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가족 청소년 지원정책 참여가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조승연(Seungyeon Cho)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1 다문화콘텐츠연구 Vol.- No.36

        본 연구는 2012~2016년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자료와 코퓰라 함수를 적용한 내생적 회귀전환모형을 이용하여 다문화가족 청소년 지원정책 참여가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사회적응도 제고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였다. 특히,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거주지역 규모를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농어촌)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가족 청소년 지원정책 참여가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사회적응도를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도시에서 중소도시, 중소도시에서 읍면(농어촌)지역으로 갈수록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지원정책 참여 확률이 감소하였으나, 지원정책 참여가 사회적응도 제고에 미치는 효과는 더욱 크게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사회적응에 다문화가족 청소년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한국어 수준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사회적응도 향상 극대화를 목적으로 정책 프로그램의 전달체계 및 접근성 개선이 필요하며, 무엇보다 다문화가족 청소년과 어머니의 한국어 수준 향상 프로그램의 확대가 필요하다. I examined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the multicultural adolescent assistance programs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social adaptation by analyzing pooled data drawn from the 2012~2016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using the copula-based endogenous switching regression models. The results suggest that participation in the multicultural adolescent assistance programs enhances multicultural adolescents’ social adaptation. In particular, as the regional scale in which multicultural adolescents are located becomes smaller, the program effects markedly increased, while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smaller region are less likely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s than those in larger cities. Additionally, I found that social adaptation is associated with Korean proficiency of not only multicultural adolescents’ but also their mothers’.

      • KCI등재

        노령층에서의 건강정보이용 현황 조사 연구: 성별 및 지역에 따른 건강정보이용 경로와 신뢰 정도 분석

        구슬 ( Koo Seul ),조주희 ( Cho Juhee ),안은미 ( Ahn Eunmi ),조승연 ( Cho Seungyeon ),박현영 ( Park Hyun-you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保健社會硏究 Vol.36 No.2

        노인의 건강관리 및 개선을 위해 이들의 보건의료정보 이용행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나, 국내에서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노령층의 건강정보탐색 및 습득과 관련된 현황을 조사하고,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건강정보 제공 경로에 대한 신뢰 정도가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국내 도·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남녀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 중 인구학적 변수 및 건강관련 특성, 건강정보 탐색 및 이용경로, 건강정보 제공경로에 대한 신뢰 정도를 분석하였다. 건강정보 탐색 및 이용 관련 특성을 분석한 결과, 남녀 모두에서 50% 이상이 찾아본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건강정보탐색 시 가장 먼저 이용한 경로는 남성과 도시거주자의 경우 `의사 혹은 의료진`이었고, 여성과 농촌거주자의 경우 `가족/친구`로부터 건강정보를 가장 먼저 얻는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건강정보 제공경로 중 가장 신뢰하는 경로를 분석했을 때 `의사`, `텔레비전프로그램`, `정부/공공기관`, `가족/친구`, `건강의학 잡지/소식지`, `온라인 기사, 신문`, `라디오`, `환우회`, `인터넷` 순이었고, 이 신뢰도에 대해 거주 지역, 연령대, 교육수준, 직업여부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정보전달 경로가 있었다. 향후 고령층을 대상으로 건강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건강정보전달과 관련된 더 나아간 대규모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토대로 대상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보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ealth information seeking, acquisition, and trust with sources of information in older adults. A total of 400 men and women aged 60 and older responded to survey questions concerning their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and their trust in health information sources. More than half of the participants had been looking for health information in men and women. For the subjects living in urban area or men, first using channel when looked for information about health or medical topics was `Physician`, whereas first using channel was the `Family/friends` for the subjects living in rural area or women. The most trust source of health information in the following order: physician, television programs, family/friends, magazines, newspapers, the radio, and the internet. In addition, these levels of trustworthines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region, age, education, and job status. Based on this study, further large-scale investigations are needed to generalize these results. In the future, health information providers will effectively offer the health information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ubjects.

      • KCI등재

        가족동거 고령가구의 맞춤형 주택개조 거주 후 평가 연구

        이연숙 ( Lee Yeunsook ),전은정 ( Jun Eunjung ),조승연 ( Cho Seungyeon ),박민아 ( Park Minah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우리나라는 지속된 저출산 고령화로 급속한 인구구조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기대수명 증가와 저출산 가속화가 결합되어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노동공급 감소, 노후빈공 심화, 부양부담 증가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우려된다. 고령화를 미리 겪고 있는 선진국은 고령자들이 살던 지역에서 계속 거주하는 aging in place를 장려하는 정책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는 고령자의 주거욕구에 부합하며, 정부의 재정 부담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aging in place를 위해서는 고령자의 신체기능 저하를 보완할 수 있는 주택개조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족과 함께 사는 고령자 가구 세 사례를 대상으로 제한된 비용 내에서 고령자 맞춤형 주택개조를 시행한 후 거주자가 3개월 간 거주한 싯점에서 개조에 대한 만족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주택개조 선행연구가 미미하고 더욱이 양적 연구에 선행되어야하는 질적 기초연구가 부재한 상황에서, 주택개조가 거주자의 생활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통찰하고 탐구하는 것에 의의를 두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년 이상의 노후주택에서 동생과, 아들 손자와, 그리고, 배우자와 동거하는 고령자 가구 세 사례를 선정하여 현장관찰조사, 설문지를 동반한 심층 면담 방법으로 질적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사례들은 제한된 에상하에 거주자의 요구와 상황을 반영하여 최근 개조를 한 주택이다. (결과) 조사 대상자들은 성북구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고령자 가구로 세 사례의 대상자 모두 장애는 없으나 만성적인 질병을 가지고 있었다. 주택 개조 항목은 각 대상주택과 거주자의 현재 상황과 요구, 한정된 금액에 맞추어 개조 항목이 실행되어, 개조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사례마다 맞춤형으로 개발되었다. 이에 따라 사례별 해당되는 항목에 적절한 도구를 개발하였다. 대상 주택 모두 주택개조 결과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상에 안전하고 편안하며 편리한 행위적 측면과 거주공간의 자율적 통제력과 지속적 거주 가능감 등 심리적 만족을 드러내었다. (결론) 주택개조는 취약계층 거주자의 삶의 질 증진에 기여하고, 요양시설로의 입소를 지연 혹은 예방하여 가족 및 국가의 부담을 줄일수 있는 실질적이고 경제적인 효과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인구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고령 가구가 다양해지는 가운데, 주택개조의 실행과 거주자의 삶에 대한 영향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지 않은 상황에서 진행된 선험적인 사례로서 이후 다양한 가구 사례들에 대한 연구들과 함께 맞춤형 개조를 발전시키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recent years, Korea has been experiencing rapid demographic changes owing to a low birthrate and an aging population. Aging in place has emerged as an ideal solution to solve this problem. Accordingly, housing modification that can compensate for the decline in physical function of the elderly by reducing environmental press level is essent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ging-friendly customized home modifications on residents' life and life satisfaction three months after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focusing on the household type living with their families.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an insight into the impact of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on elder residents’ lives under the circumstance of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ree households where the elderly have been living with brothers, sons and grandchildren, and spouses, respectively, in old houses for more than 20 years were selected. These houses were actually modified according to the consensused customized plan respecting residents’ needs within the limited budgets provided.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field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Results) All three subjects had chronic diseases without officially known disabilities. Modification plans were made uniquely to each house based on housing conditions and residents’ situations and needs differences. There were differences in modifica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condition and limited budgets among the three houses. A list of questionnaires to measure satisfaction after living for three months after completion of the housing renovation was also developed in relation to the modified features. The results showed that all target households were satisfied with the results of the home modification, not only safety, comfort, and convenience to use, behaviorally, but also increased perception on autonomous control of their living space and on expectation of staying in their residences psychologically.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empirical evidence that aging-friendly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is cost-effective in two ways. One is by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life quality of vulnerable residents and the other is possibly in delaying and preventing admission to nursing facilities, having economic effect on reducing the burden of the n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at a time when Korea is facing population aging risk especially housing welfare crisis with limited research on home modifications for the vulnerable population living in diverse situations. Thereby, this study can provide insights to understand the real situation and realistic approach for future direction. While the population is rapidly aging, it also reveals diversity in elderly households. Therefore, further studies on diverse types of elderly households and houses need to be explored to form the basis for future policy and research.

      • 여성탈노숙인 공유주택 공간조성위한 사용자참여워크샵 연구

        박재현(Park, Jaehyun),이연숙(Lee, Yuensook),조승연(Cho, Seungye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7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10

        In the modern society, unfortunately, increasing vulnerable population threatens social safety with government cost burden. It is necessary to find alternatives to decrease social and economic loads and to stabilize housing. For securing human right of the vulnerable, redressing social imbalance, and promoting community, supportive housing should be established as appropriate shared housing. Also, for effective outcomes, housing should have appropriate characteristic to the resi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residents’ need and planning elements of small community shared housing for the formerly homeless female. Research methods is user participated planning workshop, and user-friendly tools such as, plans, images, blocks, etc. are provided. 3 formerly homeless females participated in the workshop for 2 hours. As results, the participants considered 10.5py residential unit as a proper size. They required TV/movie watching, café and exercise, laundry for the living center, and cloth reforming computer working, gardening for the work center. The living center and the work center are separately arranged between 2 residential unit clusters of 8 neighbors. The potential demands of the participants have been expressed with diverse opinions, and the consensus and agreement have been established. Above all, the planning and community participation capacity of the users have been developed. This shows that there are needs to respect to the ideas of consumers as a way of customized housing plan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