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바일 앱 기반 신체활동증진 전략과 기술… 어디까지 왔나?

        조정환(Junghwan Cho),송금주(Geumju Song),오정화(Junghwa Oh),정해권(Haekwon Chung)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6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8 No.1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개입이 가용한 근거기반의 정보들을 바탕으로 개인수준 또는 인구집단수준에서 실천되고 있다. 더불어 최근에는 모바일 환경을 기반으로 한 개입전략에 대한 관심이 학계와 시장에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이 연구는 건강증진 캠퍼스 구축의 일환으로서 모바일 앱을 활용한 신체활동증진 개입전략 연구 및 적용 기술현황을 정리하는 데 목적이 있다. 건강증진행동 모형, 모바일 기반에서의 신체활동 개입 전략, 모바일 앱의 신체활동증진 개입콘텐츠 그리고 체계적 문헌분석(SR) 수준에서 모바일 앱 적용의 평가적 연구 결과 등을 소개하였다. 최근 모바일 앱은 신체활동이 발생하는 정황(context) 인식을 기반으로 하는 설득기술의 개발 적용이 강조되고 있으며, 특히 정밀한 위치기반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신체활동 패턴 또는 프로파일을 개입전략에 활용하는 추세에 있다. 모바일 앱 적용에서는 개인 수준, 개인 간, 지역사회 또는 인구집단 수준 그리고 생태적 환경간 복잡성의 상호작용관계 이해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진보하고 있는 기술영역에서의 부담(burden)을 어떻게 최적화하느냐가 관건이다. 개인수준 정보수집의 범위와 한계, 다양한 학문영역과 현장 이해관계자의 참여와 협업 기반 확보는 모바일 앱 기반의 신체활동 개입전략의 시작이자 마지막 관문이 될 수도 있다. Based on evidence-based information, interventions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have been implemented in individual and population levels. Further academic and market areas have recently paid attention to intervention strategies using mobile de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overview existing intervention studies and technologies applied to the interventions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using mobile applications that would be a key element for building a healthy campus. This study introduces intervention strategies which are based on a health promotion model and mobile technologies and examples of intervention using mobile applications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Moreover systematic reviews that examined the effects of mobile application applied interventions also are reviewed. The current trend of mobile technologies has emphasized the application of a persuasive technology which is based on a context recognition in which physical activities occur and has utilized users’ physical activity patterns or profiles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for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strategies. When using mobile application for physical activity promotio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complex interactions within an ecological environment including intrapersonal, interpersonal, community, and population levels. Also, it is critical to optimize a burden regarding the advanced technology area. The biggest challenge for a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using mobile applications would be resolving a feasibility issue on data collecting of personal-level information and securing an involvement of multidisciplinary experts and stakeholders and their cooper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the intervention.

      • KCI등재

        좌식행동 가이드라인 기준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조정환(Junghwan Cho),송금주(Geumju Song)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20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2 No.4

        신체활동부족은 좌식행동이 주 원인으로 오늘날 좌식행동 감시 및 측정 그리고 가이드라인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최근의 좌식행동 관련 선행연구를 정리하여 좌식행동 가이드라인 설정 또는 권고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최근 연구들은 가이드라인에 제시된 좌식행동 지침은 그 역학적 근거가 불충분하다는데 일치하고 있다. 총 좌식시간 뿐 아니라 좌식행동 패턴은 좌식행동과 건강위험성 연관성 평가에 중요한 요소이다. 좌식행동으로 인한 좌식시간은 주로 하루 동안 누적시간으로 측정되어 왔다. 그러나 좌식시간 총량은 같은 수준이라 할지라도 좌식행동 패턴 정보는 다를 수 있다. 좌식행동 연구에서는 좌식행동 구간(bout), 중단(break), 시간 및 순서 등에 대한 정보도 필요하다. 좌식행동의 건강 위험성에 대한 우려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향후 좌식행동 측정을 위한 평가적 연구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These days, there is a growing need for measurement, surveillance, and guidelines for sedentary behavior, which is a main cause of physical inactivity pandemic. This study reviewed updated scientific research on sedentary behavior to inform sitting time guidelines. In the current review, it was found that most existing sitting time guidelines lack sufficient epidemiological evidences. Not only duration of sitting time, but also its pattern is an important health risk factor. In many studies, sedentary time was measured as simply accumulated time of a day, despite the fact that its pattern may vary. Future studies should incorporate bouts, breaks, time, and sequence of sitting time. Because of increasing concerns about health risk of sitting time, more support and attention are needed for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sedentary behaviors.

      • KCI등재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의 개요 및 체육학 분야의 적용사례

        조정환(Junghwan Cho),송금주(Geumju Song)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5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7 No.3

        체계적인 문헌고찰은 특정 연구 질문에 대한 답을 도출하기 위해 일차연구들을 구체적인 적격 기준(eligibility criteria) 에서 검토함으로서 실증적 근거들을 종합하려는 연구방법이다. 근거들을 종합하는 과정에서 명확하고 체계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결과의 비뚤림(bias)을 최소화함으로써 제시된 문제에 대한 신뢰로운 해답을 얻고자 하는 데 있다. 과학적 근거에 기반을 둔 처치의 중요성에서 출발한 근거중심의학(evidence-based medicine)의 핵심적 연구방법이며, 오늘날에는 임상의료 보건정책뿐 아니라 사회과학 정책개발 평가에서도 주요한 연구방법으로 강조되고 있다. 최근 체육학분야에서도 근거기반의 체육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평가의 필요성이 제기된 바(조정환, 2013) 있다. 갈수록 정책의 개발과 평가에서 타당한 연구방법의 중요성이 그만큼 강조된다는 의미이다. 체육학 분야에서는 그동안 소수의 체계적 문헌고찰 사례가 보고된 바 있지만 다수 연구자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연구방법이라 여겨진다. 본 고찰의 목적은 체계적문헌고찰 수행 방법에 대한 개요를 소개하고, 코크란 그룹(Cochrane group)에서 보고한 체육학 관련 체계적 문헌고찰들을 검토하여 국내 체육학 연구자들이 좀 더 쉽게 체계적 문헌고찰을 이해하고 수행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A systematic review is a research method to review all the empirical evidence that meets pre-defined eligibility criteria to answer a particular research question and provides reliable findings via explicit and systematic research process (identification, critical appraisal, and synthesis of evidence) aimed at minimizing bias. For this reason, the systematic review has played a critical role in evidence-based medicine and also used in policy development and evaluation area of social science as a major research methodology. Recently,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nce area also has started to discuss the need of systematic review for developing and evaluating physical education programs and policies, and a few systematic reviews have been published; however, it is still unfamiliar research methodology in the majority of researchers in the are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view study is to provide a brief introduction about how to conduct systematic review and to introduce Cochrane systematic reviews with topics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nce. This review study would provide helpful information for researchers in physical eduction and sport science area, Korea to understand the methodology of systematic review.

      • KCI등재

        뇌졸중 후 우울증의 약침치료에 대한 중의학 임상논문 연구동향

        이여경 ( Yeogyeong Lee ),강현진 ( Hyunjin Khang ),송금주 ( Geumju Song ),오지연 ( Jiyeon Oh ),김상범 ( Sangbeom Kim ),김종민 ( Jongmin Kim ),박세진 ( Sejin Park )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2021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Vol.32 No.3

        Objectives: To provide clinical evidence of pharmacopuncture treatment for post-stroke depression by reviewing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pharmacopuncture for post-stroke depression. Methods: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n pharmacopuncture treatment for post-stroke depression were searched from the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Literature searches of English and Chinese databases were performed. Selected literature was assessed with the Jadad scale. Results: Twelve papers were selected from 20 studi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Pharmacopuncture was used for post-stroke depression; 2) Dengzhan-Xixin was the most used injection medicine for post-stroke depression; 3) BaiHui (GV20) was the most used in pharmacopuncture treatment; 4) Based on the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HAMD), it was confirmed that all studies using pharmacopunture had significant efficacy. Conclusions: For the treatment of post-stroke depression, Dengzhans-Xixin was commonly used as an injectable medication. Additional research studies on pharmacopuncture including its practical use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