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OLETF 쥐에서 칠면초와 세발나물의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과

        조정용(Jeong-Yong Cho),Zhangjun Huang,박선영(Sun-Young Park),박경희(Kyung-Hee Park),배동근(Tong-Kun Pai),김소영(So-Young Kim),김행란(Haeng-Ran Kim),함경식(Kyung-Sik Ham) 한국식품과학회 2014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6 No.1

        본 연구에서는 염생식물인 칠면초와 세발나물의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OLETF쥐는 CCK-1 수용체의 결함으로 인해 인슐린 저항성을 걸쳐 제 2형 당뇨병이 유발되는데, 인슐린 저항성이 진행되는 10주령부터 28주령이 될 때까지 칠면초와 세발나물을 18주 동안 섭취시켰다. 염생식물식이군들의 체중이나 공복혈당 변화는 식이기간 동안 전반적으로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Oral glucose tolerance test에서 염생식물 섭취가 당 내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보였으나 그 혈당 변화를 면적으로 환산하였을 때 각 식이군들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혈중 insulin 및 HbA1c 수치는 유의하게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adiponectin 수치는 높고 leptin과 ghrelin 수치는 낮았으나 현저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세발나물식이군의 혈중 중성지질과 총 cholesterol 수치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낮았다. 혈중 지질산화물 함량은 각 식이군 간 유의차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염생식물식이군에서 더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NF-κB p65는 지방조직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발현량을 보였다. 또한 두 염생식물식이군에서 인슐린 신호전달의 negative regulator인 pIRS1Ser307의 발현량은 대조군에 비해 더 낮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칠면초와 세발나물은 생후 성장하면서 인슐린 저항성이 생기는 OLETF쥐의 인슐린 저항성을 현저하게 줄여주지는 못하였으나 그 개선 효과는 있는 것으로 시사되며, 두 염생식물의 급여 기간을 늘려 제 2형 당뇨병을 예방하는 효과에 대한 섬세한 검토가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We evaluated preventive effects of Suaeda japonica (SJ) and Spergularia marina Griseb (SMG) on the insulin resistance in Otsuka Long-Evans Tokushima Fatty (OLETF) rats. The 10-week old OLETF rats were fed diets containing 3% (w/w) SJ and SMG for 18 weeks. Fasting blood glucose levels in SJ and SMG groups, measured using th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wer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rats. The SMG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insulin, glycated hemoglobin,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tha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se levels were relatively lower in the SJ group than those in the control rats. The SJ and SMG groups had relatively lower protein levels of nuclear factor-kappa B (NF-κB) p65 in adipose tissue and serine phosphorylated insulin receptor substrate 1 (IRS-1) in skeletal muscle tha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SJ and SMG prevent insulin resistance and SMG in particular reduces blood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 KCI등재

        함초발효액으로부터 항산화 활성 물질의 분리 및 동정

        조정용(Jeong-Yong Cho),박선영(Sun-Young Park),신미정(Mi-Jeong Shin),고천성(Tian-Cheng Gao),문제학(Jae-Hak Moon),함경식(Kyung-Sik Ha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8

        함초발효액의 기능성 해명과 유용 기능성 성분 탐색연구의 일환으로 함초발효액으로부터 항산화 활성물질을 분리하여 구조해석 하였다. 함초발효액을 용매분획 하여 얻어진 용매분획물들 중 CHCl₃층이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그래서 CHCl₃층을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의 분자체 효과 및 흡착능의 특성을 각각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2종의 항산화 활성물질을 분리하였다. 단리한 이들 화합물을 대상으로 MS 및 NMR 분석을 통하여 cirsiumaldehyde(1)와 chrysoeriol(2)로 각각 동정하였다. 이화합물들은 ABTS<SUP>+</SUP> 및 DPPH radical-scavenging 활성을 나타냈으며, 화합물 2는 화합물 1에 비해 더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The chloroform layer of fermented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juice was found to have higher radical-scavenging activity than the other layers by the assays us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SUP>+</SUP>) radicals. Two antioxidative compounds were isolated and purified from the chloroform layer by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using the guided assay of DPPH radical scavenging. Based on mass spectrometer and nuclear magnetic resonance, the isolated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cirsiumaldehyde (1) and chrysoeriol (2). This is the first study to report the presence of those compounds in fermented glasswort juice. Compound 2 showed higher radical-scavenging activity than 1.

      • KCI등재후보

        차나무의 품종, 부위, 채취시기에 따른 향기생성 효소의 활성과 향기배당체의 함량

        정재천(Jae-Cheon Jeong),최정연(Jeong-Youn Choi),최문희(Moon-Hui Choi),손영란(Young-Lan Son),조정용(Jeong-Yong Cho),김선재(Seon-Jae Kim),문제학(Jae-Hak Moon),박근형(Keun-Hyung Park),마승진(Seung-Jin Ma) 한국차학회 2012 한국차학회지 Vol.18 No.4

        Enzymatic activities and amounts of aromatic precursors, which are related with aroma formation in fermanted tea, were indirectly measured in vanious cultivars (Korean native cultivar, Taicha No.12, Yabukita), harvest time (May, July, September), and parts (aged leaves, young leaves, stem) by means of crude enzyme assay. Enzyme activities related to aroma formation in stems and young leaves were higher than those in aged leaves. Activities in parts harvested in September and July were higher than in those harvested in May. Total amounts of aromatic precursors were higher in young leaves than those in aged leaves from each cultivar. Amounts of precursors of geraniol and methyl salicylate were much higher in each part of Taicha No.12 than those of Yabukita, although much greater amounts of benzyl alcohol and 2-phenylethanol were liberated from Yabukita.

      • SCOPUSKCI등재

        복분자(Rubus coreanus Miquel) 와인의 ethyl acetate 획분으로부터 저분자 휘발성 화합물들의 분리 및 구조해석

        조정용(Jeong-Yong Cho),김성자(Seong Ja Kim),이형재(Hyoung Jae Lee),김진영(Jin Young Kim),임익재(Ik Jae Lym),강성구(Seong-Koo Kang),박근형(Keun-Hyung Park),문제학(Jae-Hak Moon) 한국식품과학회 201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3 No.5

        복분자 와인은 복분자 열매를 발효ㆍ숙성시켜 제조한 것으로, 소비자에게 널리 음용되고 있으나 그 원재료인 복분자 열매에 대한 연구에 비해 복분자 와인에 존재하는 성분들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최근 우리는 복분자주에 함유되어 있는 화합물들의 분자 수준에서의 연구를 통하여 4-hydrox-ybenzoic acid, 3,4-dihydroxybenzoic acid, 4-(2-hydroxyethyl)-phenol, pyrocatechol, ethyl gallate 등의 5종의 저분자 페놀성 화합물을 단리ㆍ구조해석하여 보고한 바 있다. 그 연속된 연구로써 본 논문에서는 복분자주에 존재하는 성분들에 대한 추가적인 분리 및 구조해석을 행하였다. 제조된 복분자 와인(11 L, 복분자 열매 15.7kg)을 용매분획하여 얻어진 EtOAc층(56.2g)의 일부(20g)를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와 ODS-HPLC로 정제하여 5종의 화합물을 단리하였다. 이 화합물들을 대상으로 MS 및 NMR 등의 기기분석을 행한 결과, ethyl succinate(1, 13.1 mg), vanillic acid(2, 2.6 mg), ethyl 3,4-dihydroxybenzoate(3, 13. 1 mg), furan-2-ol(4, 1.3 mg), 그리고 4-(4-hydroxyphenyl) butan-2(S)-ol(5, 1.1 mg)로 동정하였다. 이 화합물들 대부분은 발효식품에서 향기 성분으로 동정된 바 있으며, 화합물 2는 복분자 열매에 존재함이 이미 보고되어 있으나, 화합물 1과 3-5는 복분자 열매 및 복분자 와인으로부터 처음으로 동정되었다. In the course of our investigation for chemical constituents in the ethyl acetate layer of Korean black raspberry wine, five compounds were isolated and purified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an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isolated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ethyl succinate (1), vanillic acid (2), ethyl 3,4-dihydroxybenzoate (3), furan-2-ol (4), and 4-(4-hydroxyphenyl)butan-2(S)-ol (5) based on the spectroscopic data of electrospray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ometry and nuclear magnetic resonance. The presence of 2 in Korean black raspberry has previously reported. However, 1 and 3-5 in Korean black raspberry and its wine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 SCOPUSKCI등재

        산마늘의 부위별 성분분석 및 생리활성 평가

        김진영(Jin Young Kim),조정용(Jeong-Yong Cho),나환식(Hwan-Sik Na),최경철(Gyeong-Cheol Choi),박종수(Jong-Soo Park),이지헌(Ji-Heon Lee),정선호(Seon-Ho Jeong),문제학(Jae-Hak Moon) 한국식품과학회 2012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4 No.1

        산마늘의 부위별(뿌리, 줄기 및 잎) 무기성분 함량과 다양한 생리활성을 평가한 결과, 부위에 관계없이 K과 Ca이 다른 무기성분에 비해 그 함량이 월등히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mg tannic acid eq./100 g dry wt.)은 잎(792.7±16.6mg) > 줄기(160.3±6.8 mg) > 뿌리(101.5±2.7 mg) 순이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mg quercetin eq./100 g dry wt.)은 잎(497.9±11.1 mg) > 뿌리(35.7±0.4 mg) > 줄기(18.5±1.4 mg) 순이었다. DPPH 라디칼(최종농도 250 μM)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을 검토한 결과, 뿌리 30 mg, 줄기 25 mg, 그리고 잎 4 mg에서 SC<SUB>50</SUB>값을 보였고, CE-OOH 생성 억제 효과는 잎 > 줄기 > 뿌리 순이었다. 그리고 부위별 항균활성 검토 결과, 뿌리, 줄기, 잎 모두 C. perfringens, S. aureus, L. monocytogenes, V. vulnificus, V. parahaemolyticus에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그 중 특히 C. perfringens 균에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Analysis of the various constituents and determina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in the different parts (root, stem, and leaf)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were carried out. Potassium and calcium were detected in higher contents (mg/100 g fresh wt.) than other minerals. The total phenolic content (mg tannic acid eq./100 g dry wt.) decreased in the order of leaves (792.7±16.6) > stems (160.3±6.8) > roots (101.5±2.7), and the total flavonoid content (mg quercetin eq./100 g dry wt.) was as follows: leaves (497.9±11.1), roots (35.7±0.4), stems (18.5±1.4).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and inhibition activity against the formation of cholesteryl ester hydroperoxide in rat blood plasma was higher in the leaves than in roots and stems. Extracts of A. victorialis separated by parts display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Clostridium perfringens,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Vibrio vulnificus, Vibrio parahaemolyticus, of which the strongest activity was against C. perfringens.

      • KCI등재후보

        효소 발효차의 발효 최고점 구명

        최윤정(Yun-Jeong Choi),한선경(Seon-Kyeng Han),문제학(Jae-Hak Moon),김선재(Seon-Jae Kim),마승진(Seung-Jin Ma),조정용(Jeong-Young Cho),신기호(Ki-Ho Shin),박근형(Keun-Hyung Park) 한국차학회 2009 한국차학회지 Vol.15 No.1

        차나무의 찻잎으로 만드는 차는 제조 공정의 발효 정도에 따라 비발효차인 녹차, 부분 발효차, 발효차(홍차)로 분류된다. 발효차는 찻잎에 함유된 효소에 의한 발효를 이용하므로 효소 발효차라 한다. 효소 발효차는 발효정도에 따라 10~65% 발효 된 것을 부분 발효차 그리고 80% 이상 발효된 것을 발효차로 정의하고 있으나 발효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분명하지 않아 효소 발효차의 발효 과정 중 성분과 색조의 변화를 모니터하여 발효도 100%에 상당하는 발효 최고점의 위치를 구명하였다. Tea is maed from leaves of Camellia sinensis (L) O.Kuntze and basically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such as non-fermented (green tea), semi-fermented and fermented tea (black tea) according to the degree of fermentation during manufacturing. Fermented teas are also called to enzymatic fermented tea in distinction from microbial fermented tea because they are produced by the action of an endogenous enzyme including polyphenol oxidase in manufacturing process. Although the fermentation degrees of semi-fermented and fermented tea were known to be 10-65% and over 80%, respectively, the scientific standard to determine the degree was not clearly reported. The changes of components and color in fermentation process of tea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standard of fermentation degree on tea. As the results, the changes of theaflavins content, hunter values and absorbance at 420 nm showed almost same trend with each other. The point shown both of highest theaflavins content and color data was suggested to be a maximum fermented point.

      • SCOPUSKCI등재

        도마의 재질별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항균효과

        김지영(Ji Young Kim),이형재(Hyoung Jae Lee),조정용(Jeong-Yong Cho),임현철(Hyun Cheol Lim),최경철(Gyeong-Cheol Choi),김두운(Duwoon Kim),박근형(Keun-Hyung Park),문제학(Jae-Hak Moon) 한국식품과학회 2012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4 No.1

        해마다 반복되는 식중독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한 접근 방법으로써 시판품의 다양한 도마(항균처리 plastic 재질 3종, 항균처리 않은 plastic재질 1종, 나무재질(홍송, 고무나무, 편백나무, 박달나무, 대나무))를 대상으로 세균성 식중독의 주요한 원인균인 Escherichia coli O157:H7, S. Typhimurium, V. vulnificus, V. cholerae, V. parahaemolyticus 및 S. aureus의 6종 미생물에 대하여 저지환 시험과 real-time PCR을 이용한 정량법을 이용하여 항균력을 평가하였다. Plastic 재질의 도마들은 E. coli O157:H7, S. Typhimurium, S. aureus의 식중독균에 대해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항균력이 표시된 도마와 표시되어있지 않은 도마들 간의 항균력 차이는 크지 않았다. 나무 재질의 도마는 V. vulnificus에 대해서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5종의 나무 재질의 도마들 중 대나무 도마는 E. coli O157:H7, S. Typhimurium, V. cholerae, V. vulnificus의 4종의 균에 대해 저지환 시험에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real-time PCR로 정량한 결과에서는 S. aureus에 대해 생육억제력을 나타내어 5종의 식중독균에 대하여 가장 광범위한 항균력을 보였다. 이는 대나무에 함유된 polyphenol과 organic acid 등의 작용으로 추측된다. 항균력이 있다고 표시된 도마에서도 시험 대상 균들 중 일부에 대해서만 항균력이 나타났으며, 재질별로 항균력에 차이가 나타났던 결과들로부터 도마에 대한 위생상의 지나친 신뢰는 큰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음을 인식하고, 조리의 최종관리자들에 의한 일상적인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chopping boards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three antibiotic plastics, a general plastic, and various woods (red pine, rubber tree, cypress, birch, and bamboo) using zone inhibition assay and real-time PCR. Wood chopping boards showed high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Vibrio vulnificus, while plastic chopping boards showed high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and Staphylococcus aureus. Bamboo chopping board among the wood chopping boards showed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five foodborne bacteria such as E. coli O157:H7, S. Typhimurium, Vibrio cholerae, and V. vulnificus. These results may be helpful in the selection of a chopping board with high antimicrobial activity and in the application of hygiene procedures for prevention of cross-contamination.

      • KCI등재후보

        제조방법의 차이에 따른 떡차의 성분학적 특성

        강진영(Jin Young Kang),조정용(Jeong-Yong Cho),김선재(Seon-Jae Kim),마승진(Seung-Jin Ma),박상규(Sang-Kyu Park),신기호(Ki-Ho Shin),김두운(Duwoon Kim),박근형(Keun-Hyung Park),문제학(Jae-Hak Moon) 한국차학회 2014 한국차학회지 Vol.20 No.1

        떡차의 제조방법의 차이에 따른 성분학적 특성을 비교하고자 일반적으로 많이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세가지 방법에 의해 떡차를 제조하여 그들의 성분 및 항산화활성을 비교하였다. 즉 시료 1은 찻잎을 채취한 직후에 증제를 행한 다음, 찧기를 하여 성형ㆍ건조하였다. 시료 2는 채취 후의 신선 찻잎을 바로 찧은 다음 성형을 하여 증제ㆍ건조하였다. 그리고 시료 3은 신선 찻잎을 위조와 유념을 거쳐 증제 후 찧기와 성형 및 건조를 행하였다. 각 시료들을 대상으로 분석을 행한 결과, 시료 2는 ascorbic acid와 tocopherol류의 함량에 있어서만 시료 1과 3에 비해 더 우수한 경향이 나타났으나, 총 catechin류, gallic acid,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 및 항산화 활성 측면에 있어서는 부정적인 결과가 관찰되었다. 그리고 총 theaflavin류의 함량에 있어서는 시료 3이 시료 1과 2에 비해 약 7-15배 더 높은 함량을 보였다. 이 결과들로부터 일반 차와 마찬가지로 떡차에 있어서도 찻잎 중의 효소의 실활 시기 및 방법에 따라 성분학적 특성이 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emical constituents in ddeok cha produced using three different manufacturing procedures were investigated. Three samples were prepared as follows: Sample 1, fresh tea shoots were steamed, pounded, shaped, dried, and stored indoors; Sample 2, fresh tea shoots were pounded, shaped, steamed, dried, and stored indoors; Sample 3, fresh tea shoots were withered, rolled (rubbed), steamed, pounded, shaped, dried, and stored indoors. Each sample was subjected to an analysis of the various constituents. The contents of ascorbic acid and tocopherols in Sample 2 showed a higher pattern than those in Samples 1 and 3.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s of total catechins, total phenolics, and gallic acid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Sample 2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Samples 1 and 3. Moreover, the content of total theaflavins in Sample 3 was approximately 7-10 times higher than those in Samples 1 and 2.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ddeok cha are dependent on the timing and method of inactivating the endogenous enzymes in tea leaves, such as green, oolong, and black tea.

      • KCI등재후보

        전남지역에서 생산되고 있는 차들의 항산화, α-Glucosidase 저해 및 항염증 활성

        김진영(Jin Young Kim),조정용(Jeong-Yong Cho),박경진(Kyung Jin Park),박숙(Sook Park),문희(Hee Moon),안양준(Yang Joon An),하훈(Hoon Ha),양수인(Soo In Yang),마승진(Seung Jin Ma),나환식(Hwan Sik Na) 한국차학회 2016 한국차학회지 Vol.22 No.2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compare antioxidative, α-glucosidase inhibitory, and anti-inflammation activities of five teas [Boseong green tea (BG), Damyang Jukro tea (DJ), Gurye yellow tea (GY), Boseong black tea (BB), and Jangheung Chungtaejeon tea (JC)] produced in Jeollanamdo. BG and JC showed higher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than the other tea samples in the in vitro assays of 1,1-diphenyl-2-picrylhydrazyl nitrite radicals. In addition, BG and JC were more effective in inhibiting α-glucosidase than GY and BB. DJ, having low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howed high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which was similar to those of BG and JC. All of the tea samples had weak cytotoxicities on macrophage RAW 264.7 cells at a concentration of 100 μg/mL. They also showe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via the sup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nitrite oxide production in LPS-induced RAW 264.7 cells, although their activities were slightly differ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tea manufacturing method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tea cultivation play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tea samples.

      • KCI등재

        자연발효 함초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박선영(Sun-Young Park),조정용(Jeong-Yong Cho),정동옥(Dong-Ok Chung),함경식(Kyung-Sik Ha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11

        본 연구는 함초를 이용한 응용제품의 하나로 자연발효된 함초발효액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초와 당을 혼합하여 2년 혹은 6년간 발효시킨 다음 여과하여 얻어진 여액을 상온에서 자연 발효시키며 함초발효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함초발효액의 당 함량은 45%내 외로 이는 당침출에 의한 제조 방법 때문이며, Na을 제외한 주요 무기질은 K, Mg 그리고 Ca으로, 그중 K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alanine, proline, aspartic acid 그리고 lysine으로, 이들 일반성분들의 발효기간 에 따른 차이는 거의 없었다.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약 50 CAE mg/100 mL이고, DPPH와 ABTS+ radical-scavenging 활성은 ascorbic acid와 거의 유사할 정도의 활성을 보였다. 또한 함초발효액은 ACE 및 α-glucosidase에 대해 서도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α-glucosidase 저해 활성 은 장기 발효된 함초발효액(LFGJ)에서 좀 더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이에 장기 발효된 함초발효액(LFGJ)을 4%의 고염식이군 실험쥐(SD rat)에 급여한 결과, 일반적인 특성은 대조군(4% 고염식이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함초발효액군 (FGJ; 4% 고염식이+2% LFGJ)의 체중증가량이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더 낮은 경향을 보였고, 포도당 내성 실험 결과, 함초발효액군(FGJ)에서 포도당 내성이 더 개선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We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lasswort juice fermented naturally for different periods of time. Glasswort juice fermented for six years (LFGJ) showed higher crude fiber and lower NaCl content than glasswort juice fermented for two years (SFGJ). Fermented glasswort juice contained K, Mg, and Ca as the main minerals, and the mineral content in both SFGJ and LFGJ were similar. The main free amino acids of fermented glasswort juice were determined to be alanine, proline, aspartic acid, and lysine. The leucine and aspartic acid content in LFGJ was higher than that in SFGJ. SFGJ had higher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than LFGJ. Fermented glasswort juice showed high ACE inhibition and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ies regardless of how long it was fermented. An oral glucose tolerance test was carried out in rats fed diets containing 4% NaCl (control) or 4% NaCl+2% LFGJ (LFGJ). The LFGJ group showed enhanced glucose tolera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