퓨터활용

      • KCI등재

        노인의 디지털리터러시 능력이 정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지경미 ( Kyungmi Ji ),김남숙 ( Namsook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노인계층은 디지털미디어를 통해 정치정보를 습득하고 온라인 커뮤니티를 정치참여의 경로로 활용한다. 노년기의 디지털 활용은 사회적 관계의 확장으로 인한 사회적지지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디지털리터러시 능력이 정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결과 첫째, 디지털리터러시와 사회적지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사회적지지와 정치효능감 간에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노인의 디지털리터러시 능력은 정치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디지털리터러시 하위 요인 중 정보활용능력, 의사소통능력, 규범준수능력이 정치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노인의 디지털리터러시 능력과 정치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는 두 변인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디지털리터러시 능력이 정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적지지의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디지털미디어가 노인의 사회적 관계 확장, 정치참여의 도구로 중요시됨에 따라 노인 대상디지털리터러시 교육이 요구된다. The elderly get political information through digital media, and use the online community as a channel for political participation. The elderly's digital use affects the expansion of social relationships and social suppor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of the influence of the elderly's digital literacy ability on political efficac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social suppor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political efficacy. Second, the elderly’s digital literacy 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olitical efficacy. Among the sub-factors of the digital liturgy, the ability to use information, communication ability, and compliance with norms influenced political efficacy.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digital literacy ability and political efficacy, social support was found to regul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effect of digital liturgy ability on political efficacy depends on the level of social support. As digital media is regarded as an important tool for expanding social relation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for the elderly, digital literacy education for the elderly is required.

      • KCI등재후보

        가정과 연계한 AAC 말하기 프로그램이 발달장애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미친 효과 - 특수학교에서 실시한 일상 경험 말하기 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민미영,지경미,배수진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17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5 No.2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effect on communication skill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 special school by daily experience communication program based on AAC in association with students’ home. This study intended to find improvements in the exact use of words, usability of vocabularies and speaking ability with complete sentences. Methods: This study involved two first-grade and two sixth-grade students, who were able to be intervened in association with students’ home. Also one adult student in vocational training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order to explore the expandibility of this AAC program. During the six month long intervention period, daily experience communication program was conducted once a week in school schedule by using customized booklets prepared according to a student’s daily experience and communication skill level. By sharing the related program materials with a student’family, this AAC based program was conducted consistently at school and at home. Results: Many meaningful results showed participants in various communication skills such as voluntary communication attempts, vocal communication skill and ability to utilize AAC. Conclu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d the potential for developing a school-wide AAC program and the efficacy of cooperation with students’ home. Also this study suggested the further research need for developing customized ACC programs for students of various ages and levels within a special school.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서울 소재 A 특수학교 장애학생들에게 AAC를 활용한 일상경험 말하기 프로그램을 실시한 것으로 가정과 연계한 중재가 발달장애 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미친 교육적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AAC를 활용한 일상경험 말하기 프로그램을 통해 정확한 단어 사용과 사용 단어의 향상 여부, 문장으로 말하기에서 보인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방법: 서울시에 소재한 A특수학교 초등학생 중 가정연계지도가 가능한 초등학교 1 학년 학생 2 명과 6 학년 학생 2 명이 참여하였으며 전공과 1 학년 학생이 향후 확장을 위한 사례로 제시되었다. 중재는 연구자가 아동별 일상경험을 분석하여 학생별 수준에 적절한 의사소통책을 제작한 후 학교 일과를 이용하여 주 1 회 AAC를 활용한 일상경험 말하기를 교수하는 것이고, 관련 내용은 가정에도 공유되어 학교와 가정에서 일관된 주제로 AAC를 활용한 지도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결과: 연구 참여자인 초등학교 학생들의 의사소통 시도, 발화, AAC 활용 능력 등다양한 방면에서 발전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가정과의 연계지도가 학부모의 교육 만족도와 학생들의 기타 영역에 긍정적인 발전이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단일 학급이나 특정 연령의 학생이 아닌 학교 차원의 프로그램으로써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연령과 수준의 학생에게 AAC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연구의 필요성과 몇 가지 제언을 제공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