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비판이론의 관점에서 본 다문화 교육의 한계

        조상식 ( Sang Sik Cho ) 교육철학회 2009 교육철학연구 Vol.44 No.-

        세계화와 그 결과로서 다문화 사회는 일반적인 현상이다. 교육학 방면에서 이를 연구 주제로 삼고 있는 것도 자연스럽다. 다문화성과 그에 대한 교육학적 접근에 있어서 논의는 대체로 긍정적인 의미를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대부분의 교육학 연구들은 다문화교육이라는 `긍정적이고 따뜻한 은유`에 사로잡혀, 다문화성 내지 다문화교육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소홀히 하는 경향을 보인다. 연구는 이데올로기적 비판과 메타이론적 관점에서 다문화교육의 교육담론을 검토하고 있다. 그러한 반성의 출발은, 세계화와 다문화사회가 전(全) 지구적 차원에서 자본의 논리에 따라 전개되었을 뿐만 아니라 문화적·사회적 결과를 낳았다는 사실이다. 전자를 `구조적 계기`라고 한다면, 후자는 `문화적 계기`라고 할 수 있는데, 다문화교육의 담론은 대체로 후자에 머물러 있다. 논문에서는 그러한 교육학적 논의 경향의 기원을 근대 교육학의 전형적인 특징에서 찾고 있다. 이를테면 근대 교육학이 `교육적 개인`과 `교육학적으로 이상화된 공간`을 확립한다는 목표 하에 연구 영역 및 관점을 좁혀버린 학문사적 전통을 만들었다. 또한 다문화 교육 담론에 내재된 서구 보편주의라는 이데올로기적 혐의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G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 society as its consequence are general phenomena, and in a logical way, they have also become a latest research theme of pedagogic field. The conceptual metaphor which contains in the usual discourse over the multi-culturality and its educational approaches is on the whole positive, and warm-hearted. For this reason most of pedagogic inquiries into multiculturality can be caught in an ideological trap. This article investigates its reality and possibility in the educational approaches from an ideological-critical and meta-theoretical viewpoints. Of course, the multi-culturality and its social results deserve to be dealt with seriously in the educational research field. But we must also reveal fatal limits many inquiries in the field have hold explicitly and implicitly so far. Firstly, the g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 society have not only been developed according to the logic of capital in the `global` dimension, but brought about cultural and social results. Here most of pedagogic researches have failed to notice its `structural moment`, and have been absorbed only in `cultural moment`. This may be a necessary consequence of pedagogic closedness which derived from the typical tradition of modern pedagogy; the dual assumption between the `educational individual` and `pedagogically modellized space`. The second is related to the question how we can educate students in the through globalization radically extended realities by means of a certain educational program. This problem comes into contact with an aporia, universality and peculiarity of human subject formation. Finally, universality as an ethical and axiological foundation in the educational discourse over multi-culturality may be placed in the ideological context, that is, a European universality. Here this paper proposes an ideological and post-modernistic perspectives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al approaches.

      • KCI등재

        선거연령 하향 조정과 정치교육의 과제

        조상식(Cho, Sang-Sik) 한독교육학회 2020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5 No.1

        2019년 12월 국회는 만 18세 이상으로 선거연령을 하향 조정하는 공직선거법을 개정하였다. 이 법의 개정을 둘러싸고 정치권에서는 특유의 ‘선거 공학적’ 이해득실을 따지며 다양한 찬반논리가 있었다. 특히 신규 유권자에 고3 재학생이 일부 포함되면서 학교현장에 다양한 문제가 있을 것이라는 지적이 대두되었다. 이에 논문은 고등학교 재학생의 선거 행위와 관련한 교육학적 주제 영역이 정치교육이라는 가치교육의 영역이라고 규정하고, 18세 선거연령을 둘러싼 정치 교육적 쟁점을 다루고 있다. 이를 위해 논문은 정치교육의 모범적인 사례로 평가되는 독일의 ‘보이텔스바흐 협약’의 의미와 한계를 평가하고 향후 우리의 정치교육에서 고려해야 할 문제와 올바른 정치교육을 정착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국 정치교육은 문서화된 지식을 중심으로 행해지는 것이 아니며 사회의 다양한 제도에 학생들을 직접 참여하게 하고 활동하도록 하는 교육이 ‘건강한 삶을 위한 교육’임을 다시금 강조하고 있다. In December 2019, the National Assembly revised the Public Election Act, which lowered the age of elections to those over 18 years old. Around the revision of this law, there were various pros and cons of politics in pursuing a unique election engineering loss and gain. In particular, as new voters included some high school students, it was pointed out that there would be a variety of problems at the school site. In this paper, the pedagogical themes area related to the election particip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s defined as the value education area of political education, and it deals with political and educational issues surrounding the 18-year-old election age. To this end, the thesis evaluated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the German Beutelsbach’s Convention, which is considered as a good example of political education, and presented problems to be considered in our political education in the future and a strategy to establish correct political education. In the end, political education is not based on documented knowledge, and it is emphasized again that education should have students engage and take an action in various systems of society. This is nothing more than education for a healthy life.

      • KCI등재

        현상학의 "비(非)정립적 의식" 개념을 통해 본 학습의 새로운 차원

        조상식 ( Sang Sik Cho ) 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연구 Vol.47 No.-

        지금까지 독일과 영미권을 포함한 한국에서의 현상학적 교육학의 주된 연구 패러다임은, 현상학의 `실재론적 접근`의 주요 개념들인 생활세계, 신체(몸), 환경, 행위 등과 같은 범주를 통해 교육사태를 `맥락주의적으로` 해석하거나 아동의 지각 및 행동을 `현상적으로` 분석하는 것이었다. 물론 이러한 접근방식은 응용현상학으로서 현상학적 교육학이 학문내적 한계로 인해 선험적 주관성이나 현상학적 환원의 본래적 차원을 수용할 수 없다는 전반적인 인식에서 기인한다. 그럼에도 후설의 선험 철학적 현상학에 기대어 아동 의식의 구성과정에 접근하려는 시도도 간혹 있었다. 이 논문은 바로 그러한 발생론적·초월적 현상학적 접근에서 인간의 학습 현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에 논문은 의식의 선(先)반성적, 선(先)술어적인 작동의 차원인 비(非)정립적 의식을 독특하게 해명해준 후설(Husserl)의 아이디어에 주목한다. 이 개념을 통해 창조적 개념의 산출, 발견적 도약, 돌발적 이해과정 등과 같이 전통적인 학습이론인 `단선적 진보 모형`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학습 현상을 이해하고자 한다. 하지만 비정립적 의식 개념을 통해 인간의 학습현상에 대한 일반론적인 해명이 가능한가 하는 문제는 여전히 풀어야할 질문으로 남아 있다. Up to now the main research paradigm of phenomenological pedagogy in Korea, including Germany and Anglo-saxon areas, has been characterized as a contextualistic interpretation of educational realities through the categories such as `life world`, body, milieu and behaviour which are `realistic traces` in the late phenomenological tradition, or as a `phenomenal` analysis of children`s behaviour and perception. Of course this research approach resulted from the comprehensive recognition that the phenomenological pedagogy as an applied phenomenology could not receive an original dimension of the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such as transcendental subjectivity and phenomenological reduction. It shows the scientific internal limitation of pedagogy, because this starts from a value-loaded theory and praxis, and can not recognize the overall psychological states based upon the consciousness philosophy of phenomenology. Though it being rare examples, there have been approaches to the constitutive process of children`s consciousness and memories from the point of Husserl`s ideas. This article also focuses upon explicating the phenomenon of learning. Therefore, it belongs to the approach of the developmental, transcendent phenomenology. The paper aims at explaining learning phenomenon through the concept of `non-positional consciousness` (`nicht-thetisches Bewusstsein`) Husserl emphasized as the pre-reflexive and pre-precative operating dimension of consciousness. This concept helps to understand learning phenomenon such as products of creative ideas, a emergent leaping discovery and an unexpected insight. These abnormal learning events can not be explained through the traditional learning theories as `uni-linear progressive models`. But it remains the question whether the concept of non-positional consciousness can be a general conceptual instrument to explicate the phenomenon of learning.

      • KCI등재

        교육철학의 연구주제로서 ‘肉體로의 復歸’

        조상식(Cho Sang Sik) 한독교육학회 2004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9 No.1

        이 논문은 1970년 대 이래 서구 유럽의 교육철학 분야에서 ‘육체로의 복귀’라는 주제의 연구 흐름을 한국 교육학 분야에 소개하면서 아울러 그 연구가 보여준 교육철학적 함의와 쟁점들을 다루고 있다. 먼저 정신 개념에 비해 ‘육체’ 및 ‘신체’ 범주가 서구 인문ㆍ사회과학 분야에서 왜 홀대 받아왔는지에 대한 답을 문명화 과정의 필연적인 측면(생물학적-진화론적 설명과 사회사적 설명)과 합리적 이성을 강조하였던 서양철학의 전통의 결과라는 측면에서 찾을 수 있다. 한편 ‘육체로의 복귀’라는 주제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지적 흐름에서 연구되고 있다. 1) 낭만주의 사조, 2) 현상학, 3) 미학교육론, 4) 신경생리학적(자연과학적) 접근이 그것이다. 이러한 연구 흐름은 근본적으로 인간 교육에서 육체와 정신의 통일성을 회복하라는 일종의 ‘통합전략’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앞으로 인접 학문들과의 협동적인 연구를 통하여 ‘생산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Im vorliegenden Aufsatz geht es darum, das Thema, ‘Wiederkehr des Körpers’, dasseit den siebziger Jahren des letzten Jahrhunderts im Bereich derErziehungsphilosophie in den westeuropäischen Ländern studiert worden ist,vorzustellen und damit die daraus resultierenden Andeutungen bzw. Streitpunkte zuhandeln. Die Antwort dafür, warum westliche humanwissenschaftliche Bereiche dieKategorien wie ‘Körper’ und ‘Leib’ im Vergleich mit denjenigen wie ‘Geist’ und‘Seele’ vernachlässigt haben, kann man im folgenden herausfinden : 1. die notwendigePerspektive des zivilisationsprozesses(eine biologisch -evolutionstheoretische Erklärungund eine sozialhistorische), 2. die Betonung der rationalen Vernunft in der Traditionder westlichen Philosophie. Das Thema ‘Wiederkehr des Körpers’ ist in folgenden intellektuellen Strömungenstudiert worden : 1. Deutsche Romantik, 2. Philosophische Phänomenologie, 3.Ästhetische Bildung und 4. Neurophysiologie. In den vorigen drei Strömungenhandelt es um die Themen wie Wahrnehmung, Triebe, Empfindungen, Emotion usw..Im Gegensatz dazu bezieht sich die vierte auf die Gefahr, dass man das menschlicheBewusstsein zu vorschnell auf den physiologischen Grund reduzieren könnte. Folglich muss man diese Studie als solche eine ‘Integrationsstrategie’, die auf dieEinheit von Leib und Geist zielen sollte, begreifen. Außerdem muss man zukünftig dieinterdisziplinäre Forschung nicht ausschließen. Damit kann man die ‘produktiven’Auflösungen erwarten.

      • KCI등재

        인성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교육철학적 검토

        조상식(Cho, Sang Sik) 한독교육학회 2015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0 No.2

        Neuerdings hat die hitzige Diskussionen der Erziehungsbeteiligten bzw. -verwaltung über die Charaktererziehung endlich die Gezetzgebung für ihere Förderung aktualisiert. Wenn bestimmte Erziehungsthemen im öffentlichen Umkreis mit der Gestalt der verschiedenen Politik oder praktischen Programme überflutet, gilt es die erziehungsphilosophische Kritik.. Wie Kant die Aufklärung als Modeausdruck des Zeitalters zu kritisieren versuchte, braucht es die erziehungsphilosophische Kritik der Möglichkeit und Grenze der Charaktererziehung. Der vorliegende Aufsatz versucht diese Aufgabe zentraisiert um die nächste zwei Dimensionen zu lösen. Zuerst entdecke ich den Grund der begrifflichen Unklarheit des Charakters mit Hilfe von seiner historisch-philosophischen Übersicht. Danach bringe ich die Hauptströmmung der Theorie der Charaktererziehung in Ordnung. In der letzten Phase dieses Artikels geht es darum, ihre begriffliche Unklarheit und die Antinomie im Kantischen Sinne zu behandeln. Dafür leitete ich eine begriffliche Übersichtkarte von dem Nutzungsbeispiel der mathematischen Koordinatenachse her. Demnächst diskutiere ich die antinomische Eigenschaft der Charaktererziehung im Sinne der Kantischen Dialektik. Der theoretische Beispiel dafür war diejenige von Th. Lickona. Zusammenfassend gesagt, liegt der übertriebene Optimus der Charaktererziehung in der Tradition der Aufklärung, und erreicht die Möglichkeit und Grenze der Charaktererziehung sehr grüdlich diejenige der pädagogischen Aporie. 최근 인성교육에 대한 교육대중과 정책 당국의 관심은 인성교육 진흥을 위한 법제화로 실현되었다. 특정 교육의 이슈가 공적 담론에서 각종 정책이나 프로그램의 형태로 범람하게 될 때, 교육철학의 비판적 작업이 필요하다. 마치 시대의 유행어였던 계몽주의에 대해 비판했던 칸트의 철학적 시도가 있었듯이, 인성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교육철학적 비판이 절실히 요구된다. 논문에서는 두 가지 차원에 초점을 두고 이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먼저 인성교육에 대한 철학적 역사적 개관을 통해 인성 개념의 용례를 살펴봄으로써 개념상의 혼란이 이미 전제되어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그런 다음 인성교육의 흐름을 특정 시대에 유행했던 패러다임에 입각하여 정리한다. 이렇게 인성교육을 둘러싼 쟁점들을 역사적 지평에서 상대화 한 후, 그 개념상의 불명료성과 이율배반을 본격적으로 다룬다. 이에 인성 개념의 불명료성을 수학 좌표의 도움으로 개념적으로 모형화하였다. 다음으로 인성교육의 이율배반적(antinomisch) 성격을 칸트의 의미에서의 변증론(Dialektik)을 활용하여 논의하였다. 여기에 활용된 이론의 범례는 리코나(Th. Lickona)의 인성 및 도덕이론이었다. 결론적으로 논문은 인성교육에 대한 지나친 낙관론의 근거가 계몽주의 전통의 교육학 자체에 있음을 지적하고, 이 주제가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문제라는 더욱 근본적인 교육적 아포리아와 맞닿아 있음을 드러내고 있다.

      • KCI등재

        MacIntyre의 반(反)계몽주의에 대한 교육사상사적 검토

        조상식 ( Sang Sik Cho ) 한국헤겔학회 2010 헤겔연구 Vol.0 No.28

        18세기 서구 계몽주의는 근대교육학의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이념적으로 보았을 때, 계몽주의는 인간이성, 계몽, 성숙, 해방 등과 같은 개념을 통해 인간 교육의 풍부한 아이디어를 제공해주었다. 반면에 최근 교육철학 연구에서 자주 논의된 바 있는 MacIntyre의 관점이 근대교육학의 토대인 계몽주의를 비판한다는 점에서 교육학자에게 적지 않은 당혹감을 던진다. 아울러 그의 『덕의 상실』에 나타나는 반(反)계몽주의는 포스트모더니즘과 달리 반(反) 근대성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 더욱 흥미롭다. MacIntyre의 반계몽주의의 핵심은 목적론(teleology)의 몰락으로 특징지어지는 계몽주의 이후의 서구 지성사를 겨냥하고 있다. 본 논문은 그의 주장대로 계몽주의 시기를 기점으로 서양교육사상사에서 탈목적론의 주요한 징후들을 확인할 수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했다. 특히 Humboldt의 Bildung 이론의 등장에 주목해 보면, MacIntyre가 주장하는 목적론의 퇴조를 분명히 읽을 수 있다. 논문은 그 흔적을 추적하면서 MacIntyre의 주장을 교육사상사적으로 검토할 수 있었다. 비록 그가 주목하고 있는 탈목적론적 계몽주의 흐름을 18세기 근대교육학에서도 확인할 수는 있었지만, 계몽주의 유산에 많은 부분 의존하고 있는 교육학의 학문적 토대에서 그의 반계몽주의를 받아들이기엔 부담이 적지 않다. The western Enlightenment of the eighteenth century greatly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modern pedagogy, so thus we can call it the ``century of education`` not only in the educational institutional aspect but also in the aspect of educational ideas. In particular, the educational ideas that the Enlightenment provided are fruitful for human education with their basic categories of education such as reason, enlightenment, maturity, emancipation, etc. But there were various counter strategies against its ideas which were derived from its self-antinomic character. MacIntyre`s argument from recent educational articles debases our pedagogists because he criticizes the Enlightenment as a basis of modern pedagogy. It is very interesting that he developed his anti-Enlightenment position in his main work 『After Virtue』which contains the elements of anti-modernity in contrast to postmodernism as a contemporary trend. The essence of his anti-Enlightenment comes in contact with a great stream of western history of ideas that are characterized as the downfall of teleology. This article accepts his main assumptions of anti-Enlightenment, and show that there would be few various traces for this around eighteenth century. Turning our attention to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Humboldt`s theory of ``Bildung``, we can find out evidently the low-tide tendency of teleology, as MacIntyre had insisted. In addition, the paper discusses some points at issue. Although we can recognize that MacIntyre`s main position corresponds to the de-teleological tendency in German modern pedagogy, his argument falls heavily on our modern pedagogists, as his theoretical assumptions could break down the modern ground on which our modern pedagogy still depend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Kritische Uberlegungen zur Richertschen Schulreform von 1924~1925

        Cho, Sangsik(조상식) 한독교육학회 2013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8 No.3

        In diesem Artikel geht es darum, den Bildungsgedanken Richerts und seine schulreformerischen Versuche von 1924~1925 kritisch zu behandeln. Das beruht darauf, dass sein padagogischer Gedanke und die von ihm am nachhaltigsten beeinflusste Schulreform in Preußen in die nationalsozialistischen Bildungsideologie einmündet. Diese Reform war nicht nur eine der Reaktionen auf die Schulkrise, die sich aus den expansiven Tendenzen im höheren Schulwesen durch die soziale Öffnung der Bildung ergeben hatte, sondern auch ein Resultat der heftigen Kampfe zwischen Interessengruppen bzw. Klassen um die Bildungserweiterung und –einschrankung. Von Standpunkt der gymnasialpädagogischen Tradition aus ordnete Richert die hohere Schule nicht rechtgemäß ein. Und die Kulturkunde oder Kernfächer, die sowohl die Methoden als auch die Prinzip für die Einheitsschule bei ihm sein sollten, vernachlässigten die Universalitätsforderungen des Bildungsideals und gerieten in eine didaktisch-methodologische Verengung. 이 논문의 목적은 독일 국가사회주의 교육사상의 한 근원을 탐색하는 데 있다. 그 대표적인 실례로서 1924/25년 중등학제 개혁을 주도했던 한스 리헤르트의 정책적 실천과 그 아래에 놓여있는 교육사상을 추적하는 데 있다. 이는 넓은 의미에서 교육이념과 실제가 긴장상태에 놓여 있음을 보여주는 교육사적으로 흥미로운 주제를 제공해준다. 논문에서는 리헤르트의 교육사상과 학교개혁의 실제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를 통해 그의 개혁이 프로이센에만 국한되는것이 아니라, 국가사회주의라는 불행한 독일 현대사의 전체주의 흐름에 편승한 것임이 밝혀진다. 이러한 이념사적인 연속성 속에서 리헤르트의 교육사상의 본래 의미가 드러난다. 이는 리헤르트에 의해 주도된 프로이센의 중등학교 개혁을 거대한 학교사적(學校史的) 맥락에서 파악해야 함을 의미한다. 아울러 이 학교개혁은 오늘날에도 지속되고 있는 학교교육의 평등문제와도 직접 관련이 있다. 이 개혁안은 당시 학교교육의 기회확대가 초래한 이른바 학교위기에 대한 반응이면서 동시에 당시 학교를 둘러싼 각 이해당사자 및 계급 간의 갈등의 결과이기도 하다. 리헤르트가 추진하고자 했던 김나지움 교육과정에 대한 개혁 내용인 문화교과목 및 기본교과의 설정과 교육방법의 기본 방향은, 독일 교육사상사적인 맥락에서 보았을 때, 보편성이 결여된 민족주의적, 집단주의적 아이디어로 채워져 있고 교수방법상으로도 기술적(技術的) 사안에 매몰된 측면이 강하다. 결국 서구 및 독일 교육의 이념사에 비추어 보았을 때, 그의 개혁안에 놓여 있는 교육이념은 협소한 관점과 편견에 사로잡혀 있었을 뿐만 아니라 전체주의 정치이념을 맹목적으로 수용한 결과에 불과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