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정거래법상 부당한 이익제공행위의 ‘부당성’ 판단에 관한 판례 분석 - ‘경제력 집중’ 개념의 의의 및 위상을 중심으로 -

        조혜신 한국경쟁법학회 2024 競爭法硏究 Vol.49 No.-

        법 제47조 부당한 이익제공행위의 부당성 판단기준에 관한 한진 사건 대법원의 판결에 대해서는, 특히 ‘경제력 집중의 유지․심화’ 개념을 핵심 표지로 사용한 것과 관련하여 경제력 집중 개념의 의의와 위상에 근거한 비판적 문제 제기가 가능하다. 물론구체적 사건에서 경제력 집중 억제라는 헌법적 지향과 공정거래법의 목적을 선언하고상기하는 것에는 일면 긍정적인 면도 있다. 그러나 체계상 경제력 집중 개념보다 낮은위상에 위치하면서도 여전히 추상적인 규범적 개념인 부당성의 판단기준으로 경제력집중 개념을 원용하는 것은 두 개념 모두에 혼란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다. 또한 법 제47조가 그 취지와 목적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제4장이 아닌 제6장에 위치하고 있다는점도 무시하기 어려워 보인다. 무엇보다도 부당이익제공행위의 불법성은 정당하지 않은 부의 이전에 있는 것이고, 그로 인해 얼마나 경제력이 집중되는가는 개별 법 적용에 있어서 입증이나 판단의 대상이 아니라, 해당 행위를 금지하는 규범의 필요성 혹은 정당성으로서 이미 전제되어있는 것으로 이해되는데,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대법원의 해당 판결에는 수긍하기어려운 점이 있다. 즉, 특수관계인에게 기업집단의 이익이 귀속된다면 경제력 집중의유지․심화를 야기되는 것이지만, 우리 법은 그러한 경우 모두를 문제 삼겠다는 것이아니고, 특히 그 이익의 귀속이 정당하지 않은 방법으로 이루어질 때 법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판단이 존재하는 것이다. 법 제47조 제1항은 전반적으로 이 점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한다. 부당이익제공행위의 부당성의 의미도 이렇게 새겨져야 할 것이고, ‘이익 귀속의 결과’ 가 아닌 ‘이익 귀속의 정당성’을 중심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현재로서 현실적으로 가능한 해석론은 법문의 ‘부당한 이익’을 별도의 구성요건으로 파악하되 그 판단의 근거를 이익귀속의 결과가 아닌 이익귀속의 행위 혹은 귀속이익 그 자체로부터 확보하여야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대법원이 부당성 판단의 요소로 제시한 다양한 요소들에 대한종합적 고려는 법 소정의 금지요건을 충족하는 행위에 대한 최종적인 위법성 판단을저지하는 예외적인 소극적 요소들로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일단 법 제47조 제1항 각 호의 요건을 충족하는 행위들에 대해서, 판시에서 언급한 요소들과 관련하여 해당 행위를 위법한 것으로 판단하기 어렵게 만드는 명확한 사실들이 존재할때에 ‘부당한 이익’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점에 대한 주장 및 입증 책임은 공정위에 있는 것으로 보는 것이 불가피하지만, 공정위는 해당 행위를 정당한 것으로 만들 정도로 두드러진 사실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보임으로족하다 할 것이다. The illegality of the attribution of undue benefits should also be reviewed focusing on the ‘act of benefits attribution’ rather than the ‘result of benefits attribution’. Currently, a practically possible interpretation is that the ‘unreasonableness’ of the law should be identified as a separate component, but the basis for its judgment should be sought from the act or attributable benefits itself, not the result of benefits attribution. In this respect, the use of the concept of ‘maintenance and deepening of concentration of economic power’ in the judgment in question should be avoided. And as the Supreme Court suggested, it would be desirable to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the object of action and the related person, the purpose and intention of the action, the circumstances of the action, the size of the transaction, the size of the benefits attributable to the related person, and the period of the benefits provision as an exceptional passive factor that prevents the final judgment of illegality for an act that meets the requirements prescribed by the law. For acts that meet the requirements of each subparagraph of Article 47 (1) of the Act, it can be judged as not ‘undue benefits’ when there are clear facts that make it difficult to judge the act as illegal in relation to the factors mentioned in the judgment. It is inevitable to see that the FTC is responsible for asserting and proving this point, but it is sufficient that the FTC shows that there is no remarkable fact to make the act legitimate. Each subparagraph of Article 47 (1) of the Act already presents the limits of legitimate interests, and the acts in each subparagraph also contain normative requirements, and in particular, the FTC burden of proving the requirements for ‘significant’ or ‘normal transaction’ is not light.

      • KCI등재

        경쟁법상 부당한 공동행위의 형사처벌에 따르는 법리적 쟁점

        조혜신 한국경쟁법학회 2019 競爭法硏究 Vol.39 No.-

        Criminal punishment for cartels began with Article 1 of the U.S. Sherman Act, which has set a strong antipathy against cartels and monopolies at the time of the enactment of the Act. Against this backdrop, the so-called 'conspiracy-centered approach' was adopted. Specifically this approach could be explained as as 'agreement'-oriented components that do not take into account their implementation or the consequences of implementation, a prohibition that is not exceptionally permissible, and strong criminal sanctions that include jail terms for individuals involved. On the other hand, the circumstances behind creating competition laws for the EU community and its members are clearly distinct from those of the United States. That is, in the background of the lack of experience in moral criticism of cartels, the EU Community and Member States Competition Law has adopted an administrative-regulatory approach, which has centered around specialized regulators, to determine whether an agreement is prohibited by combining "effects or consequences" with the agreement itself. Fines, administrative sanctions, have played a major role in enforcement. However, the introduction or reinforcement of criminal sanction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artels' regulations is being noticeable due to the strengthening of awareness of problems with international cartels in the 1990s and the global spread of the leniency program that began successfully operating in the U.S. Currently, 12 countries among EU member states enforce criminal sanctions against cartels, while others, Canada, Australia, Brazil, Israel, Mexico and South Korea, do so. Many of these countries have adopted or strengthened them through legal revisions since the 2000s, showing a distinct tendency toward so-called "criminalization." And in Korea, this trend is felt in the discussion surrounding the abolition of the "exclusive accusation system“. In the case of Korea, the exclusive accusation system could be said to have been an institutional mechanism that allowed criminal sanctions to exist in a coherent manner within the framework of administrative regulation, and thus mitigated legal and procedural problems that followed criminal sanctions to some extent. In other words, an independent regulator with expertise in the Fair Trade Act has been, to some extent, restraining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both administrative and criminal enforcement by leaving the right to decide whether or not to initiate criminal enforcement. In particular, criminal punishment of the individual involved had been supported in the light of strengthening the deterrent effect without due consideration of its legal implications, and it is thought that critical review of it from the criminal law, particularly the question of ambiguity of the subject and the substance of legality, could never be omitted. It can be expected that the recently discussed abolition of the exclusive accusation system will bring about significant changes to the existing cartel's enforcement system, that, among other things, the criminal procedure of administrative procedures cannot rule out the possibility of fundamentally chang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tors and undertakings under competitive law, and that the benefits of enhancing the deterrent effect may not be significant due to the increase in regulatory costs associated with criminal procedures.

      • KCI등재

        독점규제법상 ‘합의의 도그마’ 논의의 향방 - 합의의 입증과 관련된 최근 대법원 판결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조혜신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아주법학 Vol.9 No.2

        독점규제법상 부당한 공동행위를 보다 효과적으로 규제하기 위하여, 그간 법해석론에 있어서 ‘합의의 도그마’를 극복하기 위한 논의가 설득력 있게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최근에 선고된 일련의 대법원 판결은 오히려 합의의 도그마를 더욱 유지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살피건대, 독점규제법상 부당한 공동행위의 형사범죄적 측면, 과점적 시장구조에서 전략적 상호관계에 놓여 있는 사업자들에게도 경쟁규범이 유효한 행위규범으로 기능하여야 한다는 요구, 형사적 제재를 통하여 카르텔을 위한 합의가 경쟁질서에 미칠 위험성을 강하게 경계해 온 경쟁법의 전통 등을 고려할 때, 합의의 도그마는 입법을 통해서라면 몰라도 적어도 법해석을 통해서는 극복하기 어려운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합의의 도그마를 극복해야 한다는 유력한 주장은 우리나라의 산업 전반에 나타나는 과점적 시장구조에 대한 법정책적 대응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사실 이러한 요구는 매우 중대한 것이지만, 오히려 과점적 시장구조로 인해서 사업자들이 가격결정과 같은 기본적인 경영판단을 함에 있어서 이미 상당한 제약된 여지 내에 있을 수밖에 없다는 점과 오랜 동안 관련부처의 산업정책적 영향력에 광범위하게 지배되어 왔다는 사정도 여기에 함께 고려되어야 할 필요도 있다. 그렇다면 유효경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과점시장에 대한 근본적 대응으로서, 부당한 공동행위에 대한 규제 이외에 독점규제법상 다양한 규제수단들, 이를테면 시장지배적지위 남용행위에 대한 규제나 경쟁제한적 기업결합에 대한 규제를 사전적 및 사후적 측면 모두에서 입체적으로 활용할 가능성을 본격적으로 모색해야 할 시점이 아닌가 생각된다. It has been convincingly argued that we should overcome so called ‘Dogma of Agreement’ in enforcing regulation against cartel through Korean competition law. However, recent cases of Supreme Court rather seem to strengthen the dogma. Considering the criminal aspect of illegal cartel, the requirement that even undertakings facing strategic inter-relationship in oligopolistic market structure should abide by competition law, the tradition of advanced competition legislations such as US where illegal cartel has been punished as a felony, the dogma should not be given up through interpretation of current law. The argumentation that we should abandon the dogma of agreement emphasizes the need to regulate oligopolistic markets prevailing in overall industries in Korean economy, which is worthy of appreciation. Nonetheless, we should consider that undertakings in oligopolistic markets are restricted in making basic decisions like price setting because of given market structure, and they have been heavily influenced by industrial policy and guidance of government. Then, the other measures in competition law such as regulation against abuse of market-dominant position or anticompetitive M&A from both ex-ante and ex-post aspects need to be actively used in oder to fundamentally and effectively counteract against concentrated markets in Korean economy.

      • KCI등재

        가맹사업법상 계약의 존속에 대한 규제

        조혜신 한국경쟁법학회 2019 競爭法硏究 Vol.40 No.-

        The issue of contract termination and renewal is an important matter in determining the parties' interests in the continuity of the contract, and this becomes more important in the so-called 'distribution contracts'. Distribution contracts are not only one-time or short-term, but are retained on a recurring and long-term basis, in which the nature of these continuing contracts forces the parties to be bound here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rely on the trust of the parties to resolve the various problems arising from the contractual relationship. However, in a distribution contract, it is common to see situations in which asymmetry between parties is structured and solidified due to circumstances in which either party is in a dominant market position or controls accessibility to consumers. This is a situation in which autonomous determination, which is the basis for contract freedom, is infringed, and in this case, the law's intervention is required. Special distribution-related laws, such as the Franchise Act, the Large Retail Business Act, and the Agency Act, can be said to limit the freedom to decide whether a contract is retained or not through regulatory laws based on the principle of good faith. The nature of such contracts in the distribution requires that the various issues arising from the contract relationship be treated differently than in the general contract. Much of it may be left to negotiation and agreement between the parties in a contract of equal standing, but in a major distribution contract in which the symmetry of the status is not guaranteed due to structural conditions, 'the objective legitimacy(das objectiv Richtige)' should be achieved through legislation. At present, since the broadest range of regulations is in Franchise Act of Korea, we could take an approach to examine whether the rules on the termination and renewal of contracts can be extended to the Agency Act or the Large Retail Business Act. Of course, the key to this is to have a review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each transaction. Recently, there has been discussion on introducing regulations related to contract termination and renewal in other distribution-related laws, especially the Agency Act, and a proposed revision to the law has been prepared to reflect them. This is because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unfair business practices related to the termination or renewal of contracts are taking place in agency transactions. Meanwhile, the Fair Trade Commission's recently announced measures to prevent unfair practices in dealing with agency transactions said that it will set up at least three years of contract renewal requirements in standard agency contracts considering the proper duration of each transaction. While this is not yet set as a legal amendment, it may be possible to try legislative solutions in the future while looking at the improvement in reality. Of course, the provisions concerning contract termination and renewal under the Franchise Act can be a primary reference. However, it should not be missed that a gradual increase in the level of regulation in terms of 'best regulatory levels' would be desirable.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step up to the legal level, starting from a low level, such as the introduction of standard contracts or the preparation of guidelines, with checking the effectiveness of regulations.

      • KCI등재

        원격의료 확대의 의의 및 조건에 대한 법정책적 연구: 헬스케어 산업 발전의 관점에서

        조혜신 경북대학교 IT와 법연구소 2017 IT와 법 연구 Vol.0 No.15

        Recently the adoption of new technology in health and medial field has generated a great deal of controversy and resistance, which comes from the sensitivity of that filed related to human’s life and body. Specifically, telemedicine in Korean Health Law has been firstly introduced in 2002, however, the further expansion is stopped due to the failure in compromising between pros and cons. If we can agree on that the essences of medical practice are ‘professionalism’ and ‘face-to-face’, it is because of the ‘morality’ and ‘responsibility’ as a conduct dealing with ‘human’. It is not enough to take functional approach. Therefore, even if the most advanced technology is going to emerge in the future, medical personnels have to take the ultimate responsibility and the technology ought to remain in complementary position. The two core characteristics of medical practices suggest us the limitation that the technology should not take place of medical personnel. In this sense, we should try to find a way to institute the more advanced telemedicine without distorting and damaging the existing heath care delivery system. It is possible to have the advanced telemedicine to strengthen the ‘regionalization’ of health care delivery system that is said to be in danger of destruction. If we promote health care industry which focuses on the prevention of disease and management of health on the basis of local government and society, we may be able to vitalize the first-level medical institutions. The primary goal of health and medical policy is to serve all people with a substantial level of health care anywhere in the country, and to prevent the concentration of profits and patients into certain large hospitals. From this point of view, in deciding priority of policies, an aim of establishing the health care system with ‘publicness’ as universal service which can treat all people in need in relatively cheap price, rather than maximizing profits and upgrading servic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health care industry, should take the lead.

      • KCI등재

        한국의 경제개발과 외자 및 외국인투자 관련 법제

        조혜신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3 法學論集 Vol.17 No.3

        ‘경제개발(Economic Development)’을 추진하는 국가에 있어서 가장 시급하고도 우선적인 과제는 바로 경제개발에 소요되는 자본을 조달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보았을 때 외자의 도입을 통하여 장기적이고도 지속적인 경제발전이라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실패한 사례도 없지 않다. 1960년대부터 80년대에 이르는 경제개발기 한국의 외자 운용 방식은 라틴아메리카 개발도상국들의 그것과 비교하여 성공적이었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개발도상에 있는 국가의 외자 관련 법제에 있어서 가장 핵심이 되는 것은 경제발전이라는 국가적 목표에 부합하도록 외자를 활용할 수 있는 기제를 마련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경제발전에 있어서 국가의 역할과 관련하여 많은 논의가 있을 수 있지만, 한국의 외자 및 외국인투자 관련 법제가 경제발전 과정에서 담당하였던 기능과 그 특징은 경제개발을 위하여 국가가 할 수 있는, 혹은 하여야 하는 역할의 일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경제개발기 한국의 외자 및 외국인투자 관련 법제가 보여주는 몇 가지 특징, 즉 ‘중앙 집중적인 의사결정 및 감독’과 ‘권한당국의 재량적․실질적 판단’ 그리고 ‘외자기업 및 생산수단에 대한 소유권의 국내 유보’ 등은 최대한 국민경제에 유리한 방향으로 외자를 활용하기 위한 효과적인 기제가 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경제개발을 위한 국가의 적극적인 역할이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그러한 특징은 오늘날까지 한국의 경제시스템이 운용되는 기제의 일부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여전히 외국인투자 관련 법제의 기본적인 성격을 규정하고 있다고 보아도 크게 틀리지 않을 것이다. It is the most urgent and primary task for developing countries to raise capital. However, history proves that not all developing countries have succeeded in obtaining the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 Korea has managed foreign capital with better results, when comparing developing countries in Latin America in 80’s and 90’s. The core objective in foreign capital-related laws and institutions in developing countries is to have the mechanism which enables to use foreign capital according to the national goal, i.e. economic development. While there might be controversies regarding the role of state in economic development, Korean case partly shows what the state can and must do in the course of economic developmen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ws on foreign capital and investment, which are ‘centralized decision making and monitoring’, ‘discretionary and substantial judgement by authority in charge’ and ‘national reserves of ownership of foreign enterprise and means of production’, would be the effective mechanism to use foreign capital in the best way for the national economy. It could be a good example which can show the proper and active role of state in economic development. Furthermore, those features form a part of the Korean economic system until today, so it can be said that they still define the basic nature of current laws and institutions of foreign investment.

      • KCI등재

        희년법 원리의 제도적 구현 가능성에 관한 小考- 기본소득 제도를 중심으로

        조혜신 기독교학문연구회 2018 신앙과 학문 Vol.23 No.3

        Today, we cannot but turn our eyes to the Jubilee law of the Bible as a source of inspiration for our society to face situations such as unemployment, debt, poverty, exploitation. However, I think it is time for us to find a way to implement the idea of ​​the Jubilee law in our laws and institutions more effectively and in a more adequate way by adopting a different approach from the past in applying this Jubilee law to reality. The norm-addressee of Jubilee law is limited to the Israelite covenant community, and the legitimacy and effect of the law is fully secur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rm-maker and the norm-addressee, t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d and the Israelite covenant community. In this respect, attempts to universalize the Jubilee law only in its content are bound to have limitations, and thus, the spirit of the Jubilee law can still be meaningful today, only when applying, in addition to its contents, the principles of relationship and community responsibility, which are the premise of this norm. The logical consequence of the earlier discussion of seeking the contact between the Jubilee law and modern law is that there is not much room for contact between the two. Rather, considering the message given to the world of today by the Jubilee Law, I think the contact is the “restoration of lost relationship”. The relationship will refer to the totality of the whole relationship that human beings make with other human beings, the family, the region, the nation, and various levels of community, nature, and ultimately Creator God. And there will be a modern significance of the Jubilee Law in making progress in the direction of reviving the relationship of care and responsibility. As the basic income system challenges the fundamental limitations of the existing capitalist economic system and legal system, it is obvious that it mirrors the Jubilee Law in terms of its fundamental and reformational character of imagination. In other words, the basic income system is likely to be an attempt to systematically restore the community solidarity among members law and the relativity of ownership to shared assets of human beings, making it worthy of discussion and reflection. Of course, in the introduction of basic income,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 Jubilee Law and the Modern Law is obvious. Especially, the institutionalization of basic income does not keep pace with the existing legal system which has been established based on the rights and duties of ‘labor’, and furthermore, particularly with the work ethics of Christian Reformers that still have a profound influence to this day. This could also be a part of the difficulty of the institutional practice of the Jubilee Law. However, by thoroughly examining social and economic norms based on the Bible's genuine teachings, and by continuously seeking insights into the nature and structure of this era, I hope that we can find a direction for Christian practice. 오늘날 우리 사회가 처한 상황, 즉 실업, 부채, 빈곤, 착취 등을 보건대, 이를 타개할 영감의 원천으로서 성경의 희년법에 눈을 돌리지 않을 수 없다. 다만 이 희년법을 현실에 적용하는데 있어서 종래와는 다른 접근방식을 취함으로써, 좀 더 실효적이면서도 적실하게 우리의 법과 제도에 희년법의 이념을 구현해 나가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시점이 아닌가 생각한다. 희년법은 이스라엘의 언약공동체로 그 수범자가 제한되며, 이 법을 제정하고 이를 부여받은 제정자와 수범자의 특징, 즉 하나님과 이스라엘 언약공동체라는 관계성으로부터 그 규범의 정당성과 효력이 온전히 확보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희년법을 오로지 그 내용적 측면에서 보편화시키고자 하는 시도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으며, 그 내용과 더불어 이 규범의 전제가 되는 관계성과 공동체 책임의 원리를 함께 적용할 때 희년법의 정신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의미할 수 있는 것이다. 희년법과 근대법 사이의 접점을 모색해 보고자 한 앞서의 논의에 대한 논리적 귀결은 바로 양자 사이에서 접점을 모색할 수 있는 여지는 그리 크지 않다는 것이다. 오히려 희년법이 오늘의 세계에 주는 메시지를 생각해 보면, 그것은 바로 ‘상실된 관계성의 복원’이 아닐까 생각된다. 그 관계성은 인간이 다른 인간, 그가 속한 가족, 지역, 국가 등 다양한 층위의 공동체, 자연 등,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창조주 하나님과 맺는 전면적 관계의 총체를 가리킬 것인데, 여기에서 돌봄과 책임을 주고받는 관계성을 되살리는 방향으로의 진전이 있도록 하는 것에 희년법이 갖는 현대적 의의가 있을 것이다. 희년법은 그 제정자와 수범자, 그리고 수범자 상호간의 ‘관계성’을 전제로, 공동체적 연대, 책임, 돌봄을 규범화 혹은 제도화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비록 오늘날의 근대법이 그 전제에 있어서 희년법과 접점을 모색하기 어려울만큼 거리를 두고 있지만,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근대법에 정초한 이 시대의 병폐는 그 전제를 전복하는 것에서부터 치료가 모색되어야 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이러한 점에서 기본소득 제도는 기존의 자본주의적 경제체제와 법체계가 갖는 근본적 한계에 도전하고 있기에, 그 상상력의 근본성과 개혁성에 있어서 희년법을 투영하는 측면이 분명히 있어 보인다. 즉, 기본소득 제도는 근대법에서 간과되고 있는 구성원간 공동체적 연대성, 그리고 전인류의 공유자산에 대한 소유권의 상대성을 제도적으로 복원하는 시도가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토론과 고민의 가치가 충분하다 하겠다. 물론 기본소득의 도입에 있어서도, 희년법과 근대법 사이의 근본적 상이 혹은 충돌은 여실히 드러난다. 특히, 기본소득의 제도화는 노동의 권리와 의무를 중심으로 구축된 기존의 법체계, 특히 사회복지체계와 정합하지 않을 뿐 아니라, 오늘날까지도 기독교 윤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 종교개혁자들의 노동윤리와도 긴장이 발생한다. 이 또한 희년법의 제도적 실천이 주는 어려움의 한 가지 양상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성경의 가르침에 근거한 사회경제적 윤리 혹은 규범에 대한 철저한 연구, 동시에 이 시대의 본질과 구조에 대한 통찰을 지속적으로 추구함으로써, 기독교적 실천에 대한 방향성을 찾아나갈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법과 개발(Law and Development)과 동북아시아 발전국가론의 전개에 관한 고찰

        조혜신(趙惠信 )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法學論叢 Vol.39 No.-

        한국법에 대한 연구는 주로 실정의 법률을 단위로 여기에 국한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고, 그 목적 또한 실정법의 입법, 해석, 집행 등에 맞춰져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을 아우르면서, 과거와 현재의 법 현실과 법의 상호관계를 거시적으로 또한 학제적으로 규명해 나가는 것은 한국법의 중요한 한 축을 이루는 것이라 할 것이다. 비록 단편적인 측면이 없지 않으나 이러한 관점에서의 한국법에 대한 연구가 외국의 연구자들에 의해서 시도되어 왔다는 점은 흥미롭다. 한국의 경제적 및 정치적 발전의 성과 및 과정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된 한국법에 대한 외국의 법·정책 연구자 및 실무자들의 연구는 꽤 오래 전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법과 발전’의 관계는 ‘현재’라는 새로운 맥락에서 끊임없이 규명되어 나가야 할 문제이며, 상당한 경제적 발전에도 불구하고 또 다시 발전의 진정한 의미를 묻지 않을 수 없는 한국의 상황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특히 법과 개발에 있어서 최근의 흐름이라 할 수 있는 ‘신발전국가론(New Developmentalism)’ 은 한국법에 대한 연구에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으리라 생각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법과 개발, 그리고 그 한 흐름으로 등장하고 있는 발전국가론의 전개를 고찰하면서 그 과정에서 도출된 방법론적 통찰을 살펴보고, 각각의 이론적 전개에 있어서 한국법은 어떠한 의미로 이해되어 왔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결론으로서 그간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행착오를 통하여 도달한 새로운 의미와 방법론의 수용을 전제로, 한국법 연구의 방향성을 간략하게 제시하고자 한다. 사실 그간의 법과 개발에는 법과 발전의 관계에 관한 ‘하나의 일반적인 규준(reference)’이 있다는 방법론적 전제, 즉 ‘연역적 접근방법’을 취한 것에서 비롯된 한계를 보여 왔다. 이러한 점에서 최근의 신발전국가들에 대한 연구에서 목도되는 경향인 각론적 접근은 상당히 의미 있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법과 개발에 관한 전통적 이론들은 적어도 동북아시아의 발전국가들에 대해서만큼은 분명한 한계를 드러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법에 대한 연구도 일반적으로 일정한 결과를 산출하는 처방으로서의 과학적 이론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설명가능한 분석체계로서의 연성적(soft) 이론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는 비단 한국과 한국법의 성과를 널리 인정받기 위해서만은 아니고, 통합적·거시적 관점에서의 한국법 연구를 통하여 그간의 분절적·미시적 법학 연구의 한계를 다소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있다 하겠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는 오늘날 한국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어려운 문제들을 정확히 인식하고 대안을 찾는 데 혜안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한국이라는 고유한 맥락을 충분히 고려한 발전국가론의 전개를 위해서는 실정법을 너머서서 법현상에 대한 사회과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정치적·경제적·사회적 측면을 고루 파악하는 통합적·입체적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Study on ‘Korean Law’ is a sociological research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reality of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and law. The Korean Law has been studied since quite long ago by researchers of law and policy as well as practitioners. This paper aims to assert the need for Korean Law studies through presenting the significance from the perspective of ‘Law and Development’, and its appropriate methodology. The law and development studies has shown its methodological limitation of ‘deductive approach’ that assumes there is one general reference for the relation between law and development. Recent researches on New Developmental States, however, indicates meaningful improvement by adopting inductive and caseby-case methodology. The traditional theories of law and development seems to have failed in explaining the cases of Northeast Asian Developmental States. In this sense, Korean Law studies need to purse a soft and descriptive theory rather than a scientific and prescriptive one. Not for being praised by other countries in the world but for overcoming the limitation of segmented and microscopic legal researches, it is worthy of studying. Furthermore it could contribute in finding out the exact sources of a variety of social problems and their solutions. In order to establish Developmental States Theory that properly considers the unique context of Korea, it is needed to conduct integrated and multi-dimensional studies comprehensively covering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aspects based on social-scientific analysis.

      • KCI등재

        독일 연방카르텔청의 온라인 플랫폼 기업결합 시장획정 사례 분석

        조혜신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23 法學硏究 Vol.33 No.1

        독일 연방카르텔청은 다수의 온라인 플랫폼 기업결합 사건과 보고서에서 플랫폼 관련 시장획정에 있어서 플랫폼이 중개하는 대상, 즉 접촉 혹은 거래라는 상품이 아니라 중개서비스 그 자체에 초점을 둔다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다만 플랫폼이 제공하는 그 중개서비스로 인해 가능하게 되는 이용자간 상호작용의 구체적 내용, 즉 중개의 결과로서 이용자간 거래가 성립되는지 여부, 그리고 그렇게 성립된 거래에 플랫폼이 당사자로서 참여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여러 유형으로 분류가 가능한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플랫폼의 핵심적 기능인 ‘중개’를 중심으로 다양한 플랫폼을 유형적으로 분류하는 것은 충분히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방카르텔청은 매칭플랫폼과 관심・광고플랫폼의 유형이 분석의 출발점으로 적절하다고 판단한 것이고, 여기에 일반적인 시장획정의 기준이라 할 수 있는 ‘수요시장개념’을 적용하여 플랫폼의 중개서비스 수요에 있어서 구분되는 둘 혹은 그 이상의 이용자 그룹의 관점에서 시장획정을 전개하면 될 것이다. 플랫폼 시장획정에 있어서 고려되어야 할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바로 양방향의 간접적 네트워크 효과로 인해 두 이용자 그룹간 수요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점을 잘 드러내는 것이 매칭플랫폼 유형이고, 이 때문에 두 이용자 그룹을 하나의 시장으로 획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관심・광고플랫폼의 경우에는 두 이용자 그룹이 상호작용하는 양상과 네트워크 효과가 작동하는 방식이 이와는 상당히 다르기 때문에, 시장획정에 있어서도 두 그룹을 각각 별도의 관련시장으로 획정하는 것이 합리적일 수 있다. 경쟁법적 관점에서 플랫폼의 특질을 포착하고, 이를 바탕으로 플랫폼을 유형화한 다음에, 각각의 유형에 대한 원칙을 수립해 나가고자 하는 연방카르텔청의 시도는 규범적 판단의 체계를 수립하는 차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하지만 미국 연방대법원의 American Express 판결에서 보듯 양면시장의 개념과 이론 그 자체에 대한 이견이 여전히 존재하고, 경쟁법의 원칙을 변경할 정도로 그 이론적・정책적 확신을 획득하지는 못하였다는 점은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플랫폼 일반이 아닌, 적어도 ‘온라인’ 혹은 ‘디지털’ 플랫폼에 관한 한 기존의 경쟁법적 분석체계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려운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비록 ‘이론’을 ‘규범’으로 수용하는 것에는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나, 그간의 여러 경쟁당국의 법적용을 통해 축적된 사례들과 이를 바탕으로 정리되고 있는 경쟁당국의 심사기준들은 그 과정을 점진적으로 밟아나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점에서 본고에서 살펴본 연방카르텔청의 기업결합 심사 사례들과 이를 바탕으로 제시된 접근방법은 향후 이론적으로 혹은 정책적으로 검증해 나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충분한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경쟁법상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문제에 관한 EU 및 회원국 경쟁당국의 동향

        조혜신 한국경쟁법학회 2023 競爭法硏究 Vol.47 No.-

        It will be difficult to disagree that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sustainability has now become a goal for mankind that cannot be delayed any longer. However, it is true that the new demand for sustainability raises several difficult problems in the competition law, which has basically distinguished economic and non-economic aspects. And it seems to be a problem that has not yet appeared in Korea. However, each country's economic activities are bound to be closely influenced by each other, which leads to interaction among norms. In this respect, looking at the discussions and trends in the EU and Member States, which are dealing with sustainability issues under competition law, will mean looking ahead to our problem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Korean Competition Act, it is also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aspect that sustainability issues may highlight the limitations of the system of prohibiting cartel in Article 40. If there is an issue in Korea where environmental public interest is greatly highlighted, such as agreement to achieve sustainability purposes, it will be reviewed in the requirement of unreasonableness, and in light of previous precedents, unreasonableness is possible to be denied. There is no choice but to say that there is considerable uncertainty as of now for both competition authorities and undertakings. For EU and member competition authorities, the sustainability issue is, after all, a task to alleviate or resolve the uncertainty of law enforcement, which seems to be greater for our KFTC or operators, but never less. Overall, looking at how the EU and its Member States address the issue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we can see that they are taking a very careful approach to maintaining consistency with the ultimate objectives and systems of competition law, while boldly embracing the challenges of the new era. The question of to what extent to consider non-economic goals or interests in competition law has long been a controversial topic, and the degree of acceptance will inevitably vary depending on the country. In the EU, values from various economic and non-economic aspects have had some role in interpreting and enforcing competition laws, so there was a context to deal with sustainability issues, but this context is relatively weak in other competition legislation,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Korea. Nevertheless, sustainability issues are expected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in-depth discussions by visualizing issues latent in the existing normative system, such as cartels, merger, and abuse of market dominant position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