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르띠네의 ' 자율단소 ' 와 통사적 자율성 개념에 대한 비판

        주영경 한국불어불문학회 1990 佛語佛文學硏究 Vol.25 No.1

        Depuis 'Ele´ments de linguistique ge´nerale'(1960) jusqu'a` Syntaxe ge´ne´rale'(1985), dans la partie traitant l'unite´ significative et la syntaxe fonctionnelle, Andre´ Martinet parle constamment du mone`me autonome ainsi que de l'autonomie syntaxique. En particulier, la de´marche sur la ce´le`bre triple distinction de mone`mes(mone`me autonome/mone`me de´pendant/mone`me fonctionnel), le classement des fonctions syntaxiques et le proce´de´ syntaxique se de´veloppent autour de ces notions. En essayant de comprendre la the´orie, nous avons pu nous rendre compte du fait que les de´finitions donne´es et leurs applications sont trop inade´quates et incohe´rentes pour dire que l'autonomie syntaxique est une notion pertinente. La notion d'autonomie syntaxique de Martinet pourra e^tre represente´e par les trois caracte´ristiques suivantes: -1- porter en eux-me^mes l'indication de leur propre fonction. (impliquer non seulement re´fe´rence a` un e´le´ment d'expe´rience, mais aussi un rapport de´fini avec les autres e´le´ments de l'expe´rience a` communiquer.) -2- pouvoir figurer tanto^t ici, tanto^t la`, sans changer l'essentiel du message. -3- entrer dans la classe traditionnelle des adverbes. Nous pre´sentons ici nos propres conceptions: -Le terme 'rapport (relation) ou fonction' pre´suppose de´ja` plus d'un terme autre que lui-me^me de sorte que l'expression "porter en lui-me^me l'indication de son propre rapport" nous parai^t abusive. -Les e´le´ments linguistiques qui constituent l'e´nonce´, quel que soit leur caracte`re, sont tous autonomes et a` la fois de´pendants (relatifs) dans leur contexte. -Dans l'e´nonce´, les e´le´ments linguistiques assument et non impliquent leur propre fonction bien pre´cise. -La de´plac¿abilite´ des mone`mes autonomes comme hier, ici qui nous parai^t avoir inspire´ la notion de l'autonomie syntaxique a` Martinet, est due pluto^t a` celle du circonstant en franc¿ais. En plus, le degre´ de celle-ci est tre`s variable. -Identifier le mone`me autonome a` la classe d'adverbes, la classe des e´le´ments disparates, est dange´reux, sans l'avoir reconstitue´e pre´ce´demment. -En re´alite´, il existe des e´le´ments spe´cialise´s soit fre´quemment (types demain, hier), soit exclusivement (types souvent, parfois) comme circonstant, d'ou` leur position libre. Pourtant, cette spe´cialisatian ne saurait pas e^tre explique´e en terme de fonctions, mais de proprie´te´s se´mantiques. -En ce qui concerne les fac¿ons de marquer les rapports d'un mone`me: autonomie (nous pre´fe´rons le remplacer par le terme 'sens' ou autre qui serait meilleur.) position, fonctionnel, tous ces proce´de´s fonctionnent en me^me temps. Bien entendu, un ou deux parmi ces fac¿ons pourra jouer le ro^le plus important par rapport aux autres selon les cas. -Dans 'Syntaxe ge´ne´rale', en e´liminant le crite`re de la de´plac¿abilite´, Martinet conside`re modalite´s, adjectifs, verbes..etc., sauf nominaux, comme autonomes. En conse´quence, le de´calage entre la notion d'avant et celle d'apre`s devient incompre´hensible et la triple distinction de mone`mes perd sa valeur. Ou` trouver donc le statut de l'autonomie syntaxique?

      • KCI등재

        조직 내 다양성 신념의 선행 및 결과변인에 관한 연구

        주영경,김명소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33 No.3

        본 연구에서는 조직 내 구성원의 다양성 신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상황특성 선행변인을 탐색하고, 국내 현직자들의 다양성 신념을 예측하는 주요 선행변인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또한 다양성 신념이 구성원의 직무수행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직종의 종사자 300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성격 6요인(HEXACO)의 원만성, 외향성, 개방성, 및 독특욕구, 관점수용, 성장 마인드셋이 다양성 신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으로 나타났다. 상황특성으로는 다양성 풍토, 포용적 리더십이 유의한 예측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친 다양성 신념(pro-diversity beliefs)이 높을수록 개인의 과업수행, 맥락수행, 적응수행, 정서적 몰입 등 다양한 직무 효과성 수준이 높았고, 특히 최근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적응수행에 대한 예측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개인특성으로 독특욕구, 관점수용, 성장 마인드셋, 상황특성으로는 다양성 풍토가 다양성 신념의 핵심 예측변인들로 밝혀졌다. 이러한 다양성 신념의 핵심 선행변인들과 각 결과변인을 포함하는 연구모형을 제안 및 검증한 결과, 4개 결과변인에 대한 모형의 적합도가 모두 수용 가능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우리나라 성인의 체내 중금속 3종에 대한 노출수준과 주요 인구사회학적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제1~3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2009-2017) 결과 -

        주영경,권영민,김성연,최경호,이철우,유승도,유지영 한국환경보건학회 2019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45 No.5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eavy metal exposure levels in the blood and urine of a nationally representative adult population in Korea, and to identify the major influence factors for exposure through linkage analysis using questionnaire data. Methods: Biological samples and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adults aged 18 and over who had participated in the Korean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from 2009 to 2017. Lead, mercury, and cadmium exposure levels were presented with geometric mean and 95th percenti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heavy metal concentrations. Results: Blood lead levels increased slightly in Cycle 2 compared to Cycle 1, but decreased in Cycle 3. Blood and urinary mercury and urinary cadmium levels decreased over time. The main influence factors included gender, age, and smoking status for blood lead levels; gender, age, and intake of fish at least once a week for blood mercury levels; and age for urinary cadmium levels. Conclusion: The Korean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is an effective tool for confirming over-time changes in exposure to lead, mercury, and cadmium in Korean adults and to identify its influence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esent basic data for calculating reference values and baseline exposure levels for environmental chemicals in Korean adults.

      • KCI등재

        팀 기반 공유 리더십 척도 개발 연구: 내용타당도 중심으로

        주영경,김명소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35 No.4

        공유 리더십은 최근 조직 맥락에서 팀 효과성을 촉진하는 리더십으로 주목받고 있으나 타당도가 검증된 척도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유 리더십을 팀 구성원이 제공하는 리더십 특성 영역으로 구체화하고, 내용타당도가 확보된 척도를 개발하였다. 연구 1에서는 공유 리더십이 실현되고 있는 팀 구성원 열 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했다. 공유 리더십 선행연구 및 관련 문헌 검토와 심층 인터뷰 결과를 반영하여 공유 리더십을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1) 공동 리더 정체성 (2) 지지와 배려 (3) 자발적 업무수행 (4) 수평적 업무 상호작용 네 개의 구성요인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선행 척도들의 문항을 기본으로 유사한 내용은 통합하고, 심층 인터뷰에서 도출된 공유 리더십 행동 진술문을 반영하여 40개의 예비 문항을 구성하였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서 구성된 문항에 대해 전문가와 현직자 두 집단을 대상으로 두 가지 방법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공유 리더십의 유사개념들 중 선행연구에서 제시하는 유사개념의 기준에 부합하는 팀 적응수행과 팀 임파워먼트가 내용타당도 검증에 활용되었다. 두 가지 내용타당도 결과를 정량적 기준에 따라 비교 분석하여 28개 문항으로 축소하였다. 또한, 전문가 및 현직자의 자유 의견을 기반으로 문항 표현을 수정하여 공유 리더십의 대표 행동을 효과적으로 반영하도록 보완하였다. 마지막으로 공유 리더십 척도 개발 및 내용타당도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제한점 및 추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팀 기반 공유 리더십 척도의 타당화 연구

        주영경,김명소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3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개발된 공유 리더십(Shared Leadership) 척도(네 개 요인의 28문항)에 대해 국 내 현직자를 대상으로 타당화를 실시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1) 공유 리더십 척도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2) 유사개념들과의 변별성을 통한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검증한 후, (3) 법칙론적 관계망 (Nomological Network) 구축을 기반으로 개인 및 팀 수준의 예측변인과 준거변인과의 관련성을 확인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다양한 조직 및 직군에 종사하는 417명이 온라인 설문에 참여하였다. 특히, 다수준 구성개념 타당화를 위해 이들 중 현재 팀(4명~15명 규모)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50개 팀(278명)에 대해서 팀 수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4요인 구조가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 부하량 이 다소 낮은 네 개 문항(요인별 한 개)을 제외하고, 24개 문항으로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4요인 구조 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활용하여 공유 리더십과 유사개념(팀 임파워먼트, 팀 적응수행)과의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법칙론적 관계망에서 공유 리더십의 예측변인 및 준거변인 과의 관계를 개인 및 팀 수준에서 확인한 결과, 변혁적 리더십, 조직의 권한위임, 과업 상호의존성 이 공유 리더십의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유 리더십은 팀 효능감, 팀 혁신행동, 팀 수행, 팀 만족 등 다양한 팀 효과성 준거변인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팀 기반 공유 리더십 척도 타당화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후속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Shared Leadership Scale((28 questions of four factors) recently developed for Korean employees. Specifically, we examined (1)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2)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ith similar concepts, and (3) the relationship with both predictors and criterion variables based on nomological network at the individual as well as team level. 417 people employed in various organizations and occupations participated in online survey. We conducted team-level analysis on 278 people of 50 teams currently working as teams(4~15 team size) for multilevel valid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our-factor structure of shared leadership was verified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24 items excluding the 4 items with a slightly low factor loading(one for each factor), the four-factor structural model was found to be the most suitable compared to other models. Second,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confirmed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similar concepts(team empowerment, team adaptation performance). Finally, we developed the nomological network including the predictors and criteria of shared leader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rganizational delegation, and task interdependence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shared leadership at both the individual and team level. Shared leadership also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criteria of various team effectiveness such as team efficacy, team innovation behavior, team performance, and team satisfaction at the individual and team level.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the team-based shared leadership scale validation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the above finding.

      • KCI등재
      • KCI등재

        마이크로 에너지 그리드의 원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따른 공공건축물의 에너지 절감 효과 분석

        주영경(Ju, Yeong-Gyeong),서윤규(Seo, Youn-Kyu),홍원화(Hong, Won-Hwa) 대한건축학회 2014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0 No.7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energy saving effect according to the remote energy management system in the electric grid of the micro energy grid. Micro energy gird which includes electric grid, gas grid, heat grid and off grid is a grid that aims energy self-sufficiency at a small unit. To notify the energy saving effect applied to the electric grid among the micro energy grid, control the energy consumption for each building, manage the electricity through the energy operation center and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MEG. The total energy consumption would be demonstrated through the monthly and daily data and the energy saving would be verified as analyzing the hourly data in the MEG. The result of the remote energy management, MEG shows average of 10% on energy reduction and it is proved that the MEG is effective in energy saving. This study can be offered as the basic data for optimal energy management through the energy consumption pattern applied in Korea- micro energy gri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