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 문제 해결 과정에서 이루어진 집합적 사고와 상호작용 영역에 관한 사례 연구

        최취임(Choi Chuiim),이선경(Lee Sun-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8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학습은 개인적 인지발달이라기 보다는 다른 사람과의 상호 작용을 통한 인지발달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집합적 사고는 과학학습과 과학적 문제해결에서 핵심적인 요인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양적 및질적연구방법(담화분석)을 통해 과학적 문제해결과정에서 형성된 집합적 사고와 상호작용영역에 대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탐구중심과학수업에 참여한 9학년 학생 들의 담화를 분석한 결과 집합적 사고가 일어나지 않은 경우에는 문제해결에 성공하지 못하였다. 반면 담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집합적 상호작용영역을 형성한 모둠은 집합적 사고를 통해 과학적 문제를 해결하였다. 그 과정에서 과학개념 이해와 새로운 과학지식을 형성하면서, 과학적 지식을 발달시키려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집합적 사고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집합적 사고를 촉진할 수 있도록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In a sociocultural perspective, learning can be considered as cognitive development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s rather than individual cognitive development. The collective thinking can be crucial in science learning and scientific problem solving. In this study, we researched cases of collective thinking and zone of interaction during scientific problem solving process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 analyzed data collected from science activities that were carried out in a grade 9 science class designed to undertake inquir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method. We found that students who thought collectively couldn t solve scientific problems but students who engaged actively in science discourse and thought collectively succeed to solve the problem. The students tended to develop their scientific knowledge, understanding concepts and shaping new scientific knowledge. We suggest that students need to be provide opportunities that involve in collective thinking activity and proper feedback to facilitate it.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탐구 교수 지향 - 과학 실험 결과 불일치 상황을 중심으로 -

        조은진 ( Cho Eunjin ),최취임 ( Choi Chuiim ),윤혜경 ( Yoon Hye-gyoung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3 초등과학교육 Vol.42 No.2

        이 연구에서는 과학 탐구 교수 지향을 ‘개념 이해’, ‘활동’, ‘과정기능’, ‘과학적 실천’, ‘공학적 실천’의 5가지로 구분하고 초등 예비교사가 가진 일반적, 맥락적 과학 탐구 교수 지향을 개별 심층 면담을 통해 알아보았다. 초등 예비교사의 일반적인 과학 탐구 교수 지향은 어떠한지 일반적인 상황의 질문을 통해 알아보고, 구체적으로 실험 결과가 예상과 다른 불일치 상황(anomalous situation)에서 다시 이들의 교수 지향을 조사하여 과학 탐구 교수 지향의 맥락 의존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과학적 실천’ 교수 지향이 많이 나타났으며, 구체적인 수업 상황인 불일치 상황에서는 ‘개념 이해’ 교수 지향이 많이 나타났다. 또 일반적인 상황과 구체적인 상황에서 과학 탐구 교수 지향은 일관적이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구체적인 수업 상황인 불일치 상황에서도 전체적으로 실험 결과가 예상과 다르게 나오는 경우(응결이 전혀 일어나지 않은 경우)와 모둠별로 실험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일부 모둠에서만 응결이 일어난 경우), 과학 탐구 교수 지향은 다른 패턴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불일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는 ‘개념 이해’ 교수 지향이 더 많이 나타났고, 모둠별로 결과가 다르며 일부 모둠에서만 불일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는 ‘과학적 실천’ 교수 지향이 좀 더 많이 나타났다. 즉,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탐구 교수 지향은 복합적인 성격을 가지며 상황 의존적 성격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the orientation toward scientific inquiry teaching was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namely, ‘concept understanding’, ‘activity driven’, ‘process skills’, ‘scientific practice’, and ‘engineering practice’, and the orientation toward scientific inquiry teaching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as investiga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 aimed to investigate the context dependence of scientific inquiry teaching orientation by comparing general questions with specific class situations where experimental results are different from expectations. We found that ‘scientific practice’ orientation was more common in the general situation, whereas ‘concept understanding’ orientation was more common in the specific class situation. In addition, in general and specific class situations, the orientation was often inconsistent. Even in a specific class situation, the orientation toward scientific inquiry teaching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ituations. When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all different from expected (when no condensation occurred), ‘concept understanding’ orientation was more common; however, when the results were different among students groups (condensation only occurred in some groups), ‘scientific practice’ orientation was more common. In other wor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rientation toward scientific inquiry teaching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s not single, has complex properties, and is strongly context-dependent.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earch results on teacher educ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과학탐구활동의 도구조작 맥락에서 탈중심화된 협력과 공유리더십에 관한 사례 분석

        박지영,최취임,이선경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0 교과교육학연구 Vol.24 No.2

        이 연구에서는 과학탐구활동의 도구조작 맥락에서 개별적 및 집단적 상호작용과 활동 중심성의 탐색을 통해 협력의 특징과 리더십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참여자는 서울 소재 고등학교의 과학 동아리 활동에서 탐구활동을 수행한 4명의 학생들이다. 연구진은 학생들의 활동을 직접 관찰하고 녹화 및 녹음하였으며, 활동 후에 참여 학생과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모두 전사되었고 다양한 방식으로 분석 및 해석되었다. 시간에 따른 학생들의 도구조작 참여유형 및 상호적 참여유형, 그리고 주도성과 중심성의 변화를 분석하고, 협력과 리더십의 관점에서 해석되었다. 연구 결과, 소집단을 구성한 학생들의 협력은 특정 학생의 주도하에 이루어지기 보다는 활동 과정의 목표와 문제 해결 상황에 따라서 중심이 이동하는 협력의 탈중심화 경향을 나타냈다. 동시에, 학생들은 다양한 참여역할을 하면서 리더의 재배치가 일어나고 공유리더십이 출현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학탐구활동의 도구조작 맥락에서 나타나는 탈중심화된 협력과 공유리더십의 의미를 재고하였다.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on and the change of leadership through the exploration of individual and collective interactions and the centrality of activities in the context of instruments operation of science inquiry activities. The participants were four students who performed a series of project-based inquiry at a high school science club. The researchers observed the participants’ activities and recorded video and audio contents from the activities. The researchers conducted semi-structured interview with them after each activities. All of the collected data were transcribed and interpreted in various perspectives. The participants’ small group activities were analyzed into participation types, the interaction within group members, proactivity and centrality change of instruments operation and interpreted in views of collaboration and leadership. The results showed students' collaboration type kept changing in a small group. The center of activities kept evolving, being centralized and redistributed, depending on goal in activities' processes and problem solving situations rather than being led by a certain student. Consequently, it was showed the tendency of decentralized collaboration. Also shared leadership were emerged as students playing various participation roles and leadership was redistributed. Based on the study results, meaning of students’ collaborative learning in science classes were re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