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고학에서 영상의 자원화와 영상커뮤니케이션

        조우택,최성락 호남고고학회 2011 湖南考古學報 Vol.37 No.-

        오늘날 영상은 우리의 과거를 돌아보게 하는 역사적인 가치를 지녔을 뿐 아니라 현대인들의 인식과 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적 가치를 지닌 문화자원(cultural resources)이며 문화콘텐츠의 원형이다. 이 글의 목적은 영상이 지닌 주요한 가치와 매체 기능을 전제로 고고학연구에 있어 응용 가능한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관련 있는 여러 분야의 연구 성과나 경향을 소개하고 검토하도록 한다. 먼저 주목할 것은 학문적·사회적 기록의 자원으로서 영상의 기능이다. 고고학조사에서 이루어지는 체계성과 목적을 지닌 영상기록은 기능적인 측면에서 고고학연구에서 중요한 대상이며, 이는 곧 문화자원과 직결된다는 인식의 전환과 사고의 확산이 요구된다. 또한 산재되어 있는 가치 있는 영상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문화자원으로 연계시키는 전략을 강구해야 한다. 그 대안 가운데 하나로 영상아카이브를 주장하며, 이를 구축하기 위한 현실적인 접근 방안을 제시한다. 영상아카이브는 영구적으로 영상기록을 보존하기 위한 기록보관소일 뿐만 아니라 연구자와 대중들에게 정보의 창구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 대중의 접근성(public access)을 높이기 위한 방법과 표준화된 기술 체계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영상기록이 아카이브를 통해 전체적으로 통합 관리될 때 문화자원으로서 가지는 의미는 더욱 커질 것이다. 한편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영상에 대해 이해하는 것에 대해서도 의미 있는 논의를 하고자 한다. 앞으로 영상은 고고학과 대중 사이의 상호작용을 위한 중요한 매개이기 때문이다. 기술의 발전과 매체의 진보로 도래한 뉴미디어․디지털 환경 속에서 영상커뮤니케이션의 방향과 방법이 다양해지고 있으며 접근의 방식도 변화하고 있다. 다방향커뮤니케이션(multidirectional communication) 환경에서의 대중을 지향하는 영상의 활용은 이전과는 다르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고고학과 영상커뮤니케이션을 융합하는 학제 연구는 아직 미진한 단계이지만 향후 우리가 추구하는 문화 복원, 고고학적 상상력, 그리고 지식 소통의 동력으로 작용할 것이다. 영상은 고고학연구의 질적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상당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우리가 영상과 영상문화, 영상콘텐츠와 영상텍스트를 적극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 KCI등재

        고고학의 대중화에 관한 試論 - 대중 인식과 소통을 중심으로

        조우택,최성락 한국고고학회 2014 한국고고학보 Vol.90 No.-

        There is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goal of archeological research andthe popularization of archeology. That is, it aims to appeal to the general publicby making them aware and understand the basics of archeology field. Thispaper seeks to examine the public’s recognition in regard to the reflection andperception of public culture on archeological contents and discover effectivecommunication method. The popularization of academic interest begins with themutual recognition and in rediscovering the public interest of academic pursuitand ontological value of the public. In rapidly changing society, it is essentialto find meaningful archeological communication method and provide supports. Therefore, this paper’s goal of seeking effective communication method forthe popularization of archeology will help in promoting and expanding theknowledge between researchers and the public and in placing groundworkessential for the sharing and communication on cultural heritage.

      • 공중부유형 탄소 나노 와이어와 3ω 방법을 이용한 가스 열전도도 측정

        조우택(Wootaek Cho),변찬(Chan Byon) 대한기계학회 2018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8 No.12

        In this study, a methodology for the measurement of the thermal conductivity of gas is developed based on carbon nanowire and 3ω-method. The 3ω method is more accurate than other methods for thermal conductivity measurement because it can exclude the effect of black-body radiation and thermal contact resistance. The carbon nanowire was fabricated by using MEMS technique. The carbon nanowire with 300 nm-diameter is suspended 8 μm above a substrat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rmal penetration depth, an FEM numerical study is conducted using COMSOL. In addition, optimum values for input voltage and frequency of the applied current have been derived experimentally. Based on the obtained optimal voltage and frequency, the thermal conductivity of air was measured using 3ω-method. The measured thermal conductivity of air is shown to match the known value within error of 10%.

      • KCI등재후보

        연구보고 : 고고학에서 영상의 자원화와 영상커뮤니케이션

        조우택 ( Woo Tack Cho ),최성락 ( Sung Rak Choi ) 호남고고학회 2011 湖南考古學報 Vol.37 No.-

        오늘날 영상은 우리의 과거를 돌아보게 하는 역사적인 가치를 지녔을 뿐 아니라 현대인들의 인식과 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적 가치를 지닌 문화자원(cultural resources)이며 문화콘텐츠의 원형이다. 이 글의 목적은 영상이 지닌 주요한 가치와 매체 기능을 전제로 고고학연구에 있어 응용 가능한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관련 있는 여러 분야의 연구 성과나 경향을 소개하고 검토하도록 한다. 먼저 주목할 것은 학문적·사회적 기록의 자원으로서 영상의 기능이다. 고고학조사에서 이루어지는 체계성과 목적을 지닌 영상기록은 기능적인 측면에서 고고학연구에서 중요한 대상이며, 이는 곧 문화자원과 직결된다는 인식의 전환과 사고의 확산이 요구된다. 또한 산재되어 있는 가치 있는 영상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문화자원으로 연계시키는 전략을 강구해야 한다. 그 대안 가운데 하나로 영상아카이브를 주장하며, 이를 구축하기 위한 현실적인 접근 방안을 제시한다. 영상아카이브는 영구적으로 영상기록을 보존하기 위한 기록보관소일 뿐만 아니라 연구자와 대중들에게 정보의 창구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 대중의 접근성(public access)을 높이기 위한 방법과 표준화된 기술 체계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영상기록이 아카이브를 통해 전체적으로 통합 관리될 때 문화자원으로서 가지는 의미는 더욱 커질 것이다. 한편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영상에 대해 이해하는 것에 대해서도 의미 있는 논의를 하고자 한다. 앞으로 영상은 고고학과 대중 사이의 상호작용을 위한 중요한 매개이기 때문이다. 기술의 발전과 매체의 진보로 도래한 뉴미디어·디지털 환경 속에서 영상커뮤니케이션의 방향과 방법이 다양해지고 있으며 접근의 방식도 변화하고 있다. 다방향커뮤니케이션(multidirectional communication) 환경에서의 대중을 지향하는 영상의 활용은 이전과는 다르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고고학과 영상커뮤니케이션을 융합하는 학제 연구는 아직 미진한 단계이지만 향후 우리가 추구하는 문화 복원, 고고학적 상상력, 그리고 지식 소통의 동력으로 작용할 것이다. 영상은 고고학연구의 질적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상당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우리가 영상과 영상문화, 영상콘텐츠와 영상텍스트를 적극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Visuals have the value of preserving the past, and it is influential to people s perception and values; making it the ultimate cultural contents and cultural resources with educational merit. This study will explore the strong points of visuals and how it can be utilized in the study of archaeology. For this, I will review achievements and trends in other fields of study. Function of visuals as academic and social resources is the first aspect that we should consider. With the right organization and objective, video recording can be a useful tool in the study of Archaeology, especially during field works. Which needs to be recognized as a cultural resource. We also need to think about strategies to collect scattered video recordings and to preserve them. One way of doing this is building an visual archives. Visual archives will give both physical means to preserve the records and a place for academics and the public to look up information. For a successful establishment, the archives should have an easy public access and standardized technical system. Individual video recording will increase its usefulness as a cultural resource when they are managed together in one system. Next, it is more important to understand function of visuals as a communication, as it can work as a mediator between Archaeology and the public. Technological advances brought new media and digital environments which in turn diversified course of visual communication and its methods. Applying visuals to the public in a multidirectional communication environment needs to be approached in a different light. Interdisciplinary study of archaeology and visual communication will actualize cultural reconstruction, archaeological imagination and strengthen power of knowledge sharing. Utilizing visual images have a great potential to improve quality of archaeological research.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us to understand the imaging technology.

      • KCI등재후보

        고고학에서 영상의 필요성과 영상고고학

        최성락,조우택,Choi, Sung Rak,Cho, Woo Tack 국립문화재연구원 2009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2 No.3

        영상매체의 변화는 사회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지난 20세기의 대표적인 영상이 사진이라면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21세기의 대표적인 영상은 동영상이다. 영상매체의 변화는 고고학 기록 수단의 변화를 가져왔다. 현장조사를 통해 물질적 자료를 획득하는 고고학의 특징으로 볼 때 신뢰성 있는 자료를 획득할 수 있는 동영상의 활용은 앞으로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고고학의 발굴과정은 하나의 콘텐츠로 볼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유적이나 유구의 입지적 환경, 불가피한 개발로 인한 경관 보존의 기록 수단으로서 혹은 인류의 기록 유산으로서 영상은 탁월한 효용성과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영상은 고고학이 지닌 사회적 학문적 기능을 충실히 하기 위한 대중고고학으로의 전환에 있어서 새로운 접근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한다면 고고학에서 시각자료의 기록과 보존을 위한 연구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대비가 있어야 할 것이다. 그 적극적인 대안으로 영상고고학을 제창한다. 영상고고학은 고고학의 관점에서 연구되어야 한다. 영상고고학의 연구 방향은 크게 두 가지로 압축할 수 있다. 첫째는 조사과정의 영상기록과 영상아카이브(기록관리)에 관한 연구이다. 둘째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인 미디어로서의 연구이다.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는 고고학 이론과 방법의 영역에서 심도 있게 다뤄져야 할 것이다. Changes in a society and visual media has a tight relationship. Photography represented the last 20th century in the visual media; while the 21st century we live in is represented by moving image(video). The change of visual media also brought changes to the archaeological recordings. As information is gathered from the field work in archaeology, it seems that use of video recording, a reliable way of collecting and recording data, will increase. The process of archaeological excavations can be considered as a contents itself. Also, video recording has many advantages when recording environmental surrounding of the sites and artifacts, for the reservation of the scenery, and as recorded heritage of the humankind. Video recording can be a tool of conversion to public archaeology to devote to its social and academic roles. Considering all of the above, studying ways to record and preserve visual materials is essential in the field of archaeology and we should be prepared for it. We strongly propose reinstatement of the visual archaeology, which should be studied in archaeological perspective. The direction of the study of visual archaeology can be summarized into two. First is the study on the video recording during field work and the archive of video recordings. Second is the study on the media as the tool of communication. More detailed and organized research should be considered in depth in the archaeological theory and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