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평창 수다사지 청동금고 주조기법과 보수 방식

        허일권,안송이,윤은영 국립중앙박물관 2014 박물관보존과학 Vol.15 No.-

        Chuncheon National Museum currently own a bronze Buddhist gong that was discovered in 1987 at the Sudasa Temple site of in Suhang-ri, Pyeongchang. Significantly, showing many casting defects and areas where was repaired, the Gong offered crucial information about the casting technique. To better understand the production technique, scientific analysis was conducted on various aspects of the gong, including its materials, moulds, chaplets, and defects. Composit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gong was composed primarily of copper(71.6wt%), tin(18.2wt%), and lead(7.2wt%), along with about 1.0wt% of both arsenic and antimony. The lead content of the chaple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gong, and the lead content was the highest in the solder, which was used to fill holes after casting. Surface analysis, based on the parting line, indicated that the gong was most likely produced with the sand casting process. Radiography and close examination of the surface disclosed various casting defects (e.g., Cold Shut, Surface Folds, Misrun and Blowholes Adjacent to Chaplets) and their possible causes. The casting defects of a few holes were filled with soft solder. 국립춘천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수다사지 청동금고는 1987년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수항리에서 발견되었다. 금고 표면에, 제작 당시의 주조 결함과 보수 흔적이 다수 발견되어 제작 기법을 유추하기에 용이한 중요 자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금고의 성분, 주형과 채플릿(chaplet, 型持, 코어받침쇠)의 위치, 결함의 원인 등을 과학적으로 조사하여 주조 기법과 당대의 보수 방식을 추정해 보았다. 성분 분석 결과, 금고의 주성분은 구리 71.6wt%, 주석 18.2wt%, 납 7.2wt%로 3원계 청동합금이며 비소·안티몬이 각각 약 1.0wt%씩 검출되었다. 주조 시 주형을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채플릿의 성분은 납 함량이 금고보다 더 높으며, 제작 후 구멍을 메우기 위해 사용된 땜납의 성분은 납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주조 분할선을 토대로 표면 상태를 관찰한 결과 사형주조(砂型鑄造)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았으며, 표면 관찰 및 방사선투과조사로 냉접(cold shut)이나 표면 주름(surface folds), 미스런(misrun), 채플릿 주변의 기공(blowholes adjacent to chaplets) 등의 주조결함을 확인하고 발생 원인을 추정하였다. 보수된 부분은 제작 당시의 주조 결함인 구멍이 생긴 부위를 메우기 위하여 연납을 사용한 땜질보수(soldered-in repair)를 하였다.

      • KCI등재후보

        익산 미륵사지 출토 동경의 금속학적 연구 및 산지 추정

        허일권,조남철,강형태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7 보존과학회지 Vol.20 No.-

        호록 미륵사지에서 출토된 동경의 성분을 분석하여 어떠한 배합비로 주조하였는지 또한 금속조직 관찰을통하여 동경의 제작기법을 그리고 납동위원소비를 분석하여 동경에 쓰인 납이 어느 지역의 방연석을 사용한 것인지를 검토하였다. 동경의 성분분석 결과, Cu의 농도는 68.8-73.3wt% Sn의 농도는 21.6-24.9wt%로 나타났으며, Pb의 함량은 시료번호 미륵 2와 3이 미륵 4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미세조직은 미륵 2와 3의 경우는 주조조직으로서 상과 상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미륵 4의 경우는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인위적인 열처리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납동위원소비를 통한 산지분석결과에서는 동경의 주조시 사용된 납의 경우 일본지역에서 쓰인 방연석과 깊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익산 미륵사지에서 출토된 동경의 제작기법 및 교류관계 등을 알아볼 수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By analyzing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bronze mirror presumably excavated from Mireuksaji temple site, Iksan, we have surveyed what alloy composition was used in casting the mirror, and also tried to estimate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f the bronze mirror, through the observation of microstructure, as well as which region galena the lead used in the mirror belonged to, by analyzing the ratio of the lead isotope. The content analysis result of bronze mirrors shows that it consists of 68.8 to 73.3wt% of Cu, 21.6 to 24.9wt% of Sn. In particular, the content of Pb of Mireuk 2 and 3 Samples are higher than those of Miruk 4. The observation result of microstructure demonstrates that Mireuk 2 and 3 consist of and eutectoide phase made through casting process. But Mireuk 4 show other process employed, such as quenching though martensite structure. In the analysis result of provenance though the lead isotope ratio, the origin of the used in bronze millers excavated from Mireuksaji temple site is presumed to be from galenas of Japen, like this those, the chemical competition, microstructure, and lead isotope ratio of bronze mirrors excavated from Mireuksaji can be utilized at fundamental data to compare mutually with other remains.

      • 강릉 초당동 금동관(金銅冠)의 복원·복제품 제작과 해체복원 :  

        허일권,권희홍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1 동원학술논문집 Vol.12 No.-

        강릉시 초당동 출토 금동관은 강원도 유일의 금동관으로 신라의 지방지배 방식을 밝혀주는 고고·역사학적 자료로서 가치가 높다. 그러나 출토 당시에 형태를 유지하는 보존처리가 진행되어 관의 제작기법과 세부구조 등을 새로이 연구함에 있어 제약이 있었다. 이에 2008년 국립춘천박물관은 과학적 조사를 통해 복원 · 복제품을 제작하고 2009년 나무 받침과 편의 분리를 통한 해체 복원작업을 진행하였다. 본고는 2년여 간 진행된 조사 · 작업 과정을 서술하며 과정 중에서 밝혀진 자료를 공개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Gilt bronze crown excavated from Chodangdong Gangneung is the sole gilt bronze crown of Gangwondo and has a great value as the archeological and historical material to show the local governing pattern of Silla. However, there was restriction in studying the producing technique and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crown since it was under conservation treatment after excavation. Chuncheon National Museum manufactured the restoration / reproduction through the scientific research in 2008 and carried out its disassembly / restoration by separation of wood deck and the crown leaves in 2009.

      • KCI등재후보

        고려 철제석가여래좌상의 보존

        허일권,유자영 국립중앙박물관 2010 박물관보존과학 Vol.11 No.-

        국립춘천박물관은 고려 철제석가여래좌상의 부식방지와 상설전시 활용을 위하여 보존처리를 실시하였다. 처리 전 유물의 상태는 부식으로 인한 표면 박락현상이 관찰되었고 가부좌의 오른편 둔부에서 다리부분까지 결손되어 정상적인 전시가 불가능 하였다. 따라서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강화·보호 위한 강화처리 작업이 진행되었다. 강화처리 진행에 앞서 국내·외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micro crystalline wax계를 선정하여 기초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주)동남유화의 wax(in xylene) 5wt%가 백화현상과 표면 색상변화가 적으며 작업에 편리성이 높아 강화제로 선택하여 부식을 억제하였다. 결손부분의 복원은 내부 지지대 제작과 함께 epoxy계 수지를 이용하여 탈착이 가능한 복원을 실시하여 전시 효용성을 높였다. The National Chuncheon Museum has carried out a conservation process in order to prevent corrosion of the seated iron Śākyamuni Buddha statue from Goreyo Dysnasty for its exhibition. Before the conservation process, the surface of the artifact showed exfoliation and the artifact was damaged from rear to legs so exhibition was impossible. Therefore a process to get rid of pollution and to reinforce and protect the artifact was carried out. Before the reinforcing process, a basic test was carried out using micro crystalline wax type with reference to foreign and domestic experiment results. As a result, as wax(in xylene) 5wt% of Dongnam petrochemical Ltd. showed no efflorescence and little change in surface color and was convenient to use, it was chosen as a reinforcing agent and used to suppress corrosion. For the restoration of damaged parts, an internal support was made and used with an epoxy resin, allowing removable restoration, thus increasing effectiveness for exhibition.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중완구의 제작 기술

        허일권, 김해솔 국립중앙박물관 2021 박물관보존과학 Vol.26 No.-

        A jungwangu, a type of medium-sized mortar, is a firearm with a barrel and a bowl-shaped projectileloading component. A bigyeokjincheonroe (bombshell) or a danseok (stone ball) could be used as a projectile. According to the Hwaposik eonhae (Korean Translation of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Use of Artillery, 1635) by Yi Seo, mortar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its size: large, medium, small, or extra-small. A total of three mortars from the Joseon period have survived, including one large mortar (Treasure No. 857) and two medium versions (Treasure Nos. 858 and 859). In this study, the production method for medium mortars was investigated based on scientific analysis of the two extant medium mortars, respectively housed in the Jinju National Museum (Treasure No. 858) and the Korea Naval Academy Museum (Treasure No. 859). Since only two medium mortars remain in Korea, detailed specifications were compared between them based on precise 3D scanning information of the items, and the measurements were compared with the figures in relevant records from the period.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the two mortars showed only a minute difference in overall size but their weight differed by 5,507 grams. In particular, the location of the wick hole and the length of the handle were distinct. The extant medium mortars are highly similar to the specifications listed in the Hwaposik eonhae. The composition of the medium mortars was analyzed and compared with other bronze gunpowder weapons. The surface composi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medium mortars were made of a ternary alloy of Cu-Sn-Pb with average respective proportions of (wt%) 85.24, 10.16, and 2.98. The material composition of the medium mortars was very similar to the average composition of the small gun from the Joseon period analyzed in previous research. It also showed a similarity with that of bronze gun-metal from medieval Europe. The casting technique was investigated based on a casting defect on the surface and the CT image. Judging by the mold line on the side, it appears that they were made in a piece-mold wherein the mold was halved and using a vertical design with molten metal poured through the end of the chamber and the muzzle was at the bottom. Chaplets, an auxiliary device that fixed the mold and the core to the barrel wall, were identified, which may have been applied to maintain the uniformity of the barrel wall. While the two medium mortars (Treasure Nos. 858 and 859) are highly similar to each other in appearance, considering the difference in the arrangement of the chaplets between the two items it is likely that a different mold design was used for each item. 완구(碗口)란 유통식 화기로 발사체 장전 부분이 사발(碗) 형태인 화포이다. 발사체로는 비격진 천뢰(飛擊震天雷)나 단석(團石) 등을 사용하였다. 『화포식언해(火砲式諺解)』(李曙, 1635)에 의하면, 대·중·소·소소완구 등 총 4종으로 구분되며, 실물은 대완구 1점(보물 제857호), 중완구 2점(보물 제858호, 제859호) 등 총 3점이 전한다. 본 연구에서는 임진왜란기에 제작된 국립진주박물관 소장 중완구(보물 제858호)와 해군사관학교 박물관 소장 중완구(보물 제859호)의 과학적 조사를 토대로 제작 기술을 확인하였다. 첫 번째로 국내 현전하는 중완구가 단 두점인 만큼 정밀 3D 스캐닝 정보를 바탕으로 세부 제원을 서로 비교하고, 동 시기의 문헌 기록 수치와 함께 검토하였다. 전체 크기차는 근소하나 중량에서 5,507g의 차이를 보이고, 세부적으로 심지구멍 위치와 손잡이 길이가 상이하다. 한편 현전 중완구는 『화포식언해』의 중완구 제원과 가장 유사하다. 두 번째로는 중완구의 성분을 분석하고 기존 청동제 화약 무기와 함께 검토하였다. 표면 성분 분석결과, 중완구는 Cu-Sn-Pb의 삼원계 합금이며, 평균 함량(wt%)은 Cu 85.24 : Sn 10.16 : Pb 2.98이다. 중완구의 재료 성분은 기존에 조사된 조선 청동 화약 무기의 평균 성분과 매우 유사하며, 중세 유럽의 청동제 화포 재료(Gun-metal)와도 유사한 경향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중완구 표면의 주조 결함(casting defects)과 CT 상을 토대로 주조 기법을 추정하였다. 측면의 주조분할선으로 보아 주형을 반으로 나눈 분할 제작(piece mold)이며, 용탕의 주입은 약실끝 부분으로 포구가 바닥에 오는 수직 주형 설계로 추정한다. 특히 포신 기벽에서 주형과 코어를 고정하는 보조 장치인 채플릿(chaplets)이 확인되므로 이는 기벽을 일정하게 형성하는 역할을 했을 것이다. 한편 보물 제858호와 제859호 중완구 두 점은 외형이 매우 유사하지만, 채플릿의 수량과 배치가 상이하여 주형 설계 일부가 달랐을 것으로 예상한다.

      • KCI등재

        지역사회에서 통합고용된 성인 지적장애인의 근로 경험에 관한 연구

        허일권 ( Heo Il Kwon ),김민아 ( Kim Min Ah ),정상미 ( Jung Sang Mi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0 사회복지연구 Vol.51 No.4

        통합고용 환경에서의 근로 경험은 지적장애인들의 사회통합을 도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성인 지적장애인의 통합고용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통합고용 환경에서 근무하고 있는 20명의 성인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주제분석 방법을 이용한 분석 결과, 3개의 대주제와 11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통합고용된 성인 지적장애인은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경험하였고, 업무를 수행하면서 스트레스와 성장을 경험하였다. 또한, 경제활동을 통해 자신의 여가생활 및 가족의 생계유지에 기여하였고 미래의 자립을 도모하는 기반이 되었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 근로자들이 통합고용을 통해 사회통합을 도모할 수 있도록 직장 내 사회적 관계 향상 교육, 장애인 및 비장애인 근로자를 위한 장애인식 개선 프로그램, 직장 내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상담서비스, 멘토링 지원의 서비스 개발, 장애 특성을 고려한 업무 배치 시스템, 적절한 수준의 보상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Work experiences in integrated employment can provide opportunities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engage in the community.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20 community-integrated work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understand their work experiences in integrated employment. Thematic analyses yielded three themes and 11 subthemes. Participants in integrated employment experienced various social relationships, work-related stress, and growth. Their regular earnings through work contributed to enjoying their personal life, maintaining their family's household, and planning an independent life in the near future.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to develop education that improves social relationships in the workplace,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for worker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counseling services for relieving stress at work, mentoring support, a system that assigns work considering disability, and appropriate compensation, which could promote community integration through integrated employment among work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후보

        청풍부원군 김우명 상여의 보존 및 복제

        정재웅,허일권,박승원,이용희 국립중앙박물관 2013 박물관보존과학 Vol.14 No.-

        국립춘천박물관 소장 중요민속문화재 제120호 청풍부원군 김우명 상여는 상여와 요여, 명정대, 만장대 등 1습으로 구성되었다. 2002년 기증되었으며(故 김성구)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왕실 제작 상여로 가치가 높게 평가되고 있다. 2012년 9월 ‘강원의 위대한 문화유산’ 특별전시를 위하여 수장고에서 휴식기를 갖고 있던 상여를 점검한 결과 목재 부분의 채색 안료층이 박락될 우려가 있고, 직물류의 표면 손상이 심각하다고 판단하여 보존처리를 실시하였다. 이 중 매듭과 수식(垂飾)은 손상이 더 심해 전시가 불가능하므로 정밀조사에 따라 복제품을 제작하였다. 상여는 기본가구를 제외한 모든 부위가 분리된 상태였으며, 요여는 부재를 해체하여 보강한 후 재조립하였다. 상여의 목재 부분은 채색 안료층을 강화하기 위하여 Acryl 계열 수지인 Paraloid B-72 2 wt%(in ethyl acetate)를 도포한 후,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2 wt%(in 증류수)와 아교 4 wt%(in 증류수)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직물류는 표면 오염물을 제거한(Vacuuming) 후 구김을 폈다(Steaming). 지용성 오염의 경우 비이온 계면활성제(Saponin, 0.25~0.5 g/l, in 증류수)를 사용하여 제거하였다. 요여는 해체 후 부러졌던 부재를 아교 3 wt%(in 증류수, 초벌용)와 35 wt%(in 증류수, 접착용)로 접착하고 결실부 복원을 위해 건조한 소나무를 사용하였다. 운각의 연결은 본래의 금속제 경첩과 장석못을 재사용하여 조립을 완료하였다. Cheongpung Buwongun Kim Wu-myeong’s Funeral Bier, an important folklore cultural property No.120, possessed by Chuncheon National Museum was donated in 2002 (by Kim Seonggu). It consists of a bier, yoyeo(腰輿), myeongjeongdae(銘旌臺), and manjangdae(輓章臺). It has a high value as the oldest royal bier. The bier which had a resting time in the storage for special exhibition of "The great cultural treasure of Gangwon province" was inspected in September 2012 and colored pigment layer of the wooden part had the risk of peeling off and surface damage of the textile was serious. Therefore, conservation treatment was conducted. In addition, knots and susiks(垂飾) were severely damaged and their exhibition was impossible. Therefore, a reproduction to replace them through a close investigation was made. All parts of the funeral bier were in separation except for the basic furniture. Conservation was made by dividing the parts into wooden parts and textile parts. Yoyeo was reinforced after disassembling bujae from it and then was reassembled. Paraloid B-72 2 wt% (in ethyle acetate), acrylic resin, was applied to the wooden part of the bier in order to reinforce the colored pigment layer with the addition of sodium alginate 2 wt%(in stilled water) and glue 4 wt%(in stilled water). The pollutants on the surface of the textile part were removed (vacuuming) and its creases were smoothed out (steaming). Fat-soluble pollutants were removed using an nonionic surfactant (Saponin, concentration at 0.25 to 0.5 g/l, in de-ionized water). After the disassembly of the yoyeo from the broken wooden, it was bonded with glue (3 wt% for the first gluing, 35 wt% for gluing), and pine wood was used to restore missing parts.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Wongak(雲角), the original metal hinge and nails were reused to complete the assembly.

      • KCI등재

        금속유물 코팅제와 Cyanoacrylate 접착제의 반응속도 및 원인분석 : 초기접착속도를 중심으로

        권희홍,허일권,김수기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1 보존과학회지 Vol.27 No.2

        금속유물 보존처리시 유물 상태, 재질 및 환경 등 보존처리자의 판단에 따라서 다양한 코팅제를 사용하게 된다. 코팅제 종류 및 용제에 따라서 cyanoacrylate 접착제의 초기접착속도에 차이를 나타내므로 보존처리 효율성과 연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코팅제 종류와 용제에 따라 cyanoacrylate 접착제의 초기접착속도에 미치는 영향과 원인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표면의 거칠기가 편평할수록 접착제의 젖음성이 향상되어 빠른 접착이 이루어졌다. 또한 V-Flon의 C-F, C-O-C 흡수 피크와 코팅제의 분자량과 유리전이온도는 초기접착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크게 작용하였다. 이와 같은 표면?화학적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기접착속도를 측정한 결과 접착제의 종류 및 점도에 따른 상대적 차이는 있으나 모든 접착제에서 V-Flon > Paraloid B-72(in xylene) > Paraloid NAD-10 > Paraloid B-72(in acetone)순으로 초기접착속도를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경주 은령총 출토 청동제합의 보존

        최희윤,허일권,안주영,박학수,유혜선 국립중앙박물관 2006 박물관보존과학 Vol.7 No.-

        경주 은령총에서 출토된 청동제 합은 과거 접합되었다가 파손된 상태로 본체의 경우 전체의 절반 정도만이 남아있어 보존 및 전시를 위해서 보존처리 하였다. 이물질 및 열화된 접착제의 제거 후 재접합 하였는데, 비교적 많은 부분이 남아있는 뚜껑은 복원부위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가역적인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본체의 경우 복원부위가 많기 때문에 유물의 하중을 잘 견딜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여 접합하였다. 합을 비파괴 조사한 결과 주조품이었으며 재질은 Cu-Sn-Pb의 3원계 합금으로 나타났다. The bronze bowl with lid excavated from Eunnyeongchong Tumulus in Gyeongju had been united in the past and then damaged. We removed deteriorated adhesive and other impurities from it and reunited it. Some fragments of the artifact has been lost; in particular, only half of the whole main body remains. Therefore, it needed restoration treatment for exhibition and conservation. The lid, relatively much part of which remains, was treated with the method that could easily detach the restored part; the main body with much restored part was united using epoxy resin so that the restored part could well bear the weight of the artifact.

      • KCI등재후보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 출토 비격진천뢰의 제작기법과 보존처리

        김해솔,허일권 국립중앙박물관 2020 박물관보존과학 Vol.24 No.-

        This paper describes the consevation treatment of eleven bigyeokjincheolloe bomb shells that were excavated from the Joseon-period local government office and fortress of Mujang-hyeon (present-day Mujang-myeon) in Gochang in 2018. It also provides information o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shells revealed through CT scanning, gamma-ray transmission imaging, and metallographic analysis. In preparation for the special exhibition “Bigyeokjincheolloe” at the Jinju National Museum in 2019 (July 16 to August 25), contaminants were removed from the shells and their surface was reinforced during the first phase of conservation treatment. Furthermore, the closures for the shells were identified for the first time. Regarding the production of the shells, the CT scanning and gamma-ray transmission imaging identified many blowholes in the interior of the body and the use of a chaplet on the side of one shell. The side of the body proved to be relatively thinner than the top and bottom. The traces of a hole for pouring molten metal into the center of the bottom indicates that molten metal was indeed emptied into the inverted body. In the metallographic analysis of two of the bodies and one lid, cementite and pearlite structures were identified on the body, indicating that it was made by casting. The presence of the ferrite structure with a partial distribution of the pearlite along with non-metallic inclusion in the lid suggested that the lid was made by forging. 본 연구는 2018년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에서 발굴된 비격진천뢰 11점의 보존처리 과정과, 컴퓨터단층촬영(CT)과 감마선(γ-ray)투과조사·금속 조직 분석을 통한 제작기법을 수록하였다. 보존처리는 2019년 국립진주박물관에서 진행한 특별전 ‘비격진천뢰’(07.16.~08.25.) 전시를 위한 1차 보존처리 과정인 이물질제거와 강화처리를 진행 하였고, 이 과정에서 비격진천뢰 뚜껑(개철, 蓋鐵)을 최초로 확인 할 수 있었다. 제작기법의 경우 11점의 CT와 γ-ray촬영 결과 본체 내부에 많은 기공과 측면에 형틀받침쇠(chaplet, 型持)가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기벽의 두께는 위아래에 비해 측면이 비교적 얇게 설계되었다. 또한 아래 부분 중앙에 쇳물주입구 흔적이 관찰되어 본체를 뒤집은 상태에서 쇳물이 주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금속 조직 분석은 본체 2점과 뚜껑 1점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본체는 시멘타이트 (cementite)조직과 펄라이트(pearlite)조직이 관찰되어 주조로 만들어졌고, 뚜껑은 페라이트(ferrite) 조직에 일부 펄라이트가 끼어있으며 비금속 개재물이 일직선으로 관찰되어 단조로 만들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