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아의 기질 요인에 따른 영아-교사 간 애착 안정성 및 또래 간 상호작용 차이

        조영아(Cho Young-Ah),김수영(Kim Soo-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영아 기질의 하위요인에 따라 교사와 형성하는 애착 유형 및 또래 간 상호작용에서의 차이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24-32개월 영아 33명과 그들의 보육교사 7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영아의 기질과 교사와의 애착안정성 및 또래 간 상호작용을 측정하는 도구를 사용하여 자료 수집 하였으며 교차분석 및 다변인변량 분석으로 자료처리 하였다. 연구 결과, 기질하위요인 중에서 규칙성, 반응강도, 기분, 지구성, 적응성 요인이 교사와의 애착유형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활동수준, 접근성, 반응역, 주의분산 요인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영아 기질의 하위요인 중에서 반응강도, 기분, 적응성 요인은 또래 간 상호작용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활동수준, 규칙성, 접근성, 지구성, 반응역, 주의분산 요인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subordinate factors of toddler temperament on differences in the peer interaction and the attachment between toddler and teacher. For the evaluation, the toddler temperament questionnaire(TTQ), peer interaction, and attachment Q-set tests were performed on 33 toddlers under 2 years old and 7 teachers in the S child care center located at D city. The test data were analyzed with Crosstabs and MANGVA and the results indicate the followings. First, the subordinate factors of toddler temperament affecting the difference in the toddler-teacher attachment are regularity, intensity of response, positive or negative mood, persistence, and adaptability. Second, the subordinate factors of toddler temperament affecting the difference In the toddler interaction are intensity of response, positive or negative mood, and adaptability.

      • KCI등재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에 나타난 비서전공자의 취업 관련 변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조영아(Cho, Young-Ah) 한국비서학회 2013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2 No.1

        대졸자 취업의 질에 대한 관심이 커져감에 따라서 이와 관련하여 정부에서 실시하는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를 이용하여 비서전공자의 취업관련 변인을 다른 전공과 비교하는 탐색적인 연구를 통해 비서학과의 취업지도에 도움이 될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표본으로 2010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자료 중 전문대학, 여성, 1985년 이후 출생자의 자료로 한정하여, 계열별?전공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서전공자의 취업률은 높은 편이며, 대기업정규직 취업과 월평균소득 면에서 취업의 질적 수준도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취업이행효과 및 임금효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취업준비행동과 관련한 참여도가 대부분 다른 전공에 비해 높은 편이었으나, 인턴십이나 직장체험 등과 같은 활동에서는 다른 전공보다 참여도가 낮아서 이에 대해 개선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셋째, 취업에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하는 요인으로는 인성, 자격증, 외국어, 외모 등이 높은 편이었으므로 이에 관련한 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넷째, 대학 교육시설 및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전공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학과차원에서 개선이 가능한 교육과정, 전공교수진의 능력, 열의, 수업방식 등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변화하는 현장의 요구에 맞도록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이 계속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According to increasing concerns regarding the employment quality of graduates on university,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 to help employment guidance by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retarial major and others using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which was officially carried out by government. The sample was confined to 2-year junior college, women, and people who were born since 1985.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employment ratio of secretarial-majored was somewhat higher than other majors, as well as the quality of employed persons, too. Secon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which employee"s prepared was higher than others, but the degree of internship participation and the job experience program was not lower than other majors. It was suggested necessity to improve it. Third, factors which were highly recognized to employment by secretarial-majored graduates were human nature, certifications, foreign language ability, and appearance. Fourth, because satisfaction level of the professor’ ability, passion, and teaching style was average, they have to improve these and continue to develop curriculum and textbook to match the actual situation.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양식 강도다리, Platichthys stellatus에서 분리된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piscicida의 특성

        조영아 ( Young Ah Cho ),한현자 ( Hyun Ja Han ),문희은 ( Hee Eun Mun ),정승희 ( Sung Hee Jung ),박명애 ( Myoung Ae Park ),김진우 ( Jin Woo Kim ) 한국어병학회 2013 한국어병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2012년 8월, 우리나라 울산 소재의 강도다리 양식장에서 뚜렷한 증상 없이 강도다리 폐사가 발생하여 그 원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기생충, 세균, 바이러스 검사를 수행하였으며, 내부 장기에서 균이 순수 분리되어 해당 분리균주의 표현형 및 유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순수 배양된 균체를 확인하여 계대 배양하여 생화학적 성상과 16S rRNA 유전자와 capsular polysaccharide (CPS)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piscicida으로 동정되었다.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piscicida와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damselae는 TCBS agar 배지의 균주 배양 유무, 16S rRNA 및 CPS 유전자 분석을 통해 구분할 수 있었다. 실험 균주는 ofloxacin과 gentamycin에 대해서 감수성을 나타냈으며, 배양 온도에 따른 발육시험 시 18℃ 및 25℃에서 시험한 다른 균주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생장율을 나타내었다.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body length 4.4 ± 0.51 ㎝) that became sick during an outbreak of disease at mariculture facilities at Ulsan, Korea in August of 2012, were examined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disease. Diseased fish didn`t show a unique sign, but the oxidase-positive and gram negative rod was isolated from moribund fish. The bacterium was revealed as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piscicida by biochemical analysis and sequence analysis of the 16S rRNA and capsular polysaccharide (CPS) genes. The isolates (AD5) was carrying susceptible to ofloxacin and gentamycin and showed high growth value at 18℃ and 25℃ compared to four other P. damsela strains.

      • KCI등재

        미성년자와 성인에서의 안드로겐탈모증의 임상적 차이 분석

        조영아 ( Young Ah Cho ),손형석 ( Hyung Seok Son ),이지수 ( Ji Su Lee ),김진희 ( Jin Hee Kim ),최용범 ( Yong Beom Choe ),안규중 ( Kyu Joong Ahn ),이양원 ( Yang Won Lee ) 대한피부과학회 2021 대한피부과학회지 Vol.59 No.9

        Background: Androgenetic alopecia (AGA) is characterized by terminal hair miniaturization, which progressively decreases hair density and thickness. Genetic predisposition and the role of androgen in AGA have been widely accepted; however, its definite mechanism has not been clarified. AGA may also occur in adolescents, although its clin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disease prevalence have not yet been fully established. Objective: To analyze the clinical differences of AGA between adolescents and adults. Methods: Six-hundred fourteen patients with AGA were recruited and information about age, sex, and family history, comorbidities were collected. Results: A total of 74.5% of adolescents and 66.4% of adults had family history of AGA, with “paternal only” as the most common pattern. A total of 27.3% of adolescents and 44.5% of adults had comorbidities, with seborrheic dermatitis being the most common. Other common comorbidities were acne, folliculitis, and atopic dermatitis in adolescents, dyslipidemia, hypertension, mood disorder, and diabetes mellitus in adults. A total of 12.7% and 15.0% of adolescents and adults, respectively, had abnormal serum testosterone levels, and 5.5% of adolescents and 7.5% of adults had abnormal serum 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 (DHEA-S) levels. Regardless of age,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abnormal testosterone levels was higher in the female group than in the male group. Conclusion: AGA showed paternal predominance in family history regardless of sex or age, suggesting paternal history as an important factor of AGA. Testosterone and DHEA-S abnormalities were found in patients with AGA, indicating a need for further studies on therapeutic effects associated with differences in hormonal profiles. (Korean J Dermatol 2021;59(9):693∼698)

      • KCI등재

        The Influence of Word,focused Activities on L2 Learners` Vocabulary Retention

        조영아 ( Young Ah Cho ) 21세기영어영문학회 2013 영어영문학21 Vol.26 No.4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ffects of tasks with an identical amount of involvement under the same level of involvement index on L2 college students` vocabulary learning phase. The results revealed that a summary writing task was significantly more effective than a filling-in-blanks task on the immediate word retention. On the other hand, difference between the two tasks was not observed in the long-term perspective. As for the four levels of word knowledge types, in contrast to the lasting effects of a filling-in-blanks task on long- as well as short-term word retention, active and passive word knowledge was not held steady over time except for active recall word knowledge gains in the summary writing task. Based on the findings,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made.

      • KCI등재

        디지털 데이터 슬라이서가 집적된 900 MHz 대역의 RFID 수신단

        조영아(Younga Cho),김동현(Dong-Hyun Kim),김남형(Namhyung Kim),이재성(Jae-Sung Rieh) 한국전자파학회 2015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6 No.1

        본 논문에서는 0.11μm CMOS 공정을 이용한 900 MHz 대역의 RFID 통신 수신단을 제안한다. 본 RFID 수신단은 포락선 검출기와 저역 통과 필터, 비교기와 D-플립플롭, 그리고 디지털 블록의 클록을 공급하기 위한 발진기가 집적된 형태이며, 저전력으로 구동하도록 설계하여 수동 RFID 통신용 태그에 적합하게 하였다. 본 수신단은 종래의 아날로그 데이터 슬라이서가 아닌 디지털 데이터 슬라이서를 사용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였다. 클록의 주파수는 1.68 MHz이고, 소비전력은 5 μW이며, 제작된 회로의 크기는 측정 패드를 제외하고 325 μm×290 μm이다. In this paper, a receiver has been developed in a 0.11-μm CMOS technology for 900 MHz RFID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The receiver is composed of an envelope detector, a low-pass-filter, a comparator, D flip-flops, as well as an oscillator o provide the clock for digital blocks. The receiver is designed for low power consumption, which would be suitable for passive RFID tags. In this circuit, a digital data slicer was employed instead of the conventional analog data slicer in order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The clock frequency is 1.68 MHz and the circuit operates with a power consumption as small as 5 μW. The chip size is 325 μm×290 μm excluding the probing pads.

      • KCI등재
      • KCI등재

        경력관리행동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조영아(Youngah Cho),정철영(Chyulyoung Jyung) 한국진로교육학회 2015 진로교육연구 Vol.28 No.4

        이 연구는 경력관리행동 척도를 개발하고,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와 기존 척도를 고찰하여 경력관리행동 개념을 확립하고 예비문항을 작성하였다. 이후 경력개발 및 경력관리 전문가 6인, 기업 현장 전문가 2인을 대상으로 문항내용 및 표현의 적절성 등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아 예비조사 문항을 확정하였다. 확정된 예비문항을 토대로 성인 근로자 15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한 후 총 21문항으로 구성된 경력관리행동 예비 척도를 개발하였다. 예비 척도에 대하여 성인 근로자 36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한 후 최종적으로 4요인, 20문항의 경력관리행동 척도를 개발하였다. 요인 1은 경력탐색행동(5문항), 요인 2는 경력계획행동(4문항), 요인 3은 경력전략실행행동(7문항), 요인 4는 경력평가행동(4문항)으로 명명하였다. 경력관리행동 척도 전체 Cronbach 계수는 .926이며, 경력탐색행동은 .785, 경력계획행동은 .899, 경력전략실행행동은 .802, 경력평가행동은 .909로 나타났다. 또한 개발된 척도에 대한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하위요인 간 상관분석, 개념신뢰도(CR) 및 평균분산추출(AVE) 등을 통해 경력관리행동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또한 경력관리행동 척도에 대한 공인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경력관리행동 척도와 핵심자기평가 척도 및 행동의도 척도 간의 상관을 확인하였다. 경력관리행동 척도와 핵심자기평가 척도와의 상관계수는 .687, 행동의도 척도와의 상관계수는 .701로 .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임으로써 공인타당도가 수용 가능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 개발한 경력관리행동 척도의 의의와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Career Management Behavior Scale. First, 21 preliminary items were generated based on theoretical literatures and other existing scales after verification of experts(6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management experts, 2 office workers). The preliminary scale was administered to a sample of 150 office workers. Then, after revising the preliminary items based on item-score correlation and factor extraction, the revised scale consisting of 20 items was administered to a sample of 364 office workers. The Career Management Behavior Scale was finalized and it consists of 4 factors and 20 items . The first factor(5 items) was related with Career Exploration Behavior, the second factor(4 items) one with Career Planning Behavior, the third factor(7 items) with Career Strategy Implementation Behavior and the last factor(4 items) with Career Evaluation Behavior. The internal consistency(Cronbach’s α ) of the total scale was .926 and cronbach’s α of 4 subfactors ranged between .785 and .909.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in order to assess the construct validity. The 4 factor model proved good fit to the data and all items had a significant effect to each construct from which it can be concluded that convergent validity is supported for all of the items. The relationships among subfactors were examined and no strong relationship was found, supporting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this scale. The construct reliability index(CR) and average variance extracted(AVE) index indicated good reliability of the this scale. Also, the Career Management Behavior Scale’s concurrent validity was examined with other constructs and results showed that it was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Core Self-Evaluation Scale, Intention Scale. Finally, limitation of the study and practical ap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다문화가정 방문교육지도사의 활동 경험과 직무역량 개발

        조영아(Young-a, Cho)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3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4

        본 연구는 다문화 전문 인력의 활동경험에 대한 학문적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서 결혼이주여성을 가장 현장에서 조력하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방문교육지도사들의 활동경험과 역량개발과정을 탐색하고 이들의 활동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갖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현재 방문교육활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방문교육지도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이것을 Hill, Thompson과 Williams (1997)의 합의적 질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방문교육지도사들의 경험은 ‘결혼이주여성의 특성’, ‘직무에 대한 인식’, ‘방문교육 어려움’, ‘방문교육방법’, ‘직무역량’, ‘방문교육을 통한 변화’의 6가지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결혼이주여성의 특성은 적응의 어려움, 대인관계 특성, 가족특성 및 자원으로, 직무에 대한 인식은 방문교육지도사 역할 및 방문교육활동에 대한 인식으로, 방문교육 어려움은 상황적 요인, 결혼이주여성 요인, 방문교육지도사 요인으로, 방문교육방법은 역할설정, 자원제공과 연계, 상담, 교육으로, 직무역량은 요구되는 적성, 직무자원, 역량개발방법으로, 방문교육을 통한 변화는 결혼이주여성의 변화,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인식 변화, 방문교육지도사의 개인적 변화, 직무수행에서의 변화라는 20개 하위영역으로 분류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방문교육지도사의 효율적인 활동을 촉진하는 방안과 방문교육지도사 제도 운영 및 직무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시사점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xperiences of visiting educators in multicultural family center working with internationally married female migrants in order to acquir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ir professional educating activity and competency development. 10 visitng educators were interviewed and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6 main domains and 20 sub-domains were identified from the results of interview: 1)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ly married female migrants - adaptation difficulties, interpersonal characteristics, family characteristics, resource 2) recognition of their duties - recognition of their role, recognition of their activity 3) the difficulties of activity - situational factors, internationally married female migrant factors, visiting educator factors 4) education strategies - role setting, resource providing and networking, education, counseling 5) job competency - required aptitude, job resource, competency development strategy 6) results of visiting education - the change of internationally married female migrants, the change of visiting educators recognition of internally married female migrants, the change of visiting educators, the change of job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to enhance expertise in effectively providing visiting education for internationally married female migrants and to operate visiting educator system and job training programme were discussed.

      • KCI등재

        국내 중등단계 진로관련 경험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

        조영아(Youngah Cho),이재은(Jaeeun Lee) 한국진로교육학회 2019 진로교육연구 Vol.32 No.1

        이 연구는 중등단계 진로관련 경험을 다룬 국내문헌에서 경험이 어떻게 정의되고 측정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진로관련 경험의 구체적인 내용과 영향요인 및 결과변인을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Whittemore와 Knafl(2005)가 제안한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2018년 12월 31일까지 한국학술지인용색인의 등재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중 ‘진로’, ‘경험’과 ‘중학생’ 또는 ‘고등학생’을 검색어로 자료를 검색하였고, 연구자가 선정한 기준에 따라 연구목적에 부합하지 않은 논문을 제외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27편의 문헌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단계 학생들의 진로관련 경험을 다룬 연구들은 대부분 경험을 ‘활동 및 프로그램 참여 행위’의 관점으로 접근하고 있었다. 둘째, 중등단계 진로관련 경험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 참여 유/무와 빈도를 중심으로 경험을 측정하고 있었다. 셋째, 중등단계 학생들의 진로관련 경험은 대부분 ‘진로교육 경험’을 다루고 있었으며, 특히 ‘학교 진로교육 경험’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험의 영향요인에는 크게 학교특성, 개인특성, 학습관련 경험, 교사 및 학부모와의 관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등단계 진로관련 경험은 진로성숙도, 자아개념, 목표설정, 학습동기, 직업인식과 같은 진로 관련 태도 및 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중등단계 진로관련 경험 연구에 갖는 함의와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how the career-related experience of students in the secondary education is defined and measured, what is the specific content of the career-related experience, and what is the influencing and consequential factors of the career-related experience in the existing literature in Korea. This study utilized the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suggested by Whittemore and Knafl (2005)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e study. A total 27 articles are selected through the process of excluding unfit literature for research purposes after searching data based on ‘career’, ‘experience’ and ‘middle school student’ or ‘high school student’ among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KCI Journals until December 31, 2018.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studies dealing with the career-related experience of the student in the secondary education approached to experience as ‘activities and program participation’. Second, most of the studies dealing with the career-related experience of the student in the secondary education measured experience as a status of participation and frequency. Third, the career-related experiences of secondary students were mostly focused on ‘career education experience’ and were found to be especially focused on the career education experience in the school. Fourth,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career-related experience were found to be related to school characteristics, individual characteristics, learning experiences,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parents. Lastly, the career-related experience was found to affect the attitudes and behaviors related career such as career maturity, self-concept, goal setting, motivation to learn, and perception of occup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esented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considering the career-related experience of students in secondar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