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그레이스최우수논문상(부인종양학)

        조치흠 ( Chi Heum Cho ),( Hyun Gyo Lee ),( Ji Min Lee ),( So Jin Shin ),( Sang Hoon Kwon ),( Gi Su Lee ),( Chang Ho Song ),( Eun Som Choi ),( Soon Do Cha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5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대회 Vol.101 No.-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of the salinomycin in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n primary cultured human uterine leiomyoma cells. Methods: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MIT (3-(4 ,5-dimelhyllhiazol-2-yl)-2,S-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Caspase-3 activity assay and DNA fragmentation assay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apoptosis. The expression of apoptosis regulatory-related proteins was evaluated by western blot. Results: The cell viability and proliferation of uterine leiomyoma cells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salinomycin treatment in a dose-dependent manner. DNA fragmentation assay results showed apoptotic cell death after salinomycin incubation. Salinomycin activated caspase-3, -8, and -9, causing apoptosis in uterine leiomyoma cells. Down-regulation of Bcl-2, XIAP, and FLIP with a concomitant increase in Bax, Fas, and DR5 were observed. Conclusion: These results provided the first evidence that salinomycin induce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apoptosis. Therefore, salinomycin may be a promising chemopreventive and therapeutic agent against human uterine leiomyoma.

      • KCI등재

        난소 암 종에서 c-IAP2 유전자의 발현 분석

        조치흠(Chi Heum Cho),차순도(Soon Do Cha),백원기(Won Ki Baek),권건영(Kun Young Kwon),배인수(In Soo Bae)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5

        N/A Objective : Apoptosis or programmed cell death is a normally physiological cell suicide program that is highly conserved among all animals. We previously evaluated overexpression of c-IAP1(Inhibitor of Apoptosis Protein) in ovarian carcinomas compared with normal ovaries. In this study, we demonstrate evidence for the involvement of c-IAP2 in ovarian carcinomas. Methods : Fresh 9 normal ovaries, 5 benign ovarian cysts and 13 ovarian carcinomas were obtained from routine gynecologic surgeries carried out for benign and malignant ovarian tumors. They were examined for the presence of c-IAP2 by RT-PCR(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Western blot analysis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s. Results : Nine of 14 normal and benign ovarian tumors were negative and 11 of 13 ova rian carcinomas were positive for c-IAP2 by RT-PCR. Positive RT-PCR for c-IAP2 was seen in 11/13 of ovarian carcinomas, a significantly higher percentage than in normal and benign ovarian tumors(5/14). All of these tumors showed strong positive for c-IAP2 by western blot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hereas negative RT-PCR for c-IAP2 was seen in 9/14 of normal and benign ovarian tumors, a significantly higher percentage than ovarian carcinomas(2/13). Of these 9 negative samples, 6 had positive Western blot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s. There was weak concordance of the result. But expression of c-IAP2 in normal ovarian tissue was localized exclusively in the corpus luteum. Therefore, c-IAP2 may play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fate of the follicular destiny. There was no expression in normal ovarian stroma cells for c-IAP2. Conclusions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IAP2 is expressed in ovarian carcinomas and emerging role in cancer. The c-IAP2 expression has been investigated in the normal ovary, where apoptosis is thought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ovulation.

      • KCI등재

        의료수요자 중심의 통합의료모델 개발을 위한 의료전문직의 인식에 대한 연구

        정우진(Chung Woo Jin),조치흠(Cho Chi Heum),임영규(Lim Young Kyu),이현지(Lee Hyun Ji) 동양사회사상학회 2016 사회사상과 문화 Vol.19 No.1

        오늘날 한국의료시장에서 의료수요자의 다수는 양방과 한방을 모두 이용하는 의료서비스를 소비하고, 다수의 병의원이 양방과 한방의 협진을 실시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방과 한방의 통합적인 사용에 대한 의료제도와 의료정책이 미비한 관계로 의료수요자들의 혼란과 중복진료, 과잉진료의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최근에는 세계적으로 의료헤게모니를 장악했던 서구의학계가 통합의학에 대한 문제의식과 필요성에 입각한 통합의학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다. 반면 양방과 한방이 독립적인 의료체계를 가지고 각각 독립적인 발전을 이룬 한국의학계는 이러한 트렌드에 대한 즉각적인 대처에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수요자 중심의 통합의료모델을 개발하기 위해서,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의 의사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통합의학에 대한 인식, 통합의학의 필요성, 통합의학이 필요한 질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 조사는 양방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의료전문직을 조사대상자로 제한하고 있다는 점, 조사대상자의 사례 수가 한정되어 있는 점 등의 제약이 있지만, 통합의료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미를 가지고 있다. Nowadays many Koreans use both kinds of medical services which are Western medicine and Korean traditional medicine. And many hospitals provide integrated medical service. But medical care system and medical policy for integrated use of Western medicine and Korean traditional medicine is not completed. Therefore, confusion of medical consumer, duplicated diagnosis, and over treatment often occur. Lately Western medicine which occupies the medical hegemony leads the trend of integrated medicine. But because Western medicine and Korean traditional medicine has developed independently, it s very difficult that Korean medicine manages the new trend. In this paper, we have investigated the recognition for integrated medicine, the necessity of integrated medicine, the awareness of the diseases which need the treatment of integrated medicine to medical doctors and nurses of Keimyung Dongsan Medical Center. The purpose of research is to develop the integrated medical model which fits to the need of medical consumers. This research has some limitations like the restriction of pollee and the limited numbers of sample. But this research can be the basic work to develop the integrated medical model.

      • KCI등재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에 의한 자궁근종의 증식 억제

        이민용 ( Min Yong Lee ),조치흠 ( Chi Heum Cho ),권상훈 ( Sang Hoon Kwon ),송대규 ( Dae Kyu Song ),정선욱 ( Sun Wok Chung ),강형옥 ( Hyoung Ok Kang ),윤성도 ( Sung Do Yoon ),차순도 ( Soon Do Cha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6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 (SERM)은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결합하여, 조직마다 다르게 작용하여 길항이나 대항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SERM 중의 하나인 raloxifene은 여성호르몬 수용체와 nanomolar 친화력을 가지고, 조직에 따라 길항제와 대항제로 작용한다. 즉 뼈와 지질에는 에스트로겐 길항제로 작용하고, 유방과 자궁에는 대항제로 작용한다. Tamoxifen은 다른 종류의 SERM으로 길항제와 대항제의 양면성을 자궁 내막에 작용한다. 그러므로 자궁근종은 에스트로겐 의존성이므로 SERM을 이용하여 사람 자궁근종 세포에 투여함으로써 치료의 가능성을 보고자 이 연구를 계획하였다. 자궁근종과 정상 자궁 근 세포를 일차 배양하여 에스트로겐의 투여 전후의 반응을 보았으며, SERM 투여후의 반응을 MTS 및 생존세포수 계산을 하였고, 세포주기회로 및 세포자멸사를 보기 위해 FACS와 Western-blot을 시행하였다. 일차 배양된 자궁근종와 정상 자궁근 세포에서 에스트로겐과 황체호르몬 수용체의 발현을 확인하고 수용체 양성군과 음성군으로 구별하였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음성군에서는 에스트로겐을 10^-12에서 10^-6 mol/L까지 용량을 증가하면서 투여하였으나 세포의 증식은 자궁근종 세포나 정상에서는 보이지 않았다. 반대로 에스트로겐 수용체양성군에서는 에스트로겐을 용량의 증가와 투여 일수를 증가하여 세포의 증식이 용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자궁근종와 정상 자궁근 세포에 에스트로겐을 10^-6 mol/L을 6일간 투여 후 raloxifene을 10^-11에서 10^-7 mol/L까지 용량을 증가하면서 투여하여, 에스트로겐 수용체 음성군에서는 세포 증식의 억제가 거의 없었으나, 양성군에서는 증식의 억제를 관찰하였다. 같은 조건으로 tamoxifen을 10^-11에서 10^-7 mol/L까지 용량을 증가하면서 투여하여, 에스트로겐 수용체 음성군에서는 변화가 없었고, 수용체 양성군에서는 증식의 억제가 관찰되었으나 raloxifene의 증식 억제보다는 적었다. ELT-3 세포주에 tsmoxifen, raloxifene을 투여하여 효과를 비교하여, 두 약제에 모두 세포 증시 억제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ELT-3 세포를 FACS를 이용한 세포 주기회로 분석에서 어느 특정한 주기도 증가하는 것을 보이지 않았다. ELT-3 세포를 FACS를 이용한 세포 주기회로 분석에서 어느 특정한 주기도 증가하는 것을 보이지 않았다. 세포 증식의 억제가 세포자멸사와 세포 주기 회로에 관계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보았으나, 약제 투여 전이나 후의 발현의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SERM은 자궁근종의 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며, raloxifene의 억제작용이 tamoxifen보다 우수하여 raloxifene이 가임기 여성의 자궁근종의 약물 치료법에 가능성을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향후 좀더 많은 조사 군을 상대로 다양한 용량에 따른 변화를 조사하여, SERM이 자궁근종에 미치는 기전을 더 확실하게 밝혀, raloxifene이 가임기 여성의 자궁근종 약물치료 개발에 길잡이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Our purpose was to evaluate potential efficacy of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s (raloxifene and tamoxifen) to human uterine leiomyoma cells. Methods : Th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en hysterectomized specimen. we evaluated the estrogen-responsive growth of human uterine leiomyoma and normal myometrial cells. The potential efficacy of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s (SERMs: raloxifene and tamosifen) to human uterins leiomyoma cells were conducted by MTS, cell count assay and Western-blot. Results : Human uterine leiomyoma and normal myometrial cells that expressed estrogen receptor (ER) showed increases the cell number in the presence of estrogen compared with ER negative uterine leiomyoma cells. Raloxifene and tamoxifen inhibited estrogen-stimulated proliferation of ER-containing human uterine leiomyoma and normal myometrial cells. Raloxifene was more effective in inhibiting estrogen-induced increases of cell number compared with tamoxifen. Conclusion : The effect of SERMs on leiomyoma was inhibited the cell proliferation without apoptosis or cell cycle arrest. These data suggest that SERM should be examined as candidate of nonsurgical therapeutic agents for uterine leiomyoma.

      • KCI등재

        약제 치료에 저항하는 폐 전이 임신성 융모암의 폐절제술을 통한 치험 1 예

        이지민(Ji Min Lee),조치흠(Chi Heum Cho),차순도(Soon Do Cha),조상민(Sang Min Cho),권건영(Kun Young Kwon)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6

        Pulmonary metastasis occurs frequently in patients with gestational choriocarcinoma and most of these patients achieve remission with chemotherapy alone. Thus, the indications for surgical intervention are limited, but in appropriately selected patients, resection of a chemotherapy-resistant lung lesion can be curative. We have experienced that pulmonary metastatic choriocarcinoma in a drug-resistant patient was cured by pulmonary resection. So we report this case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Resveratrol에 의한 자궁근종세포의 성장억제 효과

        강보영 ( Bo Young Kang ),조치흠 ( Chi Heum Cho ),김숙현 ( Sook Hyun Kim ),신소진 ( So Jin Shin ),권상훈 ( Sang Hoon Kwon ),박준철 ( Joon Cheol Park ),이정호 ( Jeong Ho Rhee ),김종인 ( Jong In Kim ),차순도 ( Soon Do Cha ),윤성도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12

        목적: 자궁근종세포에 resveratrol을 투여한 후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치료에 유용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자궁근종으로 수술 받은 10예의 환자에서 자궁근종과 정상 자궁근 세포를 배양하였다. Resveratrol의 자궁근종세포에 대한 세포생존율을 알아보기 위해 MTS 분석을 이용하였고, 세포 주기 회로에 관계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보기 위해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다. 세포주기분석은 FACS를 이용하였다. 결과: 일차 배양된 자궁근종세포에 resveratrol을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24시간 후 100 μM/L의 농도에서 30%의 증식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식억제 효과가 증가하였다. p53 단백은 농도가 증가할수록 발현이 증가하였고, resveratrol의 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비활성 형태의 pro-caspase 3 단백질의 양적 감소와 PARP cleavage가 증가됨을 관찰하였고, pRB의 탈 인산화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Resveratrol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DNA 분절의 증가와, sub G1 주기의 지연 증가가 확인되어 세포자멸사의 양적 증거를 확인하였다. 결론: 이상으로 resveratrol이 자궁근종세포의 증식억제에 효과가 있으며, 이는 세포자멸사에 이르게 하고 세포주기와 세포자멸사에 관련된 유전자들의 발현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향후 자궁근종의 치료나 예방에 있어서 효과적인 대체 치료 약물의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Objective: To examine the effect of resveratrol on cell proliferation and cell cycle progression in the human uterine leiomyoma cells. Methods: MTS [3-(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enyl)-2H-tetrazolium] reduction assa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viability of human uterine leiomyoma cells. Western blot analysis was done using anti pRB, anti- p21cip1/waf1, anti- p53, anti- cyclin E, anti CDK2 antibodies to detect the presence and expression of these proteins in treatment with resveratrol. DNA fragmentation assay was done to find the rate of apoptosis. Cell cycle analysis for resveratrol treated in human uterine leiomyoma cells was done by FACS (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er) analysis. Results: Resveratrol induced growth inhibition in a dose dependent manner, treatment with 100 μM/L resveratrol blocked 30% cell growth. From Western blot analysis it revealed resveratrol induced the expression of p53 increasing. Caspase pathway was activated and cleavage of PARP was occurred. Apoptosis took place but in a reduced manner. FACS results showed that resveratrol increased the percentage of cells in sub G1 phase. Conclusion: Resveratrol, a dietry phytoalexin, inhibited cell proliferation and induced cell cycle arrest at sub G1 by enhancing the production of p53.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sveratrol will be a promising agent chemopreventives or therapeutics against human uterine leiomyoma cells.

      • KCI등재

        방향화효소억제제의 생식호르몬 분비와 배란유도에 대한 효과

        김숙현,김정아,박준철,배진곤,신소진,권상훈,조치흠,윤성도,차순도,김종인,이정호,Kim, Sook-Hyun,Kim, Jeong-Ah,Park, Joon-Cheol,Bae, Jin-Gon,Shin, So-Jin,Kwon, Sang-Hoon,Cho, Chi-Heum,Yoon, Sung-Do,Cha, Soon-Do,Kim, Jong-In,Rhee, Jeong-Ho 대한생식의학회 2008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5 No.2

        목 적: 방향화효소억제제가 생식호르몬 분비 양상에 미치는 영향과 무배란 여성에서의 배란유도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 연구방법: 정상 월경주기를 가진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letrozole을 투여하지 않은 주기 (대조군)와 투여한 주기 (연구군)에서 생식호르몬 혈중치를 측정하였다. 각 월경주기 3, 11, 21일에 LH, FSH, $E_2$, testosterone, DHEA-S의 혈중치를 측정하였고 각 주기 21일에는 progesterone 측정이 추가되었다. 불임의 원인이 무배란으로 진단된 환자 60명에게 크로미펜과 letrozole을 투여한 후 (각 치료 군, 30명) 배란율, 임신율, LH 분비폭발 시점, 성장 난포 수, 자궁내막 두께, 자궁경관 점액의 양과 견사성, LH 분비폭발 시점의 난포 직경 등을 측정하여 두 군 간의 임상 효과를 비교하였다. 결 과: Letrozole은 LH, FSH, $E_2$, DHEA-S 분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letrozole 투여 주기 11일째의 testosterone과 21일째의 progesterone 혈중치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상승을 보였다 ($0.40{\pm}0.16$ vs $0.28{\pm}0.11\;ng/ml$, p=0.002, $18.18{\pm}13.07$ vs $8.38{\pm}7.64\;ng/ml$, p=0.001). Letrozole과 크로미펜 군 간의 배란유도 효과에 대한비교에서 배란율, 임신율, 성장 난포 수, 배란 전 난포 직경에서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크로미펜 군과 비교할 때 letrozole 군에서 조기에 LH 분비폭발이 발생했고 ($12.12{\pm}2.46$일 vs $14.52{\pm}3.18$, p=0.006), LH 분비폭발 시점에서의 자궁내막 두께가 두꺼웠으며 ($10.48{\pm}1.23$ vs $8.52{\pm}0.93\;mm$, p=0.000), 자궁경관 점액 양이 많았고 견사성이 높았다 ($2.04{\pm}0.61$ vs $1.57{\pm}0.59$, p=0.012, $6.00{\pm}1.12$ vs $4.95{\pm}1.61\;cm$, p=0.003). 결 론: Letrozole은 정상 월경주기를 가진 여성에서 난포 성장을 촉진하고 자궁내막을 호전시키며 무배란 여성에서는 크로미펜에 필적하는 배란유도 효과가 있으며 더욱 생리적인 배란유도가 이루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omatase inhibitor on reproductive hormone profiles and evaluate it's ovulation inducing capability in anovulatory infertile women. Methods: We quantified the blood levels of reproductive hormones from 30 healthy normal cycling women in natural cycle (control) and letrozole medicated cycle (study). LH, FSH, estradiol, testosterone, DHEA-S were quantified on third, 11th, 21th day in both cycles, and on 21th day, progesterone was added. Sixth anovulatory infertile women received either letrozole or clomiphene citrate for ovulation induction (n=30 in each groups). We compared the clinical parameters such as ovulation rate, pregnancy rate, the day of LH surge, number of follicles and endometrial thickness, cervical mucus amount, spinnbarkeit, mean diameter of follicles on the day of LH surge. Results: Letrozole had no effect on the LH, FSH, estradiol, DHEA-S secretion but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 in testosterone level on day 11 and progesterone level on day 21 in letrozole medicated cycle compared than control cycle ($0.40{\pm}0.16$ vs $0.28{\pm}0.11\;ng/ml$, p=0.002, $18.18{\pm}13.07$ vs $8.38{\pm}7.64\;ng/ml$, p=0.001, respectively). In comparison between letrozole and clomiphene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vulation rate, pregnancy rate, number of mature follicle, mean diameter of follicles, but showed earlier LH surge, thicker endometrium, more cervical mucus, and higher spinnbarkeit in letrozole group ($12.12{\pm}2.46$ vs $14.52{\pm}3.18$ days, p=0.006, $10.48{\pm}1.23$ vs $8.52{\pm}0.93\;mm$, p=0.000, $2.04{\pm}0.61$ vs $1.57{\pm}0.59$, p=0.012, $6.00{\pm}1.12$ vs $4.95{\pm}1.61\;cm$, p=0.003, respectively). Conclusion: Letrozole may augment folliculogenesis and improve the endometrial condition for implantation in normal cycling women. Ovulation efficacy of letrozole in anovulatory women was comparable to clomiphene citrate and letrozole may be more physiological in ovulation ind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