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조히즘의 초개인적 환상과 새로운 자연주의

        조현수(Jo, Hyunsoo)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21 철학사상 Vol.81 No.-

        마조히즘에 대한 들뢰즈의 이해는 마조히즘의 핵심 증상 중의 하나인 〈엄마에 의해 매질당한다〉는 환상에 대해 기존의 프로이트적인 이해와는 전혀 다른 이해를 제시한다. 프로이트에게 이 환상이란 마조히즘의 진정한 발생원인과 실체를 은폐하기 위해 이차적으로 덧붙여지는 파생물에 불과한 것이지만, 들뢰즈는 이 환상을 마조히즘 발생의 진정한 원인으로 놓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 환상이 이처럼 마조히즘 발생의 진정한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은, 이 환상이 분명히 개인의 주관 속에서 떠오르는 어떤 환상임에는 틀림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코 개인의 주관적인 자의에 의해서 만들어 내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이 환상은 객관적인 외부세계 속에 존재하는 어떤 것을 가리키고 있는 것이 아니라 단지 개인의 주관적인 마음속에서만 떠오르는, 말 그대로의 환상일 뿐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개인의 주관에 의해 자의적으로 꾸며내어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주관을 넘어 모든 개인들에게 공통적인 것으로 현전할 수 있는 초개인적인 환상이라는 것이다. 이와 같은 초개인적인 환상이 존재한다는 것, 이 사실은 이 환상의 원천인 우리의 무의식에 대해 새로운 이해를 갖게 만드는 것이다. 흔히 무의식은 좌절된 욕망으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것으로, 그러므로 무의식의 모든 내용은 욕망으로 환원되어 이해될 수 있는 것인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초개인적인 환상의 존재는, 무의식의 내용으로 존재하는 것 중에서 오히려 욕망보다 앞서 존재하면서 욕망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이 있다는 것을 말해 주는 것이다. 또한, 들뢰즈에 따르면, 욕망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인 이러한 무의식의 내용이란 우리의 의식의 지성적인 인식능력이 이해하고 있는 자연의 표면적인 모습 아래에, 이와 같은 의식의 관성으로부터 벗어나야지만 그 비밀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자연의 심층적인 본성이 숨어 있다는 것을 우리에게 알려 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마조히즘이라는 현상은 우리의 내면 깊은 곳으로 들어가게 되는 〈무의식으로의 퇴행〉이라는 것이 어떻게 놀랍게도 자연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자연주의〉의 길을 열어 줄 수 있는지를 보여 준다. Deleuze’s departure from Freud in understanding masochism is made possible by presenting a new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r role of the fantasy of being beaten by the mother, one of the key symptoms of masochism. For Freud, this fantasy is nothing but a derivative that is added secondary to conceal the true cause and substance of masochism, but Deleuze puts it as the true cause of masochism. The fact that this fantasy acts as a cause of masochism means that it was not something like purely imaginative. In other words, although it is true that this fantasy is something purely subjective existing only in one’s own mind, without having anything corresponding to it in the outside objective world, this fantasy is, nevertheless, not a kind of fiction arbitrarily embellished by the individual’s own imagination, but a kind of supra-individual fantasy that can be given to all individuals, regardless of their differences, as something common beyond the individual’s self-interest. The existence of such supra-individual fantasy is what brings us to a new understanding of the unconscious, the source of this fantasy. The unconscious is usually regarded as being engendered by frustrated desires, and, therefore, whatever is involved in it is presumed to be reducible to certain desires. However, the existence of such a supra-individual fantasy suggests that some of the things that are involved in the unconscious are more likely to exist prior to desire and act as a cause of desire. Additionally, according to Deleuze, this fact means that, under the superficial appearance of nature, which can be recognized by the cognitive ability of our consciousness, there lies a more profound secret of nature that only our unconscious can recognize properly. Thus, the phenomenon of masochism, provoked by the so-called 〈regression into the unconscious〉, reveals itself as demonstrating that 〈descending into the inner depth of our mind〉 can be a way for us to have a new understanding of Nature which is supposed to exist outside of us.

      • KCI등재

        자아초월주의의 세계이해-인간의 자기변형을 위한 철학-

        조현수(Jo, Hyunsoo)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20 철학사상 Vol.76 No.-

        자아초월주의란 우리가 세계의 참모습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은 우리의 의식이 이성의 수준을 넘어 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아갈 수 있을 때라는 것을 주장하는 초이성주의의 사상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자아초월주의의 사상을 학술적인 차원에서 접근하려 하는 것은, 이성을 벗어날것을 주장하는 사상의 타당성을 이성적인 방식으로 해명해야 하는 어려움을 떠안는 일이 된다. 우리는 이성에 의한 세계이해가 이성 자신으로서는 해결할 수 없는 어떤 결정적인 문제에 부딪치게 되며, 이로 인해 이성 자신의 지양을 스스로 요구하게 된다는 것을 보여 줌으로써 이 어려움을 헤쳐 나가려 한다. 이성에 의한 세계이해란 세계에 대해 그것이 말해 온 것이 구체적으로는 어떻게 바뀌어 왔든 하나의 변치 않는 근본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라고 우리는 생각한다. 이성에 의한 세계이해의 변치 않는 이 정체성을 우리는 ‘표상 패러다임’이라는 이름으로 규정한다. 우리는 이 표상 패러다임으로부터 필연적으로 ‘자아의 자율성’과 ‘세계와의 합일’이라는 두 가지 요구가 서로 배타적으로 상충하는 대립의 관계에 놓일 수밖에 없게 된다는 것을 보여 주려 하며, 둘 다 충족될 수 있어야 하건만 어느 하나만을 선택할 수밖에 없게 만드는 이 배타적인 대립의 관계가 이성이 해결할 수 없는 우리 인간의 영원한 고뇌를 만드는 것이라는 것을 이야기하려 한다. 일반적으로 낭만주의적 사조는 이성에 의해 초래되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사상인 것으로 이해된다. 하지만 낭만주의적 사조는 실은 이성이 가지고 있는 것과 똑같은 세계이해에서 벗어나지못하고 있는 것이며, 따라서 이성이 깔아준 판 위에서 이성과는 반대되는 선택을 하고 있는 것일 뿐, 이성에 의해 초래되는 이 같은 문제를 진정으로 해결해 줄 수 있는 사상이 아니라는 것을 우리는 설명하려 한다. 우리는 자아초월주의가 주장하는 ‘표상 패러다임의 극복’이 세계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어떻게 바꿔놓으며, 이러한 새로운 세계이해 속에서 어떻게 이성에 의해 초래되는 저 어려운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지를 보여 주려 한다. Transpersonalism means to say that it is not by relying on our reason, but by transcending it to accede to a higher level of consciousness, that we can get true knowledge about ourselves and the world. To advocate this transpersonalistic insistence on the necessity to go beyond reason, we want to show that what makes possible the constitution of the reason’s understanding of the world (and of ourselves) is also what causes a severe problem which reason cannot resolve by itself. We find that ‘representation paradigm’ is invariably at work in reason’s understanding of the world, no matter how much the concrete expositions of this understanding vary. The problem that we find at the heart of this representation paradigm is that it always entrains an irrevocable dilemma between the ‘autonomy of ego’ and the ‘unity with world’, of which only one could be achieved to the exclusion of the other. However, it seems that, for the accomplishment of the integrity of our life, both of them need to be satisfied equally. The authenticity of the transpersonalism would be demonstrated in the most plausible way by showing how its new understanding of the world can make it possible to overcome this dilemma caused by the representation paradigm which can not but be permanently inherent in reason’s way of understanding.

      • KCI등재

        (베르그손 철학의 관점에서 본) 의식과 무의식, 그리고 신비주의

        조현수(Jo, Hyunsoo)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21 철학사상 Vol.80 No.-

        『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에서 베르그손은 신비주의의 세계이해를 우리의 의식과 무의식 사이의 상호 관계가 재조정됨으로써 이뤄지게 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우리의 일상적 의식은 무의식의 잠재력을 외면하고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세계의 신비주의적 참모습에 눈뜨지 못한 채, 그것을 부정하거나 회의하기만 하는 과학적 · 합리주의적 세계이해의 한계 속에 갇혀 있게 되는 것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의 무의식이라는 것이 대체 어떤 것이기에, 그것이 신비주의의 세계이해와 관련된다는 것일까? 그것의 잠재력이란 대체 어떤 것이기에, 그것과 관련되어서 이뤄질 수 있는 신비주의의 세계이해라는 것이 우리의 의식과 그 지성의 능력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인 과학적 · 합리주의적 세계이해보다 세계의 참모습을 더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라고 주장할 수 있는 것일까? 무의식이 우리를 진리로 이끌어 줄 수 있는 원천이 될 수 있다는 이와 같은 생각이 무의식에 대한 프로이트적인 이해로부터 나올 수 있는 것일 가능성은 전무(全無)하다. 즉 무의식에 대한 베르그손의 이해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이 제시하는 것과는 매우 다른 것이며, 그러므로 『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에서 표방되는 신비주의의 세계이해가 정당화될 수 있는 것은 결국 무의식에 대한 이 새로운 이해가 정신분석학의 반대에 맞서 어떻게 자신을 옹호할 수 있는가에 달려 있는 것이다. 이 글은 무의식에 대한 이러한 새로운 이해가 어떤 것이며 그것이 어떻게 신비주의의 세계이해와 연결될 수 있는지를 다루는 것이다. In his last work The Two Sources of the Moraliry and religion, Bergson says that the mystic understanding of the world can be achieved only through the readjustment of the relation between the consciousness and the unconscious. He means that our ordinary state of consciousness is separated from the potential of the unconscious and that is why we are trapped in the limitations of scientific and rationalistic understanding of the world, where we are blind to the mystical truth of the world. But how is it possible that our unconscious is related to the mystic understanding of the world? What does it mean that the mystic understanding of the world, which according to Bergson is made from the resources of our unconscious, can be a better way to get the true nature of the world rather than the scientific and rationalistic understanding which our consciousness constructs by its intellectual ability?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this Bergsonian appreciation of the ability of the unconscious comes from the same understanding of the unconscious as the Freudian’s, so that we come to be able to say that to justify the mystic understanding of the world which Bergson proposes in The Two Sources of the Moraliry and religion depends on how his new conception of the unconscious can defend itself throughout the “Gone-all” controversy with psychoanalysis. Thus, the task of this paper is to show how Bergson can lead to this new conception of the unconscious and the reason this latter can develop into the mystic understanding of the world.

      • KCI등재

        다당류 친환경 지반개량재를 이용한 지반강도 증대 효과

        김선태(Kim, Suntae),도종남(Do, Jongnam),조현수(Jo, Hyunsoo),천병식(Chun, Byungsik)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1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2 No.11

        하천의 기본기능인 치수, 이수, 환경 및 문화 등을 되살리기 위한 국가적 사업인 4대강 국가하천 정비사업은 홍수에 안전한 문화 및 생태가 살아있는 친환경 하천 공간을 정비하기 위한 것으로 건설재료의 친환경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당류 친환경 개량재인 콘알파를 활용한 토양 및 시멘트 혼화제를 개발하여 다짐시험, 투수시험 및 일축압축강도시험을 통하여 친환경 하천 공간을 위한 건설재료로의 적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일축압축시험의 결과로는 다당류 지반개량재가 강도 증진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한 원인을 분석한 결과, 일반적으로 자연 상태에서 토사에 서식하고 있는 각종 균들이 본 연구에서 정확한 배합비를 얻기 위해 건조로에서 고온으로 건조를 시키는 과정에서 활동성이 극 저하되어 강도증진 효과에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다당류 친환경 지반개량재와 관련된 시험에서는 각 시료를 자연상태에서 함수비를 측정하여 적정함 수비로 다진 뒤, 다당류 지반개량재를 혼합하여 공학적 시험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To recover basic functions of river such as water control, irrigation, environment, culture, a national river improvement project, the four river restoration projects were currently planned and under construction in Korea. This project is designed to preserve cultural assets and ecosystem from flooding, for that reason,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of construction are strongly emphasized. In this study, the soil and cement admixtures are developed. And, the compaction test and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test to evaluate applicability of probiotics as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are conducted the soil and cement admixtures. As a result, the probiotic culture was not active in completely dried specimen to obtain accurate mixing proportion. It indicates that the probiotics canno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the soil and cement admixtures. A further research will focus on the effect of response between polysaccharide environmentally friendly soil stabilizer and natural specimen.

      • MobileNet 모델을 이용한 강아지 치주염 상태 분류

        황윤호(Yoonho Hwang),박해광(HaeGwang Park),조현수(Hyunsoo Jo),조준표(Junpyo Jo),이효준(Hyojun Lee),정설영(SeolYoung, Jeong) 한국정보기술학회 2022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2 No.12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을 통해 촬영된 RGB 이미지를 바탕으로 강아지의 치주염 분류를 위해 모바일 환경에서의 사용 적합한 MobileNet 기반 치주염 분류 모델을 제안한다. 촬영 수집된 강아지 치아 데이터 총 671장을 바탕으로 이미지 필터 적용 유무, 이미지 크기, 배치 사이즈, 드랍아웃 비율, 데이터셋 비율 등을 고려한 비교 실험한다. 실험에서 도출한 최고 성능 모델의 성능은 약 64.41% 예측 정확도를 달성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bileNet-based periodontitis classification model suitable for use in mobile environments for periodontitis classification of dogs based on RGB images taken through smart-phones. Based on a total of 671 dog teeth data collected and photographed, the best performance was derived through comparative experiments considering image filter application, image size, batch size, drop-out ratio, and dataset ratio, and about 64.41% prediction accuracy was achie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