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열수전처리를 이용한 탈지미세조류로부터 발효당 생산 공정 개발

        이지현 ( Ji Hyun Lee ),신슬기 ( Seul Gi Shin ),최강훈 ( Kang Hoon Choi ),조재민 ( Jae Min Jo ),김진우 ( Jin Woo Kim ) 한국화학공학회 2016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4 No.4

        미세조류 세포벽은 셀룰로오스가 주요 구성성분으로 리그닌을 포함하지 않아 낮은 온도의 전처리 조건에서도 효과적으로 셀룰로오스와 헤미셀룰로오스 분해가 가능하다. 차세대 바이오매스로 주목 받는 미세조류(Tetraselmis KCTC12236BP)로부터 120 oC 이하의 낮은 온도 조건에서 열수전처리를 이용한 발효당 생산 증대를 위해 공정조건을 최적화하였다. 주요 공정조건인 추출온도, 황산농도와 추출시간에 따른 당화율 변화를 확인하였을 때, 온도와 황산농도가 글루코오스 생산에 큰 영향을 컸으며 당화율이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경제성을 고려한 열수전처리 최적조건은 120 oC, 2 mol 황산, 40분으로 95.9%의 당화율을 얻을 수 있었다. 탈지미세조류의 황산 열수전처리와 효소당화를 비교했을 때, 황산 열수전처리의 당화율이 2.1배 이상 높고 전처리 시간이 짧아 황산 열수전처리가 효소당화에 비해 효과적인 공정임을 확인하였다. The microalgae have cellulose as a main structural component of their cell wall and the lignin content in microalgae is much lower than other lignocellulosic biomass. Therefore, fermentable sugar production from microalgae (Tetraselmis KCTC 12236BP) can be carried out under pretreatment without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effect of hot-water pretreatment using sulfuric acid for lipid extracted algae which is expected to be a next generation biomass. The effects of three major variables including extraction temperature, acid concentration and time on the enzymatic hydrolysis were investigated. Among the tested variables, temperature and acid concentration showed significant effects and optimum pretreatment conditions for the economic operation criteria were obtained as follows: reaction temperature of 120℃, sulfuric acid concentration of 2 mol and pretreatment time of 40 min. Under the optimum conditions of acidic hot water pretreatment, experimentally obtained hydrolysis yield were 95.9% which showed about 2.1 fold higher compared with enzymatic hydrolysis process. Therefore, acid pretreatment under mild condition was proven to be an effective method for fermentable sugar production from lipid extracted microalgae.

      • 가축분뇨 차량의 이동경로 예측을 위한 GPS Data 분석

        조재민 ( Jae Min Jo ),조진석 ( Jin Seok Jo ),와카스카심 ( Waqas Qasim ),손세승 ( Se Seung Son ),김현태 ( Hyeon Tae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6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

        구제역이 빠른 속도로 전국에 확산된 주된 원인에 대한 역학조사 결과 가축, 분뇨, 사료 등을 운반하는 차량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축산차량은 일반차량보다 정확한 목적지를 가지고 이동하는 차량이기 때문에 일정한 이동패턴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 한 뒤 본 연구를 진행 하였다. 실험 데이터는 “가축이력 정보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주도 내부 농가의 등록차량 중 지속적으로 활동을 하는 차량을 랜덤으로 샘플링 한 후, 2012년도의 차량 이동패턴을 분석·예측하여 2013년도의 차량 이동패턴을 예측해 보고자 한다. 추가적으로 차량의 이동패턴을 분석·예측하기 위하여 ArcGIS Desktop 10.1(ESRI Co., CA, USA)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가축차량의 출발지점, 도착지점, 목적지가 크게 바뀌지 않을 경우, 이용하는 도로는 한정되어 있었다. 30대의 차량중 평균적으로 70% 이상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평상 시 이용하는 경로만 이용하여 분뇨를 운반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부분은 전염병 발생 시 질병의 이동경로를 파악하고 효율적인 방역범위를 설정하여 투입 인원과 장비를 줄이면서 현재보다 효율적인 방역 범위를 설정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SCOPUSKCI등재

        위장관 ; 원인 미상의 위장관 출혈에서 역동적 조영증강 다중검출 전산화단층촬영술의 임상적 유용성

        조재민 ( Jae Min Jo ),송현주 ( Hyun Joo Song ),부선진 ( Sun-jin Boo ),나수영 ( Soo-young Na ),김흥업 ( Heung Up Kim ),김승형 ( Seung Hyoung Kim ) 대한소화기학회 2016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7 No.4

        목적: 원인 미상의 위장관 출혈은 전체 위장관 출혈 환자의5%를 차지한다. 역동적 조영증강 다중검출 전산화단층촬영술은 낮은 민감도 때문에 원인 미상의 위장관 출혈에서 일반적으로 권고되지 않지만, 일부 가이드라인에 따라 쉽고 빠른 진단을 위하여 사용이 되기도 한다. 이번 연구는 원인 미상의 위장관 출혈 환자에서의 역동적 조영증강 다중검출 전산화단층촬영술의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진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3월부터 2014년 1월까지 역동적 조영증강 다중검출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시행한 362명의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총 45명의 환자들이 원인 미상의 위장관 출혈로 진단되어 연구에 포함되었다. 그들의 기저 특성과 치료과정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고, 역동적조영증강 다중검출 전산화단층촬영술의 양성률과 이와 관련된 변수들을 평가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59세였고 남성이 51.1%를 차지하였다. 흑색변이 가장 흔한 증상이었다(44.4%). 역동적 조영증강 다중검출 전산화단층촬영술의 양성률은 20.0% (9/45)였고 장관내강 조영제 일혈 5명(55.6%), 장관내강 고음영의 혈종 또는 종괴 유사성 병변이 각각 2명(22.2%)이었다. 39명의 환자(86.7%)는 보존적 치료를 받았고 6명(13.3%)의 환자는 내시경 지혈술, 색전술, 또는 수술과 같은 특정 치료를 받았다. 역동적 조영증강 다중검출 전산화단층촬영술 양성 환자들은 특정 치료를 받는 경우가 많았다(44.4% vs. 5.6%, p=0.010).결론: 역동적 조영증강 다중검출 전산화단층촬영술은 낮은 양성률(20.0%)을 보였지만, 양성 소견을 보인 경우는 특정 치료로 시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역동적 조영증강 다중검출 전산화단층촬영술의 양성 소견은 원인 미상의 위장관 출혈 환자치료에 유용한 역할을 한다. Background/Aims: Obscure gastrointestinal bleeding (OGIB) accounts for 5% of all gastrointestinal (GI) bleeding cases. Dynamic contrast-enhanced multidetector-row CT (DCE-MDCT) is not generally recommended in OGIB patients due to its low sensitivity. However, it can be used to quickly and simply diagnose OGIB according to some guidelin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of DCE-MDCT in OGIB patient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362 patients who underwent DCE-MDCT between March 2009 and January 2014. A total of 45 patients diagnosed with OGIB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ir baseline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procedure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positive rates of DCE-MDCT for the detection of bleeding and associated factors were assessed.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59 years, and males represented 51.1%. Melena was the most common symptom (44.4%). Positive rate of DCE-MDCT findings was 20.0% (9/45). Among these patients, intraluminal contrast extravasation was found in 5 patients (55.6%) and intraluminal hematoma or mass lesions were found in 2 patients each (22.2%). Thirty nine patients (86.7%) underwent conservative management, and 6 patients (13.3%) underwent specific treatment, such as endoscopic treatment, embolization, or surgery. Patients who showed positivity in DCE-MDCT more frequently received specific treatment compared with those who were negative (44.4% vs. 5.6%, p=0.010). Conclusions: Although DCE-MDCT showed a low positive rate (20.0%), positive findings of DCE-MDCT could lead to specific treatment. Positive DCE-MDCT findings play a useful role in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OGIB. (Korean J Gastroenterol 2016;67:198-206)

      • 밀식 묘 이앙을 위한 식부 시스템 개발

        조재민 ( Jae Min Jo ),문병은 ( Byeong Eun Moon ),이민호 ( Min Ho Lee ),최덕순 ( Dug Soon Choi ),김현태 ( Hyeon Tae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밀식파종 묘 이앙시스템은 벼농사 생력화를 위한 재배법으로 비용 및 노동력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시간과 잉여 공간의 유효 활용을 통해 영농 규모의 확대로 인한 농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밀식 파종한 육묘를 관행과 동일한 1개 소당 3~4주 이앙 가능한 식부부 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밀식 파종한 육묘를 기존 이앙기로 이앙작업을 할 경우, 1개 소당 이앙되는 양이 많아져, 벼 생육을 저하 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앙 작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이앙기 식부부의 로터케이스, 이앙암을 분석하여 밀식파종 묘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밀식 파종한 육묘를 관행과 동일한 1개 소당 3~4주 이앙 가능한 식부부 개발에 필요한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해 다물체 동역학 해석 프로그램인 Recurdyn (V8R4, Functionbay)을 활용하여 식부부 궤적을 분석한 결과 식부부에 위치하는 이앙집게의 형상이 궤적의 형태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밀식파종 한 육묘를 3~4주 취출하기 위해 이앙 집게의 두께를 변경하며 요인실험을 진행한 결과 기존 관행과 동일한 3~4주의 최소한의 묘취량을 취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부분은 결주율을 줄이고 식부부의 정밀도를 개선하여 밀식파종 묘에 적합한 식부부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밀식파종을 위한 이앙기의 식부 궤적 분석

        조재민 ( Jae Min Jo ),최덕순 ( Dug Soon Choi ),김병도 ( Byung Do Kim ),김현태 ( Hyeon Tae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1

        밀식파종 묘 이앙 시스템은 벼농사 생력화를 위한 재배법으로 비용 및 노동력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시간과 잉여 공간의 유효 활용을 통해 영농 규모의 확대로 인한 농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밀식 파종한 육묘를 관행과 동일한 1개 소당 3~4주 이앙 가능한 식부부 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밀식 파종한 육묘를 기존 이앙기로 이앙작업을 할 경우, 1개 소당 이앙되는 양이 많아져, 벼 생육을 저하 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앙 작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이앙기식부부의 로터케이스, 이앙암을 분석하여 밀식파종 묘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식부부의 로터케이스, 이앙암을 3D 스캐너를 활용하여 스캐닝 작업을 한 뒤 역설계를 통하여 도면화 작업을 실시하여 식부부 궤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다물체 동역학 해석 프로그램인Recurdyn(V8R4, Functionbay)을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식부부에 위치하는 이앙집게의 형상 및 로터케이스의 기어 배열에 따라 식부부가 형성하는 궤적의 형태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부분은 밀식파종 묘에 적합한 궤적 분석 및 현장 필드 실험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KCI등재

        통계학적 최적화를 이용한 아마란스 잎으로부터 폴리페놀 열수추출조건 최적화

        조재민 ( Jae Min Jo ),최강훈 ( Kang Hoon Choi ),신슬기 ( Seul Gi Shin ),이지현 ( Ji Hyun Lee ),김진우 ( Jin Woo Kim ) 한국화학공학회 2016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4 No.3

        아마란스 종실 생산의 부산물인 아마란스 잎으로부터 폴리페놀 추출 증대를 위해 열수추출의 주요 공정조건인 추출시간, 추출온도와 에탄올 농도 중심합성법을 이용해 최적화하였다. 폴리페놀의 추출은 추출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추출에 에탄올 농도와 추출시간이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p<0.05). 열수추출의 에탄올 농도는 61.6 (v/v%)에서 최대 폴리페놀 추출성능을 보이며 농도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중심합성법에 의해 제시 된 2차 회귀방정식의 예측값과 실험값을 비교했을 때 매우 높은 합치도(R2=0.9566) 를 보였으며 추출온도 90.1 °C, 추출시간 50min과 에탄올 61.6 (v/v%) 공정조건에서 최대 농도인 12.6 mg GAE/g DM 폴리페놀을 얻을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optimization of hot-water extraction conditions for maximizing the total polyphenol compounds (TPC) extracted from amaranth leaf. The effects of thre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extraction temperature, extraction time and ethanol concentration on TPC were investigated using central composite design (CCD). The concentration of TPC increased with increased levels of extraction temperature and time. The extraction temperature and the ethanol concentration showed the significant effect on TPC production (p<0.05). The predicted values at the optimized condition were acceptable when compared to the experimental values (R2=0.9566).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were as follows: temperature of 90.1 ℃, time of 50 min and ethanol concentration of 61.6% (v/v) for the maximum TPC of 12.6 mg GAE/g DM.

      • KCI등재

        축합형 탄닌을 이용한 친환경 건축마감재 개발에 관한 연구

        조재민 ( Jae Min Jo ),박문수 ( Moon Soo Park ),정경호 ( Kyung Ho Chung ) 한국고무학회 2010 엘라스토머 및 콤포지트 Vol.45 No.3

        실내 건축내장재로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는 널리 사용되는 재료이지만, MDF 합판과 표면재의 바인더로 사용되는 포름알데히드 수지의 유리 포름알데히드와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방산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포름알데히드 흡착성능이 있는 축합형 탄닌을 활용하여 표면재에 적용 하였다. 표면재에 사용되는 수지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와 축합형 탄닌을 사용하여 합성하였으며 반응여부는 FT-IR 스펙트럼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전단응력, 충격강도, 테이프에 의한 접착력 실험, 연필경도, 광택도 그리고 접촉각 등과 같은 표면 물성을 측정하였고 미반응 포름알데히드를 분석하기 위하여 유리 포름알데히드 분석법과 소형챔버법이 이용되었다. 결과에 따르면 전단응력과 충격강도는 축합형 탄닌의 함유량이 10 wt.% 일 때 가장 우수한 접착물성을 나타내었지만, 연필경도와 광택도의 경우에는 축합형 탄닌의 함유량이 20 wt.% 일 때 최적의 물성을 발현하였다. 또한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은 59 ㎍/m2·h 로 축합형 탄닌의 첨가에 의해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을 약 3배 정도 감소 시킬 수 있었다. Medium-density fiberboard (MDF) is widely used as an indoor building materials. However, formaldehyde resins, commonly used to bind MDF together, emit formaldehyde and other volatile organic compounds that cause health risk at sufficient concentration. In this study, condensed tannin having formaldehyde absorption ability was used to solve the problem of formaldehyde emission generated from surface material. The synthesis of melamine-formaldehyde resin and reaction of melamine-formaldehyde and condensed tannin were analyzed by FT-IR spectrum. Also surface properties, such as shear force, impact strength, tape adhesion, pencil hardness and gloss retention were measured. Free formaldehyde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remaining unreacted formaldehyd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optimum shear force and impact strength could be obtained by 10 wt.% usage of condensed tannin. In cases of pencil hardness and gloss retention, the optimum properties could be obtained at 20 wt.% of condensed tannin. The amounts of formaldehyde emission of surface material containing 20 wt.% of condensed tannin was 59 ㎍/m2·h. The amounts of formaldehyde emission could be reduced 3 times by using 20 wt.% of condensed tannin.

      • KCI등재

        간의 국소결절성과증식에 대한 삼중시기 나선식 CT 소견

        이원재,조재민,이민희,임효근,최동일,이순진,임재훈,Lee, Won-Jae,Jo, Jae-Min,Lee, Min-Hui,Im, Hyo-Geun,Choe, Dong-Il,Lee, Sun-Jin,Im, Jae-Hun 대한영상의학회 2003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9 No.3

        목적: 삼중시기 나선식 CT에서 간의 국소결절성과증식(focal nodular hyperplasia,FNH)의 형태적 양상과 조영증강 양상을 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15명의 환자(남:여=7:8,평균연령;40세)에서 병리조직학적으로 확진된 15예의 FNH의 삼중시기 나선식 CT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삼중시기 나선식 CT 영상은 총120 mL의 비이온성 조영제를 3 mL/sec 속도로 주입한 후 30초(동맥기), 70초(문맥기), 3분(평형기)에 얻었다.영상 분석은 FNH의 형태적 양상 및 조영증강 양상에 대해 다음의 지표들을 분석하였다: 형태 분석은 종양의 크기, 경계면의 선명도, 피막, 중심성 반흔, 기형동맥혈관, 석회화, 모자이크 양상의 유무 등이었다. 조영증강 양상은 각 시기에서 종양의 조영증강정도(고음영, 등음영, 저음영)를 주변 간실질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그 중 고음영 병변은 강한 조영증강과 약한 조영증강으로 세분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종양 크기는 10예(10/15)의 FNH에서 3 cm 이하이었다. 형태적 양상의 다른 지표 중에서 중심성 반흔, 동맥기형혈관, 피막은 각각 4예,4예,5예에서 관찰되었다.11예(11/15)의 FNH가 동맥기에서 강한 조영증강에 의해 고음영으로 보였고, 문맥기와 평형기로 가면서 각각 9예와 13예가 등음영 또는 저음영으로 조영증강 정도가 감소하였다. 문맥기에서는 고음영을 보였던 6예의 FNH 중에서 5예가 약한 조영증강을 보였다. 결론: 연구 대상의 수가 작았지만,이 연구의 결과에서 FNH는 동맥기에 강한 조영증강의 고음영으로 보였고, 문맥기나 평형기로 가면서 등음영 또는 저음영으로 조영증강 정도가 감소하였다. 중심성 반흔, 동맥기형혈관, 피막 등도 드물지 않게 관찰되었다. 따라서 이런 CT 소견을 정확하게 인지하는 것은 다른 과혈관성 간종양과 감별진단에 중요하다. Purpose: To analyze the morphologic and enhancement patterns of focal nodular hyperplasia (FNH) of the liver observed at triphasic helical CT. Materials and Methods: The triphasic helical CT findings of 15 pathologically-proven FNHs in 15 patients (male: female = 7:8; mean age, 40 year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riphasic helical CT images were obtained at 30 secs (arterial phase), 70 secs (portal phase), and 3 mins (equilibrium phase) after the initiation of contrast injection of a total of 120 mL nonionic contrast material at a rate of 3 mL/sec. Image analysis focused on the morphologic and enhancement patterns of the FNHs. Morphologically, their size and margin conspicuity were determined, as well a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apsule, central scar, malformed arterial vessel, calcification, and mosaic pattern. As for the enhancement pattern, the degree of tumor enhancement (hyper-, iso-, or hypoattenuation) was compared with the surrounding hepatic parenchyma at each phase. All hyperattenuating FNHs were further analyzed after dividing them into two groups, strongly and weakly enhanced. Results: Ten of the 15 tumors were less than 3 cm in diameter. With regard to the other morphologic parameters, a central scar, malformed arterial vessel, and capsule were found in four, four, and five FNHs, respectively. Eleven FNHs showed hyperattenuation, with strong enhancement at the arterial phase. During the portal and equilibrium phases, the enhancement pattern changed to iso- or hypoattenuation in nine and 13 FNHs, respectively. Of six hyperattenuating FNHs at the portal phase, five were weakly enhanced. Conclusion: Though our sample was small, we found that FNHs were hyperattenuating lesions, strongly enhanced at the arterial phase but iso- or hypoattenuating during the portal and equilibrium phases. A central scar, malformed arterial vessel, and capsule were observed fairly frequently. Thus, for the differentiation of FNH from other hypervascular hepatic tumors, precise recognition of their CT findings is important.

      • 생분해성 육묘포트용 자동형 정식기 개발

        이민호 ( Min Ho Lee ),문병은 ( Byeong Eun Moon ),조재민 ( Jae Min Jo ),최태현 ( Tae Hyeon Choi ),김현태 ( Hyeon Tae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농업의 기계화에 따라 농작업 시 노동력의 절감에 긍정적인 역할을 있지만 논 작업에 대비하여 밭작업에 대한 기계화는 여전히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밭농업의 자동화를 위한 작목과 작형에 알맞은 밭작물 기계 개발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지만 아직까지 농민에게 만족스러운 기계를 보급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농업기계 중 채소 정식기의 경우 정식작업 시 전통적 인력 작업속도에 비해 빠른 작업속도를 나타내지만 취출작업 시 뿌리부에 손상을 주거나, 상토부 파괴로 인해 뿌리의 활착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분해성 포트를 이용하여 포트와 육묘를 동시에 정식하는 방법을 통해 육묘를 보호하며 정식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기초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생분해성 포트를 하단에서 절삭할 수 있는 하단절삭장치를 제작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하단절삭장치는 이송부 절삭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송부는 스테핑모터를 모터드라이버와 모션드라이버를 이용한 3축 제어를 하였으며. 절삭부의 경우 비교적 높은 토크를 요구하므로 서보모터를 적용하여 장치를 구성하였다. 하단 절삭장치의 절삭부의 속도를 1000~2000 RPM 범위에서 생분해성 포트 절삭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이때의 각 포트 절삭시간은 1초 내외로 소요되었다. 절삭시간은 고속작업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며, 3축 방향의 이송속도가 증가된다면 고속정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SCOPUSKCI등재

        개심술 후 Plate를 이용한 지연성 흉골 봉합 1예 보고

        박승일,조재민,이종국,Park, Seung-Il,Jo, Jae-Min,Lee, Jong-Guk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29 No.12

        심장수술후 심근의 부종, 심근이완, 심한 술후 출혈 등이 동반된 환자에서는 흉골봉합에 의해 심한 혈역학적 장애가 발생된다. 심한 심부종으로 흉골 봉합시 흉골 일부분에 의한 심압박에도 혈혁학적 장애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본 교실에서는 54세의 비만 여성에서 관상동맥 우회술후 Synthes DCP wide plate를 이용한지 연성 흉골 봉합을 경험하였으며, 이러한 지연성 흉골봉합이 심부종이 심한 환자에서는 상당히 효과적이고 간단한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관상동맥 우회술후 16시간만에 성공적으로 지연성 흉골봉합을 경칩하여 좋은 성적을 얻었기에 보고 하고자 한다. Severe hemodynamic dysfunction may follow after the closure of the median sternotomy in patients with myocardial edema, cardiac dilatation, and severe postoperative bleeding. In extreme cases, myocardial edema may be so severe that cardiac function is compromised merely by the edges of the open sternum touching the heart. Sternotomy remained open and delayed sternal closure is already described adjunct in complicated cardiac operations. We experi nced a case of delayed sternal closure after 16 hours of CABG using synthes DCP wide plate in a 54-year old obese female patient. Our experience conims that delayed sternal closure Is an effective at simple means of dealing with severe myocardial edema so we report this case with literature re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