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종망 환경에서 오버헤드 감소와 수율 향상을 위한 자율적인 펨토셀 전송 전력 조절 기법

        조영훈(Younghoon Jo),임재찬(Jaechan Lim),홍대형(Daehyoung Hong) 한국통신학회 2013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8 No.1B

        저전력, 저가의 초소형 기지국인 펨토셀은 heterogeneous network 의 중요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 그러나 펨토셀 설치에 따른 셀 구조의 변화는 셀 간 간섭과 signaling overhead 증가와 같은 기술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인 문제의 해결 방법 중 하나는 펨토셀이 SON(Self-Organized Network)과 같은 기법을 이용하여 자율적으로 전송전력을 조절하는 것이다. 펨토셀은 전송전력 조절을 통해 시스템 throughput을 향상시키거나 overhead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스템 throughput을 최대화하기 위한 펨토셀 전송 전력과 시스템 overhead 감소를 위한 펨토셀 전송 전력은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펨토셀이 시스템 overhead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시스템 throughput을 향상시키도록 전송 전력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 기법이 throughput만을 최대화하는 기법에 비하여 시스템 overhead를 41%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커버리지만을 최적화 하는 기법에 비하여 throughput이 63%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Femto-cells are low power/cost, micro-base stations and are main components in heterogeneous networks. However, some of technical issues arise when femto-cells are initially installed. One approach to resolve the problems is to control the transmission (TX) power autonomously via SON(Self-Organized Network) scheme. By controlling the femto-cell TX power, the system throughput performance can be improved or the system overhead is highly reduced. Generally, the TX power for maximizing the system throughput and that for reduced system overhead may not be identical. Therefore, we propose a TX power control scheme by which we can improve the system throughput and reduce the system overhead, simultaneously. When we apply the proposed method,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system overhead can be reduced by up to 41% compared to the performance of the method which maximizes throughput performance only, and the throughput performance can be improved by up to 63% compared to that of the method which only optimizes the coverage area.

      • KCI등재

        마곡사 오층석탑 상륜부 금동보탑의재질특성과 조성시기 해석

        이찬희 ( Chanhee Lee ),조영훈 ( Younghoon Jo ),전병규 ( Byungkyu Jun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5 백제문화 Vol.1 No.52

        마곡사 오층석탑 상륜부를 구성하는 금동보탑의 소지금속에는 청동의 주성분인 구리, 주석, 납뿐만 아니라 아연(최대 13.4wt.%)을 첨가하였다. 재료학적으로 아연이 주석보다 많아 전형적인 청동으로 보기 어렵고, 황동으로 분류하기에는 아연의 함량이 적다. 따라서 보다 넓은 의미의 동합금제로 보는 것이 적합할 것이다. 소지금속의 합금기술은 고대에 가장 많이 사용했던 Cu-Sn-Pb의 3원 합금을 능가하는 것으로, 상륜부의 용도와 성격에 최적화된 방법이 적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상륜부는 외부에 한해 금이 매우 높은 함량(40.3~93.8wt.%)으로 검출되었고, 육안으로도 도금 층의 일부분이 뚜렷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전체적으로 금을 이용해 도금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도금기술을 의미하는 수은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아말감기법이 적용된 것을 지시한다. 따라서 마곡사 오층석탑의 상륜부는 동합금 소지에 금도금이 적용된 “금동보탑”으로 칭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 금동보탑은 납이 비교적 높게 검출되는 것으로 보아 주조에 의해 제작된 것을 알 수 있으나 주석의 함량이 10% 이하이다. 따라서 주조성을 보완하기 위해 아연과 납을 첨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금동보탑의 아연 함량은 여말선초 소금동불과 거의 유사하다. 또한 조선시대의 상평통보처럼 인위적으로 황동을 유도한 것이 아니라 청동 합금에 아연을 첨가함으로써 적은 양의 주석 기능을 대체하여 보강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금동보탑의 제작 시기는 한반도의 금속 아연 제련이 시작된 17세기 이후보다는 노감석을 이용한 칼라민 공정으로 합금이 가능한 14세기로 보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마곡사 오층석탑은 고려시대 후기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것으로 보아 석탑이 가장 먼저 건립되었고, 이때 금동보탑이 아닌 별도의 상륜부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금동보탑은 14세기 원나라와의 교류를 통해 불전 봉안용 또는 사찰 공예탑으로 별도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석탑은 1782년 대형 화재 시 붕괴되면서 탈락과 박리·박락이 상당수 발생하였고, 19세기 복원 과정 중에 봉안용 금동보탑이 석탑의 상륜부에 조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The upper part gilt bronze pagoda in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Magoksa Temple contained zinc (up to 13.4wt.%) as well as copper, tin and lead as the main components of bronze. In terms of material, zinc was more than tin. It is not bronze, however it is also hard to be classified as brass due to less content of zinc. Therefore, it seems proper to regard it as copper alloy. Gilt technology of the metal exceeded Cu-Sn-Pb ternary alloys which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in the ancient period, and it seems to apply the optimized method for the use and characteristics of the upper part. In the upper part, gold contents was very high (40.3 to 93.8wt.%) in the case to exterior, and some gilt layers were apparently observed visibly. Thus, overall gold gilt was made. In addition, mercury that indicates the gilt technology was found, which means amalgam technique was applied. Accordingly, it is appropriate to regard the upper part in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Magoksa Temple as ‘gilt bronze pagoda’ with copper alloy material. This gilt bronze pagoda has higher lead contents, which indicates that it was manufactured by casting. However, the content of tin was less than 10%. Accordingly, zinc and lead seemed to be added to complement the castability. Zinc contents of gilt bronze pagoda were very close to small gilt bronze Buddhist statues at the end of Goryeo Dynasty and the early Joseon Dynasty. Like ‘Sangpyeongtongbo’ in Joseon, it did not induce brass artificially, however added zinc to bronze alloy to replace the function of less amount of tin. Accordingly, the manufacturing period of the gilt bronze pagoda seems to be the 14th century at a time when gilt was made possible with calamine process instead of 17th century when metal zinc smelting started in the Korean Peninsula.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Magoksa Temple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ter period of Goryeo Dynasty, and the stone pagoda was built first. At this moment, there seemed to have a separate upper part rather than gilt bronze pagoda. Gilt bronze pagoda seemed to be manufactured separately in the 14th century through the exchange with the Won Dynasty in ancient China for the purpose of accommodating Buddhist sanctum or temple pagoda. However, the stone pagoda was destroyed in 1782 due to large fire with much missing part, blistering and scaling. In the restoration process in the 19th century, it was interpreted that gilt bronze pagoda was built at the upper part of the stone pagoda.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광학식 표면스캐닝 및 X-선 CT를 활용한 유물의 3차원 융합모델 제작 : 국립진주박물관 소장 삼총통

        조영훈,김다솔,김해솔,허일권,송민규 국립중앙박물관 2019 박물관보존과학 Vol.22 No.-

        이 연구에서는 표면형상 취득에 최적화되어 있는 광학식 정밀스캐닝과 내부 형상 획득에 사용되는 X-선 CT스캐닝 결과를 이용하여 삼총통의 내·외부 형상을 다각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3차원(이하 3D) 융합 모델을 제작하였다. 먼저 두 스캐닝 결과를 호환 가능한 확장자로 변환한 다음 상호간의 정합성을 검증하고자 3D 편차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결과, 두 스캐닝 모델은 대부분(56.98%) ±0.1mm 이내의 편차를 보였으며, 이 수치는 ICP 알고리즘 기반의 정합 및 병합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병합된 데이터는 총통의 외부 표면색 및 미세형상, 내부 두께 및 구조를 잘 표현하였다. 광학식 표면스캐닝과 X-선 CT스캐닝의 3D 융합 모델은 문화유산의 디지털기록화뿐만 아니라 제작기법 해석에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향후 박물관 전시 영역에서 전시품의 과학적 조사 정보를 보다 쉽게 관람객에게 전달하는 효과를 발휘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three-dimensional convergence modeling that can multilaterally analyze internal and external shapes of the Sam-Chongtong Hand Canon by optical precision scanning optimized for acquiring the surface shape and X-ray CT scanning used for obtaining the internal shape. First, the scanning results were converted by compatible extension, after which three dimensional devi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mutual conformities. Accordingly, most(56.98%) deviations between the two scanning models was found be ±0.1mm. This result did not influence registration and merging based on the ICP algorithm. The merged data exhibited the external surface color, detailed shapes, internal width, and structure of the hand canon. The three-dimensional model based on optical surface scanning and X-ray CT scanning can be used for traditional technique interpretation as well as digital documentation of cultural heritage. In the future, it will contribute to deliver accessible scientific information of exhibits for visitors.

      • KCI등재후보

        철제 환두부 보존처리 과정의 3차원 디지털기록 및 형상변화 분석

        최효령,홍성혁,조영훈,조남철 국립중앙박물관 2021 박물관보존과학 Vol.25 No.-

        부식생성물, 이물질 등이 고착된 금속유물의 보존처리는 처리 전·후 형태와 특성, 유물의 중량 및 두께가 변한다. 지금까지 보존처리 전·후 변화에 대한 기록은 주로 육안관찰, 사진촬영 등을 통해 수행되었으나, 이 방법들은 보존처리 변화에 대한 정량적 결과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두부를 중심으로 이물질 제거, 균열부 메움, 복원 등의 과정을 3차원 스캐닝으로 기록하여 보존처리에 따른 형상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3차원 스캐닝 결과를 기반으로 보존처리에 따른 부피 변화를 산출하고 형상 변화에 대한 수치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결과, 전체적으로 이물질 및 부식물은 보존처리 전 부피의 약 52%(18.1㎤)가 줄어들었고, 표면적으로 볼 때 약 98%가 제거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3차원 형상분석 기술이 유물의 보존처리 기록화 및 분석에 유용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이 방법론은 금속유물뿐만 아니라 다양한 재질의 문화유산에 확대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