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탐구 교수 지향 - 과학 실험 결과 불일치 상황을 중심으로 -

        조은진 ( Cho Eunjin ),최취임 ( Choi Chuiim ),윤혜경 ( Yoon Hye-gyoung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3 초등과학교육 Vol.42 No.2

        이 연구에서는 과학 탐구 교수 지향을 ‘개념 이해’, ‘활동’, ‘과정기능’, ‘과학적 실천’, ‘공학적 실천’의 5가지로 구분하고 초등 예비교사가 가진 일반적, 맥락적 과학 탐구 교수 지향을 개별 심층 면담을 통해 알아보았다. 초등 예비교사의 일반적인 과학 탐구 교수 지향은 어떠한지 일반적인 상황의 질문을 통해 알아보고, 구체적으로 실험 결과가 예상과 다른 불일치 상황(anomalous situation)에서 다시 이들의 교수 지향을 조사하여 과학 탐구 교수 지향의 맥락 의존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과학적 실천’ 교수 지향이 많이 나타났으며, 구체적인 수업 상황인 불일치 상황에서는 ‘개념 이해’ 교수 지향이 많이 나타났다. 또 일반적인 상황과 구체적인 상황에서 과학 탐구 교수 지향은 일관적이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구체적인 수업 상황인 불일치 상황에서도 전체적으로 실험 결과가 예상과 다르게 나오는 경우(응결이 전혀 일어나지 않은 경우)와 모둠별로 실험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일부 모둠에서만 응결이 일어난 경우), 과학 탐구 교수 지향은 다른 패턴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불일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는 ‘개념 이해’ 교수 지향이 더 많이 나타났고, 모둠별로 결과가 다르며 일부 모둠에서만 불일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는 ‘과학적 실천’ 교수 지향이 좀 더 많이 나타났다. 즉,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탐구 교수 지향은 복합적인 성격을 가지며 상황 의존적 성격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the orientation toward scientific inquiry teaching was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namely, ‘concept understanding’, ‘activity driven’, ‘process skills’, ‘scientific practice’, and ‘engineering practice’, and the orientation toward scientific inquiry teaching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as investiga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 aimed to investigate the context dependence of scientific inquiry teaching orientation by comparing general questions with specific class situations where experimental results are different from expectations. We found that ‘scientific practice’ orientation was more common in the general situation, whereas ‘concept understanding’ orientation was more common in the specific class situation. In addition, in general and specific class situations, the orientation was often inconsistent. Even in a specific class situation, the orientation toward scientific inquiry teaching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ituations. When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all different from expected (when no condensation occurred), ‘concept understanding’ orientation was more common; however, when the results were different among students groups (condensation only occurred in some groups), ‘scientific practice’ orientation was more common. In other wor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rientation toward scientific inquiry teaching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s not single, has complex properties, and is strongly context-dependent.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earch results on teacher educ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과학의 본성’ 교육 -그 다원성 고찰-

        조은진 ( Eunjin Cho ),김찬종 ( Chan-jong Kim ),최승언 ( Seung-urn Cho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8 No.5

        최근 유수 과학교육연구자들은 세계 여러 나라의 과학교육 현장은 물론, 과학교육 연구 전통에서 과학의 본성 교육의 중심축을 형성해온 ‘합의 과학의 본성 관점’에 대한 비판과 옹호 및 대안적 견해들을 갑론을박 형세로 제기하고 있다. 합의 과학의 본성 관점은 다각적인 경로를 통해 NOS 교육 표준화를 위해 구축한 ‘보편적 과학 지식의 본성’에 해당한다. 그 교의에는 과학 지식의 잠정성, 주관성, 이론의존성, 법칙과 이론, 관찰과 추론, 상상력과 창의성, 사회문화적 착근성 주제 등이 포함되며, 몇 가지 선언적 문장으로 구성된 리스트 형식을 취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지금까지의 서구 과학교육 연구 내 NOS 개념화 전통은 물론, 현 시점에서 논의되는 NOS 교육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현대적이며 미래 지향적 과학적 소양인 교육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판단하였다. 이에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특히 과학에 대한 전체론적 인식론을 주창해 온 저명 과학교육 연구자들이 제시한 합의 NOS관점에 대한 논쟁과 비판의 요지를 파악하여 제시하였다. 이어 과학의 본성이 갖는 본유적 가치는 다양한 학문적 렌즈를 통해 과학이 기능하는 실제 방식을 표현하는데 있으므로, 그러한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도록 이끌 수 있는 과학의 본성 개념에 다가가기 위해, 여러 대안적 과학의 본성의 내용 요소에 대한 제안 및 과학의 본성 교육에 대한 의견들을 살펴 보았다. 즉 ‘과학의 본성 개념이 갖는 논쟁적 요소에 대한교수’, ‘비판적 과학의 본성’, ‘비판적 사고력 과학의 본성’, ‘전체 과학’, ‘과학의 특성’, ‘재개념화 된 가족유사성 접근 과학의 본성’ 등을 고찰하여, 현대적 과학철학과 과학지식사회학에 기반을 두어 과학의 본성 내용 지식의 보편성과 다원성을 중심으로 그 함의를 제시하였다. Nature of Science(NOS) has been a well-organized focus of science education and one of the key elements in defining and cultivating scientific literacy for more than a century. In recent years, a specific description of NOS, which is often known as ‘the consensus view of NOS’, has become very influential and has gained ready acceptance as an arrangement for both curriculum building and research into understanding of NOS by students and teachers in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This study has two purposes; one is to review some debates and criticism on the consensus view of NOS which consists of a list of sentences to describe nature of refined and general science, which have been heated up for the last few years by many prominent science education researchers, and the other is to consider alternative perspectives on NOS for the purpose of a new direction of NOS education. As a result of an investigation into such views as ‘Teaching about NOS’, ‘Critical NOS’, ‘Critical Thinking-NOS’, ‘Whole Science’, ‘Features of Science’ and ‘Reconceptualized Family Resemblance Approach to NOS’, some implications which focus on the generality and plurality of content knowledge of NOS based on current philosophy of science and sociology of scientific knowledge are suggested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NOS.

      • KCI등재

        과학적 모델과 모델링에 대한 중등 과학 교사의 인식 탐색

        조은진 ( Eunjin Cho ),김찬종 ( Chan-jong Kim ),최승언 ( Seung-urn Cho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5

        과학 교육의 궁극적 목표인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을 배양하는데 있어 이하 모델과 모델링이 차지하는 핵심적 역할을 고려할 때, 중등과학 교사의 모델과 모델링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은 모델 기반 교수·학습을 실제 과학 수업에 적용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모델 기반 교수·학습이란 학생들이 자신의 모델을 생성(generating), 평가(evaluating), 수정(modifying)하는 모델링을 통해 과학적 내용 지식을 학습하고 나아가, 과학의 본성에 대한 바람직한 이해를 구축하도록 모델과 모델링 과정에 대하여 학습하는 것을 의미하며, 그러한 모델링 수업의 안내자로서 과학 교사는 모델과 모델링에 대하여 튼튼한 이해를 소유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현재 학교 현장에서 과학 교과를 가르치는 50명의 중등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10개의 개방형 문항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범주의 모델과 모델링에 대한 여러 측면의 인식, 첫째, 모델과 모델링에 대한 여러 측면의 이해, 즉 정의, 예시, 목적, 다양성, 변화성, 설계와 구성, 평가 기준, 둘째, 교수도구로서의 모델과 모델링 활용의 중요성과 교수 의사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질적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 하였다. 첫째, 대부분의 과학 교사들은 모델이 갖는 교수도구로서의 기능적 측면에 집중하여, ‘실제의 단순화된 표상’이라는 모델 개념을 소유하지만, 과학 내용 전달 측면의 효용에만 집중하기 때문에, 과학에 있어서 모델과 모델링의 역할을 파악하지 못 하고 있다. 둘째, 대부분의 과학 교사들은 하나의 자연 현상을 표상하기 위해 다양한 모델이 구성될 수 있다는 사실과, 그러한 모델의 변화 가능성에 대하여 비교적 잘 인식하고 있으나, 모델의 설계와 구성이나 평가 기준 측면의 이해는 수정을 필요로 하는 제한적 수준에 머물러 있다. 셋째, 많은 교사들이 모델과 모델링에 대하여 가르치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하지만, 여러 교육 과정 상의 현실적 어려움과, 교사의 지식 부족을 토로하여 모델과 모델링의 실제 현장 적용에 대해 부정적 시각을 견지하는 교사들이 상당하였다. 넷째, 물리, 화학, 지구과학 전공 교사들에 비하여, 생물 전공 교사들은 전공 또는 과목 의존적 이해의 양상, 즉 생물 교과에 자주 등장하는 기능적, 실물 모델에 국한된 모델 개념을 소유 하였고, 그러한 관점은 교수도구로서 모델과 모델링을 활용하는 것에 대한 부정적 견해로 나타나, 모델에 대한 지식과 신념 사이의 상호관련성이 일견 탐지되었다. 본 연구에서 중등 과학 교사들이 모델과 모델링에 대하여 무엇을 알고, 어떻게 가르치는가에 대한 기존의 인식을 탐색하여 분석한 결과는 과학 교사의 모델과 모델링에 대한 이해의 제고를 위한 적극적인 개입에 대하여 큰 시사점을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be secondary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scientific models and modeling. A total of 50 experienced science teachers were surveyed with 10 open-ended questions about several aspects of models and modeling: definition, examples, purpose, multiplicity, changeability, design/construction, evaluation and beliefs in the use of models and modeling as a teaching tool. The analysis of the data shows the following results: 1) understanding of models and modeling held by a majority of experienced secondary science teachers was far from that of experts as they concentrated on a model’s superficial, representative, and visual functions, 2) when it comes to their view toward the use of a model, a model does not remain in the stage of ‘doing science’ but in the stage of being a subsidiary teaching tool for the teacher’s explaining and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scientific concepts, 3) the subjects they majored in mad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ir contextual understanding of models and modeling, 4) though most of the teachers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teaching about models and modeling, even a lot of them showed a negative position toward the opinion that they are willing to apply modeling to their classes.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intervention in order to enhan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models and modeling.

      • KCI등재

        과학교사의 ‘과학의 본성’ 교수 의지 사례 연구

        조은진(Cho Eun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5

        본 연구는 과학교사들이 ‘과학에 대해 이해한 것’을 실천적 지식으로 전환하는 데 관여할 수 있는 개인적 지식과 신념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약 3개월 간 4차례의 과학의 본성 교수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에 참여한 과학교사 2명 사례에 나타나는 과학의 본성 개념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 과학의 본성 개념, 과학교육 및 과학의 본성 교수에 대한 신념이 그 교수 의지와 어떤 관련성을 갖는지 탐색하였다. 사전 사후 설문 조사와 면담 자료 및 4가지 학습 주제와 연계한 과학의 본성 교수 계획안을 수집하여 해석학적 접근을 취한 사례 연구 결과, 두 교사의 모호하고, 추상적이며, 실증주의적 출발점 과학의 본성 아이디어는 현대적이며 전체론적 과학 인식론에 근접하였고, 과학 주제 맥락에 적합한 과학의 본성 내용 요소를 연계하여 분명하게 구현하는 능력이 뚜렷하게 향상하였다. 한편, 두 교사의 긍정적 과학의 본성 교수 의지는 오랫동안 지녀 온 복잡하며 종합적인 개인적 신념의 영향을 크게 받아, 서로 다른 신념 상의 경로를 거쳐 다른 형태의 NOS 교수ㆍ학습으로 전개될 것을 예상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과학교사가 소유한 신념의 복합적 특성 및 그 탐색에 관련된 제안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has two folds. One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science teachers’ ‘nature of science(NOS)’ ideas and the other is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among their changes in NOS ideas, beliefs about the goals of science education, and beliefs about teaching NOS, in the aspect of the intention of integrating NOS in their classroom practices within the structure of NOS-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which wa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NOS-dedicated intensive course for 12 contact hours within 13 weeks. Data include two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1) pre and post written and interviewed responses for open-ended questionnaires regarding the ideas about NOS, beliefs about the goals of science education and teaching NOS, and intention of teaching NOS, and 2) four reflective teaching plans concerned with what aspects of NOS to teach and how to teach those aspects in conjunction with science contents. The results of this case study drawn from the hermeneu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materials reveal that the two science teachers’ 1) vague, abstract, and positivists’ NOS ideas changed into more modern and holistic epistemology of science, 2) ability to articulate the elements of NOS appropriate to the context of science content improved significantly, and nevertheless 3) willingness to teach NOS is influenced greatly by the complex and comprehensive personal beliefs, which led to expect them to develop different ways of teaching NOS.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ions were made regarding the frameworks for investigating complex characteristics of teachers’ belief system.

      • 1910~20년대 조선의 관립전문학교 학제 형성과 운영

        조은진 ( Eunjin Cho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2015 韓國史論 Vol.61 No.-

        This thesis focused on the Specialized School(專門大學), which earlier studies on colonial period education paid little attention to. Especially this article described how Government specialized school system was established in Korea during 1910s-1920s, with the purpose of studying aspects and roles of Government specialized school in Korea. In 1915, Keijo Specialized School of Law was appointed as the first Government specialized school, beginning specialized education in colonial Korea. At that tim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established specialized school system to keep Christian foundations from founding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ndependently and to solve higher education issue of Japanese residents in Korea. In 1910s Government specialized schools in Korea were not recognized as legitimate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 in Japan, so students of these schools were mainly composed of Koreans and Japanese residents in Korea. Government specialized school system changed a lot after declaration of the second Korean educational decree in 1922.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the decree was introduction of educational system of ``mainland`` Japan to Korea, and it was most notable in government schools in Korea. Particularly, with legislation of relevant regulations accompanied by the second educational decree, specialized schools in Korea, especially government schools, became recognized as equal to specialized schools in Japan. Change of school system accompanied modification of qualification for enrolling specialized schools. Under the first educational decree, applicants had to study 4 years in elementary school and 4 years in secondary school. The second educational decree, however, regulated 6-year-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nd 5-year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to enlist in specialized school. As a result, graduates of earlier secondary schools had to acquire another qualification to enter specialized schools. Temporarily, qualification examination for specialized school was utilized to give them proper condition for enrollment. increasing of secondary educational institutions in Korea, more and more applicants got the chance to be qualified to enter specialized schools. Moreover, graduates of government specialized schools acquired licenses which were valid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mainland`` Japan. For example, doctor``s license, which was given to graduates of Keijo Specialized School of Medical, held good just in Korea during 1910s. However, from 1920s, students of the medical school could work as doctors in both Korea and Japan. In other words, licenses that had been once valid only in colonial Korean, increasingly became recognized in Japanese ``Empire`` universally. Nevertheless, in reality, Japanese students received benefits of changed situation. Thus, government specialized schools could not fulfill their role of producing educated workforce who would work in Korea, because many Japanese students tended to return to Japan after they got needed licenses. Furthermore, it was not until late 1930s that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founded new government specialized schools or increased enrolment quota. Consequently, scale of government specialized schools were controlled and the number of Korean students in the schools diminished. In 1920s, government specialized schools co-educated Koreans with Japanese students totally, which was not the case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Momentum of the coeducation was not slogans like unification of ``interior`` Japan and Korea(內鮮融和) or equal and fair treatment(一視同仁), but actual condition that government specialized schools gave Japanese graduates licenses equal to those in ``mainland`` Japan. For this reason, competition to enter government specialized schools in Korea maintained very high every year. In addition to Korean applicants, more and more Japanese students came to Korea to avert higher competition in Japan, so it became increasingly harder to enlist in government specialized schools. In conclusion, government specialized schools in Korea were the sphere where different thoughts of Government General of Korea, Korean students, and Japanese students intertwined. However, in the process of their management, incrementally Korean students became excluded, revealing their feature as colonial educational institu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