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낭성 림프관종으로 오인한 전장 낭종 환자 1예

        주재우(Jae Woo Joo),오경호(Kyung Ho Oh),권순영(Soon Young Kwon)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17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33 No.2

        Foregut cystic developmental malformations are rare developmental anomalies. It is important to diagnose the diseases and manage them properly because these cysts may generate feeding or respiratory difficulties depending on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lesions. A newborn was referred for a congenital cervical swelling to our clinic on the second day of his life. Neck SONO and MRI showed an about 6cm sized cystic mass at left submandibular area. Aspirations and sclerotherapies were done repeatedly due to recurred cystic mass. Under the suspicious of cystic hygroma, the mass and submandibular gland were excised. Histologically, it was a benign cyst including gastrointestinal and bronchogenic mucosa and pancreatic tissue. Foregut cyst was suggested for the final diagnosis and the patient was discharged at 9 days after the operation without a complication. He has visited our out-patient department. Although several image studies have been introduced to find out foregut cyst, it is difficult to go through differential diagnosis because of similarity of other benign tumor. Further studies for early diagnosis of cervical foregut cyst are needed for preventing possible related problems.

      • KCI등재

        개별논문2 : 성인의 쓰기 능력 평가 결과 분석

        주재우 ( Jae Woo Joo ),박은진 ( Eun Jin Park ),김종철 ( Jong Choel Kim ) 한국작문학회 2014 작문연구 Vol.0 No.22

        이 연구는 2013년 국민의 국어 능력 평가에서 실시한 쓰기 영역의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3년의 쓰기 영역평가를 좀 더 상세히 소개하면서 성인의 쓰기 능력 실태와 시사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모집단인 전체 국민을 2단계 층화 표본 추출 방식과 집락 추출 방식을 혼합하여 1,500명을 추출하였다. 쓰기 평가 문항은 초대장 쓰기, 설명하는 글쓰기, 논증하는 글쓰기로 30분 동안 작성하도록 하였다. 평가는 내용(50%), 조직(30%), 표현(20%)의 세 요소를 선정하였다. 전문 조사원이 방문하여 일대일 면담 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쓰기 결과를 수집하여 한 문항당 세 사람이 채점하였다. 채점 결과를 해석하기 위하여 등급을 ‘우수, 보통, 기초, 기초 미달’의 네 수준으로 나누고, ‘수정된 앵고프(Modified Angoff) 방식’으로 전문가 협의회를 개최하여 분할 점수(cut-score)를 산출하였다. 전체적으로 국민의 쓰기 능력을 등급화한 결과 우수 3.6%, 보통21.7%, 기초 55.3%, 기초 미달 18.4%로서 기초 이하의 등급이 절반 이상으로 판정되었다. 이를 변인별로 분석해 보면 20, 30대가 40, 50대보다, 대도시가 중소도시보다, 정신·기타 노동이 육체노동보다, 대재 이상이 중졸·고졸보다 쓰기 능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국민의 국어 능력이 듣기·말하기·문법에 비해 말하기와 쓰기가 낮은 수준으로 판정된 까닭은 주관식 서술형으로 평가가 이루어진 방식 때문이기도 하지만, 학교에서의 쓰기 교육 문제나 성인을 대상으로 한 쓰기 프로그램의 미비 등의 문제 때문이기도 하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과제를 제안하였다. 첫째 국민의 국어 능력 평가 문항 유형을 다변화할 것, 둘째 자발적인 쓰기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검사 상황을 구성할 것, 셋째 대규모 평가에 적합한 평가 방법을 개발할것, 넷째 성인의 쓰기 능력을 개선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실행할 것 등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discuss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language competence for the general public 2013, focusing on writing skills. This thesis informed the result of evaluation of language competence of writing skills and the meaning of the result. The participants are 1,500 people who were selected from the adult population of Korea by a two-stage stratified sampling and cluster sampling method. The primary criteria for stratification are sex, age, and region size, and the secondary criteria are vocational and educational variables, which are based on the soft allocation method. The test items comprised a writing invitation, a descriptive writing and an argumentative writing for half-hour test. The following three elements were selected as the evaluation criteria: contents (50%), organization (30%), and expression (20%). Professional researchers visited the participants and held one-on-one test. The participants’ performances were classified into four levels: good, normal, basic, and below basic. This was done to interpret the results of the scoring grade, which had been divided according to the cut-score obtained through consultations with experts in the Modified Angoff method. Overall, the participants’ writing skill levels were assessed as good (3.6%), normal (21.7%), basic (55.3%), and below basic (18.4%); this performance is generally quite poor. When the participants were grouped by variables and ranked according to their writing skills, people in their 20s, 30s, were higher than people in their 40s, 50s. By region size, the order is metropolitan area > small town. The ranking by occupation shows mental workers and others (including students) are higher than manual workers. Then, the ranking by education shows university students and above are higher than high school graduates and middle school graduates. But it makes no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The participants’ poor writing skills could have been the result in inadequate educational practices for writing and a lack of adult education for rhetorical writing. Based on this discussion, we propose the following several tasks. First, in the area of language skills assessment, writing skills for Korean adults should be defined in greater detail. Second, natural writing situations should be configured to improve voluntary participation. Third, a large-scale writing assessment environment should be configured to improv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Finally, practical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writing skills for adults.

      • KCI등재

        장르 중심의 쓰기교육 연구 -"자서전 장르"를 대상으로-

        주재우 ( Jae Woo Joo ) 한국작문학회 2012 작문연구 Vol.0 No.14

        본고는 현행 쓰기교육이 여러 층위의 텍스트를 장르라고 명명하여 발생하는 문제를 고찰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문학의 장르 분류 체계를 도입해 보았다. 먼저 연역적인 분류 방식인 장르류에 해당하는 쓰기 장르를 설득·정보전달·친교·정서표현으로 보고, 개개의 문화적 양식들을 장르종으로 분류하는 방식을 택했다. 그 결과 하나의 문화적 양식을 하나의 장르류에 귀속시키지 않고 문화적 양식 자체를 교육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다. 자서전 양식의 경우 종래의 정서표현 장르류라는 구분에서 벗어나 시대와 사회에 따라 ‘반성하는 나에 대한 글’, ‘되고 싶은 나에 대한 글’,‘영웅적인 나에 대한 글’ 등으로 다양한 양상을 띠고 있음을 살필 수 있었다. 이는 자서전이란 과거의 경험을 기록한다는 단순한 인식에서 벗어나 자서전 장르가 지닌 사회문화적 이데올로기를 관찰, 분석, 비판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이는 장르이론이 단지 장르를 텍스트의 형식적 질서를 이해하는 것을 넘어서 장르의 사회적 실천을 다루는 데까지 나아가고 있는 흐름을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This thesis investigates a genre problem in the current curriculum, and suggests the new classification of genre referring to literature genres classification. literature genres are divided into sub-genre, for instance poetry, drama, and prose. At the same time literature genres divided into historical genre. In the same way, writing texts are divided into persuasive, informative, social interactive and expressive writing. At the same time, writing texts divided into cultural convention. A case of Autobiography is not only limited to expressive genre, but also ``a writing of self-reflection``, ``a writing of design future dream``, and ‘a writing of heroic life.`` Based on genre theory, meaning of genre will expand genre as text or rhetoric into genre as practice. Consequently autobiography writing education will expand to investigation of sociocultural value of autobiography.

      • KCI등재

        설 양식을 활용한 유추적 글쓰기 교육의 구도

        주재우 ( Joo Jae-woo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2 고전문학과 교육 Vol.23 No.-

        글쓰기에서 창의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정작 글쓰기교육의 국면에서 보면 어떻게 창의적으로 글을 써야 할지 그 방법이나 절차가 체계적으로 제시 되어 있지 못한 점이 있다. 본고는 고전 설 양식이 유추를 통해 이루어진 글쓰기 산물이라는 관점에서 창의적 사고의 도구인 유추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의 절차를 구안해 보았다. 설 양식은 사건이나 물건에 대한 경험이나 관찰을 다루고 있는 기사(紀事)라는 부분과 그 의미를 풀어놓은 설리(說理)로 이루어져 있다. 이 둘 사이에서의 관계는 구체성을 띤 근거 영역과 추상적인 목표 영역에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둘 사이의 관계를 기반으로 해서 기존의 근거 영역을 보고 또 새로운 근거 영역을 찾아보는 활동, 근거 영역에서 목표 영역을 도출해 보는 활동, 목표 영역을 염두에 두고 가상의 근거 영역을 지어내는 활동 등을 구안해 낼 수 있었다. 개인이 성장할 때 구체적 조작기를 거쳐 형식적 조작기로 발달해 간다는 피아제의 발달 이론을 참고해 볼 때 유추적 글쓰기 교육은 구체적인 대상에 대해 생각하는 활동에서 추상적인 개념을 다루는 활동으로 위계화할 수 있으리라 본다. This study investigates procedure of teaching analogical writing based on traditional writing style ‘Soel(說)’ which is a product of analogical thinking of ancestors. ‘Soel’ style is composed of gisa(紀 事) contained one’s observation of object or experience of event and seoli(說理) contained a meaning or an opinion. These correspond to an abstractive source domain and a concrete target domain of modern analogical writing. Therefore, teaching analogical writing would design as below. First, see existing source domain, make source domain another. Second, draw a target domain through a source domain. Third, see a target domain and create source domain. This procedure based on hierarchy from writing a concrete subject to writing a abstractive one.

      • KCI등재

        자찬묘지명 글쓰기의 교육적 의의 - 자찬묘지명의 창작 동기를 중심으로

        주재우 ( Joo Jae-woo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7 고전문학과 교육 Vol.35 No.-

        자찬묘지명은 자신의 죽음을 상정하여 자신의 삶을 자신이 직접 쓴 묘지명으로서, 묘지명의 내용 요소를 수용하되, 지행(志行)의 포폄(褒貶)에서는 칭찬[褒]보다는 나무람[貶]이 두드러진 양식이다. 이러한 자찬묘지명에 드러난 창작 동기를 왜, 언제 짓느냐는 관점으로 구분하여 내적 창작 동기와 외적 창작 동기를 살펴보았다. 내적인 창작 동기는 외부의 과장된 평가에 대한 반발이며, 이는 곧 나에 대한 진실을 추구하고자 하는 의식의 반영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외적인 창작 동기는 정치적 탄핵이나 가족의 상실, 임종과 같이 원치 않은 외부적인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생긴 불평지심이다. 자찬묘지명은 분명 과거의 글이지만, 오늘날 노인 자서전 쓰기 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자찬묘지명의 내용 요소가 오늘날 독자에게 낯설 듯, 현대의 노인 자서전 쓰기의 내용 요소도 타자화하여 점검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자연적으로 이루어진 협동 작문의 산물인 자찬묘지명에서 협동 작문의 방향을 찾을 수 있다. The distinctive character of a self-written epitaph is that it assumes one’s own death. While containing the elements of an epitaph, it is distinctive in that it reveals motive of writing and scolds rather than praises one’s own self. The motive for writing a self-written epitaph is two-fold. First, it seeks to tell the truth about one’s own self. Second, it is a response to external shocks. The Educational Value of Self-written epitaph lies in leading the elderly to reflect on their lives today, and it bears the appearance of cooperative writing.

      • KCI등재

        한국 고전 소설에 나타난 삶의 의미 탐구

        주재우(Joo, Jae-woo) 우리말글학회 2019 우리말 글 Vol.80 No.-

        이 연구는 한국 고전소설에서 나타난 주인공의 자살 시도와 단념의 과정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그 속에 담긴 삶의 의미를 탐구하였다. 주인공이 자살을 시도하려 할 때 항상 조력자가 등장하여 주인공을 돕는 것이 일반적이며, 절망에 빠져 자살을 시도하려는 주인공에게 조력자는 현실을 재해석하여 삶의 의미를 찾도록 돕는다. 고전소설 〈유충렬전〉은 사고무친이 된 주인공에게 강희주가 등장하여 후사를 남기는 것, 제사지내기, 부모의 원수 갚기를 삶의 과업으로 일깨워주었다. 〈숙향전〉의 경우 천상계의 존재가 나타나 숙향이 당하는 고난의 의미가 전생의 업보임을 일깨워주며 죄값을 치른 후 보장된 행복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사씨남정기〉의 경우도 천상계의 존재가 의로운 삶을 살면서도 고난당하는 사씨에게 천도(天道)는 옳다는 믿음을 회복시켜 주는 방향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자살 극복의 기제는 크게 과업을 부과하여 책임감을 갖도록 하는 방식과 미래 약속을 통해 기대를 갖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분해 볼 수 있고, 미래 약속은 고진감래의 인생 원리나 천도에 대한 믿음 등의 형태로 나타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eaning of life in Korean classic Novel.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process of suicide attempts and overcoming. Suicide Attempters must interpret their environment anew, and search for the meaning of life with advice of their helper. In Korean Classic Novels, the helper gives the main character the following advice. In Yuchungyeoljeon, helper advised him that he needed a descendant and should hold a memorial service for ancestors. In Sukhyangjeon, helper advised her that she would be guaranteed a happy future after paying for her past life’s sins. In Sasinamjunggi, helpers advised her that she would be guaranteed a good man if she could endure hardships well. So the overcoming mechanism of suicide in Korean classic novel is consisted of a way of imposing an obligation or promising a happy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고전수필(古典隨筆)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試論)

        주재우(朱才佑) ( Joo¸ Jae-woo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8 No.4

        이 연구는 고전수필의 개념이 성립하는지에 대한 물음에서 출발하여 문학교육을 위한 고전수필의 개념을 정립하기 위한 시론이다. 이를 위해 수필의 개념이 자리 잡은 1930년대 수필론에서 수필 개념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수필의 필수적 조건으로 무형식, 비전환표현, 형상성 등을 도출하였고, 필자의 수준 높은 삶에서 글이 나와야 한다는 점을 충분조건으로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고전수필의 개념을 정립하고자 했다. 1930년대 수필론에서는 고전수필을 인정하지 않았지만 고전수필은 그 이전부터 인식된 적도 있다. 다만 수필이라는 기표에 집착해서 고전수필을 이해하거나 미분류의 글인 잡저로 한정할 경우 고전수필의 범위는 협소해질 수밖에 없다. 반대로 비허구적 산문 전체를 수필로 간주할 경우 교술과 수필의 경계가 사라진다. 따라서 수필의 무형식을 ‘형식의 없음’이 아니라 ‘형식의 자유로움’으로 이해하고 이에 더하여 ‘비전환표현+형상성’을 갖춘 근대 이전의 글로 보았을 때 고전수필은 문체나 형식에 구애되지 않고 확장될 수 있다. This study starts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the concept of classical essay is possible. To this end, we explored the concept of essay in essay theory in the 1930s when the concept of classical essays established. The essential requirement of an essay are form of no-form, non-fictional expression, and a character of shape. Although the essay theory of the 1930’s did not recognize the existence of classical essays, classical essays have been recognized since then. However, if the classical essay are recognized by articles named essays or unclassified articles, the scope of classical essays will inevitably be narrow. Moreover, the whole of nonfictional prose cannot be recognized as an essay because didactic genre and essay are not same. The intangible formula of an essay should be understood not as the absence of a form but as the freedom of form. Therefore, classical essays can be regarded as works with a free form, non-fictional expression, and a character of shape before modern times.

      • KCI등재

        쓰기 지식 내용 개발을 위한 시론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시평에 나타난 내용 조직 유형을 중심으로-

        주재우 ( Jae Woo Joo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3 국어교육 Vol.0 No.141

        Until now, a knowledge of writing to compose persuasive text is three-stages organization, ``introduction-body-conclusion``. The knowledge of writing has some stable character, but it`s not useful to write a persuasive text. A useful knowledge to write, that is to say a performative knowledge should be extracted from real text like newspaper column. To achieve this, this study surveyed columns in high school textbooks and analysed the message organization from the viewpoint of logic of text. As a result, three types of message organization were extracted. (1) Introduction of reality - analysis of the problem - proposing solution. (2) Introduction of reality - proposed solution - transition to another problem - proposing another solution. (3) Introduction of reality - proposing solution - providing evidences.

      • KCI등재후보

        사회구성주의 작문이론의 비판적 재검토 - 작문교육의 관점에서 -

        주재우 ( Joo Jae-woo ) 한국작문학회 2010 작문연구 Vol.0 No.11

        이 논문은 작문이론 중 하나인 사회구성주의 작문이론을 작문교육의 관점에서 비판하고 작문교육을 위한 이론 개발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구성주의 작문이론은 글쓰기의 주체를 담화공동체로, 쓰기 행위를 사회적 행위로 본다는 점에서 다른 이론과의 차별성을 갖는다. 담화공동체는 담화 관습을 형성하고 유지하는데, 이를 습득하면서 개인은 사회화된다. 그동안 사회구성주의 작문이론은 이러한 담화 관습을 무의적으로 습득하여 사용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관습 속에 담긴 이데올로기를 비판할 수 있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런데 우리나라 사회구성주의 작문이론 연구는 담화 관습이 있음을 인정하고 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방향으로 흘러갔다. 또한 담화 관습의 실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습득할 수 있는 형태의 수행적 지식으로 제시하지 못했다는 점 역시 문제이다. 학교 현장에서 요구하는 작문 연구는 작문을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이며, 사회구성주의 작문이론이 원래 지향하고 있는 작문에 대한 비판적 문식력 교육은 그 차후에 가능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criticize the composition theory of social constructivism in terms of the writing education and to propose the way about the writing education. In terms of the social constructivism, concept of writer is socialized member of discourse community and concept of writing is social action. The special feature of this theory is that discourse community makes a set of discourse conventions, so the members of this community have to acquire the conventions. The theory of social constructivism pointed out problems of uncritical acquisition of conventions, not the way of acquisition of conventions. This theory in our country was misunderstood focusing on acquisition of conventions. However, the demand from schools in writing education is developing writing ability, so study of writing theory heads for specific and performative theory. Because the social constructivism assumed discourse conventions, it could make contribute to produce performative knowledge. Then it will be possible to teach the critical literacy about acquisition of discourse conventions of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