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바일 앱 기반 신체활동증진 전략과 기술… 어디까지 왔나?

        조정환(Junghwan Cho),송금주(Geumju Song),오정화(Junghwa Oh),정해권(Haekwon Chung)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6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8 No.1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개입이 가용한 근거기반의 정보들을 바탕으로 개인수준 또는 인구집단수준에서 실천되고 있다. 더불어 최근에는 모바일 환경을 기반으로 한 개입전략에 대한 관심이 학계와 시장에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이 연구는 건강증진 캠퍼스 구축의 일환으로서 모바일 앱을 활용한 신체활동증진 개입전략 연구 및 적용 기술현황을 정리하는 데 목적이 있다. 건강증진행동 모형, 모바일 기반에서의 신체활동 개입 전략, 모바일 앱의 신체활동증진 개입콘텐츠 그리고 체계적 문헌분석(SR) 수준에서 모바일 앱 적용의 평가적 연구 결과 등을 소개하였다. 최근 모바일 앱은 신체활동이 발생하는 정황(context) 인식을 기반으로 하는 설득기술의 개발 적용이 강조되고 있으며, 특히 정밀한 위치기반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신체활동 패턴 또는 프로파일을 개입전략에 활용하는 추세에 있다. 모바일 앱 적용에서는 개인 수준, 개인 간, 지역사회 또는 인구집단 수준 그리고 생태적 환경간 복잡성의 상호작용관계 이해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진보하고 있는 기술영역에서의 부담(burden)을 어떻게 최적화하느냐가 관건이다. 개인수준 정보수집의 범위와 한계, 다양한 학문영역과 현장 이해관계자의 참여와 협업 기반 확보는 모바일 앱 기반의 신체활동 개입전략의 시작이자 마지막 관문이 될 수도 있다. Based on evidence-based information, interventions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have been implemented in individual and population levels. Further academic and market areas have recently paid attention to intervention strategies using mobile de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overview existing intervention studies and technologies applied to the interventions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using mobile applications that would be a key element for building a healthy campus. This study introduces intervention strategies which are based on a health promotion model and mobile technologies and examples of intervention using mobile applications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Moreover systematic reviews that examined the effects of mobile application applied interventions also are reviewed. The current trend of mobile technologies has emphasized the application of a persuasive technology which is based on a context recognition in which physical activities occur and has utilized users’ physical activity patterns or profiles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for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strategies. When using mobile application for physical activity promotio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complex interactions within an ecological environment including intrapersonal, interpersonal, community, and population levels. Also, it is critical to optimize a burden regarding the advanced technology area. The biggest challenge for a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using mobile applications would be resolving a feasibility issue on data collecting of personal-level information and securing an involvement of multidisciplinary experts and stakeholders and their cooper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the intervention.

      • KCI등재

        한국의 대 EU 무역수지에 대한 환율 효과 분석

        조정환 ( Junghwan Cho ) 한국EU학회 2018 EU학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EU 국가 중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를 대상으로 1999년부터 2017년까지 분기별 자료를 이용하여 무역수지에 대한 환율 영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실질 환율 상승으로 인한 무역수지 개선 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공적분 검정결과, 양국 간 GDP와 실질 환율 변수는 공적분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장기균형이 성립함을 보여주었다. 오차수정모형을 통한 분석 결과로부터는 실질 환율 변수가 기대와는 다르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음(-)의 부호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격반응분석 결과에서는 독일의 경우 실질 환율 상승으로 인해 1분기 정도의 시차를 갖고 J-curve 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분산분해 결과에 의하면 실질 환율의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무역수지 자체의 영향과 양국 간 GDP가 전체 분산의 상당 부분을 설명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무역수지에 미치는 환율 변동의 영향이 제한적임을 의미하므로 국내 산업의 경쟁력 및 성장을 제고하는 정책이 장기적으로 무역수지를 개선하는데 유효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real exchange rate on trade balance using quarterly data over 1999 to 2017 for EU 4 countries: Germany, France, Italy, Netherlands, which are major trade partners with Korea. Specifically, the aim of the paper is to test whether the real depreciation of Korea’s won could improve the trade balance. Based on the cointegration test and error correction model, the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the variables of Trade balance, GDP, and real exchange rate are all cointegrated. The estimated error correction model showed that the coefficient of real exchange rate has insignificantly negative sings except for the case of Italy. Impulse- Response results showed that there exists J-curve effect only for the German case having the time lag of 1Q.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variance decomposition, and then found that the impact of real exchange rate on trade balance was minimal.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effects of real exchange rate on trade balance for EU countries could be limited. Therefore, the effective policy would be the enhancing the industrial competitiveness or the growth of domestic industry for improving trade balance in the long run.

      • KCI등재

        상업 피트니스 센터의 경쟁전략과 흡수역량, 경영성과 간의 구조관계

        조정환 ( Junghwan Cho ),조광민 ( Kwangmin Cho ),곽민석 ( Minseok Kwag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7 체육과학연구 Vol.28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상업피트니스 센터의 경쟁전략과 흡수역량, 경영성과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추가적으로 경쟁전략과 경영성과 사이에서 흡수역량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방법]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총 330명의 피트니스 센터 경영자 및 관리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최종적으로 308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이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흡수역량의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최종적으로 Ping의 2단계 접근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트니스 센터의 경쟁전략은 흡수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피트니스 센터의 경쟁전략은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흡수역량은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흡수역량은 피트니스 센터의 경쟁전략과 경영성과 사이에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위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피트니스 센터의 경영자 및 관리자들은 내부적으로 경쟁전략을 수립하고 외부의 정보를 내재화 시켜 활용할 수 있는 흡수역량을 높여 경쟁우위를 선점 하여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mpetitive strategy, absorption capacity and business performance of commercial fitness center and to confirm the control effect of absorption capacity between competitive strategy and business performance. [Methods] 330 fitness center managers and administrator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Out of 330, 308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data analysi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Finally, Ping `s two - step approach was used to verify the moderate effect of absorptive capacity.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petition strategy of fitness center has a positive effect on absorptive capacity. Second, the competition strategy of fitness center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Third, the absorptive capacity did not effect the management performance. Fourth, the absorptive capacity was found to be moderate effect between the competition strategy and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the fitness center.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fitness center managers and administrators of fitness center should set up competitive strategy internally and increase absorptive capacity to utilize external information by internalizing it.

      • KCI등재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의 개요 및 체육학 분야의 적용사례

        조정환(Junghwan Cho),송금주(Geumju Song)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5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7 No.3

        체계적인 문헌고찰은 특정 연구 질문에 대한 답을 도출하기 위해 일차연구들을 구체적인 적격 기준(eligibility criteria) 에서 검토함으로서 실증적 근거들을 종합하려는 연구방법이다. 근거들을 종합하는 과정에서 명확하고 체계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결과의 비뚤림(bias)을 최소화함으로써 제시된 문제에 대한 신뢰로운 해답을 얻고자 하는 데 있다. 과학적 근거에 기반을 둔 처치의 중요성에서 출발한 근거중심의학(evidence-based medicine)의 핵심적 연구방법이며, 오늘날에는 임상의료 보건정책뿐 아니라 사회과학 정책개발 평가에서도 주요한 연구방법으로 강조되고 있다. 최근 체육학분야에서도 근거기반의 체육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평가의 필요성이 제기된 바(조정환, 2013) 있다. 갈수록 정책의 개발과 평가에서 타당한 연구방법의 중요성이 그만큼 강조된다는 의미이다. 체육학 분야에서는 그동안 소수의 체계적 문헌고찰 사례가 보고된 바 있지만 다수 연구자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연구방법이라 여겨진다. 본 고찰의 목적은 체계적문헌고찰 수행 방법에 대한 개요를 소개하고, 코크란 그룹(Cochrane group)에서 보고한 체육학 관련 체계적 문헌고찰들을 검토하여 국내 체육학 연구자들이 좀 더 쉽게 체계적 문헌고찰을 이해하고 수행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A systematic review is a research method to review all the empirical evidence that meets pre-defined eligibility criteria to answer a particular research question and provides reliable findings via explicit and systematic research process (identification, critical appraisal, and synthesis of evidence) aimed at minimizing bias. For this reason, the systematic review has played a critical role in evidence-based medicine and also used in policy development and evaluation area of social science as a major research methodology. Recently,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nce area also has started to discuss the need of systematic review for developing and evaluating physical education programs and policies, and a few systematic reviews have been published; however, it is still unfamiliar research methodology in the majority of researchers in the are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view study is to provide a brief introduction about how to conduct systematic review and to introduce Cochrane systematic reviews with topics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nce. This review study would provide helpful information for researchers in physical eduction and sport science area, Korea to understand the methodology of systematic review.

      • KCI등재

        좌식행동 가이드라인 기준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조정환(Junghwan Cho),송금주(Geumju Song)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20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2 No.4

        신체활동부족은 좌식행동이 주 원인으로 오늘날 좌식행동 감시 및 측정 그리고 가이드라인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최근의 좌식행동 관련 선행연구를 정리하여 좌식행동 가이드라인 설정 또는 권고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최근 연구들은 가이드라인에 제시된 좌식행동 지침은 그 역학적 근거가 불충분하다는데 일치하고 있다. 총 좌식시간 뿐 아니라 좌식행동 패턴은 좌식행동과 건강위험성 연관성 평가에 중요한 요소이다. 좌식행동으로 인한 좌식시간은 주로 하루 동안 누적시간으로 측정되어 왔다. 그러나 좌식시간 총량은 같은 수준이라 할지라도 좌식행동 패턴 정보는 다를 수 있다. 좌식행동 연구에서는 좌식행동 구간(bout), 중단(break), 시간 및 순서 등에 대한 정보도 필요하다. 좌식행동의 건강 위험성에 대한 우려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향후 좌식행동 측정을 위한 평가적 연구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These days, there is a growing need for measurement, surveillance, and guidelines for sedentary behavior, which is a main cause of physical inactivity pandemic. This study reviewed updated scientific research on sedentary behavior to inform sitting time guidelines. In the current review, it was found that most existing sitting time guidelines lack sufficient epidemiological evidences. Not only duration of sitting time, but also its pattern is an important health risk factor. In many studies, sedentary time was measured as simply accumulated time of a day, despite the fact that its pattern may vary. Future studies should incorporate bouts, breaks, time, and sequence of sitting time. Because of increasing concerns about health risk of sitting time, more support and attention are needed for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sedentary behaviors.

      • KCI등재

        엘리트 선수로 가는 길, 조기 스포츠 전문화 참여의 이슈와 과제

        조정환(Cho, Junghwan),이미숙(Lee, Misook)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21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3 No.4

        조기 스포츠 전문화 길에 접어든다는 것은 스포츠 스타로서 성공확률을 높이려는 궁극적인 목표와 함께 연습 시간 확보, 적성 개발을 위한 전략이 바탕에 있다. 어린 시절부터 특정 종목에 참여한 의도적인 연습의 누적 효과가 명확하지 않은 가운데, 조기 스포츠 전문화를 위한 노력에 대하여 교육적 발달적 관점에서 부정적 효과에 대한 논의도 지속되어 왔다. 조기 스포츠 전문화 길에서는 제한적, 획일적 구조적 틀에서 반복적 의도적 연습을 강조해왔다. 미래 엘리트 선수는 개인과 개인간, 조직과 사회 문화 그리고 시간적 변화라는 복잡한 생태계 역동성 구조안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생태역학적 모형내의 유도적 훈련환경과 코칭 시스템이야말로 엘리트선수 육성에 필요한 개별화와 다양성을 최적화 할 수 있다. 엘리트 선수로가는 길은 다양한 전문 영역의 참여와 의사소통 그리고 민주적인 의사결정 방식이 가능한 조직과 훈련환경에 의해 결정된다. The idea of entering the field of early sports specialization is based on strategies to increase the likelihood of success as a sports star, by securing training time and developing aptitude. There have been arguments about the negative effects despite the lack of clear evidence of the cumulative effect of deliberate practice in specific sports from an early age. The concept of early sports specialization has emphasized repetitive deliberate practice in a limited and uniform structure. Future elite sport must be understood within the ecosystem of the intra- and interpersonal, organizational, socio-cultural, and temporal dynamics. The affordance landscape and the integrated coaching system within the dynamic ecological model can optimize the individualization and diversity necessary to develop elite athletes. The path to elite athletes is made possible by organizations and training environments that allow participation of and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disciplines in the democratic decision-making process.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의 대(對) EU 수출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조정환 ( Junghwan Cho ),윤승환 ( Seung-hwan Yoon ) 한독경상학회 2018 經商論叢 Vol.36 No.2

        EU 지역은 시장 규모가 크고 구매력이 높은 지역으로써 우리나라 수출에 있어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EU와 체결한 자유무역협정(Free Trade Agreement, FTA) 또한 이러한 전략적시장으로써의 중요성을 반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EU 28개 국가를 대상으로 1995년부터 2015년까지 패널 자료를 구축하여 한국의 對 EU 수출 결정 요인을 분석하였다. 기존 선행연구를 토대로 수출 상품 수요 지역의 소득 수준과 상대가격인 환율 변수가 포함된 수출 결정 방정식을 이용하되, EU 지역의 시장규모, 경제성장률과 우리나라와 FTA 체결 더미 변수를 포함하였고, 본 연구의 관심변수인 우리나라 제조업 경쟁력 향상이 對 EU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인구규모로 측정한 EU 지역의 시장규모, 1인당 GDP 변수로 측정한 소득변수, 그리고 경제성장률 변수는 우리나라 EU 지역 수출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는데, 시장규모가 클수록,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경제가 빠르게 성장할수록 EU 지역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본 연구의 관심변수인 우리나라 제조업 경쟁력 지수 또한 대부분의 추정 모형에서 양(+)의 계수를 갖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로 확인되어 우리나라 제조업 경쟁력 향상이 對 EU 수출을 증가시키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 제조업 경쟁력 지수가 1단위 상승할 경우 EU 지역 수출은 3.06~5.22%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독일의 평균 경쟁력 수준으로 상승할 경우에는 0.73~1.25% 증가하는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우리나라 제조업 경쟁력 향상이 對 EU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우리나라와 EU 간 FTA 체결 더미 변수는 예상과는 달리 음(-)의 부호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대부분의 모형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여주지는 못하였다. The European Union which has a huge market size and high purchasing power is a strategically important export market for Korea. The Free Trade Agreement (FTA) with the EU also reflects its importance as a strategic trade partne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exports to EU by constructing panel data from 1995 to 2015 using commodity export data to 28 countries.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we used the export equation which includes the income level of the EU and the exchange rate as a proxy for relative prices and added some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the market size of the EU, GDP growth rate, a dummy for FTA. More importantly, we tried to analyze the effect of Korea’s manufacturing industry competitiveness improvement on EU exports.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arket size of the EU proxied by the population, the income variable measured by the per capita GDP, and the GDP growth rate are the determinants of export to the EU. The larger the market, the higher the income level, the faster the growth of the EU, the more positive impact it has on the EU exports. In addition to that, Korea's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index which is a focal point in this study has also been confirmed 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a positive coefficient in most of the estimation models, showing that the improvement of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in Korea is a factor for increasing exports to the EU. Specifically, if the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index of Korea increases by one unit, exports to the EU will increase by 3.06~5.22%, and when the index increases to the average level of that of Germany, the exports will increase by 0.73~1.25%. These results show that the improvement of Korea's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exports to the EU. Contrary to expectations, the dummy variable of the FTA between Korea and the EU is negative (-), but it also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in most estimation models.

      • KCI등재

        실험동물 뇨시료의 대사체학적 분석을 위한 핵자기공명스펙트럼 패턴인식

        주현진(Hyun Jin Joo),조정환(JungHwan Cho) 대한약학회 2005 약학회지 Vol.49 No.1

        Metabonomic analysis has been recognized as a powerful approach for characterizing metabolic changes in biofluids due to toxicity disease process or environmental influence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relating metabolic changes with ¹H-NMR spectra, urine samples from Sprague-Dawley rats treated with various dietary restrictions or toxic substances (nicotine) were analysed using ¹H-NMR spectroscopy and pattern recognition techniques. Dietary restrictions-given to male rats were normal diet and high fat diet and fasting. The nicotine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D rats administered with nicotine (25 mg/kg) at the various time intervals. ¹H-NMR spectra of all urine samples were acquired at 400 MHz on a VARIAN spectrometer. To establish the presence of any intrinsic class-related patterns or clusters in each NMR data, methods of 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soft independent modeling of class analogy (SIMCA) analysis were used, and the results from these analyses were compared to each other, In all cases of dietary conditions and nicotine treatment, SIMCA analysis gave better results for the discrimination of NMR spectra of urine samples than PCA.

      • KCI등재

        한국 수출부가가치 네트워크 구조 분석

        윤승환 ( Seung-hwan Yoon ),조정환 ( Junghwan Cho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9 질서경제저널 Vol.22 No.1

        기존 총액 수출 기준 방식으로는 실제 글로벌 가치사슬 현황을 반영하지 못 하는 한계를 감안하여 본 연구는 부가가치를 기준으로 수출 시 창출하는 한국의 부가가치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와는 달리 거래비용을 고려하지 않았을 경우 과다 계상되는 문제점과 이중 계산 부분을 고려하면서 Koopman et al.(2014)이 제시한 방법론을 원용하여 수출부가가치를 최종재 및 중간재 수출에 따른 국내부가 가치, 교역상대국이 국내 수출품을 가공하여 제3국에 수출하는 경우의 국내부가가치(제3국 부가가치), 최종재 및 중간재 수출 후 국내 재반입분에 따른 환류부가가치(환류부가가치), 최종재 및 중간재 수출을 통한 해외부가가치(외국부가가치) 등으로 분해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의 수출부가가치 주요 원천이 기존 미국, 유럽, 일본에서 중국으로 바뀌었고 기타 국가들과의 부가가치 비중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함으로써 과거 일부 특정 국가들에 상대적으로 많이 의존했던 기존의 교역 패턴을 벗어나 수출 다각화를 이뤄가고 있음과 동시에 일시적인 충격이나 세계 경기 변동에 대한 유연성을 키우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분석 대상 국가 중 인도, 유럽 등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는 높은 거래비용을 지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글로벌 가치사슬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서는 한국 기업들의 수출 시 비용으로 작용할 수 있는 생산물에 대한 조세 등 거래비용을 점검할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Unlike the previous pattern of trade in which products with comparative advantage are exported, and products with comparative disadvantage are imported to the benefit of both trading partners, the structure of the global value chain is narrowing such distinction and complicating trade patterns as the trade volume of intermediate goods increases. As a result, it is becoming technically impossible to reflect the current trade pattern of each country based on gross exports (gross value terms). Therefore, this study disaggregates each country’s gross exports into various value added components and then analyzes the structure of Korea’s value added in exports.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are the World Input Output Tables (WIOT) established under the auspices of the European Commission. Referring to the methodology presented by Koopman et al. (2014), this study decomposes the value added in exports into six different parts, namely domestic value added, third-country value added, domestic value added that returns home, foreign value added, transaction costs, and double-counted terms. As a result of the breakdown of Korea's value added export network by country, year, and each value-added component, this study finds that the main source of value added in exports shifted from the US, Europe, and Japan to China, indicating that the role and importance of those countries in the global value chain have shifted. 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share of trade with other countries and moving away from historic trade patterns, which relied more heavily on major trading partners such as the US, Europe, and Japan, it has become possible for Korea to increase its flexibility and resilience against temporary external shocks and economic fluctuations. The trading network also seems to have expanded due to Korea’s export diversification strategy. The share of transaction costs incurred in Korea's trade is 11.2% ~ 12.8% during the period included in this analysis, which is the highest level except for certain countries such as India and Europe. Although transportation costs due to the physical distance from the trading partners provides a partial explanation, it seems that taxes on products a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imposed in other countries. Therefore, reducing a variety of taxes on products that can be costly for enterprise production output and export is desirable. Referencing advanced country levels such as the US (3.3%~4.6%) and Japan (3.2%~6.0%) can provide suit- able benchmarks. Although the phenomenon in which the higher the export volume, the lower the domestic value added is not confined to Korea, it is crucial to forming a trade relationship in which domestic value added and foreign value added can be increased simultaneously. In the short term, it would be possible to consider export subsidies through financial and tax support to industrial sectors where there is a plentiful supply of raw materials or intermediate goods. In the long term, policy should be designed to strengthen industrial competitiveness with high value-added industries and products. This study analyzes value added in Korean exports from 2000 to 2014, but future research into analyzing value added exports by specific industries such as automobile, steel, chemical, and ICT to ascertain which value added is obtained from which trading partners by what amount, including transaction costs and double-counted terms can prove valuable. If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ggested, such research will be quite meaningful as it might reveal how each country’s industry trade network is constr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