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20~40년대 만주지역 사진자료의 분석 - 『아동인화집(亞東印畵集)』과 『아세아대관(亞細亞大觀)』을 중심으로

        주성지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3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14

        Atoingashu(『亞東印畵集』) and Ajiataikan(『亞細亞大觀』) are photo books that the Japanese Photography Association in Dalian, China published after photographing across East Asia from the 1920s to the 1940s. The photo books contain a total of 4,700 photographs collected by adding 10 photos per month through the process of field survey, photographing and printing. These photographic materials provide the title and explanation of each photo, together with the year when it was photographed; the data can be a significant reference for the utilization of photographic material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mpilation, publishing and contents of the photo books to identify what purpose their publication would serve. Examining the purpose of publication will help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otographic materials of Manchuria analyzed in detail in this study. With modern technological development, photographs are actively used as historical materials. This study intends to look at the history and chronology of photographic materials, and, furthermore, provide a foundation for critically utilizing them based on the principle of provenance. 『아동인화집(亞東印畵集)』과 『아세아대관(亞細亞大觀)』은 1920~40년대 중국 대련(大連) 소재일본인 사진협회에서 동아시아 전역을 촬영하여 발간한 사진집이다. 이들 사진집은 답사 – 촬영 – 인쇄의 과정을 거쳐 매월 10장의 사진을 묶어총 4,700여 매의 사진자료를 남기고 있다. 이 사진집에는 간행연대와 사진의 제목․설명이 남아 있어서, 사진자료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전거가 될 수 있다. 본고는 이 사진집의 편찬체제, 간행방법 그리고 그 내용을 분석하여 간행의도를 밝히고자 하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이렇게 정리한 간행목적은 구체적으로 만주지역 사진자료의 특징을 규정하는 것이 될 것이다. 이와 같은 노력은 근대적 기술발달에 의해 등장하여 사료로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사진자료의 연혁과 계통을 밝히고, 나아가 출처주의에 입각하여 사진자료를 비판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역사대중화와 디지털 역사자료-역사소비의 변곡-

        주성지 한국역사민속학회 2018 역사민속학 Vol.0 No.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rrelations between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and the paradigm changes of popularizing history in the Korean history. The popularizing history has gone through four paradigms in Korean History : first, popularizing history happened thanks to “spread of paper” and “development of printing.” In Chosŏn(朝鮮) period, in particular, letterpress and wood-block printing led the spread of knowledge in a mutually supplementary way, which resulted in the conversion of “delivery of memories,” a traditional concept of history, into “historical studies” and “research on the past”; the second paradigm keywords were “modern” and “enlightenment.” The publishing manufacture according to modern technological advancement opened doors to the massive distribution of historical knowledge. The introduction of modern education witnessed the history subject leading the spread of history; the third paradigm represented a meaningful time in the popular spread of Korean history in the aspects of historians’ self-awareness, securement of research diversity, efforts to narrow down the gap between historians and the public, various social activities of historians, and non-experts’ growing writing about history books; and the final paradigm saw the establishment of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IT)” having huge impacts on the production of historical knowledge by historians and non-experts on history. The fourth paradigm was characterized by the subjects of history consumption creating new content separate from the providers of knowledge unlike in the past. This paradigm became an inflection point of history consumption where the trend of popularizing history changed from passive history consumption to active history consumption and production. In the paradigm changes of popularizing history, the major driving force behind the fourth change was the large-scale accumulation and provision of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This period witnessed the growth of research findings in Korean history both in quantity and quality and the production of various kinds of historical content including videos about history. Historical dramas(TV), in particular, made a 103.7% increase in the 2000s from the 1990s. Although the production of historical films since the 2000s was poor, but there was a meaningful change with 22 historical films making the top 100 box office list(2003~August, 2018). The investigator found the cause of these changes starting in the 2000s in the influences of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mentioned earlier. The increase of digitally constructed historical materials and the growing access to them became the major driving force for the public to move to the stage of producing historical content beyond the consumption stage of history and made the pattern of history consumption hit an inflection point. There is, however, a concern with the possibilities that the original values of historical studies might be misused according to the growing popular consumption and production of history. Historians thus need to provide specialized materials to help the public make their own historical analysis and enrich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historians and consumers through interactions. In addition, they need to accumulate the research findings of outcomes according to the changed pattern of popularizing history by analyzing, sorting out, categorizing, and defining a variety of history content in continuous production. 본 논고의 목적은 디지털 역사자료와 한국 역사대중화의 패러다임 변화와의 상과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한국 역사대중화는 4개의 패러다임으로 변화하였다. 첫 번째는 ‘종이의 전래’과 ‘인쇄술의 발달’에 따른 역사지식의 보급인데, 특히 조선시대 활자․목판인쇄는 상호보완적으로 지식의 확산을 이끌었다. 두 번째 패러다임의 키워드는 ‘근대’와 ‘계몽’이다. ‘근대적 기술발달’에 따른 공장제 출판으로 역사지식의 대량 유통이 시작되었고, 근대교육 도입에 따른 역사 교과목의 입전은 역사의 보급을 보편화시켰다. 세 번째 패러다임에서는 역사가의 자각, 연구의 다양성 확보, 역사가와 대중과의 간극 축소 노력, 역사전문가의 다양한 사회활동, 비전문가의 역사서 집필 증가라는 측면에서 한국역사의 대중적 확산에 의미있는 시기였다. 네 번째 패러다임에서는 ‘정보기술의 발달’에 의한 디지털 역사자료의 구축이 역사전문가 및 비전문가의 역사지식 생산에 큰 영향을 주었다. 역사대중화의 패러다임 변화 속에서 네 번째의 변화를 이끈 주요 원인은 디지털 역사자료의 대규모 구축과 제공이다. 이 시기 한국사 연구성과의 양적․질적 성장, 역사 소재 영상물 등 다양한 역사콘텐츠의 생산 등이 나타났다. 특히 역사소재 TV드라마의 제작현황과 시대물 영화의 완성도 향상은 디지털 역사자료의 영향으로 파악된다. 그래서 디지털로 구성된 역사자료의 증가와 이에 대한 접근성 향상은 대중이 역사소비의 단계를 넘어 역사콘텐츠 생산의 단계로 진전시킨 주요한 동인이며, 이에 의해 역사소비의 패턴이 변곡점을 맞이하게 되었다.

      • KCI등재

        구글맵을 활용한 최부 『표해록』의 노정 복원

        주성지 한국역사민속학회 2019 역사민속학 Vol.0 No.57

        Following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 Korean historical studies community has changed its methodology in research. Their attempt at broadening the horizon of Korean history study through the fusion of geographical information, in particular, began in the early days of building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and has been on the gradual rise. Of them, some conducted research on traffic routes between Korea and China especially the diplomatic routes between them. Pyohaerok by Choi Bu examined in the present study is an important material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records of diplomatic missions. Unlike records of diplomatic missions are usually restricted to the traffic routes in northern China, Pyohaerok offers the experiences with the canals as one of China’s representative traffic routes in the traditional era as well as northern China. For such importance it holds, Pyohaerok has long been translated and investigated, but these efforts have failed to address the traffic routes in details. The present study set out to restore the itinerary of Choi Bu recorded in Pyohaerok by using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technologies that had been developed in recent years. The study, however, took a different context from the publication of a historical map based on electronic media. The investigator would first identify points representing areas by analyzing his itinerary and connect growing points over time sequentially to restore the routes of certain tours and journeys. A digitally restored itinerary map shows even specific locations and can be readily applicable to the field, thus differentiating itself from an itinerary map on paper. Such a project will be one of various attempts at broadening the spectrum of methodology in the study of Korean history and make a great step forward in the embodiment of digital Korean history.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한국역사학 연구의 방법론도 다양하게 변화하였다. 특히 지리정보와의 융합을 통해 한국사 연구의 지평을 넓히는 시도는 디지털 역사자료의 구축 초기부터 시작되었고 점차 증가 추세에 있다. 그 중에는 한중간의 교통로 연구도 있는데, 특히 사행로를 중심으로 진전되었다. 본고에서 다루는 최부의 『표해록』은 사행록(使行錄)이 갖는 한계를 넘는 중요한 자료이다. 즉 사행록들은 대체로 북중국의 교통로에 국한되어 기술되었는데, 『표해록』은 북중국 뿐 아니라 전통시대 중국의 대표적인 교통로인 운하에 대한 경험을 고스란히 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중요성 때문에 최부의 『표해록』은 일찍부터 번역ㆍ연구되었으나, 교통로와 지명을 구체적으로 다룬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고에서 최근 발달된 지리정보기술을 활용하여, 『표해록』에 기록된 최부의 노정을 복원하고자 한다. 다만 본고는 전자적 매체를 활용한 역사지도의 편찬 작업과는 맥락을 달리한다. 우선 노정의 분석을 통해 지역이라는 점(point)을 밝혀내고, 시간적 추이에 따라 점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특정한 기행 및 여행의 노선(line)을 복원하고자 한다. 이렇게 디지털로 복원된 노정도는 현재위치를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바로 사용이 가능한 노정도라는 점에서 기존 노정도와는 차이가 있다. 또한 향후 지명이 새롭게 비정될 경우, 아날로그 매체 등이 불가능한 수정ㆍ보완을 실시간으로 할 수 있는 디지털의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은 작업은 한국사 연구방법론의 스펙트럼을 넓히는 다양한 시도 중 하나가 될 것이며, 디지털 한국사의 구현에 진일보할 계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디지털 역사자료의 구축과 표준

        주성지(Joo, Sung-jee) 한국역사민속학회 2008 역사민속학 Vol.- No.26

        디지털역사자료는 역사연구에 필요한 원전 및 간행자료 등의 전자적 형태이다. 1995년 『CD-Rom 국역 조선왕조실록』이 구축된 이후 디지털역사자료는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달과 궤를 같이하며 진화하였고, 2007년 12월 현재 21개 기관(상용DB 제외)에서 약 800만 건의 레코드가 제공될 정도로 다양하다. 하지만 자료 제공처의 상황에 따라 자료의 내용과 수준 그리고 제공방법이 다양하다. 이에 따라 대량의 디지털역사자료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데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 연구는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역사자료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이 무엇인가라는 목적에서 작성하였다. 효율성 극대화의 기본조건으로 역사자료 구축의 표준화를 지적하였고, 구축에서 필요한 표준적인 구조정보와 정리요소들을 확인해 보았다. 특히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역사자료 구축경험을 풍부하게 갖고 있는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의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자료 메타데이터 세트(HOMS : History Object Metadata System)”에 대한 구조정보와 정리요소를 살펴보았다. 이와 같이 표준화된 역사자료가 구축되어 서비스된다면, 유사한 정보들의 융합을 통해서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하기가 훨씬 수월해 지리라 생각한다. 현재까지 디지털역사자료를 제공하는 기관에서는 지식을 정보화하여 인터넷에 공개하였다면, 표준화 작업을 통해서 정보를 보다 정교하게 조직화하여 새로운 지식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역사자료의 표준화는 단순하게 정리요소 혹은 DTD만의 문제가 아니라 향후 디지털역사학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베트남 관련 전근대 디지털 역사자료의 소개와 활용

        주성지 ( Joo Sung-jee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인문학연구 Vol.0 No.33

        디지털 역사자료는 역사 연구의 기본이 되는 사료를 디지털로 전환하여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것을 말한다. 디지털로 구성되었다는 점과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이 연결된 어느 곳에서도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은 역사연구에 큰 영향을 끼쳤다. 베트남사에 대한 역사연구는 어느 정도 진척되었고, 특히 2000년대 후반에 들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하지만, 전근대 베트남에 대한 연구는 사료에 대한 접근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국내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역사자료 중 베트남사 관련 현황을 정리하여 소개하였다. 베트남사 관련 디지털 역사자료에서는 『고려사』·『조선왕조실록』 등 조선시대 편년자료부터 개인의 문집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지만, 검색을 통해서 중요한 사료를 찾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제공되는 중국측 사료(명·청실록, 중국정사 외국전)도 소개하였다. 그리고 국외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역사자료 중 베트남의 전근대 역사자료를 소개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베트남국립도서관에 소장된 고전적 중 디지털 이미지로 전환되어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웹사이트를 소개하고, 그 세부 자료를 분석하였다. 특히 미국 베트남놈보존재단(Vietnamese Nom Preservation Foundation)에서 제공되는 사료 중 史部로 분류된 자료를 분석하여 목록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한국 역사정보화의 경험을 살려 베트남에서 역사자료를 어떻게 구축한다면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지를 제언하였다. 이와 같은 베트남 관련 디지털 역사자료의 소개를 통해 자료에 대한 접근성을 확보하고, 연구의 활성화를 모색하고자 한다.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refer to historical materials that are the basis of historical research being digitized and offered on the Internet. They have two major advantages of being digitized and being accessible at any places where there is an Internet connection via the network, having huge impacts on historical research. Historical research on the history of Vietnam has made progress to a certain degree, being active especially in the latter part of the 2000s. It is, however, difficult to do research on the premodern history of Vietnam since there is no easy access to its historical materials. This study set out to arrange and introduce the current state of Vietnamese history based on the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available in South Korea to facilitate the activation of research on the topic by introducing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about the history of Vietnam. There are various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on the history of Vietnam in South Korea from the chronological materials of Joseon including Goryeosa and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o personal collections of works, and one can find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s through search efforts. Furthermore, the present study introduced China`s historical materials(the annals of Ming and Qing Dynasties and books on foreign states in the official history of China) available in South Korea. It also introduced overseas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on the history of Vietnam and offered explanations about how to make use of them. Also introduced in the present study was a web site that converted classical images housed at the National Library of Vietnam into digital ones and made them available on the Internet. The present study also analyzed its detailed materials. It, in particular, analyzed and catalogued the historical materials classified as Sabu(史部) provided by the Vietnamese Nom Preservation Foundation in the U.S.A.. Finally, it made proposals about how to establish and increase the utilization of historical materials in Vietnam based on the experiences with the informatization of history in South Korea.

      • KCI등재

        한국 고대사 관련 디지털 역사자료 구축의 성과와 과제

        주성지(Joo, Sung-jee) 한국고대사학회 2016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4

        정보기술의 발달과 함께 디지털 역사자료의 대규모 구축은 현대 역사학 연구방법의 관행을 바꿀 정도로 파급효과가 크다. 디지털이라는 태생적 장점에 기반한 역사자료는 대부분의 역사연구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어, 더 짧은 시간에 더 많은 자료를 찾아 볼 수 있게 되었다. 그렇지만, 이렇게 이용효율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역사자료로 구축된 자료를 일관하여 구축현황을 종합정리하고 이용방법을 적시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고는 한국고대사 연구에 필요한 디지털 자료를 조사하고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에 따라 고대사 관련 디지털 역사자료의 현황을 사료별로 망라하여 정리하였다. 아울러 디지털의 장점을 최대한 살린 이용방법을 밝히고, 인용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럼으로써, 현재 시점에서 디지털 역사자료의 구축 성과와 향후 모색해야할 과제가 무엇인가를 정리하였다. The large-scale database(DB) building of digitized history materials was possible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IT). It has changed the modern historical research methods. These digitized materials have been actively used in almost every study of history. These enabled to easier access to the information needed and reduced the time to search for much more data. Despite the high efficiency,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comprehensive arrangement of the current levels and guidance on the methods using electronic materials. For these reason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organize the digital materials which are required for the studies on ancient korean history. Firstly, it tries to categorize the digitized materials about ancient korean history in accordance with historical records. Secondly, it reveals better methods of using these materials and suggests how to quote them. Finally, it summarizes the achievements and problems of digitizing historical materials at this point in time.

      • KCI등재
      • KCI등재

        『입당구법순례행기』 지명분석을 통한 圓仁의 路程 복원

        주성지(Joo, Sung-jee) 신라사학회 2020 新羅史學報 Vol.0 No.48

        『입당구법순례행기』는 9세기 唐의 사회경제적 상황과 재당신라인의 활동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사료이다. 이에 따라 『입당구법순례행기』에 대한 연구는 동서양과 시대를 불문하고 다양한 성과를 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엔닌의 路程地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연구성과는 부족한 실정이다. 한편 1990년대 말에 이르러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역사학분야에서도 디지털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특히 한국사 관련 사료는 대규모로 디지털화되어 연구성과의 양적・질적 성장을 이끌었다. 역사자료가 디지털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은 활용 가치의 확장을 의미하며, 이러한 가치에 착목하여 새로운 역사학 연구방법론의 개발도 필요한 실정이다. 최근 디지털 역사라는 개념에는 디지털로 존재하는 사료 뿐 아니라 디지털로만 작성되는 사료가 등장함을 인식하고, 이의 이용을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입당구법순례행기』의 지명을 분석하여 현재의 관점에서 디지털로 복원하는 것이 첫 번째 목적이다. 즉 지금까지는 전거자료에 근거하여 지명을 분석하였지만, 본고에서는 지명분석의 도구로서 디지털 지리정보를 활용하고자 한다. 디지털 정보를 활용한 분석방법은 정보화 사회와 역사자료의 디지털화라는 시대적 상황에서 새로운 연구방법론을 모색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연구방법론의 시도가 꾸준하게 축적된다면, 한국사 연구의 경계를 확장하여 결국 디지털 한국사의 영역을 구현하는데 진일보할 것이다.. Ennin"s Diary provides important historical data about the social and economic situations of Tang and the activities of Silla in the dynasty in the ninth century in the position of a Japanese Buddhist pilgrim. Researches on Ennin"s Diary have produced various results regardless of East and West and different periods. Despite these achievements, however, there is a shortage of research that conducted comprehensive analysis of place names along Ennin"s itinerary. Following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at began in the late 1990s, the field of historical studies has been much affected by their development. The historical materials about Korean history have, in particular, digitized in massive scale, which has led the growth of research achievements both in quantity and quality. When historical materials become digital, they claim bigger value for utilization, which raises a need to develop new methodologies for historical studies. The recent concept of digital history recognizes the emergence of historical materials that exist only in digital as well as those are digital as well, which raises a need for software education for their use and utilization. This study first aimed to analyze the place names of Ennin"s Diary and restore them in digital from the current perspective. That is, the study would make use of digital geographic information as a tool to analyze place names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analyzed place names based on reference data. Such analysis methods based on digital information will help to search for new methodologies in the current situations of digital era and the digitization of historical materials. If such attempts at new methodologies are accumulated consistently, they will facilitate the expansion of boundary in the study of Korean history and make a further step in the realization of digital Korean history as a dom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