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폴리텍대학 졸업생의 구직 활동이 직업탐색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영환 상지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한국폴리텍대학(이하“폴리텍대학”이라 한다)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재학 중 진로미결정과 직업탐색활동의 관계를 고찰하고, 직업탐색활동의 관계와 직업탐색성과로서 면접건수, 취업건수, 취업만족도 및 직업만족도의 관계에 대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또한 이들 변수간의 관계에서 졸업생들의 직업탐색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 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이해부족은 예비적 탐색행동과 적극적 탐색행동, 직업탐색강도에 대해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정보부족은 적극적 탐색행동과 직업탐색강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격적 우유부단성은 예비적 탐색행동에 대해서만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직업정보의 수집이나 이력서와 자기소개서의 작성과 같은 취업준비행동은 성격적 특성으로서 우유부단성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취업준비 행동으로서 취업 관련기관의 방문이나 취업박람회의 참석과 채용기관 담당자와의 접촉, 직업선택과 취업을 위한 노력과 같은 행동은 직업정보의 영향을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대해 자기이해부족은 선행 연구와는 다르게 예비적 탐색행동과 적극적 탐색행동, 직업탐색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이해부족이 직업탐색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폴리텍대학의 교육목표와 과정이 취업대상과 직종이 제한적이며, 구체적이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둘째, 직업탐색행동과 직업탐색성과의 관계에 대한 분석결과 예비적 탐색행동은 정량적 성과인 면접건수와 취업건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극적 탐색행동은 취업건수, 취업만족도, 직업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직업탐색강도는 면접건수, 취업만족 도, 직업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각각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분석 결과 자기소개서 작성이나 취업 정보수집과 같은 준비적인 직업탐색행동인 예비적 탐색행동은 주로 면접건수나 취업건수와 같은 정량적 성과에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취업담당자의 방문이나 취업박람회 참가와 같은 심층적이고 적극적인 직업탐색활동인 적극적 탐색행동과 직업탐색강도는 주로 질적 취업성과인 취업만족도와 직업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부분적으로는 면접건수나 취업건수와 같은 정량적 성과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자기이해부족, 직업정보부족, 우유부단성과 직업탐색성과인 예비적 탐색행동, 적극적 탐색행동, 직업탐색강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기이해부족은 예비적 탐색행동과 적극적 탐색행동, 직업탐색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예비적 탐색행동의 경우에는 자기효능감(저)의 경우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업정보부족은 자기효능감의 고, 저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유부단성은 자기효능감(저)인 경우에만 예비적 탐색행동과 적극적 탐색행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에 따르면 자기효능감은 성격적 특성인 우유부단성과 높은 상호작용효과가 있으며, 부분적으로 자기이해부족과 같은 개인적 특성과도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예비적 탐색행동, 적극적 탐색행동, 직업탐색강도와 직업탐색성과인 면접건수, 취업건수, 취업만족도, 직업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적극적 탐색행동이 직업탐색성과에 미치는 효과는 자기효능감의 고, 저에 관계없이 일정하며, 직업탐색강도가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는 자기효능감(고)의 경우에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예비적 탐색행동이 면접건수, 취업만족도,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는 자기효능감(고)의 경우에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Generally youth unemployment rate is more serious than that of other age groups. The major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ndecision, job search behaviors and job search performance of Polytechnic College graduates. To review the interactional effects of self-efficacy in job search is another. Career indecision has long been an area of special interest to their parents, researchers, school counselors, and others who advise young adults on their career choices. Earlier works on career indecision focused almost exclusively on the negative consequences that young adults faced as a result of lack of self-insight into their own skills and abilities, lack of specific information about various occupations and labor markets, and fear of commitment to any career path in particular. More recently, researchers have noted that at least in the short run, negative consequences of early career indecision may lead to long-term positive consequences, particularly if better person-occupation fit is achieved as a result of young adults' extended search behavior.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dissertation, we used a questionnaire data gathered from 289 Polytech-college graduates employed in Seoul vicinity area and other province. Multiple regression and multipl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The major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lack-of-self doesn't impact on preparatory job search behavior(JSB), active JSB, and JSB intensity. Lack-of-information has negative effect on active JSB and JSB intensity, and indecisiveness has negative effect on preparatory JSB only. Second, preparatory job search behavior(JSB) has positive effect on the experience of interview and employment. Active JSB has positive effect on the experience of employment, employment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JSB intensity has positive effect on the experience of interview, employment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Third, self-efficacy in job search has nega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ack-of-self and preparatory JSB, but lack-of-information has no interactional effect on job search behaviors with self-efficacy. Self-efficacy in job search has nega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cisiveness and preparatory and active JSBs. Fourth, self-efficacy in job search has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paratory JSB and the experience of interview variable, employment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also, self-efficacy in job search has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SB intensity and job satisfaction.

      • Medical Exercise Therapy가 뇌졸중 환자의 발목관절 근활성도와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조영환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Medical Exercise Therapy가 뇌졸중 환자의 발목관절 근활성도와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조 영 환 동신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지도교수 : 남 기 원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발목관절에 Medical Exercise Therapy(MET)를 적용하였을 때 근활성도와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위해 진행되었다. 대상자는 뇌졸중 진단을 받은 자로 3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 중 6명은 개인적인 사정과 퇴원 등으로 인해 연구진행 중에 제외 되었고 MET 훈련군 12명과 대조군 12명으로 분류하여 6주간 진행되었다. MET훈련군은 MET Shoe를 마비측 발에 착용을 하고 배측굴곡과 저측굴곡 운동 및 일반적 운동치료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일반적 운동치료만 실시하였다. 평가 및 측정은 근활성도의 변화를 보기위해 최대 근수축력(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에 대한 실효치 진폭(root mean square; RMS)을 구하였고 균형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FRT와 TUG를 사용하였으며 보행능력을 평가하기위해 10 mWT, 2 MWT, F8WT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MET 훈련군과 대조군의 중재 전과 후를 비교하기 위해서 paired-t test를 실시하였고 군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서 independent-t 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MET 적용 후 실험군은 전경골근과 가자미근에서 근 활성도가 MET 적용 전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군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균형능력은 FRT에서만 MET적용 전·후 비교와 군간 차이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보행능력은 10 mWT의 보행속도와 걸음수 모두 MET적용 전·후 비교와 군간 차이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2 MWT에서는 MET적용 후 군간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전·후 비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MET를 뇌졸중 환자의 발목관절에 적용하였을 때 근활성도와 보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를 통해 MET는 신경계 손상환자에게도 적용이 가능하며 재활방법을 보다 다양화 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Effects of Medical Exercise Therapy on ankle muscles activation and walking ability after stroke Cho, Young-Hwan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Dongshin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Nam, Ki-W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effect of Medical Exercise therapy on ankle muscles activation and walking ability after stroke. The subjects were diagnosed as stroke and 24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either MET training group and control group(12 experimental, 12 controp). All of participants had been receving a tradi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5 days a week. MET training group have additionally undergone for six weeks, 3 days a week, the MET program. But control group was not received any additional program except the tradi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The 10 mWT, F8WT and 2 MWT to measure walking ability were carried out twice before and after training. Muscular activity of the ankle was estimated by analyzing the root mean square(RMS) of action potential for electromyography(EMG) in terms of tibialis anterior muscle(TA), soleus(SO), gastrocnemius medial head(GM), gastrocnemius lateral head(GL). The balance ability test was carried out by functional reach test(FRT) and timed up and go(TU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after the patient with stroke had applied ankle to MET training, MET training group demonstrated a significant improvememt in the score of the 10mWT(p<0.001), 2MWT(p<0.05), but F8WT was not significant improvement(p>0.05). Second, after the patient with stroke had applied ankle to MET training, MET training group demonstrated a significant improvememt in the score of the FRT(p<0.05), but TUG(p>0.05) was not significant improvement. Third, after the patient with stroke had applied ankle to MET training, MET training group demonstrated a significant improvememt in the RMS of the TA(p<0.01) and SO(p<0.05) but GM(p>0.05) and GL(p>0.05) were not significant improvement. The contol group had no change on the any test. From these results of this study, MET training for 6 weeks has an effect on improvement of muscles activation, balance and walking ability. Therefore, MET training will to when the stroke patients are treat for improve muscles activation walking ability.

      • SO2 제거능력에 대한 Ca-based 흡착제의 Hydration Effect

        조영환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CaO 흡착제를 수화시켰다가 다시 소성하는 방법으로 Ca- based 흡착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실험을 행하였다. 수화 온도는 20℃~80℃, 수화시간은 5~120분으로 제한하였으며, 생성된 흡착제로 SO2 제거능력을 살펴보았다. CaO 흡착제를 수화시키면, 생성된 Ca(OH)2의 몰부피가 CaO보다 크기 때문에, 수화시키지 않은 흡착제보다 큰 비표면적과 흡착제 표면의 grain들이 아주 작고 분산이 잘 되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80℃, 100분간 수화시켜준 흡착제는 수화시키지 않은 흡착제보다 약 2.5배 정도 비표면적이 증가되며, 흡착제 내부 구조의 변화로 인해서 80℃, 100분간 수화시켜준 흡착제는 반응온도 900℃에서 수화시키지 않은 흡착제보다 1.7배 정도 높은 SO2 제거능력을 나타내었다. 수화된 CaO 흡착제가 높은 utilization을 보이는 것은 수화하지 않은 흡착제보다 기공의 확산 저항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 Anti-lipoapoptotic effects of Alisma orientalis extract on non-esterified fatty acid (NEFA)-induced HepG2 cells

        조영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Alisma orientale (AO) is known to have anti-inflammatory and diuretic effects in traditional medicine. In addition, it is recognized as a promising candidate with therapeutic efficacy for the treat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nti-lipoapoptotic- and anti-inflammation-mediated anti-steatotic effects of the 30% ethanol AO extract (AOE) in non-esterified fatty acid (NEFA)-induced HepG2 cells. The HepG2 cells were cultured with the NEFAs mixture (oleic and palmitic acids, 2:1 ratio) for 24 h to induce hepatic steatosis, and then lipoapoptosis and inflammation were generated.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using the MTT assay. Oil Red O staining and Nile red staining tests were performed to observe decreases in hepatocyte lipid accumulation induced by AOE treatment. To reveal the pathway involved in the AOE-induced inhibition of hepatocyte lipid accumulation and anti-lipoapoptotic effect, which are related to the progression from simple steatosis to nonalcoholic hepatitis, mRNA qPCR analysis was executed and expression levels of related proteins were measured. AOE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lipid accumulation in the Oil Red O staining and Nile red staining tests with no cytotoxicity at a concentration of 300 μg/mL. De novo lipogenesis (DNL)-related mRNA and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FASN and ACC1 were down-regulated after AOE treatment, which explains the effect AOE on lipid accumulation associated with the DNL process. Decreases were observed in BAX and MAPK8 mRNA expression level and p-JNK (activated form of JNK) and BAX as well as cleaved caspase-9 and caspase-3 protein expression level. Bcl-2 protein level increased after AOE treatment, which likely mediates the anti-lipoapoptotic effect of the extract. In addition, inflammatory protein expression including p-p65, COX-2, p65 and iNOS were inhibited by AOE treatment.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AOE has anti-steatosis effects that involve lipogenesis, anti-lipoapoptosis, and anti-inflammation in the NEFA-induced NAFLD pathological cell model. 택사(澤瀉)는 항염증 및 이뇨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간의 지방축적 억제 및 간보호 효과가 있어 지방간 질환에 활용 가능한 약재이다. 본 연구에서는 HepG2 세포에 올레산과 팔미트산으로 구성된 비에스테르형 지방산을 처리하여 간의 지방증 유도를 통해 지방간질환의 in vitro 모델을 설정한 후 택사(澤瀉) 에탄올 추출물 투여를 통한 지방증, 세포자멸사 및 염증의 개선효과에 대해 확인하였다. 택사(澤瀉)추출물이 HepG2 세포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MTT assay로 분석하였고 비에스테르형 지방산으로 인한 HepG2 세포의 지방 축적 정도 및 개선 정도는 Oil Red O 염색법과 Nile Red 염색법으로 확인하였다. 세포의 지방 축적 기전의 하나인 De novo lipogenesis에 관여하는 FASN과 ACC1와 지방증으로 인한 세포자멸사에 관여하는 JNK, Bax, Bcl-2, Caspase-9의 mRNA 발현양상을 Real-time PCR법으로 분석하였으며, pJNK, Caspase-3을 추가한 단백질 발현 양상은 western blot 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비에스테르형 지방산으로 lipoapoptosis를 유도한 HepG2 세포에서 택사(澤瀉)추출물 처리 후 지방증의 감소, 세포자멸사의 억제 및 염증의 억제를 확인하여 지방간질환에 대한 택사(澤瀉)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