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신간호사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전문직자아개념,자기통제력이 환자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 : 그릿을 매개효과로

        심은희 신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47

        Abstract Psychiatric Nurses' Attitude Toward the Mentally ill Effect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Control on Patient-Centered Nursing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grit) Shim Eun Hee Directed by Professor Yang sueng hee, Ph. D Major in Nursing Dep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of Nursing of Shinhan University This paper presents a descriptive research survey that investigates the effects on the patient-centered care of mental health nurses. Data was collected at ten mental health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n January, 2022. The minimum sample size was 157. A total of 19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given a drop rate of 20%, and 184 were returned and used in the final analysis. For measurements, the researcher used inventories on attitude toward the mentally ill,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control, grit, and patient-centered car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in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with the IBM SPSS/WIN 26.0 program.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ested through bootstrapping.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patient-centered car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care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position. As for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F=2.787, p<.05), the nurses in their forties (3.88±0.46) were relatively higher in patient-centered care than the nurses in their thirties (3.60± 0.46). As for differences according to career (F=2.658, p<.05), the nurses with a career of 20 years or longer (3.92±0.39) recorded the highest level of patient-centered care based on the comparison of simple means. These differences were, however, insignificance in the Scheffe test results. As for differences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F=4.162, p<.05), the nurses who graduated from a graduate school or higher (3.98±0.46) were relatively higher in patient-centered care than nurses who graduated from a community college (3.68±0.39). As for differences according to position, charge nurses or higher (3.93±0.39) had a higher level of patient-centered care than general nurses (3.71±0.46). 2. The study researched the effect of attitude toward the mentally ill,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control on patient-centered care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grit between them. A one-step model checked the effect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on grit as a mediating variable and had an explanatory power of 48.3% (adj R2=.475, F=56.117, p<.001). Professional self-concept (B=.848, p<.001) and self-control (B=.286, p<.001) had significant positive (+) effects on grit. A two-step model examined the effect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on patient-centered care as a dependent variable and had an explanatory power of 24.9% (adj R2=.237, F=19.940, p<.001). Professional self-concept (B=.511, p<.001) and self-control (B=.184, p<.05) had significant positive (+) effects on patient-centered care. A three-step model examined the effect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mediating variable, grit, on patient-centered care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it had an explanatory power of 27.6% (adj R2=.260, F=17.041, p<.001). Professional self-concept (B=.251, p<.001) and grit (B=.201, p<.05) had significant positive (+) effects on patient-centered care.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ttitudes toward the mentally ill did not hav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patient-centered care. Professional self-concept had direct positive impacts on it and also indirect positive impacts via grit, which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Self-control had no direct effects on patient-centered care but indirect positive effects on it via grit, which had full mediating effects. The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to enhance the grit of mental health nurses,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These findings raise a need for the mental health care environment to provide mental health nurses with various education programs to increase their persistence of continuing nursing care without getting tired for patient-centered care and boost diverse support to prevent them from losing their passion and intrinsic motivation. Keywords: attitude toward the mentally ill,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control, grit, patient-centered care 정신간호사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전문직자아개념, 자기통제력이 환자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정신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22년 1월 한 달간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한 정신병원 10곳에서 시행하였고, 최소 표본 수는 157명이었고, 탈락률20% 고려하여 190부를 배부하고 이 중 회수된 184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측정 도구는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전문직자아개념, 자기통제력, 그릿, 환자중심간호 도구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IBM SPSS/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test와 Pearson’s correlation,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중심간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나이, 경력, 최종학력, 직위 등에 따라 환자중심간호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F=2.787, p<.05)에 따른 차이는 40대(3.88±0.46)가 30대(3.60± 0.46)에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F=2.658, p<.05)에 따른 차이는 단순 평균값 비교 시 20년 이상(3.92±0.39)이 가장 높았지만 Scheffe 검정결과는 비 유의하였다. 최종학력(F=4.162, p<.05)에 따른 차이는 대학원 이상(3.98±0.46)이 전문대졸(3.68±0.39)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위에 따른 차이는 책임 이상(3.93±0.39)이 일반 간호사(3.71±0.46)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전문직자아개념, 자기통제력이 환자중심 간호에 미치는 영향과 그릿의 매개효과의 결과를 살펴보면 1단계 모형은 독립변수들이 매개변수인 그릿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모형으로 설명력은 48.3%로 나타났고(adj R2=.475, F=56.117, p<.001), 전문직자아개념(B=.848, p<.001), 자기통제력(B=.286, p<.001)이 그릿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 모형은 독립변수들이 종속변수인 환자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모형으로 설명력은 24.9%로 나타났고(adj R2=.237, F=19.940, p<.001), 전문직자아개념 (B=.511, p<.001), 자기통제력(B=.184, p<.05)이 환자중심간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단계 모형은 독립변수들과 매개변수인 그릿이 종속변수인 환자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모형으로 설명력은 27.6%로 나타났고(adj R2=.260, F=17.041, p<.001), 전문직자아개념(B=.251, p<.001), 그릿(B=.201, p<.05)이 환자중심간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는 환자중심간호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전문직자아개념은 환자중심간호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릿을 통해서도 간접적으로도 긍정적 영향을 미쳐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기통제력은 환자중심간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그릿을 통해 간접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쳐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보아 정신간호사의 그릿을 향상할 수 있는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에 정신 간호환경에서는 환자중심간호를 위해 정신간호사가 지치지 않고 간호를 이어 나갈 수 있는 끈기를 높여주는 다양한 교육을 제공하고, 열정과 내적동기를 잃지 않도록 다양한 지원을 제고 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주요개념어 :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전문직자아개념, 자기통제력, 그릿, 환자중심간호

      • 이산화탄소 나노버블을 이용한 친환경 Carbon Eating Concrete(CEC) 제조 및 특성 분석

        나병찬 신한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온실가스의 주원인으로 이산화탄소가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이를 저감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로드맵 및 관련 정책을 수립 및 추진하고 있다. 철 강, 석유화학산업과 함께 이산화탄소가 다량으로 배출되는 건설 분야에서는 콘 크리트의 주재료인 시멘트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가 배출 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저감 하고자 하였다. 그러 나 이는 일시적인 방안으로 이미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저감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더 나아가 능동적인 방안으로 콘크리트 탄산화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콘크리트 내부로 저장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콘크리트의 탄산화 양생 연구에서는 양생 챔버 내 가스 형태의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여 탄산화 반응을 통해 콘크리트 내부로 영구히 저장시키는 연구가 주 를 이루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시간적, 공간적으로 제약이 있어 최근에는 양 생 과정이 아닌 배합 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배합수를 통해 콘크리트 를 제조하는 연구가 보고되었다. 일반적인 물에 이산화탄소를 용해시킬 경우 가압 시 최대 1,400mg/L의 이산화탄소가 용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또한 감압 시 표면 밖으로 방출되어 콘크리트 배합수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압 력이 없는 조건에서 이산화탄소를 효율적으로 용해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 다. 나노버블은 200nm 이하의 직경을 지니는 버블로 높은 내부압력과 비표면 적으로 인해 독립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부상되지 않고 장기간 존재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기체 용해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다양한 연구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나노버블을 이용해 수중에 이산화탄소를 용해 시켜 콘크리트 배합수로 활용하였으며, 친환경 Carbon Eating Concrete (CEC)를 제조하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수중에 용해된 이산화탄소, 중탄산 이온, 탄산 이온이 모두 포함된 총무기탄소 농도를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분석 을 진행하였으며, 최적의 총무기탄소 농도 분석 방법을 도출하였다. 나노버블을 이용한 최적의 이산화탄소 용해 조건을 도출하기 위해 원수 유 량에 따른 회분식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실험 결과 최적의 조건은 원수 60L일 때, 이산화탄소 2L/min, 주입 시간 4시간으로 최대 2,244mg/L의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적의 총무기탄소 분석 방법으로 도출된 침전법을 통해 총무기탄소 농도를 분석한 결과 11,820mg/L로 확인되었으며, 일반수의 약 2.5배의 이산화탄소가 무기탄소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제조된 CEC의 압축강도 분석 결과 이산화탄소가 용해된 나노버블수는 일반 수(수돗물) 대비 24.06%의 압축강도가 증진되었으며, 이는 탄산화 반응으로부 터 생성된 탄산칼슘이 콘크리트의 미세 공극을 메꾸어 조직이 치밀해져 압축 강도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열중량 분석 결과 이산화탄소 나노버블수로 제조한 시편의 수산화칼슘 함량은 8.71%로 가장 낮으며, 탄산칼슘 함량은 5.99%로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수중에 존재하는 많은 양의 이산 화탄소가 수산화칼슘과 활발한 탄산화 반응이 작용하여 탄산칼슘이 더 많이 생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나노버블을 이용해 수중에 이산화탄소를 용해한다면 압력이 없는 일반적인 조건에서 성공적으로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를 용해시킬 수 있으며, 이를 콘크리트 배합 과정에 적용할 경우 탄산화 반응에 의한 콘크 리트의 압축강도 증진과 더불어 이산화탄소를 친환경적으로 저장할 수 있어 탄소중립 실천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s carbon dioxide(CO2) begins increased attention as a primary contributor to greenhouse gas emissions, countries worldwide are formulating and implementing various roadmaps and policies to mitigate its impact. Along with the steel and petrochemical industries, large amounts of carbon dioxide are emitted during the manufacture of cement, the main material of concrete, and in this process, carbon dioxide is intended to be effectively reduced. However, since this is a temporary measure and there is a limit to reducing carbon dioxide already emitted, research is actively underway to store the captured carbon dioxide inside concrete using the concrete carbonation mechanism as a more active measure. In concrete carbonation curing research, gas-type carbon dioxide in the curing chamber is injected and permanently stored inside concrete through carbonation reaction. Due to time and space limitations, a study on manufacturing concrete through mixed water in which carbon dioxide is dissolved in the mixing process rather than the curing process has recently been reported. When carbon dioxide is dissolved in general water, it is known that up to 1,400 mg/L of carbon dioxide is dissolved under pressure. In order to be released out of the surface during decompression and used as concrete water, a technology capable of efficiently dissolving carbon dioxide is required. Nano bubble are bubbles with a diameter of less than 200nm and are applied to various research fields because they can exist for a long time without floating due to high internal pressure and specific surface area. In this study, carbon dioxide is dissolved in water using nano bubble and used as concrete water to manufacture eco-friendly carbon eating concrete(CEC) and analyze its characteristics. In addition, various analyse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overall total inorganic carbon concentration containing carbon dioxide, bicarbonate ions, and carbonate ions dissolved in water, and the optimal overall carbon concentration analysis method was derived. In order to derive optimal carbon dioxide dissolution conditions using nano bubble, a batch experiment was conducted according to raw water flow rat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optimal conditions were 2L/min of carbon dioxide and up to 2,244mg/L of carbon dioxide dissolved in 4 hou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centration of total inorganic carbon through precipitation gravitational method from the optimal total inorganic carbon analysis method, it was confirmed that 11,820mg/L, and about 2.5 times more carbon dioxide than ordinary water exists in inorganic carbon form. As a result of the CEC compression strength analysis, carbon dioxide-dissolved nano bubble water is 24.06% higher than general water(tap water), which is judged to have increased compression strength as calcium carbonate formed from carbonation fills fine gaps in concrete. As a result of thermogravimetric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calcium hydroxide content of samples manufactured with carbon dioxide nano bubble water was the lowest at 8.71%, and the calcium carbonate content was the highest at 5.99%. It is judged that a large amount of carbon dioxide present in the water produced more calcium carbonate due to active carbonation reaction with calcium hydroxide. If carbon dioxide is dissolved in water using nano bubble, a large amount of carbon dioxide can be successfully dissolved under normal conditions without pressure, and if it is applied to the concrete mixing process, it can improve the compression strength of concrete by carbonation reaction and store carbon dioxide in an eco-friendly, contributing to the practice of carbon neutrality.

      • 가족기능이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강지연 신한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가족기능이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강 지 연 신한대학교 대학원 남북협력복지행정학과 본 연구는 후기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진입하는 과도기를 지나고 있는 대학생 을 대상으로, 대학생들에게 가장 중요한 발달과업인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을 확 립할 수 있도록 건강한 가족기능을 찾는 데 있다. 가족기능과 자기분화의 관계와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가족기능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고, 대학생의 안 정적인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 확립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가족기능 향상을 위 한 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경기 북부에 거주 중인 대학생 1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였으며, 자료수집은 2023년 07월 10일부터 2023년 8월 10일까지 자기 보고식 온라 인 설문조사와 대면 설문으로 진행되었고, 실제 177부 전부 분석에 활용되었다. 분석방법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내적 합치도를 산출하였고, 연구대 상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연구 변인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기술통계분석, 연구대상의 특성에 따른 연구 변인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독립표 본 t 검정과 분산분석 및 사후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변이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족기능이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에 미치 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연구 변인의 차이에서 자기분화의 하위요인인 정서 조절과 자 기효능감의 자신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교에 따른 연구 변인의 차이에서 자기효능감 전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주교와 불교가 없음보다 자기효능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님의 결혼상태에 따른 연구 변인의 차이에서 자기분화의 자기주장과 자기효능감 전체와 자기조절 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자기분화의 자기주장과 자기효능감 전체, 자기조절 효능감은 이혼/사별/기 타가 기혼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동거인에 따른 연구 변인의 차이에서 자기효능감 전체와 과제난이도 선호, 자기조절 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 전체와 과제난이도 선호, 자기조절 효능감은 친구/연인 /기타가 부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생활 수준에 따른 연구 변인의 차이에서 가족기능 전체와 가족응집성, 가족 의사소통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기능 전체 와 가족 응집성, 가족 의사소통은 부유한 편이 어려운 편보다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가족에 대한 느낌에 따른 연구 변인의 차이에서 가족기능 전체와 가족 응집성, 가족 적응성, 가족 의사소통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가족기능 전체와 가족 응집성, 가족적응성, 가족 의사소통은 매우 행복, 행복, 보통, 행복하지 않음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자기분화에서는 가족에 대한 느 낌에 따른 자기분화 전체와 자기주장, 정서 조절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분화 전체는 매우 행복이 보통과 행복하지 않음보다 높 게 나타났고 자기주장과 정서 조절은 매우 행복이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다. 자기 효능감에서는 가족에 대한 느낌에 따른 자기효능감 전체와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 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 전체,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은 매우 행복이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들이 가족에게 느 끼는 차이를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가족기능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일곱째, 가족기능이 자기분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기능은 자기분화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기능의 하위요인인 가족 응집성, 가 족 적응성, 가족 의사소통 요인 중 가족 의사소통, 가족 응집성, 가족 적응성 순으 로 자기분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가족기능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기능은 자기효능감에 유 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기능의 하위요인인 가족 응집 성, 가족 적응성, 가족 의사소통 요인 중 가족 의사소통, 가족 적응성, 가족 응집 성순으로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 결과는 가족기능이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하며,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자기효능 감 향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학문적 측면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기능을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으로 접근하여 가족기능에 관 련된 변인들의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둘째, 가족기능과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의 상관성을 실증적으로 증명 하였으며, 가족기능과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가족의사소통 의 주요한 역할이 검증되었다. 셋째, 가족기능이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에 주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 이란 가설이 검증되었으며, 따라서 가족기능을 높이기 위해 현재 시행 중인 가족 복지정책의 구체화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정책적 측면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기부터 청소년 후기인 대학생에 이르기까지 건강한 가족을 위한 교 육을 국가 정책으로 수립해야 한다. 둘째, 대학생은 미래의 가정을 이룰 예비부부로서 부부역할, 부모역할, 바람직한 자녀 교육 등을 효과적으로 수행 할 수 있도록 각 대학에 건강한 가족 구성원으 로서의 역할을 배울 수 있는 교양필수과목을 개설하여야 한다. 셋째, 가족생활 주기에 적합한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할 수 있는 다기능 종합사회복지관 설치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실천적 측면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에서는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 향상에 있어 가족기능이 중 요한 요인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교육 및 상담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자 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자기실현 교육 및 실제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다양한 형태의 가족소통방식과 차이를 연구하고, 성공적인 가족의사소통 사례를 발굴·공유하여 가족기능 향상 프로그램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복지 기관에서는 가족이 형성되기 전 혹은 초기 단계에 결혼 준비교 육, 신혼기 부부 교육, 예비 부모 교육 등의 선제적이고 보편적인 가족복지 서비 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대학생, 가족기능, 자기분화, 자기효능감 This study aims to find healthy family functions to establish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developmental tasks for college students, for college students going through a transition period from late adolescence to adulthood. This study is to confirm whether family function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 and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policies for developing programs and improving family function for stable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77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northern Gyeonggi Province, a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 self-report online survey and a face-to-face questionnaire from July 10, 2023 to August 10, 2023, and all 177 copies were actually used for analysis. The analysis method used the SPSS 25.0 program to calculate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o grasp the level of the research variable, and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to grasp the difference in research variabl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 were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research variation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family function on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The main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fidence of emotional regulation and self-efficacy, which are sub-factors of self-differentiation, in the difference in research variables according to gender. Second, in the difference in research variables according to relig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self-efficacy.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was higher than that of Catholicism and Buddhism.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lf-assertion, self-efficacy, and self-regulatory efficacy of self-differentiation in the difference in research variables according to parents' marital status. Self-assertion, overall self-efficacy, and self-regulatory efficacy of self-differentiation were higher in divorce/division/other than in married. Fourth, in the difference in research variables according to the partne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self-efficacy, preference for task difficulty, and self-regulatory efficacy. The overall self-efficacy, preference for task difficulty, and self-regulatory efficacy were higher in friends/lovers/other than parents. Fifth, in the difference in research variables according to living standard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verall family function, family cohesiveness, and family communication. The overall family function, family cohesion, and family communication were higher in the wealthy than in the difficult side. In self-differentia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assertion and emotional immersion of others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living. In terms of self-efficacy as a whole, the wealthy were higher than the average and the difficult, and the confidence was higher than the difficult, and the self-regulatory efficacy was higher than the rich. Sixth, in the difference in research variables according to feelings about fami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verall family function,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and family communication. The overall family function,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and family communication were high in the order of very happiness, happiness, normal, and not happiness. In self-differentia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verall self-differentiation, self-asser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according to feelings about family. As for the whole of self-differentiation, very happiness was higher than normal and not happy, and self-asser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were very higher than normal. In self-efficac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self-efficacy, confidence, and self-regulation efficacy according to feelings about family. In terms of overall self-efficacy, confidence, and self-regulation efficacy, happiness was very higher than normal. In one word, the difference that college students feel about their families can be defined as the difference in family function. Seventh, in the effect of the family function on self-differentiation, the family fun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self-differenti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family function,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and family communication factors, family communication,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bility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self-differentiation in order. Eighth, in the effect of family function on self-efficacy, family fun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self-efficacy. Among the sub-factors of family function,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and family communication factors, family communication, family adaptability, and family cohesion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self-efficacy in order. The above findings suggest that family func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ollege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and suggest the following to improve college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The suggestions for the academic aspec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significan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family function was examined by approaching the family function as the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family function and college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was empirically proved, and the main role of family commun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 and college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was verified. Third, the hypothesis that the family function will act as a major variable in the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was verified, and and thus the necessity of specifying the family welfare policy currently in place was confirmed to enhance the family function. The suggestions for the policy aspec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 for healthy families from infancy to late adolescent college students should be supported as a national policy. Second, college students should open mandatory liberal arts courses at each university to learn the role of healthy family members so that they can effectively carry out marital roles, parental roles, and desirable child education as a prospective couple who will form a future family.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ultifunctional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center that can develop and provide programs and services suitable for the family life cycle. The suggestions for the practical asp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ies should emphasize that family func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college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and prepare policies to provide self-realization education and practical help to increase self-efficacy. Second, it is necessary to study various types of family communication methods and differences, discover and share successful family communication cases, and use them in programs to improve family function. Third, social welfare institutions need to provide preemptive and universal family welfare services such as marriage preparation education, newlyweds education, and pre-parent education before or at the beginning of family formation. Keywords: College student, family function, self-differentiation, self-efficacy

      • 대학생 세계시민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방향성 연구

        조경아 신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살아갈 대학생 학습자들의 특성 및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여, 이를 기반으로 대학생 세계시민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세계시민교육 관련 문헌 고찰을 통해 국제기구 및 비정부기구의 세계시민교육과 현재 국내 대학의 세계시민교육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식과 이해, 기술과 능력, 가치와 태도, 참여와 실천으로 구분되는 역량의 총체적 발달을 강조하는 국제사회의 요구와 달리 전반적인 국내 대학의 세계시민교육은 지식과 이해, 가치와 태도에 집중되어 있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한국 대학생 132명을 편의 표집 방법으로 선정하여 전반적인 세계시민의식을 측정하고 유사한 연구에서 본 연구의 변인과 문항의 내용에 적합한 영국 대학생 220명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인 세계시민의식 수준에서는 한국과 영국 대학생들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보고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를 하위요인별로 구분해본 결과, 지식과 태도의 경우 한국 대학생의 평균이, 스킬과 실천의 경우 영국 대학생의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편의 표집 방법으로 선정된 대학생 132명을 대상으로 학습자의 일반적 특성 및 세계시민교육 관련 경험을 조사한 결과, 절반 이상의 연구 대상자들이 교내외에서 세계시민교육 관련 강의나 프로그램 또는 활동에 대한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포스트 코로나 시대 및 4차 산업혁명 시대 세계시민의식의 중요도 인식 수준은 각각 평균 3.93점, 4.13점이었으며, 세계시민교육을 통한 세계시민의식의 증진 기대 수준은 평균 3.72점, 필요 인식 수준은 3.79점, 교내 교과목 또는 프로그램 개설 희망 수준은 3.64점으로 나타났다. 또, 대학생 학습자의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실제 참여 의향은 잘 모르겠음이 52.3%로 가장 많았으며, 추천 의향은 있음이 65.9%로 가장 많았다. 세계시민교육의 구체적인 운영 방안, 학습 목적 및 목표, 주제 및 내용,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서는 총 회기의 경우, 8회기(39.4%), 기간의 경우에는 일주일(36.4%), 참여 인원의 경우 10명~19명(43.2%)에 대한 선호가 제일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세계시민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시민의식의 함양, 세계시민 양성 등의 보편적 차원의 목표가 아닌 지식, 기술, 태도, 실천의지와 같은 세계시민의식의 요인 및 하위요인 차원에서 구체적인 학습 목적 및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둘째, 단기간의 교육을 선호하는 학습자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콘텐츠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교과목의 경우 이론 위주의 강의 시간을 비교적 짧게 구성하고 경험적 활동 관련 콘텐츠를 추가할 수 있으며, 비교과 프로그램의 경우 학습자들의 요구에 따라 단기간 프로그램을 구성하되 기존 교과와 연계된 현장실습 위주의 콘텐츠로 구성할 수 있다. 셋째, 기존의 세계시민교육에서 주로 다뤄왔던 주제 외에 경제성장과 일자리, 물과 위생설비 새로운 학습 주제에 대한 콘텐츠 개발을 통해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학습자들의 관심이 제고해야 한다. 넷째,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추구하는 세계시민교육에서는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who are going to live in the post-COVID-19 era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to analyze their perceptions and needs about global citizenship to find the directions of content developmen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literature review of the study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emphasized the overall development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skills and ability, values and attitudes, and participation and practice. However, most Korean colleges tended to focus on only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nd values and attitude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overall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etween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and the U.K. On the other hand, the average level of knowledge and attitud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Korea and the average level of skills and practi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K. Third,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learners about global citizenship were analyzed. As a result, more than half of them had no experience in lectures, programs, or activities related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and out of college. The perception level of importance of global citizenship in the post-COVID-19 era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was 3.93 and 4.13. The average level of expectation to promote global citizenship by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as 3.72, the average perception level of needs was 3.29, and the level of hope for lectures or programs in their college was 3.64. For the actual intention to participate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answer “I don’t know” was 52.3%, and for the intention to recommend, the answer “Yes” was 65.9%. Regarding the specific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8 sessions(39.4%), 1 week course(36.4%), and 10 to 19 students in a class(43.2%) was preferr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exploring the directions of the contents developmen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undergraduate students is as follows: First, more specific learning purposes and goals need to be set at the level of factors and sub-factor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econd, the contents reflecting the learner’s needs who prefer short-term education are necessary. Third, the contents with more new and various topics need to be developed. Fourth, becaus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ursues learner-centered education, it is needed to apply various instructional methods.

      • 감각통합 교육 실습 경험이 아동 작업치료사의 임상적응에 미치는 영향

        최하얀 신한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감각통합 교육 실습 경험이 아동 작업치료사의 임상적응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임상에서 감각통합중재를 사용하는 아동 작업치료사의 감각통합 교육 실습 경험이 임상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전국의 감각통합중재를 제공하는 기관에서 감각통합 중재 경력이 있는 아동 작업치료사 223명으로, 2023년 10월 9일부터 10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7.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Cronbach's α 계수 산출, Pearson의 적률 상관 계수 산출,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적응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최종 학력(F=6.562, p<.01), 근무기관(F=6.562, p<.05), 중재 경력(F=5.727, p<.001)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석사가 학사보다 임상적응 수준이 높았으며, 대체로 중재 경력이 높을수록 임상적응 수준이 높았다. 둘째, 실습 경험 여부에 따른 임상적응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먼저 실습 경험 여부에 따라 임상적응 차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t=4.264, p<.001), 실습 경험이 있는 집단이 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임상적응 수준이 더 높았다. 현장실습 경험 여부에 따라서도 임상적응 차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t=3.477, p<.001), 현장실습을 경험한 집단이 현장실습을 경험하지 않은 집단보다 임상적응 수준이 더 높았다. 감각통합 실습 과목 이수 여부에 따라서도 임상적응 차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t=4.264, p<.001). 실습 과목을 이수한 집단이 이수하지 않은 집단보다 임상적응 수준이 더 높았다. 또한 실습 과목을 이수한 집단 중 현장실습 형태로 교과목을 이수했는지 여부에 따라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t=4.369, p<.001), 현장실습 형태로 과목을 이수한 집단의 임상적응 수준이 더 높았다. 결론적으로 감각통합중재를 사용하는 아동 작업치료사의 임상적응에 실습 경험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실습 경험 여부에 따라 임상적응 수준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아동 작업치료사가 전문적으로 충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임상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의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Education Practice Experience on Clinical Adaptation of Child Occupational Therapi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practical experience of sensory integration education of child occupational therapists using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in clinical practice affects clinical adapt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3 occupational therapists for children with experience in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at institutions nationwide, and a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9 to October 31, 2023.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Pearson's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7.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in clinical adapta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F=6.562, p<.01), working institution (F=6.562, p<.05), and intervention experience (F=5.727, p<.001). The master's degree of clinical adapt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bachelor's degree, and the higher the intervention experience, the higher the level of clinical adaptation.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in clinical adaptation according to the practice experienc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fference in clinical adaptation according to the practice experience (t=4.264, p<.001), and the group with practice experience had a higher level of clinical adaptation than the group without experience.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fference in clinical adaptation according to the field experience (t=3.477, p<.001), and the group who experienced field practice had a higher level of clinical adaptation than the group who did not experience field practice.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fference in clinical adaptation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sensory integration training course was completed (t=4.264, p<.001). The group who completed the practice course had a higher level of clinical adaptation than the group who did not. In addi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oup who completed the practice cours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y completed the course in the form of field practice (t=4.369, p<.001), and the level of clinical adaptation was higher in the group who completed the course in the form of field practice.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practical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linical adaptation of child occupational therapists using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and that the level of clinical adaptation varied depending on whether they had practical experience.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ways to improve clinical adaptation so that child occupational therapists can play a sufficient role professionally.

      • 수산부산물을 이용한 생활폐기물 비산재의 납 고정화에 관한 연구

        신성현 신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내 생활계 폐기물은 과거와 다르게 그 종류와 발생량이 크게 증가하였고 최근 매립지의 폐기물 반입관리 강화 및 직매립 금지 등으로 인하여 공공소각시설 등 중간처리를 통하여 감량화 후 매립시설에 최종처분된다. 소각시설의 소각량이 증가하면서 비산재의 발생량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데, 지정폐기물에 해당하는 비산재는 독성 중금속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이 유해성분이 용출되면 자연과 인간에게 악영향을 끼치므로 고형화·안정화하여 2차오염을 예방하여야 한다. 또한, 남해안을 중심으로 다량의 폐패각이 처리되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적재되어 환경오염과 악취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2022년부터 수산부산물법이 시행되었으며, 패각은 대부분 탄산칼슘(CaCO3)으로 구성되어 이를 열분해 시 천연 산화칼슘(CaO)을 얻을 수 있는데 이는 시멘트의 주성분에 해당하여 재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지정폐기물로 관리되고 있는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비산재를 대상으로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와 수산부산물을 재활용한 혼합 패각 생석회를 이용하여 고형화 처리하였다. 투입량 및 혼합비, 양생 기간 등 고형화 최적조건을 구하여 납(Pb)의 고정화 후 용출농도를 지정폐기물 기준치 미만으로 감소시켜 일반폐기물 전환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연구하였으며, 그 밖에도 압축강도, pH, 입자 상태, 경제성 및 온실가스저감 등을 확인하였으며, 연구 결과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생활폐기물 소각시설(C) 비산재는 중금속 용출 실험 시 납(Pb)이 기준치를 초과하여 지정폐기물에 해당하였으며, MSQ와 OPC를 적절한 비율로 투입하면 3:12비부터 양생 7일부터 납(Pb)이 고정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6:9비부터 양생 14일 이후 고정화되어 일반폐기물로 전환하여 최종처분이 가능하였다. 또한, 적절한 압축강도와 높은 pH, 입자상태 관찰을 통해 중금속 안정화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산부산물을 활용하여 비산재 고형화 처리 후 일반폐기물로 전환하여 최종처분 시 경제성 측면에서는 큰 효과를 보기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석회석을 대체함으로써 온실가스 저감 및 매립용량 확보 측면에서 확연한 이점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Unlike in the past, the type and amount of domestic waste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recently there has been strengthening of waste import management in landfills and the ban on direct reclamation. Due to this, domestic waste is reduced through public incineration facilities before it is finally disposed of in landfills. As the amount of incineration in incineration facilities increases, the amount of fly ash generated has also been increasing. Since fly ash, which is classified as designated wastes, contain toxic heavy metal materials, harmful ingredients can adversely affect nature and human beings if dissolved. Therefore, secondary pollution should be prevented through stabilization. In addition, around the southern coast, a large amount of waste shell has not been processed and therefore been continuously loaded, raising problems such a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odo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Fisheries By-products Act’ was implemented in 2022. Moreover, since most of the shells are composed of calcium carbonate (CaCO3), natural calcium oxide (CaO) can be obtained when pyrolyzed. This in turn can be recycled as the main component of cement. In this study, the fly ash of domestic waste incineration facilities managed as designated waste was solidified using mixed shell quicklime recycled from Portland cement and fishery by-products. The study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converting general waste by obtaining optimal solidification conditions such as input, mixing ratio, curing period, etc. and reducing the elution concentration of lead(Pb) below the designated waste standard. Besides, it looked into the compression strength, pH, states of particle, economic feasibility, and greenhouse gas redu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ly ash of domestic waste incineration facilities(C) was designated as waste because the amount of lead(Pb) exceeded the standard during the heavy metal dissolution experiment. Also, it was analyzed that for the range starting from 3:12 ratio, lead(Pb) was stabilized from 7 days of curing, and for the ones from 6:9 ratio, the stabilization took place after 14 days of curing. It was then converted into general waste for final disposal. In addition, it seems to have contributed to the stabilization of heavy metals through appropriate compressive strength, high pH, and the observation of the states of particle. In terms of economic effect, it is unlikely that there will be a significant effect in the final disposal by changing fly ash into general waste after solidifying it using by-products. However, it is believed to have a clear advantage in terms of reducing greenhouse gas and securing landfill capacity by replacing limestone.

      • IR 4.0 시대 핵심 역량 및 생애주기별 지원을 위한 대학의 교양교육 개선 방향 연구

        오충현 신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수 있는 대학이 양성해야 하는 인재의 모습과 함양시켜야 하는 미래역량을 분석하여 교양교육의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 데이터 제공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 인재상 및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교양교육에 대한 재점검을 위하여 두 개의 연구로 구성하였다. 연구1은 산업체, 대학생, 대학이 인식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새로은 인재상 및 역량 분석에 대한 연구, 연구2는 대학의 핵심역량을 반영한 교양교육에 대한 대학생 및 교원의 인식과 개선 방향 도출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1은 산업체(N=335), 대학(N=152), 학생(N=195)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2는 대학생(N=288), 교원(N=114)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자 선정은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1과 연구2의 분석에 활용된 설문 결과는 부호화 과정(coding)과 오류 검토 작업(data cleaning)을 거쳤으며, 자료처리를 위하여 SPSS 24.0을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교차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독립표본 t-검정 및 인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연구1을 통해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주체별 변인에 따라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지와 핵심역량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제시하였다. 또한, 산업 변화에 따라 인재상과 필수역량이 변화되었으며 전문적 지식을 중시하던 과거에서 의사소통 및 창의성 역량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2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교양교육의 방향과 생애주기별 지원을 위한 방향 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교원과 대학생이 생각하는 교양교육의 차이가 분명하게 나뉘는 것을 보아 교육 제공자와 수요자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었다. 또한, 앞으로의 교양교육은 생애주기별 개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의 대학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변화에 따른 조직에서 추구하는 인재상과 핵심역량이 변화함에 따라, 이를 반영하기 위한 교양 교육과정 개편 기준을 마련하고 조직 및 제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방향으로 운영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providing elementary data necessary to find innovative ways to improve liberal arts education by analyzing future competences which must be possessed by ideal college graduates who can lead the era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consists of two sub-researches to re-examine liberal arts education based on the ideal person and his/her core competencies in the era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Study 1 is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ideal person and his/her core competencies that the corporate sector, college students, and universities recognize. Study 2 is a survey of how college students and academic employees think regarding the perception and direction of competency based liberal arts education. The subjects of Study 1 consist of corporates (N=335), universities(N=152), and students(N=195) and for Study 2, students(N=288) and academic employees(N=114) are chosen as the subjects.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used to select the study subjects, and the survey results used in the analysis of Study 1 and Study 2 went through coding and data cleaning, and SPSS 24.0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As for the analysis method,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univariable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overall study are as follows. Through Study 1 of this stud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presented with respect to recogni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re competencies throughout demographic variables and variables by subject. In addition, the ideal person and core competencies have changed according to industrial changes, and communication and creativity competencies have been found to be more important than professional knowledge which was taken to be important in the past. Study 2 presen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rec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necessar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degree of support for each life cycle. Furthermore, seeing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oughts on liberal arts education of teachers and college students was clearly presented, it was possible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educational providers and consumer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future liberal arts education needs support to improve the quality of individual life across life cycle. Therefore, as the future ideals and core competencies pursued by the organization in the era of 4th revolution are changing, universities should prepare standards for reforming the liberal arts curriculum to reflect these changes and operate in a way that improves the organization and its policies.

      • 중국과 한국 대학생의 무술에 대한 인지도, 선호도 및 참여도에 관한 연구

        정치 신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cognition, participation and preference between Chinese and Korean college students on domestic martial art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cognition, participation and preference of martial arts. Explore the reasons for the same or different results, and find out ways to improve the awareness, preference and participation of martial arts in Chinese and Korean college students. To enhance college students' sense of identity, inheritance and responsibility for their traditional culture so as to protect their national culture for a long time. Literature study, questionnaire survey and mathematical statistics were used, which included 350 college students in China and South Korea. We investigated their cognition, preferences and participation of domestic martial arts and analyzed the result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zed for the relationship of cognition, preference, and engagement, and the path influence coefficients of the hypothetical model are compared. The main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1)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cognition and preference and participation between Chinese and Korean martial arts showed that the cognition between Chinese students have different martial arts, and no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2) The hypothetical model of cognition, preference and participation in domestic martial arts between Chinese and Korean college students was of good quality. The recognition of martial arts between Chinese and Korean college students has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martial arts preference; it also has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martial arts participation; martial arts cognition also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artial arts participation through martial arts preference. 3) Assumes that the path influence coefficient of the model, martial arts cognition of Chinese college students affects significantly more martial arts preference than Korean college students. The influence coefficient of martial arts participation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outh Korean college students. Korean college students have significantly higher preference on martial arts participation than Chinese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improve the martial arts cognition, preference and participation of college students from China and South Korea,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ut forward: 1) Strengthens martial arts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n China. 2) Chinese Martial arts is tailored to create a suitable program for school education. 3) Strengthens the cultural education, the cultural publicity, enhances the sense of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Chinese students, and makes the students become passive to active in the study of the martial arts. 4) Sorted out the historical development materials of South Korean martial arts. Excavate and sort out the historical materials to improve the martial arts content that is about to be lost. 5) Broadens the cognitive pathways of South Korean students. 6) Korean school education has added traditional martial arts courses in Taekwondo, wrestling and other courses. 본 연구는 무술(무예)에 대한 중국 대학생과 한국 대학생의 인지도, 참여도와 선호도의 차이점을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 한 대학생들의 무술(무예)에 대한 인지도와 참여도, 선호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방법은 문헌분석과 설문조사 그리고 수리 통계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중국과 한국의 무술(무예)에 대한 역사적 변천을 통한 발전 현황을 탐구하고, 양국의 무술에 대한 인지도 선호도 참여도 비교연구의 장단점을 분석하여, 무술(무예)에 대한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고자 한다. 자국의 무술전통문화에 대한 대학생들의 정체성과 전승의식 및 책임감을 높여 자국의 민족문화를 오래도록 보호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국과 한국의 대학생들을 각각 350명, 총 700명의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표집 방법은 비확률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이 중에서 문항에 대한 답변이 미흡하거나 불성실한 응답이라고 판단한 설문지는 제외하고, 중국 대학생 328부, 한국 대학생 318부, 총 646부가 실제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도구는 수집된 설문 자료의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SPSS 24.0을 이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을 하였고, 검증적 요인 분석을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대한 빈도분석과 설정된 각 요인의 기술통계 분석을 사용하였고, 무술(무예)에 대한 인지도 선호도, 참여도의 관계를 아모스(AMOS 24)의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과 가설 모델의 경로 영향계수로 분석하였다. 중국 대학생과 한국 대학생에 따라 인지 수준(무술 종목 인지, 무술 가치인지 및 무술인의 갖춘 덕망 인지 포함)과 선호요인(무술 기능 선호도, 무술 종목 선호도 및 무술학습 선호도 포함), 참여요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 t-검정(independent t-test)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한 양국 대학생들의 무술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도와 참여도 비교연구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중. 한 대학생의 자국 무술에 대한 인지도, 선호도와 참여도의 비교 분석결과 자국 무술에 대한 인지 차이에서는 중국 대학생과 한국 대학생의 자국 무술에 대한 인지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그 중 가치인지와 무술 수련자에 대한 품질 인지도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중국 대학생들이 한국 대학생들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중·한 대학생의 무술선호도에서는 중국 대학생이 한국 대학생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무술 기능 선호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게 나타났고, 종목 선호도와 학습영향 요인에서는 중국 대학생이 한국 대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중·한 대학생의 무술참여도를 비교한 결과 양국 대학생 무술 참여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중국 대학생과 한국 대학생의 자국 무술에 대한 인지도, 선호도, 참여도를 가설한 가설 모형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중 대학생의 무술 인지도는 무술선호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무술선호도는 무술참여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무술 인지도는 무술참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무술 인지도는 무술선호도를 통해 무술참여에도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설 모형의 경로 영향계수 대비를 분석한 결과 중국 대학생의 무술 인지가 한국 대학생보다 무술선호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중국 대학생의 무술인지도는 한국 대학생보다 참여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 대학생들은 무술선호도가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이 중국 대학생들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지속적 무술 참여의식과 활성화 방안을 분석한 결과 평생 무술 의식에서는 중국 대학생이 무술 문화추구, 무술 배우기, 에서 한국 대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활성화 방안은 중·한 대학생 모두가 무술을 생활체육 형태로 활성화하며 문화홍보를 강화하고 학교 교육, 구제 교류, 무술대회를 발전시켜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한·중 양국 대학생들의 무술 인지도, 선호도,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 제안을 제시하였다. 중국은 초, 중, 고등학교의 무술교육을 강화하고, 학교 교육을 위한 맞춤형 종목을 개발하고, 문화교육 및 문화홍보를 통해 학생들을 능동적으로 변화시켜야 한다고 제시했다. 한국은 무예 역사의 발전 자료를 정리하고 대학생들에게 무예 역사문화를 올바르게 인지하여 전통무예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학교 교육에서는 택견, 씨름 등 전통무예 과정 증설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다.

      • 소도구를 이용한 코어 안정화 운동이 운동수행력, 동적평형성 및 기능적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구강대학 여대생 중심으로

        황보강 신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의 목적은 스위스볼과 탄성 밴드 등의 소도구를 이용한 코어 안정화 운동이 여자 대학생의 운동수행력(50m달리기, 제자리멀리뛰기, 800m 달리기와 유연성테스트), 동적평형성(Y-밸런스 검사) 및 기능적 움직임(FMS검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중국 구강학원(九江学院)의 일반 여자 대학생(n=30)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실험군 15명과 대조군 15명으로 나누었다. 일반 여자 대학생의 강도 조건에 부응하기 위해 실험을 실시하기 전, 신한대학교 학원 전문가 5명이 훈련 프로그램을 테스트하고 수정했다. 실험을 실시할 때, 실험군은 총 8주 동안 주 3회, 매회 60분씩의 훈련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실험 전과 후에 각각 연구 대상자의 운동수행력, 동적평형성 및 기능적 움직임을 측정하여, 측정 데이터를 기록했다. 데이터는 반복 측정, 대응표본 T검정 및 독립표본 T검정으로 처리하였다. 8주간 스위스볼과 탄성 밴드를 이용한 코어 안정화 운동을 진행한 후, 실험군의 제자리멀리뛰기, 50m 달리기 및 유연성테스트의 성적이 각각 실험 전 73.000±4.018, 70.470±5.986, 76.200±5.797에서 실험 후 79.400±5.692, 78.400±6.926, 84.730±6.617까지 향상되었다. 실험군의 제자리멀리뛰기 지수, 50m 달리기 및 유연성테스트의 테스트 성적도 실험 후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제자리멀리뛰기 p<0.05), (50m달리기 p<0.05), (유연성테스트 p<0.05). 8주간 스위스볼과 탄성 밴드를 이용한 코어 안정화 운동을 진행한 후, 실험군의 왼쪽 다리와 오른쪽 다리의 동적평형성 능력 종합 지수는 각각 실험 전 111.330±2.637, 111.730±3.390에서 실험 후 114.400±3.460 115.470±3.270까지 향상되었다. 실험 군의 왼쪽 다리(p<0.05)와 오른쪽 다리(p<0.05)의 동적평형성 능력 종합 지수도 실험 후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향상되었다. 8주간 스위스볼과 탄성 밴드를 이용한 코어 안정화 운동을 진행한 후, 실험군은 7가지 신체 기능적 움직임 측정에서 딥 스쿼트, 허들 스텝, 회전 안정성 동작을 완성하여 질적으로 가장 크게 향상됐다. 그 다음으로 스트레이트 레그레이즈, 푸시업, 인라인 런지 3가지 신체 기능적 움직임도 현저하게 향상되었다. 그러나 어깨 가동성 동작의 질은 상슥폭이 크지 않았다. 실험 후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딥 스쿼트, 허들 스텝, 인라인 런지, 스트레이트 레그레이즈, 푸시업, 회전 안정성 6가지 동작의 질도 현저하게 향상됐다. 스위스볼과 탄성 밴드를 이용한 코어 안정성 훈련 프로그램은 일반 여자 대학생의 운동수행력, 동적평형성(Y-밸런스 검사) 및 기능적 움직임(FMS 검사)의 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여자 대학생의 운동수행력과 운동기능 학습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일반 여자 대학생들의 전반적인 운동 수준을 끌어올린다. 현재 전염병(코로나)과 대학의 체육 수업 환경을 감안하여, 일반적인 체육 수업과 대중적인 피트니스에도 스위스볼, 탄성 밴드 등의 소도구를 이용한 코어 안정화 훈련법을 적절하게 보급하는 동시에 전 국민 피트니스의 효과적인 대중화를 위해 어느 정도의 도움을 제공하기를 건의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core stability training using Swiss balls and elastic straps on physical fitness (50 m run, standing long jump, 800 m run, and sit-forward), dynamic balance ability (YBT), and body functional motion mass (FMS) of average college women. The subjects were female students (n=30) from Jiujiang University in China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15 and control group 15. Five experts from the Graduate school of Shinhan University tested and revised the training plan before the experiment to meet the demands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a 60-minute training program three times a week for a total of eight week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physical fitness, dynamic balance ability and body functional motion quality of the subjects were tested, and the measurement data were recorded. For data processing, repeated test, paired sample T test and independent sample T test were carried out. After eight weeks of core stability training with Swiss balls and elastic band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of standing long jump, 50-meter running and sitting body bending test were respectively improved from (73.000±4.018) (70.470±5.986) (76.200±5.797) before the experiment to (79.400±5.692) (78.400±6.926) (84.730±6.617) after the experiment.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test results of standing long jump, 50m running and sitting body bending in the experimental group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fter the experiment (standing long jump p=.004) (50m running p=.008) (sitting body bending p=.001). After 8 weeks of core stability training with Swiss ball and elastic band, the composite index of dynamic balance ability of left leg and right leg in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from 111.330±2.637 (111.730±3.390) before the experiment to 114.400±3.460 (115.470±3.270) after the experiment. The comprehensive index of the dynamic balance ability of the left and right legs in the experimental group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experiment for the control group (p=.030) (p=.028). After 8 weeks of core stability training with Swiss ball and elastic belt, the experimental group had the greatest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squat, jump hurdle and turn stability in seven tests of body functional motion quality. The next three body functional movements were straight leg active lifting, body control thrust and straight lunge squat, but the quality of shoulder flexibility movement was not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squatting (p=.013), jumping bar (p=.010), straight lunging squatting (p=.025), straight leg active lifting (p=.002), body control thrust (p=.016), turning stability (p=.039) The quality of six movements has also been significantly improved. The core stability training program using Swiss ball and elastic belt had a benign influence on the physical quality, dynamic balance ability and body functional movement quality of ordinary college girls, improve their physical quality and motor skill learning ability, so as to improve the overall sports level of ordinary college girls. In view of the current epidemic situation and college physical education teaching environment, it suggested that the core stability training means such as Swiss ball and elastic belt should be properly promoted in general physical education teaching and public fitness, so as to provide some help for the effective popularization of national fitness.

      • 자기 설계 중심 예술 교육이 대학생의 창의 역량 함양에 미치는 영향

        조연정 신한대학교 일반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대학의 핵심 교양인 자기 설계 중심 예술 교육을 적용하여, 대학생에게 중요시되고 있는 창의 역량의 변화에 미친 영향을 사례 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교양교육에서의 창의 역량에 대한 인식 및 수업 만족도에 대한 연구, 자기 설계 중심 예술 교육의 핵심 요소(자율성, 자기 계발, 자기 성찰, 상호존중, 개방성)에 따른 대학생의 창의 역량 함양에 효과가 있었는지를 편의 군집 표집 방법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의 4년제 S대학교에서 핵심교양 과목으로 개설된 ‘발상의 표현 기법’수업의 수강생 85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 설계 중심 예술 교육에 기반한 학습 방법이 대학생의 창의 역량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문헌 연구 및 설계, 개발, 사례를 적용한 교육 프로그램을 총 12주 동안 진행하였다. 매 차시별 학생 창작 결과물과 자신의 작품에 대한 분석 및 평가의 사례를 통해 예술적 역량이 향상되었음을 증명하였다. 둘째, 학습자는 창작활동을 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한 성찰일지와 면담을 통해 자기 설계 중심 예술 교육의 변화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마인드 맵의 사전, 사후 작업을 통해 단어의 수와 가지의 변화에서 사고 과정이 확장되었음을 확인하였고, 마인드 맵을 평가하는 세부 영역별 점수 차이에서도 사후 검사에서 평균 점수가 높고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개인 특성에 따른 창의 역량에 대한 인식 결과에서는 성별의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과 전공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생의 개인 특성에 따른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결과에서도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과 전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보고되었다. 여섯째, 자기 설계 중심 예술 교육의 선호도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대부분 학생 스스로 창의력 발상에 관련된 표현 기법을 배우고 싶어서 수업을 수강한 것으로 보아 평소 창의 예술 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자기 설계 중심 예술 교육 기반 핵심 요소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가 보고되지 않았으나, 학년에 따른 자기 설계 중심 예술 교육 기반 핵심 요소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기 설계 중심 예술 교육과 자기 계발, 자기 성찰, 개방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전공에 따른 자기 설계 중심 예술 교육의 핵심 요소들의 차이 역시 자기 설계 중심 예술 교육과 자율성, 자기 계발, 자기 성찰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보고 되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 보았을 때 자기 설계 중심 예술 교육은 학습자 스스로가 이론 수업을 학습하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창작활동을 자율적으로 진행하여 사고하는 과정을 통해,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고 직접 평가함으로써 창의 역량이 향상되었음을 사례를 통해 증명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추후 연구에서는 객관화된 정보를 얻기 위해 전국 지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인구통계학적인 측면에서의 접근 분석이 필요하며, 각 지역의 대학에서 요구하는 창의 역량에 필요한 핵심역량을 분석하여 학생들에게 교양교육으로서 예술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대학생의 창의 역량 함양을 위해 한 학기 동안의 단기간 사례 연구를 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후속 연구를 진행하여 대학의 창의 역량을 고취 시킬 수 있는 창의적 예술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구체적인 방안 마련에 대한 추가적인 제언이 필요하다. This study applied self-design-focused art education, a core liberal arts education of universities, and analyzed the effect on the change in creative competency, which is important to undergraduate students, through a case study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addition, I tried to find out whether it was effective for students' creative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core elements of self-designed-focused art education (openness, autonomy, self-development, self-reflection, and mutual respect) in liberal arts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5 students in the "Idea Expression Technique" class, which was opened as a core liberal arts course at 4-year S University in Gyeonggi-d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learning methods based on self-designed-focused art education on the creative competence of undergraduate students, an educational program applied with pre-literature research, design, development, and cases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12 weeks. It was proved that artistic competence was improved through the case of analysis and evaluation of student creative results and their works at each time. Second, the learner confirmed that the change was made due to art education focused on self-design through self-reflection diaries and interviews written based on the contents of creative activitie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thinking process was expanded in the number of words and changes in branches through the pre- and post-work of mind map, and the average score was high in the post-test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Fourth, there was no difference in gender in the results of the students' perception of creative competency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but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 and major. Fifth,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in the results of the students' perception of creativity education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ported in grades and majors. Sixth, looking at the results of self-designed focused art education, it was found that most students took classes because they wanted to learn expression techniques related to creativity ideas. Seven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core elements based on self-design art education, no meaningful differences were reported according to gender, bu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core elements based on self-design art education, self-reflection, and openness. In addition,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re elements of self-design-oriented art education according to major were also reported in self-designed-focused art education and autonomy, self-development, and self-reflection. Summarizing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was proved through examples that self-designed-focused art education improved creative abilities by creatively solving problems and directly evaluating them through the process of learning theory and autonomously conducting creative activities. Therefore, based on these results, future studies need to analyze various demographic aspects of undergraduate students nationwide to obtain objectified information, and it is expected that the core abilities required by universities in each region can be analyze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art education to students. In addition, in order to cultivate undergraduate students' creative capabilities,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direction of creative art education that can promote the university's creative capabilities through long-term follow-up studies rather than short-term case studies for a semes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