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암모니아 탈기에 의한 Wafer 세정 폐수의 질소제거

        조순행 ( Soon Haing Cho ),이병진 ( Byung Jin Le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02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Vol.19 No.1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ammonia stripping process for the removal of highly concentrated ammonia nitrogen in the wafer cleaning wastewater from semiconductor producing procedure and to recover removed ammonia nitrogen in the consideration of natural resource recycle. Also, the capital cost and operating cost was reviewed to suggest the optimal operation condition of ammonia stripping according to changes in the operation conditions. Using Ca(OH)2 for pH control of wastewater was superior economically to use off NaOH and ammonia stripping was possible without removal of sludge. The optimal pH of ammonia stripping was 10.5. The ammonia nitrogen was removed rapidly along with increasing reaction temperature and air flow rate. The reaction time to satisfy 800 mg NH3-N/L was 4, 2.3, 1.4, 0.9hrs at 25, 35, 45 and 55℃, respectively, with the air flow rate of 20L/min. In addition, H2O2 was removed completely, about 95% of organic nitrogen was removed, and up to 81.2% of ammonia nitrogen was recovered by ammonia stripping process. Capital cost and operating cost also were decreased along with the increased reaction temperature and air input. In conclusion, the ammonia stripping process was very efficient in the treatment of highly concentrated nitrogen in wafer cleaning wastewater and the optimal operating condition of ammonia stripping was at pH of 10.5 and temperature of 55℃ with air flow rate of 20L/min among applied operation conditions.

      • KCI등재
      • KCI등재

        일본 도심형 대규모 용도복합건축의 공간 연결 및 분리 기법에 관한 연구

        조순(Cho, Soon),김영훈(Kim, Young-Hoon),임수영(Lim, Soo-Young) 대한건축학회 201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9 No.3

        The town scale complex buildings has many functions and facilities in variety because it is needed various social needs and request. As a result, we can notice various social facilities, such as offices, housings, hotels, hospital, commercial centers and museum or art gallery in town scale complex buildings. But we also inquire how so many similar or different functions are connected and separated in logical way without conflicting each other. In this study, it is revealed that the technique of spatial connection is mainly done by adapting multi purpose commercial zone and intermediating spaces such as plaza, bridges, and it is also leaded to the technique of composition or separation of different-use spaces in same site.

      • KCI등재

        여성직종의 외주화와 간접차별

        조순경(Cho Soon-Kyoung) 한국여성학회 2007 한국여성학 Vol.23 No.2

        남녀공용평등법 시행 이후 20여 년간 직접적이고 의도적인 성차별은 점진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그러나 다론 한편 새로운 형태의 우회적이고 체계격인 성차별이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기회의 평등을 목적으로 하는, 직접적인 차별에 대한 규제만으로는 성 역할 이데올로기나 성별 분업 구조, 그리고 여성을 평가 절하하는 통념의 변화를 실질적으로 가져올 수 없다는 인식이 확산됨에 따라 기존의 성차별적 편견과 통념들을 수정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간접차별 개념은 직접차별에 대한 규제만으로는 차별을 야기하는 근본적인 요인들의 변화를 가져올 수 없기 때문에 그러한 요인들의 변화를 가져오고, 그를 통해 실질적인 평등을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고안되었다. 2006년 3월 파업으로 시작한 철도공사의 KTX 승무원 고용 문제는 외주화라는 간접 고용 방식을 통해 여성들을 체계적으로 노동시장에서 배제시키는 전형적인 간접차별 사례다. 여성 승무원과 유사한 노동을 하는 남성 열차팀장은 정규직으로 직접 고용하고 여성 승무원만을 외주 위탁한 것은 성차별이라는 주장에 대해 철도공사는 외주화 할 대상 직무를 선정한 기준은 ‘성별’이 아니라 ‘직무’에 기초한 것이기에 성차별이라고 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즉 여승무원들이 하는 업무가 단순 저부가가치, 접객 서비스 업무이기 때문에 외주화한 것이지 여성들이 하는 업무라서 외주화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주변적이고 단순한 일을 외주화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여승무원들이 담당한 업무가 외주위탁되었을 뿐이라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여성 집중 직종의 외주화 또는 간접고용이 어떠한 근거에서 위법한 성차별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지에 대해 철도공사의 KTX 승무업무를 중심으로 검토해 본다. The efforts to combat gender discrimination at workplace have been concentrated on direct discrimination. Based on the theory of 'disparate treatment', distinctions based on biological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have termed 'direct discrimination'. And yet the 'direct discrimination model' cannot question dominant ideologies and norms such as the ideology of gender division of labor. If women are measured against dominant patriarchal norms, those norms will tend to favor men, and to disadvantage women. The indirect discrimination occur without any wilful act of prejudice on the part of employers, but by the functioning of patriarchal labor market norms. Outsourcing female crews at KTX is a good example of the indirect discrimination. Korea Railroad corporation, better known as Korail, hired male train crews as regular employees while using contingent employment for female train crews. On the surface, it appears that Korail outsources female train crew work based on the nature of job. However, the fact that only female crews' work became the subject of outsourcing constitutes the prime example of indirect discrimination that has a disparate impact on women. KTX crew members started to go on strike in March, 2006 and it represents the problem of gender discrimination by means of either indirect employment or disguised employment. These new types of employment discrimination are newly emerging and it has a characteristic that makes it easy to evade the law. 'Disguised employment' is a form of employment that allows an actual employer to hide behind employment relation, evade responsibility and incapacitate workers' right to contact actual employers. Although Korail has been an actual employer and highly involved in recruitment process, it puts up subcontractor to evade legal responsibility of an employer. Outsourcing only female workers' job is a clear act of gender discrimination. Korail, however, denies such a claim, saying it is not discrimination since outsourcing is determined based on the nature of job, not gender. Yet, data suggests outsourcing KTX crew work, predominately performed by women, is indirect discrimination by means of employment terms.

      • KCI등재
      • KCI등재

        Comparing American MOOCs and K-MOOC Paper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Korean Journal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조순정(Cho, Soon-jeong),이동현(Lee, Dong-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동 연구는 국내 인문사회 유관 학술지의 미국 MOOC와 K-MOOC 연구 유형을 검토했다. 2012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에 출간된 MOOC 관련 논문 중,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인문사회 및 학제 간 분야 26개 등재지에 출간된 미국의 3대 MOOC, K-MOOC 문헌 총 52편을 체계적으로 고찰했다. 2015년 말 K-MOOC 출범 후, 약 3년이 지난 2019년 K-MOOC 논문이 수적으로 앞선 가운데, 두 유형의 MOOC 논문은 연구 형식, 자료 종류, 분석 기법 등 방법론에 큰 차이가 없었다. 연구 형식은 탐색형과 기술형이, 자료원은 설문조사에 의한 1차 자료가 압도적이다. 자료 분석은 추리 통계와 기술 통계가 대세이며, 표본 수는 200개 이하가 대다수였다. 반면, 계량 변수와 질적 변인의 유형은 크게 달랐다. 첫째, 미국 MOOC 연구는 만족도, 유용성, 태도 등의 매개/조절 변수가 포함된 개념 모형을, K-MOOC 연구는 중계 변수가 관여하지 않은 인과 모델을 주로 선택했다. 둘째, 전자의 문헌은 정량적 독립 변수로 MOOC의 인지된 유용성, 기대감, 적합성 등이, 종속 변수는 수용의도와 재사용이 주류였으나, 후자의 경우 독립 변수의 범주화가 힘들 정도로 다양했고 종속 변수는 수강 완료, 사용 중단, 학습 완료가 다수를 이뤘다. 셋째, 질적 방법에서 미국 MOOC 연구는 언어 습득, 교과 활용, 학습 동기가 주요 변인이나, K-MOOC 영역은 상호작용, 학습 평가, 과정의 질에 집중됐다. 넷째, 이론적 기반은 미국 MOOC 연구가 탄탄한 가운데, 분석 방식은 K-MOOC 연구가 다양했다. 끝으로, 연구 맥락에서 미국 MOOC는 플립러닝에, K-MOOC는 고등·직업 교육에 초점을 뒀다. Few comparative studies reveal the impact of American MOOCs (A-MOOCs) and K-MOOC in the Korean context. We conduct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the two MOOC platforms in the humanities, social science, and the related interdisciplinary field, comparing a total of 52 articles published in 26 Korea Citation Index-accredited journals in the period 2012-2019. The selected papers appear to recognize no apparent distinction between the two domains in terms of research design. Exploratory and descriptive are equally dominant research types, and primary data by survey method are common data forms. Overall, while the sample size is smaller than 200, inferential and descriptive statistics are widely used. However, research approaches clearly differ between the two: A-MOOCs studies utilize complex causal models combining mediators/moderators, whereas K-MOOC studies rely largely on simpler cause-effect frameworks. The former case primarily uses perceived usefulness, expectation, and conformation as independent factors, and intention to accept/re-use as key dependent factors. In contrast, the latter case selects various focal antecedents that are uncategorizable, including completion, drop-out, and accomplishment. The A-MOOCs context is mainly within flipped learning, yet many K-MOOC contexts relate to vocational learning. Lastly, K-MOOC papers outnumbered A-MOOCs articles in 2019.

      • KCI등재

        이민자 부부의 영어 역량과 학습 의지가 배우자의 자존감과 행복감에 끼치는 영향-뉴질랜드 교민 사례

        조순정(Cho, Soon Jeong),이동현(Lee, Dong Hyun) 한국성인교육학회 2018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1 No.2

        비영어권 국가인 한국의 교민들이 영어권 거주국에서 발휘하는 언어적 능력은 현지 동화와 사회 활 동에 있어 중요한 도구이며, 가족 구성원의 삶에도 직간접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교민 부부의 영어 능력과 학습 의지는 자신은 물론 배우자의 자아 존중과 개인 행복에도 영향을 준다고 하겠다. 사회언어학 관점과 성인 교육 맥락에서, 동 연구는 해외 거주 부부의 영어구사 역량과 영어학습 의 지가 자존감과 행복감에 영향을 끼치는지 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 적합한 이론 모형인 행위자-상대 자 상호의존모델(APIM)을 근간으로 자신(행위자)과 배우자(상대자)간 독립 변수(영어구사 역량․ 영어학습 의지)와 종속 변수(자존감․행복감)의 인과 관계를 설명하고자, 동 연구자들의 체류 경험 이 있고 현직 활동 중인 뉴질랜드에서 한인 부부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했다. 2017년 6 월부터 2개월 간, 현지의 교민 104쌍(총 208명)으로부터 온라인-오프라인 응답지를 수집하여 위 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배우자의 영어학습 의지는 물론 자신의 영어학습 의지 역시 배우자 의 자존감과 행복감에 각각 유의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부부의 영어구사 역량은 배 우자의 자존감 및 행복감에 주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음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뉴질랜드 이민자 부 부의 경우, 현재 각자의 영어구사 역량보다는 공동의 영어학습 의지가 자신은 물론 배우자의 자아 존중과 개인 행복에 강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부부가 참여하는 과정이나 공동의 관심 주제를 반영한 현지 성인영어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번에 실험한 모델과 설명된 변수들 을 토대로, 타 영어권 국가들의 한인 부부를 대상으로 확장된 연구 조사를 통해 분석 결과의 일반 화를 꾀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influences of language competence and learning intention on immigrants social activities in an English-speaking environment, thereby examining how the related factors interact with immigrant couples and their self-esteem and happiness. To to this, amongst Korean couples in New Zealand, this work tested multiple variables in English language competence and English learning intention on self-esteem and happiness; a research framework was first designed in line with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and theoretical variables were then arranged into the framework based on previous research on immigrants language competency and learning intention in English as well as self-esteem and happiness. A combined online-offlin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out New Zealand in June-August 2017, followed by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data collected from 104 Korean couples(i.e. 208 persons in conjugal relations). The results explain that English learning intention is significantly interdependent with the partner s self-esteem and happiness, while English language competence is little interdependent; in particular, among Korean-New Zealand couples, English learning intention of actors exerts the strong influence on self-esteem and happiness against their partners. To generalize the outcomes from this study, further research in different countries will be performed in more overseas Korean couples.

      • KCI등재

        여성 비정규직의 분리직군 무기계약직 전환과 차별의 논리

        조순경(Cho Soon-Kyoung) 한국여성학회 2008 한국여성학 Vol.24 No.3

        지난 2006년 11월 국회에서 통과된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은 시장 경쟁의 심화에 따른 고용형태의 다양화를 또 다른 차원에서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노동의 수량적 유연성을 일정 정도 양보하는 대신 임금의 유연성을 확보하고자 기업들은 직접 고용 비정규직의 분리 직군 무기 계약직으로의 전환을 시도해 오고 있다. 기간제 등 비정규직이 담당하던 업무를 기존의 정규직과 다른 직군으로 분리하여 차등적 임금, 승진체계를 적용하도록 하는 분리 직군제의 성차별 가능성은 채용부터 퇴직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여성에 대한 체계적인 차별이 누적된 결과로 인한 것이다. 이러한 분리직군 무기 계약직으로의 전환에 대해서 학계 및 노동계 내부에서 상반된 입장이 공존하고 있다. 이 연구는 분리 직군제를 전제한 무기 계약직 자체에 내재한 차별의 문제와 무기계약직으로의 전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차별 문제를 분리시켜 검토할 필요성이 있음을 지적한다. 또한 여성 비정규직의 정규직화의 대안적 방안으로 제시되는 분리직군제 자체가 원칙적으로 성차별적 제도라고 주장하는 것과, 이 제도가 현행 법에 근거한 ‘위법한 성차별’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로, 분리하여 생각해 볼 것을 제안한다. 이는 여성 비정규직의 문제 해결을 분리직군제의 위법성을 주장하며 법적으로 해결할 것인가, 아니면 단체교섭 등의 방법으로 해결할 것인가의 문제와 연결되어 있다. 현재 금융업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여성 비정규직의 분리직군제 무기계약으로의 전환이 간접차별임을 법적으로 입증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점을 인식한다면, 이러한 방식의 무기계약 전환이 성차별이고, 차별의 고착화를 야기하기 때문에 수용하지 말아야 한다는 주장은 재고될 필요가 있다. The 1997 economic crisis made the Korean government introduce policies to make the labor market more flexible. Temporary-help employment, which had been legally banned because of intermediary exploitation, was allowed, and the increasing number of contingent workers employed were subject to discriminatory treatment. The number of workers who worked full-time, but were paid less than regular workers for the reason that they are nominally "part-time workers," sharply increased. The flexible labor policies implemented by both government and management have gender-specific consequences. As of 2008, contingent workers accounted for half of all wage workers and about 70% of women workers in South Korea.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Fixed-Term and Part-Time Employees, enacted in 2006, prohibits discriminatory treatment against fixed-term and part-time workers in terms of wages and other working conditions. In order to prevent the misuse of contingent work, the Act limits the maximum period of employment. Under the Act, an employer may hire fixed-term employees for a period not exceeding two years. Facing the state's legal efforts to minimize discriminatory employment practices against contingent workers, an increasing number of firms have introduced a new personnel management system, which is called in "separate job category system." The purpose of the separate job category system is to increase wage flexibility. Financially able large firms, especially in the banking sector, have converted fixed-term employment contracts to permanent contracts. Under the new system, the multi-tiered wage structure for women workers place restrictions on the level of wages and job placement. Splintering of the workforce into separate job categories, the new system places women-concentrated job categories on the "low road." The separate job category system has been subject to much controversy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gender discrimination. This paper explores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separate job category system can be defined as indirect gender discrim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