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통합학급 보육교사의『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대한 실행정도 및 실행 시 어려움

        조숙영(Cho, Suk-young)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4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3

        본 연구는 어린이집 통합학급의 누리과정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실행정도 및 실행 시 어려움에 대하여 경력, 전공, 학력, 담당유아연령에 따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통합학급을 위한 누리과정의 교재·교구 개발, 현직교육 및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 할 뿐만 아니라, 보육기관의 평가준거를 마련하는 데에도 도움을 주고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의 3-5세 누리과정을 실행하고 있는 담임교사 1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으며, SPSS WIN 18.0에 의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편 성·운영에 대한 실행 정도는 ‘일과 운영 시간에 따라 심화 확장할 수 있도록 편성 한다.’ 와 ‘교사 재교육을 통해서 누리과정 활동이 개선되도록 운영 한다.’에서 실행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실행 정도는 ‘유아의 생활 속 경험을 소재로 하여 지식, 기능, 태도 및 가치를 습득하도록 한다.’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누리과정 운영평가는 ‘운영환경이 유아의 발달특성과 활동의 주제, 내용 및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구성되었는지를 평가한다.’에서 유아 평가는 ‘운영 내용이 누리과정의 목표와 내용에 근거하여 편성·운영되었는지 평가한다.’에서 실행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실행 시 어려움에 대해서는 ‘조금 문제가 된다.’의 수준에서 실행되고 있었으며, ‘통합학급의 실내·외 환경 및 시설설비 부족’의 경우, 실행 시 가장 큰 어려움으로 파악되었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영역별 내용의 실행 정도와 운영 시 어려움

        조숙영 ( Sukyoung Ch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영역별 내용의 실행 정도와 운영 시 어려움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제작된 설문지는 URL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보육교사 357명을 대상으로 개정 누리과정 영역별 내용의 실행 정도와 운영 시 어려움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영역별 실행 정도를 분석한 결과, 신체운동ㆍ건강 영역의 실행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예술경험 영역의 실행 평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운영 시 어려움을 분석한 결과,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 이외에 과다한 업무량에 따른 시간 부족’에서 오는 어려움이 가장 큰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교재 및 교구 제작 준비시간 부족’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개정 누리과정의 수준 높은 안착을 위한 교사교육, 현직 교사들을 위한 연수, 교재교구 개발 및 프로그램 개발 등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and difficulties in operation of the contents of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by childcare teachers. The prepared questionnaire was collected through the URL, and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and difficulties in operation of the contents of each area of ​​the revised Nuri course were analyzed for 357 childcare teachers.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gree of execution by domain, the performance average of the physical exercise and health domains was the highest, while the performance average of the art experience domain was the lowes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iculties during operation, it was identified that the biggest difficulty was ‘lack of time due to excessive workload other than the oper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followed by ‘lack of time to prepare textbooks and teaching aids’. Through this, we inte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necessary for teacher education for a high-level settlement of the Nuri course, training for incumbent teacher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programs.

      • KCI등재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영유아 귄리존중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조숙영 ( Sukyoung Ch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권리존중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영유아 권리존중에 관한 연구의 방향과 영유아 보 교육기관에서 영유아 권리존중과 관련된 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대상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영유아 권리존중을 키워드로 하여 검색된 논문 73편이었으며 이를 연구시기별, 연구대상별, 연구방법별 분석준거에 의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2019년에 17편(23.29%)을 보여 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된 해로 파악되었다. 둘째, 인적대상 가운데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30편(41.10%)을 보여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셋째, 연구방법별 연구에서는 조사연구 37편(50.68%), 관찰, 면담연구 16편(21.92%), 문헌연구 15편(20.55%)등의 비중 순으로 연구가 진행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추후 영유아 권리존중과 관련된 문헌연구에서는 연구유형별, 연구내용별 등 국내외 문헌을 토대로 보다 심층적인 분석을 통한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research trend of respect for the right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aim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direction of research on respect for the right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for education related to respect for the rights of infants and toddlers in infant care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subject of analysis was 73 articles, which were searched based on respect for the rights of infants and children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and analyzed by study period, subject, and method of analysis. Research results were: First, 17 articles (23.29%) were shown in 2019, which was identified as the year in which the most research was conducted. Second, among the human subjects, 30 studies (41.10%) targeting daycare teachers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Third, it was analyzed that the research by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37 research studies (50.68%), observation, 16 interview studies (21.92%), and 15 literature studies (20.55%). In future literature studies related to respect for the right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it is expected that more in-depth analysis studies will be conducted based on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such as by research type and research content.

      • KCI등재

        영유아 교사 인성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2000년~2017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조숙영(Cho, Suk-Young),이용주(Lee, Yong-Joo)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교사의 인성교육이 요구되어지고 있는 사회적 여건 속에서 영유아 교사의 인성교육을 강화하려는 다양한 노력에 부응하기 위하여 영유아 교사의 인성교육과 관련된 국내 연구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통해 앞으로 영유아 교사인성교육 관련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관련 연구를 활성화하는데 그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2000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 등재 및 등재후보학술지에 수록된 논문 총 22편이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시기에 따른 분석결과 2016년과 2017년에 급격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둘째, 연구유형에 따른 분석결과 기초연구와 실천연구가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내었는데, 기초연구에는 인성에 대한 인식 및 태도 · 요구도 · 실태 현황조사와 같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실천연구에는 프로그램 개발과 인성교육 평가 관련 연구가 진행되었다. 셋째, 연구대상에 따른 분석결과 예비교사보다 현직교사 대상의 연구가 많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넷째, 연구방법에 따른 분석결과 조사연구가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Korean studies on personality education of infant and early childhood teacher in order to respond to social efforts to strengthen humanity education. The study intends to present research direction on personality education of infant and early childhood teacher, as well as to provide the basis for stimulating related research.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2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s from 2000 to 2017.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a sharp increase was shown in both 2016 and 2017.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study types, basic research and practice researches showed the most proportion and researches such as personality, attitude, demand, actual situation survey were conducted for the basic research, while researches on program development and variables related personality education were conducted for the practical study.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study subjects, a in-service teacher"s research took more proportion than pre - service teachers. Fourth, according to the study method, the survey results showed the largest proportion.

      • KCI등재

        영·유아 ‘안전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조숙영(Cho, Suk-Young),류은미(Ryu, Eun-Mi)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영․유아 ‘안전교육’과 관련하여 국내학술지 중심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0~2015년까지 국내학술지에 발표된 영․유아 ‘안전교육’과 관련된 논문 44편을 대상으로 연구내용을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시기별 분석 결과, 영․유아 ‘안전교육’과 관련된 연구는 2009~2012년에 급격한 증가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내용별 분석에서는 ‘안전교육’ 전반에 관한 내용이 28편으로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유형별 분석 결과, 실천연구가 27편으로 교수방법의 효과와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넷째, 연구방법별 분석 결과, 양적연구 30편, 질적 연구는 단지 2편에 불과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대상별 분석 결과, 영․유아 대상 연구가 11편으로써 만 5세를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영아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는 1편에 불과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영․유아 ‘안전교육’과 관련된 연구들이 어떻게 수행되어져 왔는지 더 나아가 앞으로 수행되어져야 할 연구의 방향성 제시 및 교육현장에서 영․유아 ‘안전교육’을 실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여긴다. This research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infant and toddler ‘safety education’, based on domestic academic journals. To accomplish this, we analyzed 44 articles on infant and toddler ‘safety education’,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between 2000 and 2015. First, in considering time period, research on infant and toddler ‘safety education’ increased rapidly between 2009 and 2012. Second, in considering research content, 28 general articles on ‘safety education’ were the most frequent. Third, in considering research type, 27 articles were action research based, related to teaching method effects. Fourth, in considering research method, 30 articles adopte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hile only 2 adopt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Lastly, in considering research subject, 11 articles focused on infants and toddlers. This latter group was composed of 5 year olds, and this was the majority subject group. However, only one study focused on infants.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we have learned how research on infant and toddler ‘safety education’ was conducted during this period. Furthermore, find the direction in which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as well as obtain necessary basic material to practice infant and toddler ‘safety education’ in infant and toddler education environments.

      • KCI등재

        보육교사의 정신건강과 행복감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조숙영(Suk Young Cho),이용주(Yong Joo L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정신건강, 행복감, 임파워먼트의 변인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그 영향력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임파워먼트 향상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며 보육현장에서 교사의 임파워먼트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안과 지원책을 마련하는 데에도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보육교사 320명이었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는 전공과 학력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임파워먼트는 정신건강의 불안, 우울, 불능, 부적응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복감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신건강의 우울은 임파워먼트의 의사결정과 전문성 신장에, 정신건강의 불능은 임파워먼트의 자아 효능감에, 정신건강의 부적응은 임파워먼트의 지위와 자아 효능감과 자율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정신건강의 긴장감은 임파워먼트의 전문성 신장ㆍ지위ㆍ자아 효능감ㆍ자율성ㆍ영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었으며, 행복감은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 모든 하위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quire about the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of mental health, feelings of happiness and empowerment of child care teachers and also to understand each variable``s influences on its counterparts. This study identified the influential factors of child care teachers and contributes not only to offering fundamental information required for program-making for teachers`` empowerment improvement, but also to facilitating the preparation of plans and supports for the empowerment improvement of child care teachers who are engaged in the field. In this study, 320 child care teachers fill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For analysis, SPSS 22.0 was used and many different methods of analysis have been appli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empowerment of child care teach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ir field of major, while no difference was shown by their level of education. Second, the empowerment h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mental health and some sub-factors, while it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a feeling of happiness. Third, feelings of happiness and mental health of child care teachers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ir empowerment.

      • KCI등재

        누리과정에 따른 3-5세 어린이집 프로그램에 나타난 "장애" 관련 활동 분석

        조숙영 ( Suk Young Cho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현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인 누리과정에 따른 3-5세 어린이집 프로그램에 나타난 ‘장애’관련 활동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보육현장 교사들이 3-5세 누리과정의 장애이해 및 통합교육의 방향을 이해하고 ‘장애’관련 활동을 연령에 따라 적용·실천하는데 도움을 주며 앞으로 국가수준의 교육·보육과정의 ‘장애’관련 활동을 개발함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누리과정에 따른 3-5세 어린이집 프로그램 ‘장애’관련 활동의 목표, 내용, 활동유형 및 영역과 관련요소, 주제별 비중을 분석준거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장애’관련 활동의 목표는 총 24개로 3세 2개, 5세 8개, 4세 14개 비중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관련 활동의 내용은 3세 3개, 5세 11개로 이해중심접근만 보였으며, 4세는 이해중심접근 22개, 활동중심접근 1개를 보였다. 셋째, 3, 4, 5세 모든 연령가운데 활동유형 및 영역은 대·소집단 활동에서 관련요소는 의소소통, 사회관계에서 높은 비중을 보였다. 넷째, ‘장애’관련 활동의 주제별 비중은 3세 ‘어린이집과 친구’ 1개, 4세 ‘동식물과 자연’ 2개, 5세 ‘우리 동네’ 3개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disability``-related activities in nursery programs based on Nuri curriculum for 3-5 year-olds, a national curriculum, to accomplish the following three objectives: (1) allowing child care teachers to understand ‘disability``-related activities and direction of inclusive education of Nuri curriculum for 3-5 year-olds; (2) helping child care teachers apply and execute such activities according to the age of students; (3) offering basic data for developing relevant activities in the national education and child care curriculum.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goals, content, activity types and areas, relevant elements, and proportion of each topic of nursery programs for 3-5 year-olds, based on the analysis criteria. The stud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a total of 24 goals of ‘disability``-related activities, with 2 for 3-year-olds, 8 for 5-year-olds, and 14 for 4-year-olds. Second, as for contents of ‘disability``-related activities, there were 3 for 3-year-olds and 11 for 5-year-olds with only understanding-oriented approach, while there were 22 with understanding-oriented approach and one activity-oriented approach for 4-year-olds. Third, among the age groups, the high proportion of activity types were found in large and small group activities, while major elements related were found in communications and social relationships. Fourth, in terms of the proportion by topic of ‘disability``-related activities, there was 1 under ‘Nursery and Friends`` for 3-year-olds, 2 under ‘Animals, Plants, and Nature`` for 4-year-olds, and 3 under ``My Town`` for 5-year-olds, the highest proportion.

      • KCI등재후보

        직박구리(Microscelis amaurotis)가 광나무(Ligustrum japonicum) 발아에 미치는 영향

        조숙영(Sook-Young Cho),남현영(Hyun-Young Nam),최창용(Chang-Yong Choi),채희영(Hee-Young Chae) 한국조류학회II 2011 한국조류학회지 Vol.18 No.3

        광나무(Ligustrum japonicum)는 우리나라 서·남해안 및 도서지방에 분포하는 상록활엽수로 열매의 결실기는 10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이다. 이 시기에는 조류의 먹이로 이용될 수 있는 과실이 드물어 광나무 열매가 추운 겨울동안 관찰되는 새들에게 중요한 먹이자원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전남 홍도에서 겨울철 열매를 맺는 광나무와 이를 이용하는 조류의 상호작용을 파악하기 위해 2009년 12월 하순부터 2010년 1월 초순까지 광나무 열매를 섭식하는 조류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조류에 의한 섭식활동이 광나무 종자의 발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2010년 1월부터 7월까지 180일간 종자의 발아여부 및 시기를 파악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광나무 열매를 섭식하는 조류는 직박구리(Microscelis amaurotis) 1종만이 관찰되었으며 인위적으로 과육을 제거한 종자와 직박구리의 소화기관을 통과한 종자는 자연상태 그대로 파종된 열매와 비교하여 발아율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발아시기는 크게 단축되었다. 결국 광나무는 먹이자원이 부족한 겨울철 직박구리에게 먹이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직박구리는 광나무 종자의 발아시기를 단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박구리가 열매를 섭취하고 이동하여 종자를 산포시킴으로써 광나무 군락의 종내 경쟁을 줄이고 새로운 곳에서 정착할 수 있는 기회도 줄 것으로 판단된다. 조류와 식물 간의 이러한 상호작용은 서로에게 이익을 주며 더 나아가 도서지역의 산림보전 및 자연 복원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Ligustrum japonicum is a broad-leaved evergreen tree distributed in southern and western parts of Korea. The fruiting season of L. japonicum is a winter between October and January when foods for animals are generally scarce; hence the species may be an importance source of foods for birds wintering in these areas. We aimed to understand interactions between winter-fruiting trees and birds: (1) identification of avian species consuming L. japonicum fruits and (2) the effect of fruit ingestion by birds on its seed germination. We monitored avian species consuming the fruits and carried out germination experiments with seeds in different conditions from December 2009 to July 2010 on Hong-do Island Korea. The Brown-eared Bulbul (Microscelis amaurotis) was the only observed species that consumed the fruits of L. japonicum during the period. Pulp and coat-removed seeds and ingested seeds by bulbuls were germinated significantly earlier than intact seeds. However germination rates of the three groups were not different.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bird ingestion of L. japonicum fruits helps earlier germination or farther dispersal of its seeds so that the tree may be advantageous in intraspecific competition in the community and have the increased opportunity to generate new colonies. Understanding symbiotic interactions between birds and plants on a small remote island may give a clue for future restoration of damaged vegetations on islands in Korea

      • KCI등재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장애`` 관련 활동 분석

        조숙영 ( Suk Young Cho ),병은 ( Byung Eun Jo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현행 교육과정의 맥락 속에서 교사들이 장애 이해 및 통합교육을 성공적으로 실천하기 위해 교육방향을 이해하고 설정하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장애`` 관련 활동의 목표, 내용, 5세 누리과정 영역별 비중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장애`` 관련 활동의 목표는 총 16개 중 12개(75.0%)가 장애 이해와 관련이 있고, 이와 관련된 목표는 지식 5개(41.7%), 태도 5개(41.7%), 기능(기술) 2개(16.6%)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 관련 활동의 내용은 9개 모두 이해 중심 접근(100%)의 내용으로 분류되었고, 보조도구 및 편의시설 4개(44.4%), 장애인에 관한 올바른 정보 제공 3개(37.5%), 장애인에 관한 영화와 책 1개(11.1%), 장애 관련 인물 1개(11.1%)였다. 셋째, ``장애`` 관련 활동의 5세 누리과정 영역별 비중은 사회관계 영역(71.4%)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help the teachers understand and set up the goal of education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disability and inclusive education in the context of current education curriculum. So the ``disability`` related activity`s goals, contents and percentages of areas of five-year-old Nuri curriculum in「Five-year-old Nuri curriculum manual for the teachers」were analyze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16 ``disability`` related activity`s goals, 12(75.0%) showed to have relation with the understanding of disability, those were knowledge 5(41.7%), attitude 5(41.7%) skill (technique) 2((16.6%). Second, all of 9 ``disability`` related activity`s contents were all classified as the content of understanding -oriented approach(100%), complementary facility & convenient facility related contents were 4(44.4%), correct information providing to the disabled people related contents were 3(37.5%), content of disabled people related movie and book was 1(11.1%), disabled people related figure was 1(11.1%). Third, among percentages by the area of ``disability`` related activity of five-year-old Nuri curriculum, social relations area (71.4%) was the high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