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증례보고 : Hemocoagulase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아나필락시스: 혈중 비만세포 Tryptase 증가에 의한 확인 -증례보고-

        숙영 ( Sook Young Lee ),박관식 ( Kwan Sik Park ),외경 ( Oi Gyeong Cho ),김의석 ( Yeui Seok Kim ),정원호 ( Won Ho Jeong ) 대한마취과학회 2006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51 No.1

        Multiple agents can cause anaphylaxis in a perioperative setting. Identifying the agent responsible is essential for avoiding future adverse reactions as well as to attenuate the progression of anaphylaxis. Being able to distinguish an anaphylactic reaction from an anaphylactoid reaction would help clarify the therapeutic and medicolegal issues. Anaphylaxis generally occurs after reexposure to a specific antigen and requires the release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from mast cells and basophils. An increased concentration of mast cell tryptase is a highly sensitive indicator of anaphylactic reactions during anesthesia. Botropase(R) is a procoagulant hemocoagulase purified from venom of Bothrops jararaca, a Brazilian viper and in wide use in patients with high risk of bleeding. We report a case of suspected anaphylaxis to Botropase(R) in a 67 years old female patient undergoing segmental resection of the liver with elevated concentration of serum mast cell tryptase. (Korean J Anesthesiol 2006; 51: 105~8)

      • KCI등재후보

        직박구리(Microscelis amaurotis)가 광나무(Ligustrum japonicum) 발아에 미치는 영향

        조숙영(Sook-Young Cho),남현영(Hyun-Young Nam),최창용(Chang-Yong Choi),채희영(Hee-Young Chae) 한국조류학회II 2011 한국조류학회지 Vol.18 No.3

        광나무(Ligustrum japonicum)는 우리나라 서·남해안 및 도서지방에 분포하는 상록활엽수로 열매의 결실기는 10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이다. 이 시기에는 조류의 먹이로 이용될 수 있는 과실이 드물어 광나무 열매가 추운 겨울동안 관찰되는 새들에게 중요한 먹이자원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전남 홍도에서 겨울철 열매를 맺는 광나무와 이를 이용하는 조류의 상호작용을 파악하기 위해 2009년 12월 하순부터 2010년 1월 초순까지 광나무 열매를 섭식하는 조류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조류에 의한 섭식활동이 광나무 종자의 발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2010년 1월부터 7월까지 180일간 종자의 발아여부 및 시기를 파악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광나무 열매를 섭식하는 조류는 직박구리(Microscelis amaurotis) 1종만이 관찰되었으며 인위적으로 과육을 제거한 종자와 직박구리의 소화기관을 통과한 종자는 자연상태 그대로 파종된 열매와 비교하여 발아율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발아시기는 크게 단축되었다. 결국 광나무는 먹이자원이 부족한 겨울철 직박구리에게 먹이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직박구리는 광나무 종자의 발아시기를 단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박구리가 열매를 섭취하고 이동하여 종자를 산포시킴으로써 광나무 군락의 종내 경쟁을 줄이고 새로운 곳에서 정착할 수 있는 기회도 줄 것으로 판단된다. 조류와 식물 간의 이러한 상호작용은 서로에게 이익을 주며 더 나아가 도서지역의 산림보전 및 자연 복원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Ligustrum japonicum is a broad-leaved evergreen tree distributed in southern and western parts of Korea. The fruiting season of L. japonicum is a winter between October and January when foods for animals are generally scarce; hence the species may be an importance source of foods for birds wintering in these areas. We aimed to understand interactions between winter-fruiting trees and birds: (1) identification of avian species consuming L. japonicum fruits and (2) the effect of fruit ingestion by birds on its seed germination. We monitored avian species consuming the fruits and carried out germination experiments with seeds in different conditions from December 2009 to July 2010 on Hong-do Island Korea. The Brown-eared Bulbul (Microscelis amaurotis) was the only observed species that consumed the fruits of L. japonicum during the period. Pulp and coat-removed seeds and ingested seeds by bulbuls were germinated significantly earlier than intact seeds. However germination rates of the three groups were not different.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bird ingestion of L. japonicum fruits helps earlier germination or farther dispersal of its seeds so that the tree may be advantageous in intraspecific competition in the community and have the increased opportunity to generate new colonies. Understanding symbiotic interactions between birds and plants on a small remote island may give a clue for future restoration of damaged vegetations on islands in Korea

      • KCI등재후보

        Size and eye fleck patterns in the sexes of Kamchatka Oystercatcher Haematopus ostralegus osculans

        Hyun-Young Nam(남현영),Seung-Yeon Lee(이승연),Mi-Gyeong Jeon(전미경),Chang-Yong Choi(최창용),Sook-Young Cho(조숙영),Kyung-Gyu Lee(이경규),In-Kyu Kim(김인규),Dal-Ho Kim(김달호),Young-Soo Kwon(권영수) 한국조류학회II 2018 한국조류학회지 Vol.25 No.1

        성판별은 환경변화에 따른 개체군의 영속성을 예측하기 위해서 기초적으로 진행하는 과정이다. Haematopus 속의 검은머리물떼새류에서 크기와 홍채의 반점 패턴은 성별에 따라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준위협종에 해당하는 검은머리물떼새 아종(Haematopus ostralegus osculans)에서 비번식시기에 기존에 알려진 특징들이 성별을 구분하는 기준이 될 수 있는지를 검정하기 위해, 봄철 북상시기에 중간기착하는 검은머리물떼새의 신체 각 부위의 측정자료를 수집하고 홍채의 반점패턴을 촬영하여 성염색체 분석을 통해 얻은 성별 정보와 비교하였다. 검은머리물떼새류에서 알려진 일반적인 특징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신체 각 부위의 크기나 홍채의 반점 패턴 모두 성별에 따른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해당 아종에서 형태적 특징에 따른 성판별에 대한 구체적 정보를 얻기 위해서 서로 다른 시기, 또는 다른 개체군을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Sex identification is essential to predict perpetuity of the population in a changing environment. Size and eye fleck patterns are known as indicators of sex identification in oystercatchers in the genus Haematopus. We collected information on biometrics and eye fleck patterns of the near-threatened Kamchatka Oystercatcher Haematopus ostralegus osculans at a stopover site in Korea during a northward migration season, to test whether these characteristics are reliable factors for sex identification in this subspecies. Unlike the common prediction, neither body size nor eye fleck pattern was related to sex in our study population. More detailed information on size and eye fleck pattern in different seasons and populations will facilitate studies on their ecology and conservation of this little-known subspecies.

      • KCI등재

        비결핵성 기관지탄분섬유증의 임상적 특징과 방사선학적 특징

        장시진 ( See Jin Jang ),숙영 ( Sook Young Lee ),김석찬 ( Suk Chan Kim ),이소영 ( So Young Lee ),현선 ( Hyun Sun Cho ),박기훈 ( Ki Hoon Park ),문화식 ( Hwa Sik Moon ),송정섭 ( Jeong Sup Song ),박성학 ( Sung Hak Park ),김영균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7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3 No.2

        연구배경: 기관지내시경 시행 시 기관지점막에 탄분침착을 보이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기관지탄분섬유증은 결핵과 연관이 있다고 여겨지는데 최근 논문들에 의하면 결핵 이외의 만성폐쇄성 폐질환이나 폐렴 등의 다양한 폐질환과 관련이 있음이 보고되어 진다.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6년 7월까지 강남성모병원에서 기관지내시경 검사를 시행 받은 환자들 중 기관지 탄분침착이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료기록지를 통해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기저질환, 임상소견, 폐기능 검사 및 조직소견, 방사선소견을 분석하였고 비결핵성 기관지탄분섬유증 환자에서 기관지협착이 동반된 경우 스테로이드 투여 시 그 치료성적을 분석하였다. 결과: 총 74명 중 비결핵성 기관지탄분섬유증 환자가 54명(73%)이었다. 이 중 41명(76%)에서 협착이 동반되었고 13명(24%)은 탄분침착만 보였다. 비결핵성 기관지탄분섬유증 환자 중 협착이 동반된 경우 14명에서 고식적 치료로 스테로이드를 투여하였는데 이 중 9명(64%)에서 임상적인 호전을, 6명(43%)에서 방사선학적인 호전을 보였다. 결론: 기관지 탄분섬유증은 결핵뿐만 아니라 만성폐쇄성 폐질환, 폐렴등의 다양한 호흡기 질환과 관련이 있다. 비결핵성 기관지 탄분섬유증 환자에서 고식적인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을 경우 스테로이드를 고려해 볼 수 있다. Background: Bronchial anthracofibrosis, which is defined as bronchial narrowing with black pigmentation of the overlying bronchial mucosa, is frequently associated with tuberculo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ronchial anthrocofibrosis and to identify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of non-tuberculous bronchial anthracofibrosis. Methods: All patients who showed bronchial anthracofibrosis in more than one segment on a bronchoscopic examination from January 2003 to July 2006 at Kangnam St. Mary`s hospital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underlying diseases, baseline clinical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 findings on a computed tomogram (CT) of the chest, pathologic findings of the bronchial mucosa, and the clinical response to steroid therapy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Results: A total 54 patients (19 males, 35 females) were enrolled with a mean age of 75 years. The most common presenting symptoms were cough, sputum and dyspnea. The predominant X-ray findings were peribronchial soft tissue attenuation with or without calcification, mediastinal lymphadenopathy with or without calcification and atelectasis. Fourteen non-tuberculous anthracofibrosis patients were treated with steroid. Nine patients were improved clinically, and 6 patients were improved radiologically. Conclusion: Bronchial anthracofibrosis is frequently associated with various pulmonary diseases not only tuberculosis but also COPD pneumonia etc. (Tuberc Respir Dis 2007; 63: 139-144)

      • KCI등재후보

        중간 기착지의 이동성 조류 체지방 연구 : 멧새과를 중심으로

        박창욱(Chang-Uk Park),조숙영(Sook-Young Cho),채희영(Hee-Young Chae) 국립공원연구원 2010 국립공원연구지 Vol.1 No.3

        조류는 매년 번식지와 월동지 사이를 봄철과 가을철에 정기적으로 이동하며 장거리를 이동하기 위해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에너지는 주로 지방으로 저장하며, 탄수화물이나 단백질에 비해 2 배 이상 많은 열량을 가지고 있어 장거리 이주를 하는 이동성 조류에게 효율적이다. 연구는 조류의 중간기착지로 이용되는 흑산도, 홍도에서 2년간의 가락지 부착 조사를 통해 멧새과 5종의 각 개체별 체지방을 파악하였다. 봄철에 비해 가을철에 체지방이 더 많은 경향을 나타냈고, 1년생보다 성조에서 체지방이 더 많은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성별에 따른 체지방의 차이는 노랑턱멧새를 제외한 나머지 4종에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개체별 체지방은 몸무게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Bird migration is a phnomenon on which a scheduled flight occur between breeding and wintering ground in spring and autumn season on each year. Birds store lipid as an energy reserve in large amounts for long-distance migration. Fat yields two times as much energy and water per gram metabolized as does either carbohydrate or protein. Fat is efficient energy for migratory birds. Study for emberizidae performed fat scoring in bird banding during two years on stopover site in Heuksando and Hongdo island. Fat score tended to highly more then at autumn than at spring. Degree of body fat accumulation tended to show seasonal and age difference; it was higher in autumn than in spring, in adults than in first year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sexes except for yellow-throated bunting. Body fat scores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body mass.

      • KCI등재후보

        Migration and Habitat Use of Breeding Blue Rock Thrushes on Hongdo Island, Korea

        Chang-Yong Choi(최창용),Hyun-Young Nam(남현영),Il-Jae Won(원일재),Gi-Chang Bing(빙기창),Sook-Young Cho(조숙영),Gil-Pyo Hong(홍길표),Hee-Young Chae(채희영) 한국조류학회II 2011 한국조류학회지 Vol.18 No.1

        바다직박구리(Monticola solitarius)는 주로 우리나라의 해안에 분포하는 텃새로 알려져 있으나, 이동 및 서식지 이용에 대한 정보는 빈약한 실정이다. 국내에서 번식하는 개체군의 이동 경향과 서식지 이용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전남 홍도에서 가락지 부착 조사, 일일관찰 조사, 세력권 도시법 등을 실시하였다. 대만에서의 가락지 회수 기록과 일일 출현 양상이 월별로 차이를 보이는 점 등을 고려할 때, 바다직박구리는 계절에 따른 이동성을 보였으나 서식지 충실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역에서의 번식 밀도와 평균 세력권의 크기는 각각 7.7-9.2쌍/㎢ 및 2.87±1.01㏊ (범위: 1.73-4.54㏊)였으며, 지역 및 세력권 수준의 공간 규모에서 서식지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였다. 조사한 총 7개의 서식지 유형 중에서 해수면을 회피하는 반면 식생이 없고 기반이 단단한 암벽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타 서식지 유형에 대해서는 뚜렷한 선호도가 확인되지 않았다. 이런 서식지 선호도를 감안할 때 바다직박구리가 주로 해안에 분포하는 주요 원인은 조간대와 같이 해안에 발달한 서식지 유형에 유인되는 것이 아니라 선호하는 서식지의 유형이 내륙에서 잘 발달되지 않은 경관적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바다직박구리의 서식지 선호도와 분포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분석하기 위해 향후 3차원적인 공간 이용과 섭식 행동, 먹이 등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The Blue Rock Thrush (Monticola solitarius) is distributed along the Korean coast, but its migratory and breeding habits are poorly known. To determine migratory patterns and ㏊bitat use of the Korean population, bird ringing, daily counts, and territory mapping were conducted on Hongdo Island, Korea from 2005 to 2009. Significant monthly c㏊nges in daily occurrence along with an international ring recovery suggested the presence of migratory habits, but ringed birds showed weak site fidelity to the study area. Breeding densities and mean territory size were of 7.7-9.2 pairs/㎢ and 2.87±1.01㏊ (range: 1.73-4.54㏊) in the study area. Breeding pairs did not select habitats randomly on regional and territorial scales. Among the seven habitat types assessed, sea surface areas were avoided, and rocky cliffs without vegetation and with hard substrates were preferred. No other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bitat preference were detected. Considering this habitat preference, we suggest that the coastal distribution of M. solitarius in Korea may be related to landscape traits limiting the occurrence of precipitous cliffs in inland areas rather than related to a preference for coastal habitat types, such as intertidal areas. Further studies, including three-dimensional space use, foraging behavior and diet are needed to refine our knowledge of habitat preference and distribution in the Blue Rock Thrush.

      • KCI등재후보

        풀쇠개개비(가칭) Acrocephalus schoenobaenus 국내 첫 기록 보고

        김양모(Yang-Mo Kim),박세영(Se-Young Park),박창욱(Chang-uk Park),서슬기(Seul-Gi Seo),이승연(Seung-Yeon Lee),강화연(Hwa-yeon Kang),박종현(Jong-Hyun Park),조숙영(Sook-Young Cho),진경순(Kyoung-Soon Jin),박종길(Jong-Gil Park) 한국조류학회II 2018 한국조류학회지 Vol.25 No.1

        국내에 알려진 Acrocephalus속 조류는 개개비 A. orientalis를 비롯하여 쇠개개비 A. bistrigiceps, 북방쇠개개비 A. agricola, 우수리개개비 A. tangorum 등 총 4종이 있다. 이 중 개개비와 쇠개개비 2종은 여름철새이며, 북방쇠개개비와 우수리개개비는 희귀한 나그네새 또는 길잃은새이다. 2017년 9월 23일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진리습지(N 34° 41′ 7.13″, E 125° 25′ 35.77″)에서 풀쇠개개비(A. schoenobaenus, Sedge Warbler) 1개체를 확인하였고, 이는 국내 첫 기록이다. Four species within genus Acrocephalu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including A. orientalis, A. bistrigiceps, A. agricola and A. tangorum. Two of these species, A. orientalis and A. bistrigiceps, are summer visitors, and A. agricola and A. tangorum are vagrants or passage migrants in Korea. On 23 September 2017, a Sedge Warbler A. schoenobaenus was captured in Heuksan Island, Shinan-gun, Jeollanam Province (N 34° 41′ 7.13″, E 125° 25′ 35.77″).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cord in Korea.

      •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흑산도에서 제비의 도래현황 분석

        이승연(Seung-yeon Lee),서슬기(Seul-Gi Seo),박창욱(Chang-uk Park),조숙영(Sook-Young Cho),박세영(Se-Young Park),빙기창(Gi-Chang Bing),홍길표(Gil Pyo Hong),권영수(Young-Soo Kwon) 국립공원연구원 2013 국립공원연구지 Vol.4 No.1

        본 연구는 소형 산새류의 중간기착지로 이용되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흑산도의 위치적·환경적 특성이 제비 (Hirundo rustica)의 모니터링 효율에 미칠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예비적 연구로 2012년 센서스와 가락지부착조사를 통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도래현황 및 도래시기를 분석하였다. 조류 모니터링 결과 제비는 봄철(4~5월)과 가을철(8~9월)에 집중적으로 도래하였으며, 가을철에 비해 봄철에 2배 이상 많은 개체수가 관찰되었다. 가락지부착조사 결과 제비는 4월에 전체 포획 개체수의 86.4%가 포획되었으며 가을철에는 3.8%만이 포획되었다. 이로서 제비는 흑산도를 봄·가을철에 이동경로 상의 중간기착지로 이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계절별 도래 개체수의 차이는 이동 전략의 다양성, 두 가지 방법의 조사 결과 차이는 계절별 서식지 이용에서 기인한 결과로 판단된다. We monitored migration status and timing of Barn Swallows (Hirundo rustica) in Heuksan-do, which belongs to the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and is a stopover site for migratory passerines. Daily bird census by count and bird banding during spring and autumn migration season were carried out in 2012. Barn Swallows were observed mainly during Apr~May and Aug~Sep, where the number of birds in spring were more than twice than in autumn. Most of swallows were banded in April (86.4%), and only 3.8% of swallows were banded in the autumn season. The monitoring results confirmed that Barn Swallows use Heuksan-do as a stopover site in both spring and autumn migration season, and the difference of monitoring results by the two methods may be caused by the differences in migration strategies and in habitat use between the two seasons.

      • 국립공원 내 철새중간기착지에서 철새 도래현황 비교 : 흑산도와 소매물도를 중심으로

        홍길표(Gil-Pyo Hong),빙기창(Gi-Chang Bing),조숙영(Sook-Young Cho),박세영(Se-Young Park),김양모,권영수(Young-Soo Kwon) 국립공원연구원 2013 국립공원연구지 Vol.4 No.1

        국립공원 내 주요 철새중간기착지의 철새이동 현황을 비교하기 위해 동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지역은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흑산도와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소매물도 지역이며, 조사 기간은 2013년 4월 29일~5월 2일까지 4일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2개 지역에서 총 109종 2,537개체가 기록되었으며, 지역별로는 흑산도에서 96종 1,615개체, 소매물도에서 45종 922개체가 조사되었다. 흑산도에서는 제비 Hirundo rustica가 최우점종이었으며, 소매물도에서는 괭이갈매기 Larus crassirostris가 최우점종으로 조사되어, 지역별로 우점종의 구성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공원내에 위치한 철새중간기착지에서의 동시 조사는 본 조사가 처음이다. We performed simultaneous survey in order to compare the status of migratory birds at stopover sites in National Park. The study areas were Heuksan-do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and Somaemul-do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from 29 April to 2 May in 2013. We observed total 109 species, 2,537 individual. In two regions, 96 species, 1,615 individuals were observed in Heuksan-do and 45 species, 922 individuals observed in Somaemul-do. The dominant species was the Barn Swollow Hirundo rustica in Heukan-do and the Black-tailed Gull Larus crassirostris in Somaemul-do. Domiant species differed between two regions. This study is the first time to monitor stopover sites simultaneously in Korea National Park.

      • KCI등재후보

        Toe entrapment and injury by plastic color rings in a Pale Thrush (Turdus pallidus) and a Light-vented Bulbul (Pycnonotus sinensis)

        Chang-Yong Choi(최창용),Chang-uk Park(박창욱),Hyun-Young Nam(남현영),Se-Young Park(박세영),Gi-Chang Bing(빙기창),Sook-Young Cho(조숙영),Jong-Gil Park(박종길) 한국조류학회II 2018 한국조류학회지 Vol.25 No.2

        플라스틱 유색가락지는 수많은 생태학 및 조류학 현장 연구에 흔히 사용되고 있으나, 참새목 조류에서 유색가락지로 인한 부상에 대한 기록은 드문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전남 신안군 홍도에서의 가락지 부착조사 과정에서 최초 포획된 날로부터 596일 후 재포획된 흰배지빠귀(Turdus pallidus)가 분할식 다빅(Darvic) 유색가락지로 인해 발가락이 소실되었음을 확인하고 이를 처음으로 보고한다. 또 인접한 흑산도에서는 포획된 지 135일 후에 재관찰된 검은이마직박구리(Pycnonotus sinensis)의 왼쪽 뒷발가락이 유색가락지 안쪽에 끼어있는 사례도 함께 확인하였다. 유색가락지를 부착한 산새류 1,900여 개체에서 확인된 두 사례를 바탕으로, 향후 유색가락지의 사용과 부착에 있어서 일반적인 유색가락지 부착지침을 따르는 신중한 접근법을 강조한다. Color rings have been commonly and widely used in many ecological and ornithological studies in the field, but color ring-induced injury in passerines is poorly documented. In this report, we describe the first case of toe loss caused by a dislocated split Darvic ring in a Pale Thrush (Turdus pallidus) that was recaptured 596 days after its initial capture and release on Hong-do Island, the Republic of Korea. We also found that a left hind toe of a Light-vented Bulbul (Pycnonotus sinensis) was entrapped by a split color ring when the bird was observed 135 days after the marking at Heuksan-do Island. Based on these two cases out of the 1,900 color ringed birds, we emphasize a precautionary approach following general guidelines in the application and use of color leg rings for future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